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299A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299A
KR20060104299A KR1020050026332A KR20050026332A KR20060104299A KR 20060104299 A KR20060104299 A KR 20060104299A KR 1020050026332 A KR1020050026332 A KR 1020050026332A KR 20050026332 A KR20050026332 A KR 20050026332A KR 20060104299 A KR20060104299 A KR 2006010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ehicle
control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719B1 (ko
Inventor
양미화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50026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719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포맷의 제어키를 저장 혹은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50)와;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키 관리서버(7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상기 홈 통제장치(30), 상기 차량 제어장치(50)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90)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홈, 차량, 이동통신 단말기, 원격, 제어, 도어, 제어키, 송신, 수신.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System for remotely controlling home and vehicles using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통제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제어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을 제어하는 제어키(key)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이동통신 단말기, 30 홈(Home) 제어장치,
50 차량 제어장치, 70 제어키 관리서버,
90 유무선 통신망.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 내부의 현관의 도어 개폐, 실내 조명의 점/소등 및 경보 발생이나 혹은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및 경보 발생 등을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격지에서 리모컨을 이용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및 경부 발생 등을 행하는 원격 제어시스템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격 제어시스템은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원격 송신장치(또는 리모컨)와 원격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다른 기기들을 구동하는 원격 수신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원격 제어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방식은 주로 무선 적외선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이 발전되면서 PDA나 휴대폰 등과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차량용 리모콘 등과 같은 각종 원격 제어장치의 기능들이 탑재되고 있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장치의 기능들이 이동통신 단말기에 통합되면서 원격 제어장치를 별개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일반 음성 및 데이터통신이나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 등을 실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 음성이나 데이터 통신 혹은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의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및 경보 발생 등과 같은 제어는 가능하지만, 홈에 설치된 현관 및 실내의 도어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추가로 별도의 원격 제어장치를 구비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홈이나 차량에 설치된 디지털 도어 및 조명 등과 같은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는 경우, 이들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소정 포맷의 제어키(key)도 함께 분실되기 때문에, 이들 전자기기들을 제어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이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기기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홈이나 차량에 설치된 복수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제어키 관리서버나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보관하여 제어키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 이외의 목적과 신규한 특징은, 본 명세서의 기술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히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포맷의 제어키를 저장 혹은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와; 상기 홈 통제장치 및 차량 제어장치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키 관리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홈 통제장치, 상기 차량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부,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각종 연산이나 주변기기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텍스트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을 입력하고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 상기 홈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홈 제어장치,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부, 실내외에 설치된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실내외 조명부 및 상기 도어부나 실내외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경보 송신부 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제1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 제어장치, 속도 표시장치 및 연료량 표시장치 등의 각종 기계나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시동부,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된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차량 조명부 및
상기 시동부, 상기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조명부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경보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게다가,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적외선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수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일반 신호뿐만 아니라 적외선 신호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제어키 관리서버는,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와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장치, 상기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입력되는 제어키 및 상기 제어키에 관련된 데이터, 예컨대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이름, 주소 등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와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갱신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키를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전체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원격 제어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은 크게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 통제장치(30)와; 차량 제어장치(50)와; 제어키 관리서버(70)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포함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30)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50)와;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포함하는 제어키 관리서버(70)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 상기 홈 통제장치(30), 상기 차량 제어장치(50)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90)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상기 홈 통제장치(30), 상기 차량 제어장치(50)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와는 유무선 통신망(90) 통해서만 신호를 송 수신하지만,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와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각종 신호를 직접 송수신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부(1),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2),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각종 연산이나 주변기기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3), 텍스트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4), 음성을 입력하고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5), 무선으로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6) 및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7)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4)로는 LCD 또는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무선 