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773A - 골재용 세척기 - Google Patents

골재용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773A
KR20060103773A KR20050025681A KR20050025681A KR20060103773A KR 20060103773 A KR20060103773 A KR 20060103773A KR 20050025681 A KR20050025681 A KR 20050025681A KR 20050025681 A KR20050025681 A KR 20050025681A KR 20060103773 A KR20060103773 A KR 20060103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gregate
transfer
air injection
washing tank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500256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진기계
장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진기계, 장경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진기계
Priority to KR200500256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3773A/ko
Publication of KR20060103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5/00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 B03B5/28Washing granular, powdered or lumpy materials; Wet separating by sink-float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0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 B04B1/20Centrifuges with rotary bowls provided with solid jackets for separating predominantly liquid mixtures with or without solid particles discharging solid particles from the bowl by a conveying screw coaxial with the bowl axis and rotating relatively to the bow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1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 B30B9/1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ing worms or screws co-operating with a permeable casing operating with only one screw or wor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세척된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서 골재의 생산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골재용 세척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는 골재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골재가 세척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세척조와, 이 세척조상에 일측이 삽입 침지되게 설치되어 세척된 골재를 이송 배출시키도록 한 쌍의 이송스크류가 세척조에 연장 형성되는 탈수조에 설치되는 이송장치와, 구동모터로부터 인가된 동력을 감속장치에 의해 감속시켜 동력전달수단를 매개로 이송장치측에 전달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가 구비된 골재용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감속장치의 회전축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이송장치의 일측 이송스크류의 축과 접속되는 제1공기주입식회전체와; 상기 제1공기주입식회전체와 연접 배치되어 공기주입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송장치의 타측 이송스크류의 축과 접속되는 제2공기주입식회전체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골재용 세척기{A WASHING MACHINE OF GRAVEL AND SAND}
도 1은 종래 골재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의 전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의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의 용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세척조, 120:골재투입구,
130:탈수조, 150:이송장치,
152,154:이송스크류, 160:스크류구동장치,
162:구동모터, 164:감속장치,
166:동력전달장치, 166a:제1공기주입식회전체,
166b:제2공기주입식회전체, 170:이물질제거조,
180:분사식세정부재, 190:용수공급장치.
본 발명은 골재용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골재의 세척량에 따라 골재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여 에너지의 낭비를 감소시킬 수 있는 골재용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공사 및 토목공사 등의 건설현장에서 콘크리트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자갈, 모래와 같은 골재가 필요하게 되는데, 그 수요에 비해 채굴되는 공급량이 부족하고, 또한 과거에 건설되었던 구조물이 노후화 및 기능의 저하와 재개발 및 재건축 등으로 구조물의 해체되면서 그 폐기물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부족한 골재를 해체된 폐기물을 재활용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나 건설폐기물에는 모래나 자갈 외에 각종 유기물질 등의 폐기물이 포함되어 있어서 그 세척 및 선별이 필요하므로 이를 세척하기 위한 골재용 세척기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첨부도면 도 1은 종래 골재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평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골재용 세척기는 용수가 수용되어 투입된 폐골재가 세척되는 세척조(10)와, 이 세척조에 연설되는 탈수조(20)와, 상기 세척조(10)상에 일측이 삽입 침지되게 설치되어 세척된 골재를 이송 배출시키도록 한 쌍의 이송스크류(32,34)가 설치된 이송장치(30)와, 이 이송장치(30)를 구동시키도록 이송스크류(32,34)의 타 측에 접속되는 스크류구동장치(40)로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구동장치(40)는 운전자의 조작신호에 따라 구동력이 생성되는 구동모터(42)와, 이 구동모터(42)에 접속되어 전달되는 동력이 일정한 회전비로 감속되는 감속장치(44)와, 상기 감속장치(44)의 동력전달축에 접속 