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713A -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713A
KR20060102713A KR1020050024593A KR20050024593A KR20060102713A KR 20060102713 A KR20060102713 A KR 20060102713A KR 1020050024593 A KR1020050024593 A KR 1020050024593A KR 20050024593 A KR20050024593 A KR 20050024593A KR 20060102713 A KR20060102713 A KR 20060102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video signal
main
main screen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4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5368B1 (ko
Inventor
이규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엠테크
Priority to KR1020050024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368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6Ice-gripp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ice-spurs, ice-cleats, ice-creepers, crampons; Climbing devices or attachments, e.g. mountain climbing irons
    • A43C15/08Reversible ice-spik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CFASTENINGS OR ATTACHMENTS OF FOOTWEAR; LACES IN GENERAL
    • A43C15/00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 A43C15/02Non-skid devices or attachments attached to the sole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개시된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카메라나 외부영상 소스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수단과, 상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되, 주 화면과 주 화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져,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채용하면서 가격의 상승은 물론 제품의 크기에 대한 제약을 해결할 수 있다.
주 화면, 보조화면, 화면 제어기, 보조화면 착탈.

Description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Display system of double scree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나타낸 영상신호처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a 내지 도 4c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탈부착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메라 12 : 외부영상 소스
14 : 디코더 20 : 영상신호처리수단
21 : 프레임 버퍼 22 : 신호처리 IC
23 : 화면 제어기 30 : 주 화면
34 : 커넥터 36 : 삽입 구멍
38 : 커버 40 : 보조화면
44 : 커넥터 46 : 삽입 돌기
47 : 돌출부 49 : 커버
50 : 힌지
본 발명은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구비하고, 큰 크기의 화면이 필요한 경우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캠코더, 디지털카메라, PDA 등의 전자기기에는 표시장치가 구비되어 이 표시장치를 통해 필요한 정보나 영상 등을 눈으로 확인하고 정보를 얻는다.
그런데 이러한 전자기기는 대부분 휴대용 제품으로서, 휴대가 용이하도록 소형이면서 무게가 가볍게 제작되기 때문에, 그 표시장치도 작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전자기기 중에서 특히 휴대용 제품인 경우에는 표시장치를 통해서 대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수 없고,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하기 위해서는 대형 표시장치를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표시장치의 크기가 커짐에 따라 그 제품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어 휴대가 용이하지 못하다.
또한 표시장치가 커지면, 예를 들어 표시장치가 LCD인 경우 크기에 따른 가격 편차가 심해 쉽게 대형화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전자기기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를 예를 들어 좀 더 설명하고자 한다.
휴대폰, 핸드폰(Cellular phone), PCS폰, 개인 휴대전화, 무선 단말기 등으로 불리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이동 중에 서로 떨어져 있는 사람 간에 무선으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단말기로서, 상대방과 음성을 주고받거나 문자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표시장치는 일체형의 경우 단말기 상부에, 그리고 폴더형의 경우 단말기 폴더(덮개)에 1개만 설치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2개의 표시장치가 쓰이는 경우는 이른바 듀얼 폴더의 경우이다.
이 경우 내부에 설치되는 주 표시장치 외에, 폴더 외부에 보조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그것을 통해 단말기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사용자에게 날짜, 시간, 통신감도, 배터리 잔여량, 문자 메시지 수령 통보 등의 간단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는 거의 예외 없이 그 본체(폴더형의 경우, 폴더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내부에 10여 개의 숫자/부호키와 여러 개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즉,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의 내부는 20개 내외의 키들이 다양한 위치와 각도로 존재하기 때문에, 기존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방식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외형적 크기를 확대하지 않은 채, 이동통신 단말기 내부에 있는 표시장치의 크기를 확장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나란히 구비하고, 소형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대형 화면을 채용하여 큰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도 높은 가격의 상승을 줄일 수 있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카메라나 외부영상 소스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수단과, 상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과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되, 주 화면과 주 화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져,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영상 제공수단인 카메라(10), 외부영상 소스(12) 및 디코더(14)와, 영상신호처리수 단(20)과, 표시수단인 주 화면(30) 및 보조화면(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카메라(10)는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광학기기로서 영상을 촬영하여 영상신호처리수단(20)으로 전송한다.
