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3394A -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3394A
KR20060103394A KR1020050025272A KR20050025272A KR20060103394A KR 20060103394 A KR20060103394 A KR 20060103394A KR 1020050025272 A KR1020050025272 A KR 1020050025272A KR 20050025272 A KR20050025272 A KR 20050025272A KR 20060103394 A KR20060103394 A KR 2006010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hoe
vehicle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5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0067B1 (ko
Inventor
노재원
Original Assignee
노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원 filed Critical 노재원
Priority to KR1020050025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006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0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00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4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with provisions for shoe scra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13/043Door edge 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02Running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60Subscription-based services using application servers or record carriers, e.g. SIM application toolk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4External Ornamental or guard strips; Ornamental inscriptive devices thereon
    • B60R2013/046Foot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왕복운동 되는 링크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에 일정한 각도에서만 회동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는 신발털이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는 각종 진흙, 오물 및 이물질이 분포된 지역에서 차량 승차시 사용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차에 외장형으로 마련된 신발털이부에 올려놓고 닦음으로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자동차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동차, 신발털이

Description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external shoes cleaner for automobi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를 자동차에 장착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컨트롤부의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이드브래킷 11 : 부착부
13 : 가이드부 20 : 동력전달부
21 : 모터 23 : 구동축
25 : 구동폴리 27 : 구동벨트
29 : 연동폴리 30 : 링크브래킷
31 : 볼조인트 40 : 지지프레임
41 : 연결공 43 : 가이드홈
50 : 신발털이부 51 : 연결핀
53 : 가이드돌기 60 : 컨트롤부
61 : 송신기 63 : 수신기
65 : 메모리부 67 : 제어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및 승객이 신발에 묻은 각종 진흙, 오물 및 이물질을 자동차에 승차하기 전에 간단하게 제거하여 자동차의 실내를 깨끗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많은 편의장치들이 추가되어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자동차의 실내에 공기청정기를 장착하여 자동차의 실내 환경을 깨끗이 하고자 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이러한 장치는 이미 오염된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고 먼지를 제거하는데 사용되는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를 더럽히고 오염시키는 근본적인 원인은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하기 전에 사용자의 신발에 묻어있는 각종 진흙, 오물 및 이물질이 자동차의 실내로 옮겨지는 것으로서, 상기의 공기청정기와 같은 편의장치로는 자동차의 실내를 더럽히는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자동차에 승차하기 전에 자동차의 외부에서 신발에 묻어 있는 각종 이물질을 닦을 수 있도록 자동차에 외장형으로 장착되는 신발털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는 자동차의 하부프레임에 고정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과; 상기 가이드브래킷에 설치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에 양단이 고정되어 왕복운동 되는 링크브래킷과;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에 일정한 각도에서만 회동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에 양단이 연결되는 신발털이부와; 상기 동력전달부의 구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를 자동차에 장착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 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의 컨트롤부의 구성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외장형 발닦개는 자동차의 하단 프레임에 고정되고, 서로 평행하게 자동차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10)과; 상기 가이드브래킷(10)에 설치되어 모터(21)의 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전달부(20)와; 상기 동력전달부(20)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래킷(10)에 가이드되어 왕복운동 되는 링크브래킷(30)과;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30)에 볼조인트(31)로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타단에는 연결공(41)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40)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40)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공(41)에 대응되는 연결핀(51)이 돌출되어 정해진 각도에서만 회동되는 신발털이부(50)와; 상기 동력전달부(20)의 구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은 한 쌍으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그 형상은 알파벳 "J"자 형상으로 상단에는 자동차의 하단 프레임에 부착할 수 있도록 부착부(1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링크브래킷(30)의 왕복운동시 가이드역활을 하는 가이드부(13)가 형성된다.