회동되면서 일측 이송스크류(32)를 회전시키는 제1구동기어(46a)와 이 제1구동기어(46a)와 치합되어 타측 이송스크류(34)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기어(46b)가 구비된 동력전달수단(46)이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골재용 세척기는 구동모터(42)가 작동되면 제1구동기어(46a) 및 제2구동기어(46b)가 동시에 구동되면서 항상 양쪽 이송스크류(32,34)가 동시에 회전되므로 세척조에 투입된 골재량이 소량이거나 소량의 골재를 이송시키고자 할 때에도 항상 양쪽 이송스크류(32,34)가 동시에 회동되므로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가 초래되고, 또한 골재의 생산량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 골재용 세척기는 골재가 세척되면서 세척조(10)상에 부유되는 이물질로 인해 골재의 세척품질이 저하되고 또한 일일이 부유물을 제거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증가될 뿐만 아니라 세척조에 수용되는 용수의 공급부(미도시)가 세척조의 상부에 위치되어 폐골재의 투입시에 간섭이 발생되는 등 작업성이 저하되는 한편 용수가 세척조(10)의 상층부에서 공급되므로 폐골재의 세척이 수행되는 내부 까지 쉽게 유입되지 않으므로 세척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척된 골재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므로서 골재의 생산비를 절감시킬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생산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골재용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조에 용수의 공급과 부유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수행되어 골재의 세척품질이 향상되도록 한 골재용 세척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골재용 세척기는 골재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골재가 세척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세척조와, 이 세척조상에 일측이 삽입 침지되게 설치되어 세척된 골재를 이송 배출시키도록 한 쌍의 이송스크류가 세척조에 연장 형성되는 탈수조에 설치되는 이송장치와, 구동모터로부터 인가된 동력을 감속장치에 의해 감속시켜 동력전달수단를 매개로 이송장치측에 전달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가 구비된 골재용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감속장치의 회전축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이송장치의 일측 이송스크류의 축과 접속되는 제1공기주입식회전체와; 상기 제1공기주입식회전체와 연접 배치되어 공기주입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송장치의 타측 이송스크류의 축과 접속되는 제2공기주입식회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 및 제2공기주입식회전체는 휠이 결합된 타이어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조의 후단부에는 세척조상에 부유되는 이물질이 월류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갖는 이물질제거조가 구성되고, 상기 탈수조의 상측에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골재가 재세척되도록 용수가 공급 분사되는 분사식세정부재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세척조는 골재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골재투입구측의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세척조의 저부에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용수를 분사 공급시키는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용수공급장치가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의 전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의 동력전달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의 용수공급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부재가 내부에 수용부가 형성되게 조립되어 지지프레임(112)에 의해 설치되고 골재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골재가 세척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세척조(110)와, 상기 세척조(110)상에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고 그 상측 저부에 배출구(132)가 형성된 탈수조(130)와, 상기 세척조(110)상에 일측이 삽입 침지되게 설치되어 세척된 골재를 이송 배출시키도록 한 쌍의 이송스크류(152)(154)가 세척조에 연장 형성되는 탈수조 (130)에 설치되는 이송장치(150)와, 상기 이송장치(150)가 회전되면서 골재를 이송시키도록 구동력을 인가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160)가 구성된다.
상기 스크류구동장치(160)는 구동력이 생성되는 구동모터(162)와, 이 구동모터(162)로부터 인가된 동력이 정해진 감속비로 감소되는 감속장치(164)와, 감속장치(164)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을 이송스크류(152)(154)측에 전달시키는 동력전달수단(16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수단(166)은, 감속장치(164)의 회전축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이송장치(150)의 일측 이송스크류(152)의 축과 접속되는 제1공기주입식회전체(166a)와, 상기 제1공기주입식회전체(166a)와 연접 배치되어 공기주입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송장치(150)의 타측 이송스크류(154)의 축과 접속되는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a,166b)는 휠이 결합된 타이어로 구성된다.
상기 세척조(110)의 후단부에는 이 세척조상에서 부유되는 이물질이 월류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172)를 갖는 통 형상의 이물질제거조(170)가 설치된다.
상기 탈수조(130)의 상측에는 이송장치(150)에 의해 이송된 골재가 재세척되도록 용수가 공급 분사되는 분사식세정부재(180)가 구성된 것으로, 예컨대 대략 파이프 형상을 갖는 부재상에 분사노즐이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물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용수가 이 분사노즐을 통해 이송장치(150)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골재측으로 분사된다.
