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302A -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302A
KR20060102302A KR1020060082315A KR20060082315A KR20060102302A KR 20060102302 A KR20060102302 A KR 20060102302A KR 1020060082315 A KR1020060082315 A KR 1020060082315A KR 20060082315 A KR20060082315 A KR 20060082315A KR 20060102302 A KR20060102302 A KR 20060102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channel
shaped channel
concave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2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901B1 (ko
Inventor
김병길
Original Assignee
김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길 filed Critical 김병길
Priority to KR1020060082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901B1/ko
Publication of KR20060102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링너트와의 결합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U형 채널과, 이와 같은 U형 채널을 이용하므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이동과 구조가 간단해진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달성하기 위한 U형 채널은 스프링너트(140)의 기어형 요돌조(146)에 대응하는 요돌조(134)를 개방측 연부(132)저면에 형성하며,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는,
천장에 지중 매설된 앵커(112)와 커플링(114) 및 너트(116)로 이루어진 앵커부(110)와; 개방측 양측 연부(132)저면에 요돌조(134)를 형성한 U형채널(130)과; 상기 요돌조(134)에 대응하는 요돌조(146)를 상면에 나란하게 형성하고 그 중심부분에는 나사공(144)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코일형 탄성부재(142)를 부착한 스프링너트(140);및 상기 스프링너트(140)중심부분 나사공(144)에 나사 맞춤되는 나사봉(120)을 포함한다.
케이블 트레이, 다단, U채널,

Description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U type channel and there of cable tray supported apparatus}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탄력성을 갖는 너트가 제공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체결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요부 발췌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 U형 채널과 스프링너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U형 채널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U형 채널이 적용되는 스프링너트의 사시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스프링너트와 U형 채널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앵커부, 112:앵커, 114:커플링, 116:너트, 120:나사봉, 130:U형 채널,
132:연부, 134:요돌조, 140:스프링너트, 142:탄성부재, 144:나사공,
146:요돌조,
본 발명은 U형 채널과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알려진 스프링너트와의 결합이 용이한 체결구조를 갖는 U형 채널과, 이와 같은 U형 채널을 이용하므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위치이동이 편리해진 케이블 트레이의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케이블 트레이(cable tray,통상 터널이나 지중건물의 다양한 전선류,케이블등을 시공하는 경우 이들을 받쳐주기 위한 구조 일체를 케이블 트레이로 칭한다.)받침구조(이하 받침장치라 함)를 첨부 도면 도 1a 및 도 1b를 통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a, 1b는 종래 알려진 탄력성을 갖는 너트가 제공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체결구(실용신안공고번호20-1996-0009081호)의 한 예로서 U형 채널의 내측에 삽입되어진 체결용 너트(이하 스프링너트라 함)는 스프링을 일체로 탄력을 갖고 내장되고, 이러한 U형채널의 상방으로 와셔 일체의 체결볼트가 소정의 케이블 트레이 구조물을 통하여 체착되는 케이블트레이 지지용 체결구이다.
또한, 유사한 선등록의 케이블 트레이용 스프링너트로는 20-0341261호 실용신안의 스프링너트 및 케이블 트레이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알려진 스프링너트의 상부몸체에는 두 줄의 홈이 형성되고 그 내접면에 요철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부에는 코일스프링등의 탄성부재로서 탄력 을 받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어느 것이나 시공현장에서 U형채널의 개방부에 나란하게 형성된 중심연부의 저부에 탄착/지지된 스프링너트의 요철들에 의한 미끄러짐방지 효과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알려진 케이블 트레이용 U형 채널의 중심연부 저부에 탄착된 체결너트들이 미끄러짐 없이 견고하게 체결 유지됨은 물론 필요에 따라 위치이동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너트와 U형채널과의 체결력이 견고하게 유지되는 U형채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에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는 한편, U형채널을 통하여 천장에서 현수된 나선봉을 통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받치고 있는 U형채널의 좌,우폭을 자유롭게 조절하면서도 견고하게 케이블 트레이 받침이 이루어져 스프링너트와 U형채널간 기어맞춤에 따른 결합력이 강하게 유지되어 U형채널의 경사도등이 발생하더라도 스프링너트가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는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도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U형채널은,
스프링너트의 요돌조에 대응하는 요돌조를 개방측 연부 저면에 형성한 U형채널로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는,
천장에 지중 매설된 앵커와 커플링 및 너트로 이루어진 앵커부와; 개방측 양 측 연부저면에 요돌조를 형성한 U형채널과; 상기 요돌조에 대응하는 요돌조를 상면에 나란하게 형성하고 그 중심부분에는 나사공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코일형 탄성부재를 부착한 스프링너트;및 상기 스프링너트중심부분 나사공에 나사 맞춤되는 나사봉을 포함하여 상기 나사봉 일체의 스프링너트가 상기 U형채널내에서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하면서 기어접속되는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따르는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는,
천장에 지중 매설된 앵커(112)와 커플링(114) 및 너트(116)로 이루어진 앵커부(110)와, 상기 커플링(114)에 나사맞춤되어 수직 현수되는 나사봉(120)과, 이 나사봉(120) 하단에서 연결되는 U형채널(130)과, 이 U형채널(130)의 개방부에 삽입되어 상기 나사봉(120)에 나사로 맞추어지는 스프링너트(140)로 이루어진다.