송수신부(7)로는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적외선 송신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홈 통제장치(3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홈 통제장치(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31), 상기 홈(H)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홈 제어장치(33),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부(35), 실내외에 설치된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실내외 조명부(37) 및 상기 도어부(35)나 실내외 조명부(37)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 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제1 경보 송신부(39)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홈 통제장치(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에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제1 무선 수신부(31)에서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에서 송신되는 신호, 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제1 무선 수신부(31)에서 직접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도어부(35) 및 상기 실내외 조명부(37)에는 외부 침입에 의한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을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경보 송신부(39)는 홈(H)내에 설치된 랜(LAN)이나 모뎀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외부의 무선 통신망(90)과 접속되며, 상기 도어부(35) 및 상기 실내외 조명부(37)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즉, 홈(H)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차량 제어장치(50)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 제어장치(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51), 상기 차량(C)에 설치된 엔진 제어장치, 속도 표시장치 및 연료량 표시장치 등의 각종 기계나 전자기 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53),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시동부(54),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55),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56),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된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차량 조명부(57) 및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C)의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는 제2 경보 송신부(59) 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제어장치(5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원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에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51)에서 수신하고,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근거리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에서 송신되는 신호, 예컨대 적외선 신호를 제2 무선 수신부(51)에서 직접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에는 차량 도어의 이상 열림, 차량 엔진의 이상 시동 및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경보 송신부(59)는 외부의 유무선 통신망(90)과 무선으로 접속되며,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에서 발생되는 차량 도어의 이상 열림, 차량 엔진의 이상 시동 및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제어키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상기 유무선 통신망(90)을 접속되는 통신수 단 및 각종 데이터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메모리 수단은 소정의 자릿수를 가지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번호, 홈 통제장치(30)이나 차량 제어장치(50) 등을 구분하기 위한 식별코드 및 가입자 이름 등을 포함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의 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홈(H)이나 차량(C)을 원격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조작하여 원격 제어모드를 선택한 후, 제어하고자 하는 홈(H)이나 차량(C)을 선택한다.
먼저, 도 5의 (b)를 참조하여 홈(H)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키패드부(1)에 설치된 방향키나 기능키에 의해 홈(H)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는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라는 안내문이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키패드부(1)를 통해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면, 메모리부(2)에 저장된 홈의 제어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 5의 (b)에 도시된 화면이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4)에 에러 메시지나 제어키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다음에,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도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원거리에 있으면,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도어부(35)를 통해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도어부(35)를 통해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실내 조명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원거리에 있으면, 실내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실내조명부(37)를 통해 실내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홈(H)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실내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홈 통제장치(30)의 제1 무선 수신부(31)로 송신되고, 홈 제어장치(33)에서 처리된 후 실내조명부(37)를 통해 실내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한편, 제1 경보 송신부(39)는 상기 도어부(35) 및 상기 실내조명부(37)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도어의 이상 개폐나 실내 조명의 이상 점등/소등을 검출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한다. 즉, 홈(H)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또한, 도 5의 (c)를 참조하여 차량(C)을 제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차량(C)을 선택하게 되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는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라는 안내문이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키패드부(1)를 통해 소정 자릿수의 제어키(key)를 입력하면, 메모리부(2)에 저장된 홈의 제어키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도 5의 (c)에 도시된 화면이 상기 표시부(4)상에 표시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표시부(4)에 에러 메시지나 제어키를 다시 입력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된다.
이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시동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엔진의 시동 개시나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시동부(54)를 통해 차량 엔진의 시동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엔진의 시동 개시나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시동부(54)를 통해 차량 엔진의 시동을 개시하거나 정지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도어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도어 제어부(55)를 통해 차량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도어의 개폐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도어 제어부(55)를 통해 차량 도어를 열거나 닫게 된다.
이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차량 조명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차량 조명부(57)를 통해 차량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차량 조명부(57)를 통해 차량 조명을 점등하거나 소등하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표시부(4)에 표시되는 내차 찾기를 선택하는 경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원거리에 있으면, 차량 스피커의 경고음 발생 및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신호 송/수신부(6) 및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 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56)를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와 차량(C)이 근거리에 있으면, 적외선 방식으로 차량 스피커의 경고음 발생 및 정지 명령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무선 송신부(7)를 통해 차량 제어장치(50)의 제2 무선 수신부(51)로 송신되고, 전자 제어장치(53)에서 처리된 후 스피커(56) 통해 경고음을 발생시키거나 정지시키게 된다.
한편, 제2 경고 송신부(59)는 상기 시동부(54), 상기 도어 제어부(55) 및 상기 차량 조명부(57)에 설치된 센서를 통해 차량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송신하여, 상기 차량(H)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된다.