상기 세척조(1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투입구(120)를 통해 투입되는 골재가 세척조의 내부로 안정되게 투입되도록 이 골재투입구(120)측의 양측에 해당되는 세척조의 프레임상에 확대부(114)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세척조(110)의 저부에는 내부에 용수를 분사 공급시키는 다수의 분사구(192)가 형성된 용수공급장치(190)가 구성되는 바, 예컨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유통공이 천공된 파이프가 세척조(110)의 저부에 관통 설치되어 물펌프로부터 압송되는 용수를 분사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에서 탈수조(130)의 배출구(132)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되는 골재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장치(200)가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스크류(152,154)의 하단에 결합되는 베어링은 방수형 베어링(13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구성에서 골재용 세척기의 일반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며, 상기 탈수조(130)는 각 이송스크류(152,154)의 설치부가 구획되도록 격리벽(135)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b의 미설명부호 117은 작업자가 이동되는 이동로이고 118은 안전레일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골재용 세척기를 이용하여 폐골재 등이 세척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재투입구(120)측으로 폐골재가 공급되면 먼저 세척조(110)의 내부로 투입되는데 이때 프레임상에 돌출 형성된 확대부(114)에 의해 골재가 외부로 이탈됨이 없이 안정되게 세척조의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골재는 자중에 의해 침지되면서 이송스크류(152)(154)의 회전동작과 이에 따른 와류작용 및 용수공급장치(190)로부터 분사되는 용수의 분사압에 의해 골재상에 부착된 이물질이 이탈되어 부유되게 된다.
이와 같이 부유되는 이물질은 이물질제거조(170)로 월류되어 배출구(172)를 통해 배출되게 되고, 침지된 골재는 이송스크류(152)(154)의 회전작용에 의해 탈수조(130)측으로 이송되는데 이와 같이 이송되는 골재가 분사식세정부재(180)측에 이르게 되면 분사되는 용수에 의해 다시 한번 더 세척작용이 수행된 후 배출구(132)를 통해 배출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탈수조(130)의 배출구(132)를 통해 자유낙하되는 골재는 대응되게 설치된 컨베이어장치(200)상에 올려져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어 배출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골재의 세척작용이 수행되도록 작동되는 이송스크류(152)(154)의 구동메커니즘을 살펴보면 구동력이 생성되는 구동모터(162)가 구동되면 벨트를 매개로 감속장치(164)에 동력이 전달되어 일정한 감속비로 감속되고 이 감속장치(164)의 회전축에 일측이 접속된 일측 이송스크류(152)가 회동되는 한편 상기 감속장치(164)의 회전축에 의해 회동되는 제1공기주입식회전체(166a)와 밀착된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b)가 회동되므로 이 제2공기주입식회전체와 연동되는축상에 결합된 타측 이송스크류(154) 또한 회전되면서 골재의 이송작업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a,166b)에 의한 동력전달 기능에 의해 양쪽 이송스크류(152)(154)가 모두 작동되면서 골재의 이송작업을 수행하다가 세척조(110)에 투입된 폐골재가 소량이거나 골재의 세척량을 임의로 조정할 필요한 경우에는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b)의 공기유입구를 조작하여 공기를 배출시키면서 공기압을 조정하게 되면 타이어의 외경이 감소되면서 제1공기주입식회전체(166a)에 밀착되어 있던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b)가 이격되고 이에 따라 제1공기주입식회전체(166a)로부터 전달되던 동력은 차단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공기주입식회전체(166b)의 회동동작에 연동되어 회전되던 타측 이송스크류(154)의 회전동작은 정지되고 골재의 이송작업 또한 정지되므로 이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세척을 위해 세척조(110)에 투입된 골재의 양이 소량이거나 골재의 세척량을 임의로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상술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골재용 세척기에 의하면, 세척을 위해 세척조에 투입된 골재의 양이 소량이거나 생산량을 조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간편한 조작에 의해 이송스크류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에너지 비용이 절감되어 골재의 생산비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부유되는 이물질이 자동적으로 배출되면서 이물질의 제거효율이 향상되고, 세척조의 저부에서 용수가 공급되므로 이물질의 분리효율이 향상되어 고품질의 골재가 생산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골재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골재가 세척되도록 용수가 수용되는 세척조와, 이 세척조상에 일측이 삽입 침지되게 설치되어 세척된 골재를 이송 배출시키도록 한 쌍의 이송스크류가 세척조에 연장 형성되는 탈수조에 설치되는 이송장치와, 구동모터로부터 인가된 동력을 감속장치에 의해 감속시켜 동력전달수단를 매개로 이송장치측에 전달시키는 스크류구동장치가 구비된 골재용 세척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은, 감속장치의 회전축에 일측이 접속되고 타측이 이송장치의 일측 이송스크류의 축과 접속되는 제1공기주입식회전체와;
    상기 제1공기주입식회전체와 연접 배치되어 공기주입량에 따라 선택적으로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이송장치의 타측 이송스크류의 축과 접속되는 제2공기주입식회전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용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공기주입식회전체는 휠이 결합된 타이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용 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후단부에는 세척조상에 부유되는 이물질이 월류되어 배출되도록 배출구를 갖는 이물질제거조가 구성되고,
    상기 탈수조의 상측에는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골재가 재세척되도록 용수가 공급 분사되는 분사식세정부재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용 세척.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는 골재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골재투입구측의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용 세척기.
