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2025A -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2025A
KR20060102025A KR1020050023738A KR20050023738A KR20060102025A KR 20060102025 A KR20060102025 A KR 20060102025A KR 1020050023738 A KR1020050023738 A KR 1020050023738A KR 20050023738 A KR20050023738 A KR 20050023738A KR 20060102025 A KR20060102025 A KR 20060102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l
control box
linear motor
linear compress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2025A/ko
Publication of KR20060102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2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5/00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4B35/04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 F04B35/045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the driving means to their working members, or by combination with, or adaptation to, specific driving engines or mo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the means being electric using soleno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0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adaptations of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2Casings; Cylinders; Cylinder heads; Fluid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4Provisions for readily assembling or disassem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49/00Control, e.g. of pump delivery, or pump pressure of, or safety measures for, machines,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1/00 - F04B47/00
    • F04B49/06Control using electric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5/00Hooks; Ey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08Compressors specially adapted for separate outdoor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1/00Compressor arrangements
    • F25B31/02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 F25B31/023Compressor arrangements of motor-compressor units with compressor of reciprocating-piston typ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2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 H05K5/007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rovided with connectors and printed circuit boards [PCB], e.g. automotive electronic control units having specific features for mounting the housing on an external struct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10/00Working fluid
    • F05B2210/10Kind or type
    • F05B2210/14Refrigerants with particular properties, e.g. HFC-134a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17/00Pumps
    • Y10S417/902Hermetically sealed motor pump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는 밀폐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가 유/출입되는 흡입관 및 유출관이 연결된 쉘과, 상기 쉘의 밀폐공간에 설치된 실린더, 피스톤 및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실린더 내측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는 구조체와, 상기 쉘 외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리니어 모터와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리니어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쉘과 제어박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박스를 상기 쉘 외관에 구조적으로 연통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쉘 일측에 제어박스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작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어박스의 구성부품을 손쉽게 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리니어 압축기, 쉘, 제어박스, 케이스, 제어기판, 홀, 돌기, 후크

Description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CONTROL BOX MOUNTING FOR LINEAR COMPRESSOR}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설치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아 압축기가 도시된 일부 분해 사시도,
도 4은 도 2의 제어박스 고정구조가 확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제어박스 고정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52 : 쉘 54 : 밀봉단자
60 : 제어박스 62a : 보호부재
62b : 케이스 본체 62c : 전면커버
62H : 연통홀 62h : 슬릿홀
66 : 전선정리부 66a : 가이드 리브
66b,66c : 체결용 보스 68a,68b : 고정캡
72a : 고정단 72h,72h' : 조립용 홀
74a : 조립용 돌기 74b : 후크
본 발명은 밀계공간인 쉘 내측에 설치된 실린더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리니어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쉘 일측에 리니어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박스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축기(Compressor)는 전기모터나 터빈 등의 동력발생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나 냉매 또는 그 밖의 다양한 작동가스를 압축시켜 압력을 높여주는 기계장치로써, 냉장고와 에어컨 등과 같은 가전기기 또는 산업전반에 걸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기를 크게 분류하면, 피스톤(Piston)과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왕복동식 압축기(Reciprocating compressor)와, 편심 회전되는 롤러(Roller)와 실린더(Cylinder)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롤러가 실린더 내벽을 따라 편심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회전식 압축기(Rotary compressor)와, 선회 스크롤(Orbiting scroll)과 고정 스크롤(Fixed scroll) 사이에 작동가스가 흡,토출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을 따라 회전되면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스크롤식 압축기(Scroll compressor)로 나뉘어진다.
최근에는 왕복동식 압축기 중에서 특히 피스톤이 왕복 직선 운동하는 구동모터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여 운동전환에 의한 기계적인 손실이 없어 압축효율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한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보통, 리니어 압축기는 밀폐된 쉘 내부에서 피스톤이 리니어 모터에 의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움직이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구성되되, 상기 리니어 모터는 이너스테이터 및 아우터스테이터 사이에 영구자석이 위치되도록 하여 상호 전자기력에 의해 영구자석이 직선 왕복 운동하도록 구동되고, 이러한 영구자석이 피스톤과 연결된 상태에서 구동됨에 따라 피스톤이 실린더 내부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도록 한다.