상기 동력전달부(20)는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10) 중 선택된 하나에 설치되어 본체는 가이드브래킷(10)의 외측으로 설치되고, 출력축이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의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출력축에 맞물려서 구동되고, 구동축(23)에 의해 축연결되어 일체로 구동되며, 각가 상기 가이드브래킷(10)에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폴리(25)와; 상기 한 쌍의 구동폴리(25)에 설치되어 구동폴리(25)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벨트(27)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10)에 각각 회전할 수 있도록 축에 의해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구동벨트(27)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폴리(25)와 각각 연동되는 한 쌍의 연동폴리(29)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브래킷(30)은 상기 동력전달부(20)의 구동벨트(27)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구동벨트(27)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의 내측과 외측 사이에서 왕복운동 된다. 이때 상기 링크브래킷(30)의 하단은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의 가이드부(13)에 지지되고, 왕복운동시에는 상기 가이드부(13)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운동된다.
상기 지지프레임(40)은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30)에 볼조인트(31)로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그 연결위치는 상기 구동벨트(27)의 상측에 부착되어 상기 링크브래킷(30)과 일체로 왕복운동 된다. 그리고, 타단에는 연결공(41)이 형성되는데 상기 연결공(41)의 내주연으로는 정해진 각도를 이루도록 부채꼴 형상의 가이드홈(43)이 형성된다.
상기 신발털이부(50)는 상면으로 사용자가 각종 진흙, 오물 및 이물질 등을 닦을 수 있도록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40)에 내측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공(41)에 대응되는 연결핀(51)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연결핀(51)에는 그 외주연으로 상기 지지프레임(40)의 가이드홈(43)에 단속되어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53)가 형성된다.
상기 컨트롤부(60)는 크게 송신기(61), 수신기(63), 메모리부(65) 및 제어부 (67)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기(61)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비되어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내장된다. 이때 송신기(61)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키홀더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고, 사용자의 누름동작에 의해 상기 신발털이부(50)의 인출 및 인입 동작을 선택된다. 상기 인출 및 인입동작의 선택은 각각 마련되는 인입버튼 및 인출버튼으로 구별된다.
상기 수신기(63)는 상기 동력전달부(20)의 인접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송신기(61)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가 수신된다.
상기 메모리부(65)는 상기 수신기(63)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받고, 그 무선신호에 따른 모터(21)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이 세팅되어 있다. 이때 세팅되는 회전수 및 회전방향은 상기 신발털이부(50)가 인출될 때와 인입될 때로 구별됨으로서 상기 링크브래킷(30)이 왕복운동 될 때 그 운동폭을 제한한다.
상기 제어부(67)는 상기 메모리부(65)에 세팅된 구동값에 따라 상기 모터(21)의 구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평상시 링크브래킷(30), 지지프레임(40) 및 신발털이부(50)는 모두 가이드브래킷(10)의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보관되는데, 이때 상기 링크브래킷(30), 지지프레임(40) 및 신발털이부(50)는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의 가이드부(13) 및 동력전달 부(20)의 구동벨트(27)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으로 놓여진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송신기(61)의 인출버튼을 누르면, 송신기(61)에서 무선신호가 발생되고, 이 무선신호는 수신기(63)에서 수신되어 메모리부(65)로 전달된다. 그러면, 메모리부(65)에 세팅된 구동값에 의해 제어부(67)는 동력전달부(20)의 모터(21)를 정회전 시킨다.
이렇게 모터(21)가 구동하게 되면, 모터(21)의 출력축이 한 쌍의 구동폴리(25)를 구동시키고, 구동폴리(25)의 구동에 의해 구동벨트(27)가 구동된다. 그러면 구동벨트(27)에 연결된 링크브래킷(30)이 가이드브래킷(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되고, 이 이동과 일체로 지지프레임(40) 및 신발털이부(50)가 가이드브래킷(10)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링크브래킷(30)과 신발털이부(50)는 가이드브래킷(10)의 가이드부(13)에 의해 하면이 지지된 상태로 가이드되고, 지지프레임(40)은 상기 구동벨트(27)에 의해 하면이 지지된 상태로 이동된다.