  5.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의 저부에는 그 내부에 수용되는 용수를 분사 공급시키는 다수의 분사구가 형성된 용수공급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재용 세척기.
KR20050025681A 2005-03-28 2005-03-28 골재용 세척기 KR20060103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5681A KR20060103773A (ko) 2005-03-28 2005-03-28 골재용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5681A KR20060103773A (ko) 2005-03-28 2005-03-28 골재용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773A true KR20060103773A (ko) 2006-10-04

Family

ID=37623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50025681A KR20060103773A (ko) 2005-03-28 2005-03-28 골재용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377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1B1 (ko) * 2007-10-23 2008-07-31 김덕희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0859155B1 (ko) * 2007-12-13 2008-09-19 (유)천하환경 건설 폐기물용 골재 분리장치
KR101052657B1 (ko) * 2009-09-11 2011-07-28 도외숙 유체를 이용한 세척기
KR101969720B1 (ko) * 2018-10-12 2019-08-13 박용탁 모래 세척 드럼
KR102138869B1 (ko) * 2019-12-31 2020-07-28 최재호 골재 자동 선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21B1 (ko) * 2007-10-23 2008-07-31 김덕희 준설토 선별 분리기
KR100859155B1 (ko) * 2007-12-13 2008-09-19 (유)천하환경 건설 폐기물용 골재 분리장치
KR101052657B1 (ko) * 2009-09-11 2011-07-28 도외숙 유체를 이용한 세척기
KR101969720B1 (ko) * 2018-10-12 2019-08-13 박용탁 모래 세척 드럼
KR102138869B1 (ko) * 2019-12-31 2020-07-28 최재호 골재 자동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39957B2 (ja) 車輌泥落洗浄装置
KR20060103773A (ko) 골재용 세척기
KR100674009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중 파분쇄된 건설폐기물로부터순환골재를 생산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475726Y1 (ko) 차량용 세륜 장치
KR200416997Y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JP2000355954A (ja) 自走式土質改良機
KR200409534Y1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0876584B1 (ko) 순환골재 표면박리시스템
KR100650737B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KR20070052104A (ko) 고효율 순환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117499A (ko) 이동형 정화 세척침전 장치
JP2004257023A (ja) 土壌混合改良機
KR20030078574A (ko) 재활용 모래 선별기
CN211223371U (zh) 一种混凝土生产用车清洗装置
CN206008972U (zh) 一种全自动尾矿绒毯回收装置
KR102224871B1 (ko) 레이저 드릴 작업에 사용되는 집진용 필터 세정 장비
CN109607109B (zh) 物料输送系统
KR100924585B1 (ko) 침전조 토사 처리 장치
KR100836673B1 (ko) 회전식 골재 세척 및 이물질 제거장치
JP2006068635A (ja) 洗浄装置
JP2005131488A (ja) 油汚染土処理方法及びシステム
KR200411179Y1 (ko) 토양세척용 습식 선별장치
KR200337189Y1 (ko) 건설폐기물 재활용 골재 생산을 위한 쓰레기의 분류 및세척장치
CN210310284U (zh) 一种龙门式洗车房
KR20020083900A (ko) 건축폐기물 분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