이때, 리니어 압축기는 다른 왕복동식 압축기와 달리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그 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별도로 제어박스가 구비된다.
물론, 상기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는 다른 왕복동식, 회전식, 스크롤 압축기와 달리 소음이 작아 실내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등과 같은 가전기기에 많이 적용된다.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에 적용된 리니어 압축기의 설치위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2a) 내부에 냉동 실(F) 및 냉장실(R)이 격벽(3)에 의해 구획되고, 상기 냉장고 본체(2a) 전면에 냉동실 도어(4a) 및 냉장실 도어(4b)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냉장고 본체(2a)에 냉기가 생성되어 순환될 수 있도록 냉기순환유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내벽(2b)이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내벽(2b)에는 냉기공급홀(2h)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냉동실(F) 측 냉기순환유로 상에는 냉기를 생성하여 송풍시킬 수 있도록 증발기(10) 및 냉기순환용 팬(12) 및 모터(14)가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10) 및 이와 연결되는 압축기(6), 응축기(8), 모세관(미도시)이 상기 냉장고 본체(2a) 하측에 형성된 별도의 기계실(C)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6)는 상기 냉동실(F)의 온도 및 냉장실(R)의 온도에 따라 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도록 리니어 압축기가 많이 적용된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압축기(6)는 압축 용량이 가변될 수 있도록 입력 전원을 제어해야 되는데, 이와 같이 상기 리니어 압축기(6)로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리니어 압축기(6)는 각종 구성부품의 작동을 조절하는 제어박스(20)와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박스(20)는 상기 냉장고 본체(2a) 상면에 위치되어 상기 리니어 압축기(6)와 케이블(미도시)로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6)를 살펴보면, 냉매가 유/출입되는 흡입관 및 유출관이 설치된 쉘 내부에 실린더, 피스톤, 리니어 모터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박스(10)는 상기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 상기 리니어 압축기(6)의 압축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니어 압축기(6)가 작동됨에 따라 냉매가 상기 리니어 압축기 (6), 응축기(8), 모세관, 증발기(10)를 통과하면서 압축, 응축, 팽창, 증발되는 동시에 상기 증발기(10) 주변의 공기가 상기 증발기(10)와 열교환 작용을 하여 냉각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냉기순환용 팬(12)이 작동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10) 주변의 냉기가 상기 냉동실(F) 및 냉장실(R)을 순환하면서 저온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라 냉장고에 적용되는 리니어 압축기(6)는 압축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입력전원을 제어하도록 제어박스(20)와 연결 설치되되, 상기 리니어 압축기(6)와 제어박스(20)가 냉장고의 서로 다른 부분에 위치되어 케이블으로 연결 설치되기 때문에 리니어 압축기(6)와 제어박스(20)를 단품으로 취급하기 어려워 작업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고, 상기 리니어 압축기(6)와 제어박스(20)가 냉장고의 기계실(C)에 위치되더라도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설치공간이 비교적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리니어 압축기의 쉘 일측에 입력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부착된 리니어 압축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리니어 압축기가 개발되더라도 제어박스 내부의 구성부품을 손쉽게 수리 및 관리할 수 있도록 제어박스가 쉘 일측에 손쉽게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킬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실린더, 피스톤, 리니어 모터가 수용된 쉘 일측에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연통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는 밀폐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가 유/출입되는 흡입관 및 유출관이 연결된 쉘과, 상기 쉘의 밀폐공간에 설치된 실린더, 피스톤 및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실린더 내측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는 구조체와, 상기 쉘 외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리니어 모터와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리니어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쉘과 제어박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박스를 상기 쉘 외관에 구조적으로 연통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가 도시된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도 2의 제어박스 고정구조가 확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및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매가 유출입되는 흡입관(52in) 및 유출관(52out)이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된 쉘(52) 내부에 실린더, 피스톤,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진 구조체(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쉘(52) 일측에 상기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조절하도록 제어박스(60)가 연결 설치되되, 상기 쉘(52)과 제어박스(60)가 서로 구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전기적으로도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쉘(52)은,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상기 흡입관(52in) 및 유출관(52out)이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흡입관(52in) 및 유출관(52out)은 상기 실린더와 피스톤 사이에 형성된 압축공간과 서로 연통되도록 위치된다.
