KR20060104456A -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456A
KR20060104456A KR1020050026640A KR20050026640A KR20060104456A KR 20060104456 A KR20060104456 A KR 20060104456A KR 1020050026640 A KR1020050026640 A KR 1020050026640A KR 20050026640 A KR20050026640 A KR 20050026640A KR 20060104456 A KR20060104456 A KR 20060104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water
reservoir
pipe
polyethylene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6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창호
Original Assignee
(주) 창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창우텍 filed Critical (주) 창우텍
Priority to KR10200500266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4456A/ko
Publication of KR20060104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4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 E03B11/1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public or like main water supply of underground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의 누수, 결로 현상에 따른 응축수, 성토로부터의 외부수 침투 등으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인 물을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부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로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집수정(20)과; 상기 집수정의 저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저수조(10) 상부벽의 일정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저부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전방향에 걸쳐 일정크기의 통수공(102)이 형성된 배관(100)과; 상기 배관에서 통수공이 형성된 높이만큼 일정높이로 타설된 후, 일정간격마다 일정크기의 배수구멍(112)이 형성되는 집수부 콘크리트(110)와; 상기 배관에 일정높이만큼 물이 고이면 이를 감지하여 밖으로 퍼내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저수조, 배수지, 폴리에틸렌 시트

Description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Apparatus for discharge of concrete drainfield}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콘크리트 저수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콘크리트 저수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방수장치가 설치된 콘크리트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배관의 연결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배관의 다른 연결구조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콘크리트 저수조 12 : 폴리에틸렌 시트
20 : 집수정 100 : 배관
102 : 통수공 110 : 집수부 콘크리트
112 : 배수구멍 130 : 자갈
140 : 밴드 150 : 플랜지
본 발명은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를 위하여 그 내면에 폴리에틸렌 시트(PE Sheet)가 라이닝 공사된 상태에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의 누수, 결로 현상에 따른 응축수, 성토로부터의 외부수 침투 등으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사이에 고인 물을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부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로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저수조는, 일정량의 물을 저장하여 주거용 아파트나 업무용 빌딩 등과 같이 생활용수의 사용이 많은 건축물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저수조는 재질에 다라 스테인레스패널수조, SMC수조, FRP수조, 콘크리트수조 등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는, 일정 모양으로 형성하기 위해 거푸집 패널을 형성하고, 이 거푸집 패널의 일측에 슬리브를 결합한 후, 상기 거푸집 패널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양생시킨 것으로, 그 단면 형상은 도 1 또는 도 2와 같다.
도 1에 도시된 콘크리트 저수조(10)는, 그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의 집수정(20)이 형성된 것이며, 도 2에 도시된 콘크리트 저수조(10)는, 그 저면에 별도의 집수정이 없는 것이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저수조(10)는, 외부 공간에 설치되는 것도 있으나, 지하에 매립형태로 공사되는 것이 많으며, 특히 매립되는 콘크리트 저수조 중에서도 일면이 개방되도록 매립설치되는 것이 있으며, 성토를 파내고 사면(四面)이 모두 폐쇄되도록 매립설치되는 것도 있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는 일반 합성수지재나 스틸재질에 비하여 그 방수기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그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12)를 열융착에 의해 라이닝 공사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에 방수를 위하여 폴리에틸렌 시트를 라이닝 공사를 하더라도,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 자체의 일부 손상으로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의 물이 새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 사이로 스며드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편차로 인하여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응축수가 생기기도 하며, 성토로부터 외부의 물이 콘크리트 저수조의 