계속적인 이동이 진행되면, 신발털이부(50)와 지지프레임(40)이 수평으로 이동되다가 링크브래킷(30)이 연동폴리(29)까지 이동되면 지지프레임(40)이 구동벨트(27)에서 탈락하게 되고, 지지프레임(40)과 링크브래킷(30)을 연결하고 있는 볼조인트(31)에 의해 지지프레임(40)이 하방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신발털이부(50)도 지지프레임(40)과 함께 하방으로 회동되고, 신발털이부(50)가 지면과 닿게되면 지지프레임(40)에서 회동되어 지면에 수평으로 깔리게 된다.
신발털이부(50)가 지지프레임(40)과 일체로 하방으로 회동될 때 신발털이부(50)와 지지프레임(40)의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홈(43) 및 가이드돌기(53)에 의해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신발털이부(50)가 지면에 닿으면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회동된다.
이렇게 신발털이부(50)가 지면과 수평이 되도록 위치되면 사용자는 신발털이부(50)에 신발을 털고 자동차에 승차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송신기(61)의 인입버튼을 누르면, 송신기(61)에서 무선신호가 발생되고, 이 무선신호는 수신기(63)에서 수신되어 메모리부(65)로 전달된다. 그러면, 메모리부(65)에 세팅된 구동값에 의해 제어부(67)는 동력전달부(20)의 모터(21)를 역회전시킨다.
이렇게 모터(21)가 역회전되면, 상기의 인출동작과 역방향으로 동력전달부(20)가 구동되고, 그 동작에 의해 링크브래킷(30)이 가이드브래킷(10)을 따라 외측에서 내측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링크브래킷(30)에 일체로 부착된 지지프레임(40)이 가이드브래킷(10)의 내부로 인입되게 되는데 이때도 마찬가지로 볼조인트(31)에 의해 회동되어 링크브래킷(30)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신발털이부(50)도 마찬가지로 지지프레임(40)의 인입에 의해 일체로 가이드브래킷(10)의 내부로 인입되는데 신발털이부(50)와 지지프레임(40)의 연결부에 형성된 가이드홈(43) 및 가이드돌기(53)에 제한된 각도에서 회동되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인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는 각종 진흙, 오물 및 이 물질이 분포된 지역에서 차량 승차시 사용자의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자동차에 외장형으로 마련된 신발털이부에 올려놓고 닦음으로서 신발에 묻은 이물질을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어 자동차의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자동차의 하단 프레임에 고정되고, 서로 평행하게 자동차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길게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브래킷(10)과;
    상기 가이드브래킷(10)에 설치되어 모터(21)의 회전 및 역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동력전달부(20)와;
    상기 동력전달부(20)에 양단이 고정되어 상기 동력전달부(20)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가이드브래킷(10)에 가이드되어 왕복운동 되는 링크브래킷(30)과;
    일단이 상기 링크브래킷(30)에 볼조인트(31)로 연결되어 상하로 회동되고, 타단에는 연결공(41)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프레임(40)과;
    상기 한 쌍의 지지프레임(40)에 양단이 연결되도록 상기 연결공(41)에 대응되는 연결핀(51)이 돌출되어 정해진 각도에서만 회동되는 신발털이부(50)와;
    상기 동력전달부(20)의 구동 및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컨트롤부(6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20)는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의 외측에 설치되어 출력축이 상기 가이드브래킷(10)의 내측으로 관통되도록 구비되는 모터(21)와; 상기 모터(21)의 출력축에 맞물려서 구동되고, 구동축(23)에 의해 축연결되어 일체로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폴리(25)와; 상기 한 쌍의 구동폴리(25)에 설치되어 구동폴리(25) 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한 쌍의 구동벨트(27)와; 상기 한 쌍의 구동벨트(27)에 의하여 상기 한 쌍의 구동폴리(25)와 각각 연동되는 한 쌍의 연동폴리(29)로 구성되어 상기 링크브래킷(30)의 양단이 상기 각각의 구동벨트(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40)에 형성되는 연결공(41)은 그 내주연으로 정해진 각도를 이루는 가이드홈(43)이 형성되고, 상기 신발털이부(50)의 연결핀(51)에는 그 외주연으로 상기 가이드홈(43)에 단속되어 회전되는 각도가 제한될 수 있도록 가이드돌기(5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60)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도록 구비되어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가 내장된 송신기(61)와;