다른 한편, 주차중인 차량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도 각종 센서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전자 제어장치(54)로 입력되어, 상기 스피커(56)에서는 각종 경고음이 발생되는 동시에, 상기 제2 경보 송신부(59)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차량의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표시부(4)에 문자나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key)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이용하여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변경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사용자가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홈 통제장치(30) 또는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 표시되는 메뉴상에서 제어키 변경이 선택되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S10).
이 판정 결과, 제어키 변경이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서 제어키 변경 메뉴를 종료한다.
그러나, 이 판정 결과, 제어키 변경이 선택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상에서 키패드부(1)를 통해 소정 포맷, 예컨대 숫자 또는 문자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4~12 자리수의 종래 제어키와 신규 제어키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신규 제어키를 적용시키고(S30), 이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의 메모리부(1)에 저장한다.
이와 동시에, 신규 제어키는 신호 송수신부(6)와 유무선 통신망(90)을 통해 제어키 관리서버(70)로 송신되고,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에 탑재된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상기 홈 통제장치(30) 및 차량 제어장치(50)를 제어하는 제어키로서 저장된다.
이와 같이, 제어키 관리서버(70)에서 신규 제어키가 저장되면, 상기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신규 제어키를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70)에 저장된 제어키를 전송하게 된다. 이때, 제어키는 메시지 형태로 전송되거나 혹은 파일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홈이나 차량에 각종 이상 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원격지에서도 정확히 검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격지에서도 홈이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홈이나 차량을 근거리에서는 직접 제어하고, 원거리에서는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기 때문에, 이동통신 단말기와 홈 및 차량의 위치 관계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홈이나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지에서도 홈이나 차량의 이상 상황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확인하고, 이와 상황에 대응하여 홈이나 차량을 원격 제어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의하면, 홈이나 차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키를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분실하더라도 제어키 관리서버나 다른 등록된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어키가 보관되어 있으므로, 제어키의 분실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9)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행하면서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고, 또 홈이나 차량을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 포맷의 제어키를 저장 혹은 변경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면서, 홈에서 발생되는 각종 이상 상황을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홈 통제장치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여,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 차량 도어나 트렁크의 개폐, 차량 조명의 점등/소등을 행하고,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면서, 각종 이상 상태를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차량 제어장치와;
    상기 홈 통제장치 및 차량 제어장치의 제어시 사용되는 제어키(key),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번호, 이름 등과 같은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제어키의 등록 및 변경 등을 관리하는 제어키 관리 프로그램 등을 탑재하는 제어키 관리서버 및;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 홈 통제장치, 상기 차량 제어장치 및 상기 제어키 관리서버를 유선 및 무선으로 연결하는 유무선 통신망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숫자키, 방향키 및 기능키로 구성되는 키패드부, 상기 제어키 및 각종 데이터나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부, 소정의 절차에 따라 각종 연산이나 주변기기 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 텍스트나 화상 등의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표시부, 음성을 입력하고 출력하는 음성 입출력부, 무선으로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신호 송수신부 및 일정한 유효거리를 갖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무선 송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를 수신하는 제1 무선 수신부, 상기 홈의 실내외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홈 서버와 같은 홈 제어장치, 상기 홈의 실내에 설치되는 에어컨이나 기름 또는 가스 보일러 등과 같은 냉난방장치를 기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냉난방 제어부, 현관에 설치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상기 홈의 실내에 설치되는 텔레비전,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의 가동 또는 정지를 제어하는 가전제품 제어부, 실내외에 설치된 실내외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실내외 조명 제어부 및 상기 도어부나 실내외 조명부에서 발생되는 도어의 이상 열림이나 실내외 조명의 이상 점등 등과 같은 각종 이상 상황을 센서 등으로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1 경보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1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홈 통제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1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수신하는 제2 무선 수신부, 상기 차량에 설치된 엔진 제어장치, 속도 표시장치 및 연료량 표시장치 등의 각종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전자 제어장치, 차량 엔진의 시동 및 정지를 제어하는 시동부, 차량 도어 및 트렁크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제어부, 각종 경고음을 외부로 출력하는 스피커, 차량의 실내외에 설치된 조명의 점등/소등을 