외벽면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이기도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이 고이게 되면, 콘크리트 저수조 자체가 쉽게 부식되어 그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됨으로써, 결국 그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폴리에틸렌 시트의 누수, 결로 현상에 따른 응축수, 성토로부터의 외부수 침투 등으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고인 물을 외부로 빼내어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부식 등으로 인한 내구성 저하로 사용수명이 줄어드는 것을 예방하도록 한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콘크리트 저소조의 방수장치는, 저수조의 층수 시점 전에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을 채워 수밀성에 대한 실험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도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성토 등에 매립형태로 설치되며, 그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가 라이닝 공사된 콘크리트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집수정과; 상기 집수정의 저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저수조 상부벽의 일정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저부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전방향에 걸쳐 일정크기의 통수공이 형성된 배관과; 상기 배관에서 통수공이 형성된 높이만큼 일정높이로 타설되되, 일정간격마다 일정크기의 배수구멍이 형성되게 타설되어 양생되는 집수부 콘크리트와; 상기 배관에 일정높이만큼 물이 고이면 이를 감지하여 밖으로 퍼내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밀부재는 일정높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집수부 콘크리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배관에서 통수공이 형성된 높이만큼 자갈을 적재하고, 그 위에 부직포를 적재한 후, 집수부 콘크리트를 타설,양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펌프는, 배관 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일 수도 있고, 배관 외부에 설치되는 외부 펌프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집수부 콘크리트 상면과 배관 사이에는 폴리에틸렌 시트를 플랜지 이음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으며, 밴딩이음 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방수장치가 설치된 콘크리트 저수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성토에 사면(四面)이 매립되고, 그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의 집수정(20)이 형성된 콘크리트 저수조(10)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저면 일측에 집수정(20)이 형성된 콘크리트 저수조(10)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20)으로부터 콘크리트 저수조(10) 상면의 일정높이까지 내부식성이 강한 재질로 된 배관(100)이 수직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집수정(20)의 일정높이까지는 자갈(130) 등이 채워지고, 이 자갈(130)의 위에는 부직포(120)와 비닐(122)이 덮어진 후, 그 위에 다시 일정높이로 집수부 콘크리트(110)가 타설된다.
상기 집수부 콘크리트(110)가 양생되면, 일정간격마다 배수구멍(112)을 형성 하되, 상기 부직포(120)와 비닐(122)도 동시에 구멍을 형성한 후,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벽면 전체에 폴리에틸렌 시트(12)를 라이닝 공사한다.
이 경우, 상기 집수정(20)의 일정높이 위치에 타설되는 집수부 콘크리트(110)와 배관(100) 사이에 틈새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 틈새를 통한 집수정 내로의 누수를 예방하기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의 결합이 요구되며,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자갈(130) 위에 부직포(120)를 덮는 것은, 집수부 콘크리트(110)가 양생되기 전에 자갈(130) 사이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고, 상기 비닐(122)을 덮는 것은, 콘크리트가 양생되기 전에 함유된 수분이 자갈(130) 사이로 흘러내리는 것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배관(100)에서 집수정(20)에 타설되는 집수부 콘크리트(110)의 안쪽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복수의 통수공(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관(100)에는 펌프(미도시됨)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펌프는, 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일 수도 있으며, 상기 배관(100) 밖에 설치되는 외부펌프일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방수장치의 설치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그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의 집수정(20)이 설치된 콘크리트 저수조(10)에 있어서, 상기 집수정(20)으로부터 콘크리트 저수조(10) 상부벽의 일정높이만큼 일정한 직경을 갖는 배관(100)을 수직방향으로 설치한다.
이때, 상기 배관(100)의 저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는 전방향에 걸쳐 일정 크기의 통수공(102)이 형성된 것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집수정(20)에서 상기 배관(100)의 통수공(102)이 형성된 높이만큼 자갈(130)을 적재하고, 그 위에 부직포(120)와 비닐(122)을 덮어 씌운다.
다음에, 거푸집 등을 이용하여 일정높이만큼 집수부 콘크리트(110)를 타설하고, 이 집수부 콘크리트(110)가 양생되면 일정간격마다 배수구멍(112)를 형성하되, 상기 부직포(120)와 비닐(122)에 걸쳐서도 구멍이 형성되게 천공한다.
다음에,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벽면과 상기 집수부 콘크리트(110)의 상면에 걸쳐 폴리에틸렌 시트(12)를 라이닝 공사함으로써, 공사를 마무리 한다.
