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453A -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453A
KR20060104453A KR1020050026629A KR20050026629A KR20060104453A KR 20060104453 A KR20060104453 A KR 20060104453A KR 1020050026629 A KR1020050026629 A KR 1020050026629A KR 20050026629 A KR20050026629 A KR 20050026629A KR 20060104453 A KR20060104453 A KR 20060104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infrared remote
control module
unit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6114B1 (ko
Inventor
김근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6114B1/ko
Priority to CN2006100076646A priority patent/CN1842112B/zh
Publication of KR20060104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6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6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Optical Communication Syste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웨어적으로 이원화된 입력부를 이용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폰 제어부; 상기 휴대폰 제어부로부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작동(on) 시키는 원격제어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제어부 또는 입력부의 설계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과 적외선 원격제어를 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 휴대폰, 리모콘, 적외선 원격제어, 이원화

Description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infrared remote controller}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이다.
도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표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드웨어적으로 이원화된 입력부를 이용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도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부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키 입력부는 일반적으로 20개 내외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0에서 9까지의 숫자 버튼과 특수문자와 상하좌우의 방향키 및 특수 버튼 등을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사용자가 상기 키 입력부의 키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키 버튼의 회로가 연결되어 휴대폰의 제어부에 입력신호를 전달한다. 따라서, 하나의 키 버튼은 한 가지의 입력신호를 전달하는바 기본적으로 하나의 키 버튼은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하나의 키 버튼을 이용해서 2가지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키 입력부의 설계를 변경하거나, 추가적인 입출력 제어부를 설계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의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2가지 이상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
도2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공개번호 특2001-0017278)에 기재된 인용발명에 따른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제어부(210)와, 무선 전화부(220)와, 리모콘부(230) 및 기능 전환키(2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기(200)는 기기를 원격제어하는 상기 리모콘부(230)와, 음성신호를 음성주파수대의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상기 무선 전화부(220)와, 기능 전환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리모콘부(230) 및 상기 무선 전화부(220)를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210)와, 기능전환신호를 생성하는 상기 기능 전환키(240)를 구비한다. 상기 기능 전환신호는 사용자가 기능 전환키(240)를 누를때 마다 서로 다른 전환신호가 순환적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상기 기능 전환키(240)가 첫번째로 눌리면 무선전화기전환신호(PS)가 출력되고, 상기 기능 전환키(240)가 두 번째로 눌리면 리모콘 전환신호(RS)가 출력된다.
상술한 종래의 리모콘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입력부로부터 수신된 하나의 입력 신호에 의해 무선전화 기능과 리모콘 기능을 선택하여 수행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제어부의 설계를 변경하거나 입력부의 설계를 변경해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 또는 입력부의 구조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과 적외선 원격제어를 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폰 제어부; 상기 휴대폰 제어부로부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작동(on) 시키는 원격제어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 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입력부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휴대폰 제어부로부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하좌우 방향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만을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원격제어 버튼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 입력버튼(side key)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특징은,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은 상기 휴대폰 제어부의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다른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럭도이다.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는 입력부(310), 휴대폰 제어부(320), 연결부(330),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340) 및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부(350), 이동통신 모듈(360) 및 출력부(3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PDA폰, 셀룰러폰(Cellular), PCS폰, GSM폰(Global System for Mobile), W-CDMA폰(Wideband CDMA) 또는 MBS폰(Mobile Broadband System) 등이 가능하다.
상기 입력부(310)는 사용자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들이는 장치로써, 입력결과를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로 전달한다. 상기 입력부(310)는 다수의 숫자 키 및 기능키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는 상기 휴대전화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에서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연결된 장치들을 제어하기 위해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출력한다.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입력부(310)와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를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310)로부터 발생한 입력 데이터는 상기 연결부(330)를 통하여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로 전달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상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에는 상기 입력부(310)와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340)을 추가적으로 연결한다. 즉 상기 작동 인가 신호를 수신한 상기 연결부(330)에 의해서 상기 입력신호의 경로가 하드웨어적으로 이원화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FET(Field Effect Transistor)과 같은 회로 소자를 통해서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에 의해 활성화된 상기 연결부(330)에 의해 하나의 입력 데이터 가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뿐만 아니라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340)에도 전달된다.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기기를 조작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300)에 구비되는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는 통상의 적외선 원격제어부와 동일하므로 일반적인 적외선 신호 포멧으로 적외선 신호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를 통해 적외선 디코딩시 출력될 신호에 앞서 출력되는 예비 신호인 리더 코드(Leader Code)를 전송하고, 제어 대상이나 제조업자(vendor)에 따른 고유 코드인 커스텀(custom) 코드를 전송하고, 실제 제어 명령과 데이터가 할당된 데이터 코드를 전송한다.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에 상기 입력부(310)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면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는 상기 입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의 발광 다이오드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는 자체적으로 메모리부를 구비하여 상기 입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검색, 호출할 수 있다. 결국, 상기 연결부(330)에 의해 상기 입력 데이터 신호가 전달되면 통상의 적외선 원격제어부를 통해 상기 입력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원격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입력부(310)와,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 및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의 설계를 변경할 필요 없이 하나의 입력 데이터 신호로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부(340)를 제어하여 리모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부(350)는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340)의 작동 여부(on/off)를 결정하는 버튼이다.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버튼부(350)를 인가하는 경우 상기 적외선 원격 제어 모듈(340)의 작동(on)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동통신 모듈(360)은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의 제어에 따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상기 출력부(370)는 음성 출력부 및 영상 출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음성 출력부는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스피커를 통해 가청음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며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이동통신 모듈(360)로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출력부는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의 제어에 의해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장치로써 액정 표시 장치(LCD)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회로도이다. 도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폰 제어부(410)에서는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전송하며, 상기 신호는 상기 연결부(420)를 활성화한다. 활성화된 상기 연결부(420)는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430)에 회선을 제공하며, 상기 회선을 통해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430)에 입력 데이터 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에 의해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430)과 상기 전원부(440)의 연결여부가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430)과 상기 전원부(440) 사이에는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의 작동 여부(on/off)를 결정 하는 원격제어 버튼부가 포함되며, 상기 원격제어 버튼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400)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 입력버튼(side key)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작동 인가 신호가 전달되고 상기 측면 입력버튼이 인가된 상태에서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의 작동이 이루어진다.
도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의 구성도이다. 도3 및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인 휴대전화의 입력부에는 상하좌우 방향키와 추가 기능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버튼이 포함된다. 상기 상하좌우 방향키와 1개의 기능버튼을 이용하여 적외선 원격제어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텔레비전을 제어하는 경우 상하 방향키는 방송 채널을 제어하는 버튼이 되고, 좌우 방향키는 소리의 크기를 제어하는 버튼이 되며, 1개의 기능버튼은 텔레비전의 전원을 온/오프 (on/off)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330) 상기 휴대폰 제어부(320)로부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하좌우 방향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만을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연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상하좌우 방향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 만으로도 전자제품의 제어가 충분히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야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종래의 제어부 또는 입력부의 설계의 변경을 최소화하면서 이동통신과 적외선 원격제어를 할 수 있다.