제어하는 차량 조명부 및 상기 시동부, 상기 도어 제어부 및 상기 차량 조명부 등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각종 이상 상태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2 경보 송신부 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신호 송수신부에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2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제어장치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의 무선 송신부에서 송신되는 신호 및 제어키를 제2 무선 수신부에서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송신부는 적외선 신호 및 제어키를 송신하고, 상기 제1 무선 수신부 또는 상기 제2 무선 수신부는 일반 신호뿐만 아니라 적외선 신호도 수신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1020050026332A 2005-03-30 2005-03-3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KR100715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32A KR100715719B1 (ko) 2005-03-30 2005-03-3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332A KR100715719B1 (ko) 2005-03-30 2005-03-3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299A true KR20060104299A (ko) 2006-10-09
KR100715719B1 KR100715719B1 (ko) 2007-05-08

Family

ID=37634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332A KR100715719B1 (ko) 2005-03-30 2005-03-30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71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618B1 (ko) * 2010-12-21 2013-10-23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키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1467799B1 (ko) * 2009-02-17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외부 장치 제어 방법
CN105427423A (zh) * 2015-11-17 2016-03-23 宗科惠 自动开启车门方法及系统
CN109733287A (zh) * 2017-10-30 2019-05-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CN111602374A (zh) * 2018-01-17 2020-08-28 戴姆勒股份公司 对照明系统的控制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558A (ko) * 2000-02-16 2001-09-01 정명식 이동 전화를 이용한 자동차 원격 조정 장치 및 그 방법
KR20030043083A (ko) * 2001-11-26 2003-06-02 윤재웅 이동통신단말기, 차량제어장치 및 이동통신단말기를이용한 차량원격제어시스템
KR100456405B1 (ko) * 2002-04-25 2004-11-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통신망을 이용한 홈전자기기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7799B1 (ko) * 2009-02-17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기 및 그의 외부 장치 제어 방법
KR101320618B1 (ko) * 2010-12-21 2013-10-23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키 관리 방법 및 장치
CN105427423A (zh) * 2015-11-17 2016-03-23 宗科惠 自动开启车门方法及系统
CN109733287A (zh) * 2017-10-30 2019-05-10 丰田自动车株式会社 车辆
US10953783B2 (en) 2017-10-30 2021-03-23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US11718218B2 (en) 2017-10-30 2023-08-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CN111602374A (zh) * 2018-01-17 2020-08-28 戴姆勒股份公司 对照明系统的控制
US11265999B2 (en) 2018-01-17 2022-03-01 Daimler Ag Control of lighting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719B1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54815B (zh) 在家庭网络系统中控制设备的方法和装置
US6970539B2 (en) Remote operation system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remote operating method for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and base station for performing remote operation of air conditioning apparatuses
US7778604B2 (en) Garage door opener communications gateway module for enabling communications among vehicles, house devices, and telecommunications networks
US11984017B2 (en) In-field sensor programming
US201101021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wirelessly pairing and enabling the reciprocal locating of keys and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P2113886A2 (en) Remote monitoring, interrogation and control apparatus for stationary and mobile systems
US2004003657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ccess to a secure region
US10484196B1 (en) System component installation
KR10071571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원격 제어시스템
NO314376B1 (no) System for adgangskontroll
US8000727B1 (en) Optical image processing for accessing building control from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KR20040082822A (ko) 원격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증방법 및 원격제어장치
KR200412280Y1 (ko) 도어폰을 이용한 도어락의 음성메시지 시스템
KR100547870B1 (ko) 무선 원격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AU200224806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KR100756358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홈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60127575A (ko) 홈네트워크 제어 장치
JP7442437B2 (ja) 遠隔制御装置、遠隔制御方法、プログラム
US7227461B2 (en) Security confirm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0872073B1 (ko) 전자 제품의 영상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 제품을 원격에서제어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AU20022480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ommunication packet
KR20060088749A (ko) 방문자 화상 인식이 가능한 홈넷 도어폰 시스템
KR19990081246A (ko) 음성 인식 기능을 내장한 가정 자동화 장치제어 방법
KR200303427Y1 (ko) 블루투스 전화기
KR20090050512A (ko) 통화단말을 통한 원격제어 방법 및 통화단말과 이를 위한기록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