따라서,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12) 사이에 고이게 되는 물은 중력에 의해 아래로 흐르면서 집수부 콘크리트(110)와 폴리에틸렌 시트(12) 사이로 흐르게 되며, 이와 같이 모인 물은 상기 집수부 콘크리트(110)의 배수구멍(112)을 통해 자갈(130)이 쌓인 집수정(20)으로 흘러내리게 된다.
이와 같이 집수정(20)에 물이 모이게 되면, 이 물은 배관(100)의 통수공(102)을 통해 배관 내로 차게 되며, 다시 배관(100)과 연결된 펌프가 작동하여 배관 내의 물을 외부로 뽑아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10)의 내벽면과 집수부 콘크리트(110)의 상면에 걸쳐 폴리에틸렌 시트(12)를 라이닝 공사함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12)와 배관(100)의 접합부분은 플랜지(150) 이음 또는 밴드(140)에 의해 틈새를 없애 방수기능을 가지도록 한다.
즉, 도 4는 도 3에서 배관과 폴리에틸렌 시트의 연결을 플랜지 이음에 의해 나타낸 확대단면도. 도 5는 도 3에서 배관과 폴리에틸렌 시트의 연결을 밴딩이음에 의해 나타낸 확대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플랜지(150)를 이용하여 플랜지 이음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고, 밴드(140)를 이용하여 밴딩 이음방식으로 연결할 수도 있다.
참고로, 별도의 집수정이 설치되지 않은 콘크리트 저수조에 방수장치를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콘크리트 저수조에서 비교적 낮은 위치의 저면 일측에 별도의 집수정을 공사한 후, 이와 같이 공사된 집수정에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방수장치를 설치하면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자갈 위에 집수부 콘크리트(110)를 타설하고, 양생시킨 후, 배수구멍(112)를 천공하도록 한 것을 일예로 들었으나, 상기 집수정에 콘크리트를 대신하여 수밀성을 갖는 다른 수밀부재(금속재, 합성수지재 등)를 선택하여 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를 이용하여 폴리에틸렌 시트(12)의 방수기능을 시험할 수도 있다.
즉, 저소조의 충수전에 상기 배관(100) 상부로부터 거꾸로 물을 넣어 집수부 콘크리트(110)와 폴리에틸렌 시트(12) 사이에 물이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12) 사이의 누수상태를 확인하는 실험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내벽면에 폴리에틸렌 시트가 라이닝 공사되어 방수기능을 갖도록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의 손상에 의한 누수나,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 내부와 외부의 온도편차에 의한 응축수나,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가 매립된 상태에서 성토를 통한 외부수가 침투하여, 상기 폴리에틸렌 시트와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 사이에 물이 생성된 것을 어느 한 곳으로 모아서 외부로 배출시키게 됨으로써, 결국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이 고이지 않아 이로 인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이 예방되는 바, 결국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내구성 증대에 따른 사용수명이 늘어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저수조의 충수 전에 배관 상부로부터 물을 넣어 집수부 콘크리트와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물을 채워 저수조의 내벽면과 폴리에틸렌 시트 사이에 누수가 일어나는지의 수밀성 시험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성토 등에 매립형태로 설치되며, 그 내벽면에 방수를 위한 폴리에틸렌 시트가 라이닝 공사된 콘크리트 저수조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저수조의 저면 일측에 일정크기로 형성된 집수정(20)과;
    상기 집수정의 저면으로부터 콘크리트 저수조(10) 상부벽의 일정높이까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그 저부로부터 일정높이만큼 전방향에 걸쳐 일정크기의 통수공(102)이 형성된 배관(100)과;
    상기 배관에서 통수공이 형성된 높이의 위치에 설치되되, 일정간격마다 일정크기의 배수구멍이 형성되는 수밀부재와;
    상기 배관에 일정높이만큼 물이 고이면 이를 감지하여 밖으로 퍼내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밀부재는 일정높이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집수부 콘크리트(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100)에서 통수공(102)이 형성된 높이만큼 자갈(130)을 적재하고, 그 위에 부직포(120)와 비닐(122)를 적재한 후, 집수부 콘크리트(110)를 타설,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배관(100) 내에 설치되는 수중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 콘크리트(110) 상면과 배관(100) 사이에는 폴리에틸렌 시트(12)를 