    상기 동력전달부(20)의 인접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송신기에서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63)와;
    상기 수신기(63)로부터 입력되는 무선신호를 받아 그 무선신호에 따라 모터(21)의 회전수 및 회전방향이 세팅되어 있는 메모리부(65)와;
    상기 메모리부(65)에 세팅된 구동값에 따라 상기 모터(21)의 구동을 제어시키는 제어부(67)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KR1020050025272A 2005-03-26 2005-03-26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KR100670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72A KR100670067B1 (ko) 2005-03-26 2005-03-26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5272A KR100670067B1 (ko) 2005-03-26 2005-03-26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394A true KR20060103394A (ko) 2006-09-29
KR100670067B1 KR100670067B1 (ko) 2007-01-19

Family

ID=37623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5272A KR100670067B1 (ko) 2005-03-26 2005-03-26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006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31B1 (ko) * 2005-12-13 2006-11-27 최철훈 차량용 신발 털이 장치
CN108791087A (zh) * 2018-06-11 2018-11-13 蚌埠学院 一种汽车用上车梯
CN109318812A (zh) * 2018-10-31 2019-02-12 安徽沃杰斯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牢固的汽车电动踏板主动支架
CN113715738A (zh) * 2021-09-22 2021-11-30 东风越野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上车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893B1 (ko) 2019-06-17 2020-08-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신발털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9943A (ja) 1987-05-12 1988-11-17 Mutsuji Suzuki 自動車用靴ふき装置
KR0152596B1 (ko) * 1995-12-27 1998-10-15 김태구 자동차용 자동신발털이장치
US6301739B1 (en) 1999-08-24 2001-10-16 Fernando A. Cazaux Retractable shoe cleaning device for a vehicle
KR200351352Y1 (ko) 2004-03-05 2004-05-20 최정필 자동차용 신발 닦음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8431B1 (ko) * 2005-12-13 2006-11-27 최철훈 차량용 신발 털이 장치
CN108791087A (zh) * 2018-06-11 2018-11-13 蚌埠学院 一种汽车用上车梯
CN109318812A (zh) * 2018-10-31 2019-02-12 安徽沃杰斯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支撑牢固的汽车电动踏板主动支架
CN113715738A (zh) * 2021-09-22 2021-11-30 东风越野车有限公司 一种多功能电动上车踏板系统及其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0067B1 (ko) 2007-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0067B1 (ko) 자동차의 외장형 신발털이
KR102110529B1 (ko) 청소기
US8763200B2 (en) Robot cleaner
CN1188077C (zh) 清扫器具
CN1086462C (zh) 空调机排出口开闭装置
KR100507926B1 (ko) 로봇청소기의 구동장치
KR100194378B1 (ko) 원격제어 자동이동 진공청소기
RU2309656C2 (ru) Щетка с влажной тканью, предназначенная для пылесоса, и пылесос, содержащий эту щетку
TWI603704B (zh) 自動式清掃機
CN111374584B (zh) 一种视觉擦窗机器人及其控制方法
JP7109459B2 (ja) 回転可能なブラシを持つ電気掃除機ノズル
KR101232016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100728881B1 (ko) 진동 브러시 및 진동 걸레가 부착된 진공청소기의 흡입체
KR20140067705A (ko) 로봇 청소기
CN213168004U (zh) 汽车用地毯总成及汽车用地毯系统
CN108542334A (zh) 一种汽车用感应式鞋子清理装置
CN209577484U (zh) 一种擦拭布防偏传送装置
WO2006038747A1 (en) Apparatus of cleaning the dust off indoor bottom of car
CN215904465U (zh) 汽车清洁机器人
KR200351352Y1 (ko) 자동차용 신발 닦음 장치
JP2008162529A (ja) ワイパ装置
CN111789564B (zh) 一种汽车用鞋底清洁装置
CN208602452U (zh) 一种新型车用雨刷装置
JPH11164718A (ja) 傘の水きり機
KR100568984B1 (ko) 차량의 시트 승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