첨부 도면중 도 3은 본 발명 U형 채널과 스프링너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U형 채널의 일부 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 U형 채널에 대응하는 스프링너트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U형채널(130)은 케이블 트레이 스프링너트(140)의 기어형 요돌조(146)에 대응하는 요돌조(134)를 개방측 연부(132)저면에 형성하여서 된다.
상기 도면들에 따르는 본 발명 스프링너트(140)는 상기 요돌조(134)에 대응하는 요돌조(146)를 상면에 나란하게 형성하고 그 중심부분에는 나사공(144)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코일형 탄성부재(142)를 부착하여서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 U형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6a는 본 발명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작용을 나타내는 작용단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 U형 채널을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지지용너트와 U형 채널의 결합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들과 전술한 도면 도 2를 참고하여 보면 본 발명은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설비시에는 상기 천장에서 기 시공되어 현수된 앵커부(110)의 커플링(114)에 나사봉(120)의 상단을 나사로 맞추어 결합한 뒤 이 나사봉(120)의 하단을 U형채널(130)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나사맞춤한다. 이때 U형채널(130)내측에는 스프링너트(140)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스프링너트(140)의 나사공(144)에 나사맞춤하여 체결하며, 반대쪽도 같은 방법으로 조립하므로서 U형채널(130)내 스프링너트(140)이 양측 나사봉(120)에 나사맞춤된다.
이때 나사봉(140)의 양측 위치가 틀리거나 기울면 탄력을 받고 있는 스프링너트(140)를 눌러 전,후방향으로 위치를 조정한 뒤 U형채널(130)의 연부(132)에 형성된 요돌조(134)에 스프링너트(140)의 요돌조(146)가 대응하여 맞추어지게 되어 나사봉(120)의 수직 위치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 부분이 종래에는 U형채널의 연부(132)저부에 요돌조(134)가 없어 스프링 너트(140)의 요돌조(146)로 받쳐주어도 쉽게 미끄러져 U형채널로 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연부 저부의 요돌조(134)와 스프링너트(140)의 요돌조(146)가 맞물려 있어 이러한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의 스프링너트와 U형채널간의 미끄러짐등을 개선하여 위치이동을 자유롭게 하여도 스프링너트와 U형채널의 연부와의 기어맞춤에 따른 결합력이 강하게 유지되어 U형채널에 경사도가 발생하더라도 미끄러지지 않고 견고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이러한 U형채널을 도입함에 따른 본 발명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는 종래 U형채널과 앵커부와의 연결/결합에 따른 복잡한 구조를 간단화하여 케이블 트레이를 받치게 되는 케이블트레이 받침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U형 채널에 있어서,
    스프링너트(140)의 기어형 요돌조(146)에 대응하는 요돌조(134)를 개방측 연부(132)저면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형 채널.