플랜지(150) 이음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부 콘크리트(110) 상면과 배관(100) 사이에는 폴리에틸렌 시트(12)를 밴드(140)에 의한 이음 방식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20050026640A 2005-03-30 2005-03-30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20060104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40A KR20060104456A (ko) 2005-03-30 2005-03-30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40A KR20060104456A (ko) 2005-03-30 2005-03-30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8763U Division KR200387581Y1 (ko) 2005-03-30 2005-03-30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456A true KR20060104456A (ko) 2006-10-09

Family

ID=37634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640A KR20060104456A (ko) 2005-03-30 2005-03-30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44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20B1 (ko) 2016-06-30 2017-02-07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Pe 라이닝 콘크리트 수조의 누수감지가 가능한 배출유니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9428A (ja) * 1983-11-18 1985-06-14 Sekisui Plastics Co Ltd 地下室の排水工法
JPS6484892A (en) * 1987-09-18 1989-03-30 Bridgestone Corp Water storage tank equipped with waterproof sheet
JPH05132963A (ja) * 1991-11-06 1993-05-28 Takir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内面の防食防水ライニング構造並びにその防食防水ライニング工法
KR20020028950A (ko) * 2002-02-21 2002-04-17 주식회사 씨엔엔 콘크리트 수조의 내부 방수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09428A (ja) * 1983-11-18 1985-06-14 Sekisui Plastics Co Ltd 地下室の排水工法
JPS6484892A (en) * 1987-09-18 1989-03-30 Bridgestone Corp Water storage tank equipped with waterproof sheet
JPH05132963A (ja) * 1991-11-06 1993-05-28 Takiron Co Ltd コンクリート構造物内面の防食防水ライニング構造並びにその防食防水ライニング工法
KR20020028950A (ko) * 2002-02-21 2002-04-17 주식회사 씨엔엔 콘크리트 수조의 내부 방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220B1 (ko) 2016-06-30 2017-02-07 주식회사 피엘테크코리아 Pe 라이닝 콘크리트 수조의 누수감지가 가능한 배출유니트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78700B (zh) 一种隧道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US5480260A (en) Ground water coll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9488371B (zh) 一种全包防水车站防水系统及动态设置限量排水方法
KR102579636B1 (ko) 건물 누수 유도배출장치
KR200387581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20060104456A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0779707B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0481148B1 (ko) 헥사튜브코넥터 배수공법
KR20070065997A (ko) 복합구조 재료를 이용한 빗물 저류조 시공공법 및 그저류조 구조
KR101826619B1 (ko) 누수방지 기능을 가진 무부력 집수정의 설치구조
CN112962646B (zh) 一种集水坑及其施工方法
KR100823602B1 (ko) 집수정
KR101774865B1 (ko) 누수방지 및 단열 성능이 개선된 피씨 더블 월
JP5315208B2 (ja) 排水容器
KR20010002387A (ko) 지하구조물 양압력해소시스템
CN113293801A (zh) 一种电力电缆排管工井及其施工方法
CN206706949U (zh) 一种下沉式卫生间的排水装置
CN107419739B (zh) 一种建筑底板降水施工方法
JP4107404B2 (ja) フロントサッシ下部の防水構造
KR200435699Y1 (ko) 콘크리트 저수조의 방수장치
KR100711607B1 (ko) 건축지붕 누수방지 시설구조
JP2008150809A (ja) 雨水浸透施設
TW451019B (en) Water-proof and damp-proof method for basement side wall
CN210421104U (zh) 超深基坑集水装置
JP3055066B2 (ja) 二重殻貯槽建設時の排水方法及び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