특히, 상기 쉘(52) 일측에는 상기 리니어 모터와 연결되는 일종의 밀봉단자(54)가 노출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박스(60)가 상기 밀봉단자(54)를 구조적으로 덮어주는 동시에 상기 밀봉단자(54)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쉘(52) 외관에 장착된다.
다음, 상기 구조체는, 상기 실린더 내부에 상기 피스톤의 일단이 삽입된 상태에서 그 사이에 냉매가 압축되는 압축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타단이 상기 리니어 모터와 연결되어 왕복 직선 운동하도록 구동되도록 구성되되, 이러한 구조체는 완충 스프링에 의해 상기 쉘(52) 내부의 바닥면에 탄성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리니어 모터는 상기 제어박스(60)와 전기적으로 연통되어 상기 제어박스(60)에서 입력되는 전원에 따라 상기 피스톤의 구동 속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어박스(60)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62a,62b,62c) 내측에 다양한 입력전원을 구현하는 제어회로가 형성된 제어기판(미도시)이 내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에서 변환된 입력전원을 상기 리니어 모터로 공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기판과 연결된 전원선(미도시)이 상기 밀봉단자(72)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62a,62b,62c)는 상기 제어기판(64)이 내장될 수 있도록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판 및 전원선을 보다 손쉽게 설치할 뿐 아니라 상기 쉘(52) 외관에 보다 손쉽게 장착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부재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스(62a,62b,62c)는 상기 밀봉단자(54) 주변을 감싸도록 상기 쉘(52) 외관에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보호부재(62a)와, 상기 보호부재(62a)에 후면이 조립되는 동시에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 본체(62b)와, 상기 제어기판(64)이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전면을 막아주도록 설치된 전면커버(62c)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 본체(62b)와 전면커버(62c) 사이에는 소정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보호부재(62a)에 의해 상기 쉘(52) 외관에 고정되도록 장착된다.
특히, 상기 보호부재(62a)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중앙에 상기 밀봉단자가 노출될 수 있도록 홀(H)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하단이 상기 쉘(52)로부터 돌출되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쉘(52) 외관에 용접 등의 형태로 부착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 본체(62b)는 전면에 상기 전면커버(62c)가 결합되어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62a,62b,62c)를 형성하되, 상기 케이스(62a,62b,62c)에 내장된 상기 제어기판(6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열시키는 동시에 상기 쉘(52)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 저감시키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62b)에는 복수개의 슬릿홀(62h)이 나란하게 형성되되, 상기 슬릿홀들(62h)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릿홀들(62h)은 사용자의 감전 또는 이물질 및 누수로 인한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되, 사용자의 손가락보다 더 작은 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바닥면 면적에 대해 상기 슬릿홀들(62h)의 면적 비율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상기 쉘(52) 내부에서 발생된 소음 및 진동이 상기 케이스 본체(62b)를 포함하는 케이스 내부에서 공명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 본체(62b) 및 전면커버(62c)는 그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되되, 각종 외부 전장부품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62b) 내측에 위치된 상기 제어기판(64)으로 각종 제어신호 및 전원이 입/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각종 케이블(미도시)이 상기 제어기판(64)으로부터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개방된 일측면을 통과하여 상기 외부 전장부품으로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와 같은 케이블들이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개방된 일측면에 홈 형태의 전선정리부(66)가 형성된다.