외부영상 소스(12)는 유무선 인터넷 등을 통해 본 발명의 시스템에 영상을 제공하는 소스로서, 외부영상 소스(12)를 통해 제공된 영상은 압축된 상태로 제공된다.
디코더(14)는 이 압축된 영상을 복원하여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 전송한다.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제어하여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30)을 제어하여 주 화면에만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한다.
즉,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주 화면(30)에 디스플레이 할 영상신호와 보조화면(40)에 디스플레이 할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분리된 각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한 후,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제어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처리한 후 주 화면(30)을 제어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주 화면(30)은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일반적으로 구비된 표시장치이다.
보조화면(40)은 상기 주 화면(30)의 보조 표시수단으로, 주 화면(30)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어 큰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게 하고, 주 화면(30)과 같이 영상신호처리수단(20)의 제어에 의해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본 발명에 상기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은 액정표시장치(LCD)로 구비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한 구성 이외에 도면에 표기하지는 않았으나 작업 메모리공간인 RAM과 프로그램이 내장된 ROM이 더 구비됨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보조화면에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일반적인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처리수단(20)을 지난 영상신호는 주 화면(30)에 디스플레이 되며 모든 정보가 데이터 손실없이 구현된다.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즉, 큰 사이즈의 디스플레이가 필요한 경우에,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하나의 화면으로 활용하여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하나의 영상이 크게 디스플레이 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에 나타낸 영상신호처리수단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한 프레임의 영상신호를 2개의 신호로 분리할 수 있는 구성의 블록도이다.
도 3a에서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영상 저장용 프레임 버퍼(21)와 상기 프레임 버퍼(21)를 공유하는 2개의 신호처리 IC(22a,22b)를 포함한다.
상기 각 신호처리 IC(22a,22b)에는 화면 제어기(23a,23b)가 각각 구비된다.
프레임 버퍼(21)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모리 공간으로서, 주 화면과 보조화면으로 나누어 영상 신호를 저장한다.
화면 제어기(23a,23b)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연결되어 각 화면을 제어하고, 신호처리 IC(22a,22b)는 내부에 구비된 화면 제어기(23a,23b)를 제어하며 프레임 메모리(21)를 읽고 쓴다.
각 신호처리 IC(22a,22b)에서는 미도시된 RAM과 ROM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프레임 버퍼(21)를 읽고 써서 내부의 화면 제어기(23a.23b)를 제어하여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3b에서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하나의 신호처리 IC(22c)와 2개의 화면 제어기(23c,23d)를 포함한다.
신호처리 IC(22c)는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신호를 화면(30,40)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대해 각 화면 제어기(23c,23d)를 제어하여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3c에서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하나의 신호처리 IC(22d)와 하나의 화면 제어기(23e)를 포함한다.
하나의 화면 제어기(23e)는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분리해서 제어한다.
신호처리 IC(22d)는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신호에 대해 하나의 화면 제어기(23e)를 제어한다.
이 화면 제어기(23e)는 신호처리 IC(22d)의 제어신호에 의해 각 처리된 신호에 대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제어하며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탈부착되는 여러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되어 있다가 폴더식으로 주 화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형태이다.
주 화면(30) 및 보조화면(40)은 영상신호처리수단(20)의 제어에 따라서 영상이 디스플레이되며, 보조화면(20)은 그 측면에 구비되는 힌지(50)에 의해 주 화면(30)과 힌지 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주 화면(30)의 전면부터 후면까지 회전된다.
이때 보조화면(40)은 힌지(50)에 의하여 도면에 도시되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보조화면(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주 화면(3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위치시켜서 사용상의 번거로움과 사이즈의 크기를 줄여 휴대가 용이하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조화면(40)을 주 화면(30)의 측부에 위치시켜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b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가 필요시 기구적인 단자를 통해 주 화면에 연결되는 형태이다.
주 화면(30)에는 측면에 삽입 구멍(36)을 형성하고 영상신호를 보조화면(40)과 교환하도록 핀을 포함하는 커넥터(34)가 구비된다.