  2.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에 있어서,
    천장에 지중 매설된 앵커(112)와 커플링(114) 및 너트(116)로 이루어진 앵커부(110);
    상부 개방측 양측 연부(132)저면에 요돌조(134)를 형성한 U형채널(130);
    상기 요돌조(134)에 대응하는 요돌조(146)를 상면에 나란하게 형성하고 그 중심부분에는 나사공(144)을 형성하며, 저면에는 코일형 탄성부재(142)를 부착한 스프링너트(140);및
    상기 스프링너트(140)중심부분 나사공(144)에 나사 맞춤되는 나사봉(120)을 포함하는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KR1020060082315A 2006-08-29 2006-08-29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KR100877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315A KR100877901B1 (ko) 2006-08-29 2006-08-29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2315A KR100877901B1 (ko) 2006-08-29 2006-08-29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302A true KR20060102302A (ko) 2006-09-27
KR100877901B1 KR100877901B1 (ko) 2009-01-12

Family

ID=3763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315A KR100877901B1 (ko) 2006-08-29 2006-08-29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90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43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0698470B1 (ko) * 2006-12-11 2007-03-23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722196B1 (ko) * 2006-11-28 2007-05-29 이현화 건축물 천장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0919427B1 (ko) * 2008-07-18 2009-09-29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KR20140000832U (ko) * 2012-07-27 2014-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덕트 지지용 체결장치
KR200473202Y1 (ko) * 2012-10-30 2014-06-19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클램프 지지용 받침구
KR200475359Y1 (ko) * 2013-11-06 2014-12-10 주식회사 홍인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KR102123364B1 (ko) * 2019-01-08 2020-06-16 (주)하나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92555B1 (ko) * 2021-02-18 2021-08-24 주식회사 디엠케이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034B1 (ko) 2009-06-03 2011-11-16 김병길 케이블 트레이용 베어링 앵글과 그 제조방법
KR101098552B1 (ko) * 2009-10-15 2011-12-26 박인철 거대하중을 지지하는 케이블트레이 시스템
KR101237841B1 (ko) 2011-08-26 2013-02-27 신종은 다층형 트레이를 가지는 케이블 덕트 장치
KR101252527B1 (ko) * 2011-12-30 2013-04-12 정다영 내진 및 방진용 케이블 받침대 충격완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91404A (en) * 1981-05-19 1982-11-25 Toshiba Corp Speed-governing-pressure regulation changeover controller of back pressure steam turbine
KR200364878Y1 (ko) * 2004-07-06 2004-10-16 남정은 케이블 트레이의 고정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5143B1 (ko) * 2006-07-25 2006-12-08 주식회사 진솔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전력케이블 트레이의 행거 지지를 위한 시공방법
KR100722196B1 (ko) * 2006-11-28 2007-05-29 이현화 건축물 천장 전기 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0698470B1 (ko) * 2006-12-11 2007-03-23 (주)신성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
KR100919427B1 (ko) * 2008-07-18 2009-09-29 주식회사 한양이앤씨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KR20140000832U (ko) * 2012-07-27 2014-02-0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덕트 지지용 체결장치
KR200473202Y1 (ko) * 2012-10-30 2014-06-19 동아베스텍 주식회사 케이블클램프 지지용 받침구
KR200475359Y1 (ko) * 2013-11-06 2014-12-10 주식회사 홍인 케이블 트레이용 지지대
KR102123364B1 (ko) * 2019-01-08 2020-06-16 (주)하나시스템 케이블 트레이 지지용 조인트 및 그 제조방법
KR102292555B1 (ko) * 2021-02-18 2021-08-24 주식회사 디엠케이 메쉬형 케이블 트레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901B1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901B1 (ko) U형채널과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받침장치
CA2484995A1 (en) Adjustable electrical outlet box assembly
US8695682B2 (en) Pull bar device for a sunshade assembly
KR101697709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장
US7287734B2 (en) Combination spring tension rod and mounting brackets for window coverings
KR200462076Y1 (ko) 창호지지용 브라켓
US6125588A (en) Glass attachment system for window regulator systems
US20160369519A1 (en) Panel Assembly
CA2875714A1 (en) A support post for glass
EP2985403A1 (en) Frame for being mounted on a building structure
CN103129511B (zh) 用于安全带的安全带导向扣
KR200334963Y1 (ko) 행거포스트
KR200360803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스프링쿨러 고정용 브라케트
JP6585160B2 (ja) 固定デバイス
KR200489158Y1 (ko) 창틀용 지지대
US4277196A (en) Fixing device for securing any part to a holding member such as a panel by inserting said fixing device into a hole of standard shape formed in said panel
EP3850995B1 (en) Curtain support rod
CN211269885U (zh) 百折帘锁紧器
JP5117870B2 (ja) 軒樋支持具
KR200180068Y1 (ko) 커텐봉 지지구
KR20120002044U (ko) 커텐걸이장치
KR101580525B1 (ko) 가변형 액자 거치대
KR0139186Y1 (ko) 옷걸이용 포스트
KR101174387B1 (ko) 건물 외장재 설치용 트러스바에 사용되는 티볼트
KR100633259B1 (ko) 케이블 고정용 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80527

Effective date: 20081128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