물론, 상기 전선정리부(66)는 상기 케이블들을 손쉽게 구분 및 격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되, 일예로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나란하게 복수개가 돌출된 가이드 리브(66a) 등과 같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별도로, 상기 케이블들이 상기 전선정리부(66)에 안착되더라도 심한 진동 및 충격 등으로 인하여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캡(68a,68b)이 상기 케이블들을 눌러준 상태에서 상기 전선정리부(66)에 돌출된 체결용 보스(66b,66c)에 스크루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개방된 일측면에 상기 전선정리부(66), 케이블들, 고정캡(68a,68b) 등이 노출되도록 설치됨에 따라 안전 사고를 방지하는 동시에 미관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로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개방된 일측면을 막아주도록 측면커버(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측면커버는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개방된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체결용 보스(66c)에 역시 스크루 조립되도록 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전면에 상기 제어기판이 안착된 상기 전면커버(62c)가 조립된 다음, 상기 케이스 본체(62b)의 후면이 상기 보호커버를 감싸도록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의 후면에 연통홀(62H)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이 상기 보호부재(62a)에 구조적으로 조립될 뿐 아니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스크루 고정된다.
보다 상세하게,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부재(62a)의 상/하단에는 복수개의 조립용 홀(72h,72h')이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의 상/하단에는 상기 조립용 홀(72h,72h')에 끼움되는 각종 조립용 돌 기(74a) 및 후크(74b)가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조립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62a)의 양단에는 전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고정단(72a)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 내벽에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스크루 조립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60)가 고정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쉘(52) 외관에 상기 밀봉단자(54)가 노출된 부분에 상기 보호부재(62a)가 용접 등과 같은 형태로 부착되되, 상기 보호부재의 홀(H)에 상기 밀봉단자(54)가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이와 별도로, 상기 제어기판이 안착된 상기 전면커버(62c)가 상기 케이스 본체(62b)에 결합된 다음, 상기 제어기판과 연결된 각종 케이블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전선정리부(66)를 통하여 인출되어 상기 외부 전장부품과 연결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어기판과 연결된 전원선이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을 통하여 인출되어 상기 쉘 측의 밀봉단자(54)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리니어 모터로 가변된 입력전원을 공급하도록 전기적으로 조립된다.
이때, 상기 각종 케이블은 상기 전선정리부(66)를 통과하면서 상기 가이드 리브들(66a) 사이에 안착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캡(68a,68b)에 의해 눌려진 상태에서 상기 고정캡(68a,68b)이 상기 체결용 보스(66b,66c)에 고정됨에 따라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박스(60)가 전기적으로 조립된 다음,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이 상기 보호부재(62a) 둘레를 감싸도록 구조적으로 조립되는데,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이 상기 보호부재(62a) 방향으로 끼움됨에 따라 상기 케 이스 본체 측의 조립용 돌기(74a) 및 후크(74b)가 상기 보호부재 측의 조립용 홈들(72h,72h')에 끼움되고, 상기 케이스 본체의 연통홀(62H) 내측에 상기 보호부재 측의 고정단(72a)이 맞물린 상태에서 스크루가 조립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상의 실시예들 및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한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는 실린더, 피스톤, 리니어 모터가 수용된 쉘 일측에 리니어 모터로 입력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박스가 연통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하여 쉘과 제어박스 사이에 각종 조립용 홈 및 조립용 돌기 또는 후크가 형성되어 서로 구조적으로 조립되도록 하는 동시에 서로 겹쳐지는 부분에 스크루 조립되어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기 때문에 쉘 일측에 제어박스를 손쉽게 탈착시킬 수 있어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뿐 아니라 나아가 제어박스 내부의 구성부품을 손쉽게 수리 및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1. 밀폐공간이 내부에 형성됨과 아울러 냉매가 유/출입되는 흡입관 및 유출관이 연결된 쉘과,
    상기 쉘의 밀폐공간에 설치된 실린더, 피스톤 및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리니어 모터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실린더 내측에서 왕복 직선 운동하면서 냉매를 흡입하여 압축시킨 다음, 토출시키는 구조체와,