보조화면(40)에는 상기 삽입 구멍(36)과 대응되는 위치의 측면에 삽입 돌기(46)를 형성하고, 상기 커넥터(34)와 접속되어 영상신호가 교환되는 또 다른 커넥터(44)가 구비된다.
상기 보조화면(40)은 주 화면(30)과 별도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또 접속된 커넥터(34,44)를 통해서 주 화면(3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도 있다.
사용자에 의해 보조화면(40)의 삽입 돌기(46)가 주 화면(30)의 삽입 구멍(36)에 삽입되고, 주 화면의 커넥터(34)와 보조화면의 커넥터(44)가 결합되어 접속되는 경우,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합쳐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c는 보조화면이 주 화면의 본체 내부에 내삽되어 있다가 슬라이드식으로 돌출되어 주 화면의 측면에 위치되는 형태이다.
보조화면(40)은 주 화면(30)의 본체 내부의 슬라이드식으로 내삽되어 사용자가 보조화면(40)을 누르거나 밖으로 인출함으로써 주 화면(30)에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주 화면(30)의 테두리에는 커버(38)를 형성하되, 주 화면의 측부에는, 보조화면(40)과 접하는 부위가 분리되는 공간에 의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이 떨어져 디스플레이 되지 않도록 테두리에 커버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때 보조화면(40)에는 주 화면(30)과 접하는 부위를 제외하여 테두리에 커버(49)를 구비하고 모서리 부위에는 돌출부(47)를 구비한다.
보조화면(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주 화면(30)에 내삽하여 보관하고. 사용하는 경우 주 화면(30)의 본체에서 밖으로 슬라이드 시켜 돌출시키면 주 화면(30)에 보조화면(40)이 측면에 위치하여 하나의 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도이다.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내부에 구비된 화면 제어기(23)를 초기화한 상태에서(S502), 카메라(10)나 외부영상 소스(12)와 디코더(14)를 통해 영상신호가 스위칭 되어 입력되는 경우(S504),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한다(S506).
이때 이중화면 모드나 단일화면 모드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영상신호에 포함시켜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서 이 영상신호를 분석해서 판별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이중화면 모드나 단일화면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서 이를 감지하여 판별할 수도 있다.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에서 보조화면(40)이 주 화면(30)에 연결되어 보조화면(40)에서도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지 판별한다(S508).
보조화면(40)이 연결된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의 영상 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주 화면(30)의 영상신호와 보조화면(40)의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하여 각각의 화면 제어기(23)를 제어한다(S510).
화면 제어기(23)의 제어에 따라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에는 서로 분리 되게 처리된 영상이 나타나되(S512), 주 화면(30)의 측면에 보조화면(40)이 위치되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통합한 하나의 화면에 자기가 나타내고자 하는 영상(기호나 문자 등 포함)을 크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S506단계에서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나, 이중화면 모드이더라도 S508단계에서 보조화면(40)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보조화면에 영상을 디스플레이할 수 없는 경우, 영상신호처리수단(20)은 입력된 영상신호를 분리하지 않고 신호를 처리하여 주 화면 제어기를 제어한다(S520).
주 화면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주 화면(30)에는 분리되지 않고 처리된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S522).
상기한 바와 같이, 주 화면(30)과 보조화면(40)을 구비하여 대형 디스플레이 화면을 채용하면서 가격의 상승은 물론 제품의 크기에 대한 제약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 단말기, 디지털카메라 등의 표시장치가 구비된 전자기기에 주 화면의 측면에 보조화면을 착탈식으로 구비하고, 소형 경량화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용이하며, 대형 화 면을 채용하여 큰 사이즈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면서도 높은 가격의 상승을 줄일 수 있다.