Claims (5)

  1.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포함하는 무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 데이터 신호를 수신하는 휴대폰 제어부;
    상기 휴대폰 제어부로부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입력부와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연결시키는 연결부; 및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작동(on) 시키는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상하좌우(上下左右) 방향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휴대폰 제어부로부터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상하좌우 방향 버튼 및 추가 기능 버튼만을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버튼부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측에 구비된 측면 입력버튼(side ke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1항 내지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은 상기 휴대폰 제어부의 작동 인가 신호(GPIO_MCU enable)에 의해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26629A 2005-03-30 2005-03-30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6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29A KR100686114B1 (ko) 2005-03-30 2005-03-30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006100076646A CN1842112B (zh) 2005-03-30 2006-02-15 带有红外线遥控模块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629A KR100686114B1 (ko) 2005-03-30 2005-03-30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453A true KR20060104453A (ko) 2006-10-09
KR100686114B1 KR100686114B1 (ko) 2007-02-26

Family

ID=370309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629A KR100686114B1 (ko) 2005-03-30 2005-03-30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86114B1 (ko)
CN (1) CN18421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94001A (zh) * 2011-11-07 2012-03-28 昆山市千灯镇凯昆达电子厂 具有遥控器功能的移动通信终端
CN103209348A (zh) * 2012-01-16 2013-07-17 金峰 一种移动终端遥控数字电视机顶盒的方法
CN107205224A (zh) * 2017-07-05 2017-09-26 南方科技大学 一种海上仪器回收定位搜寻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18774Y (zh) * 1997-11-12 1999-05-12 珠海市艾雷特电子有限公司 一种红外线遥控延伸装置
KR100499048B1 (ko) * 1998-12-09 2005-09-30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이동전화 단말기
CN1260679A (zh) * 2000-01-21 2000-07-19 北京邮电通信设备厂 兼作家用电器遥控器的移动电话机
KR20040026760A (ko) * 2002-09-26 2004-04-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가전제품 통합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34611B1 (ko) * 2003-06-04 2005-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기를 이용한 가전기기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42112A (zh) 2006-10-04
KR100686114B1 (ko) 2007-02-26
CN1842112B (zh) 2013-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29106A1 (en) Remote Control System Capable of Controlling an Electronic Device at Different Modes and Method Thereof
US20100234079A1 (en) Mobile telephone device
KR20080082288A (ko) 원격제어가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07004560A1 (ja) 通信端末
KR100686114B1 (ko) 적외선 원격제어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20050191999A1 (en) Communication terminal,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in use of same
KR200600629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스플레이제어 장치 및 방법
KR20020017682A (ko) 다기능 전화기
KR20060122107A (ko) 에프엠 모듈을 이용한 음성 송수신이 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258804Y1 (ko) 텔레비젼 리모콘의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KR200325714Y1 (ko) 다기능 휴대폰
KR20010048834A (ko) 기존 휴대 이동 통신기의 벨, 진동, 차단 모드의 자동전환 방법
JP2003316477A (ja) 電子機器
KR100456738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시키는 방법
KR100800890B1 (ko) 휴대단말기에서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KR20020056776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단축키를 이용한 모드전환방법
KR200313426Y1 (ko) 이동통신 단말기 착탈형 원격제어 장치
KR100768858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전원공급방법
KR20050079475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절전모드 전용키를 이용한 절전모드전환방법
KR10137935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 제어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이동통신단말기
KR101196750B1 (ko) 키패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595673B1 (ko) 시각 장애자용 휴대 단말기
KR20040026760A (ko) 가전제품 통합 리모콘 겸용 이동통신 단말기
KR20050120509A (ko)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리모콘 기능 학습 및 실행방법
JP2005130179A (ja) 携帯電話端末とそのリモコン機能による予約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