    상기 쉘 외관에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리니어 모터와 각종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리니어 모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박스와,
    상기 쉘과 제어박스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어박스를 상기 쉘 외관에 구조적으로 연통되도록 탈착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박스는 상기 쉘 외관에 구조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쉘과 대향되는 부분에 홀이 형성되는 동시에 수용공간이 내부에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용공간에 장착되어 입력전원을 다양한 모드의 전원으로 변환하는 각종 제어회로가 형성된 제어기판과, 상기 제어기판에 일단이 연결되는 동시에 상기 쉘 외관에 노출되도록 상기 리니어 모터와 연결된 복수개의 단자들에 타단이 탈착 끼움되어 상기 제어기판에서 변환된 다양한 모드의 전원을 상기 리니어 모터로 공급하는 전원선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리니어 모터와 연결되도록 상기 쉘 외관에 노출된 복수개의 단자들 주변에 상기 쉘 외관으로부터 돌출 장착된 보호부재와, 상기 케이스의 홀 내측에 상기 보호부재를 감싸도록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보호부재 및 지지부재에 대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조립용 홀 및 조립용돌기와 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홀은 결합수단은 상기 보호부재의 둘레부분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조립용 홀과, 상기 케이스의 홀 내측 상/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부재의 조립용 홀들에 끼움되는 조립용 돌기 및 후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돌기는 상기 케이스의 지지부재 상단 중앙에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후크는 상기 케이스의 지지부재 하단 양측에 하향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립용 홀은 상기 조립용 돌기 및 후크와 대응되도록 상기 보호부재의 상/하단에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KR1020050023738A 2005-03-22 2005-03-22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KR20060102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738A KR20060102025A (ko) 2005-03-22 2005-03-22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738A KR20060102025A (ko) 2005-03-22 2005-03-22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2025A true KR20060102025A (ko) 2006-09-27

Family

ID=37632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738A KR20060102025A (ko) 2005-03-22 2005-03-22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20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42B1 (ko) * 2008-09-25 2010-05-11 윌로펌프 주식회사 착탈식 스위치박스를 가지는 자동펌프
KR101154097B1 (ko) * 2009-11-25 2012-06-11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펌프
KR20150024504A (ko) * 2013-08-2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의 컨트롤박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542B1 (ko) * 2008-09-25 2010-05-11 윌로펌프 주식회사 착탈식 스위치박스를 가지는 자동펌프
KR101154097B1 (ko) * 2009-11-25 2012-06-11 윌로펌프 주식회사 전수로형 펌프
KR20150024504A (ko) * 2013-08-27 2015-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압축기의 컨트롤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4251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0760796B2 (en) Outdoor unit of air-conditioning apparatus
EP1960669A1 (en) Hermetic compressor with internal thermal insulation
KR100384508B1 (ko) 공기조화기
IT1247635B (it) Perfezionamento nei motocompressori frigoriferi con controllo elettronico
JP2002206481A (ja) 自動車の車室空調装置用圧縮機
KR20060102025A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고정구조
US20120279245A1 (en) Compact discharge device for the refrigeration compressor of an appliance
KR101149698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제어박스
US7150605B2 (en) Reciprocating compressor
KR20120112084A (ko) 모터 구동식 압축기
KR100673732B1 (ko) 리니어 압축기
KR100597291B1 (ko) 리니어 압축기의 소음저감구조
US20130266458A1 (en) Sealed compressor
JP4225101B2 (ja) 電動圧縮機
MXPA04009433A (es) Compresor tipo hermetico.
EP0882184B1 (en) Inverter-controlled sealed compressor
US20040213681A1 (en) Hermetic compressor
KR100844596B1 (ko) 다이아프램 압축기
KR100788423B1 (ko) 흡입머플러 및 이를 갖는 압축기
CN101349260A (zh) 螺纹紧固式压缩机壳体结构
KR20200125805A (ko) 전동식 압축기
KR101202872B1 (ko) 냉장고의 기계실
KR100602693B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CN220036879U (zh) 气缸结构及线性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