Claims (9)

  1. 카메라나 외부영상 소스 등과 같이 영상신호를 제공하는 영상제공수단;
    상기 제공되는 영상신호가 이중화면 모드인지 단일화면 모드인지 판별하고 그에 따른 영상신호를 처리하여,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고, 단일화면 모드인 경우에는 주 화면을 제어하는 영상신호처리수단; 및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의 제어에 의해 영상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되, 주 화면과 주 화면의 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나란히 구비되는 보조화면으로 이루어져,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하나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처리수단은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 제공되는 영상신호를 주 화면의 영상신호와 보조화면의 영상신호로 분리하고, 분리된 영상신호를 각각 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화면과 보조화면은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주 화면과 보조화면에 영상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모리 공간인 영상 저장용 프레임 버퍼와,
    상기 프레임 버퍼를 공유하여 읽고 쓸 수 있고. 내부에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는 화면 제어기가 각각 구비된 2개의 신호처리 IC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를 주 화면과 보조화면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영상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화면 제어기를 각각 제어하는 하나의 신호처리 IC와,
    상기 신호처리 IC에 의해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각각 제어하는 2개의 화면 제어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신호 처리수단은, 이중화면 모드인 경우에 영상신호를 주 화면과 보조화면의 영상신호로 분리하여 각 분리된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신호에 대해 하나의 화면 제어기를 제어하는 하나의 신호처리 IC와,
    상기 신호처리 IC에 의해 주 화면과 보조화면을 제어하는 1개의 화면 제어기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화면은 주 화면의 측면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화면이 주 화면에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가 필요시 기구적인 단자를 통해 주 화면에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화면이 주 화면의 본체 내부에 내삽되어 있다가 슬라이드식으로 돌출되어 주 화면의 측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20050024593A 2005-03-24 2005-03-24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KR100715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593A KR100715368B1 (ko) 2005-03-24 2005-03-24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4593A KR100715368B1 (ko) 2005-03-24 2005-03-24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713A true KR20060102713A (ko) 2006-09-28
KR100715368B1 KR100715368B1 (ko) 2007-05-08

Family

ID=37623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4593A KR100715368B1 (ko) 2005-03-24 2005-03-24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3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3746A (zh) * 2016-02-26 2018-11-23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控制方法
KR102350435B1 (ko) * 2020-11-20 2022-01-13 김수현 전자 디바이스용 보조 디스플레이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4015B1 (ko) * 1999-09-27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폰의 보조 표시부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187321Y1 (ko) 2000-01-28 2000-07-01 정순애 보조화면이 구비되는 단말장치
KR100373976B1 (ko) * 2000-04-25 2003-02-26 정순애 보조 화면이 구비되는 단말장치 및 그의 화면출력방법
KR100682687B1 (ko) * 2001-01-10 2007-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이동 단말기의 듀얼 화면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460299B1 (ko) 2003-12-01 2004-12-09 하나 마이크론(주) 듀얼 디스플레이 패널에 의한 하나의 확장된 화면을 갖는휴대용 단말기와 그 화면표시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873746A (zh) * 2016-02-26 2018-11-23 广州视睿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及显示设备的控制方法
KR102350435B1 (ko) * 2020-11-20 2022-01-13 김수현 전자 디바이스용 보조 디스플레이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368B1 (ko) 200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282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8751973B2 (en) Display method and system for portable device using external display device
US9928811B2 (en) Methods, device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image display
EP2479967B1 (en) Mobile information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US8457690B2 (en) Multi-housing mobile terminal
US20150061968A1 (en) User terminal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user terminal apparatus thereof, and expanded display system
US20090117849A1 (en) Cell phone terminal, method for starting data processing, method for transferring data
JP2007124025A (ja) 携帯電話機
CN114115769A (zh)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070139369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sharing a common display screen
JP2014071377A (ja) 画像表示制御装置、画像表示装置、プログラム及び画像表示方法
US20170118318A1 (en) Mobile Phone
KR100715368B1 (ko) 이중화면 디스플레이 시스템
JP5628657B2 (ja) 携帯通信端末、バックライト制御方法、記録媒体
KR20200050696A (ko) 저전력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를 통해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08098828A (ja) 携帯端末装置
JP2008085705A (ja) 携帯電子機器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JP2008206131A (ja) 開閉式通信端末装置
EP1863259A1 (en) Mobile terminal having wide viewing function digital broadcasting
US20220321692A1 (en) Mobile terminal, electronic device having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CN111694535A (zh) 闹钟信息显示方法及装置
JP5623049B2 (ja) 携帯型光学装置
KR20050087597A (ko) 입력 인터페이스 모드에 따라 전자 터치 인터페이스들을화면과 별도의 영역에 가변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단말기
KR100605952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입력 문자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