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961A -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961A
KR20060101961A KR1020050023635A KR20050023635A KR20060101961A KR 20060101961 A KR20060101961 A KR 20060101961A KR 1020050023635 A KR1020050023635 A KR 1020050023635A KR 20050023635 A KR20050023635 A KR 20050023635A KR 20060101961 A KR20060101961 A KR 20060101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electronic device
range communication
range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윤석
황인성
김후종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6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1961A/ko
Publication of KR20060101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4Reminder alarms, e.g. anti-los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near field communication means, e.g. RF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wireless LAN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부착하고 있는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기초로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로서,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내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전자기기에 부착한 후,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전자기기가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내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고가의 전가기기의 도난 및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전자기기, 분실

Description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Loss of Electrical Equipment Using Short 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110 : 제어부
120 : 메모리 130 : 점등부
140 : 근거리 신호 인식부 150 : 알림부
160 : 출력부 200 : 전자기기
210 : 근거리 통신 모듈
본 발명은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부착하고 있는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하여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 및 MP3를 비롯한 고가의 전자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사용자의 부주의 등의 이유로 전자기기를 분실하거나 도난 당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상기 전자기기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연락처가 표시되어 있지 않고, 고가인 제품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타 사용자가 습득하더라도 원래 사용자에게 되돌려 주는 경우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분실 또는 도난을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 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근거리 통신 모듈을 부착하고 있는 전자기기와 기 설정된 주기로 통신을 수행하며, 전자기기의 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알람을 출력하는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기초로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로서,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내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본 발명은 근거리 통신 모듈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기초로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으로서,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상기 특정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와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근거리 신호 인식 기능을 구비하고 있어, 근거리 통신 모듈(210)을 포함하고 있는 전자기기(200)로부터 근거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전자기기(200)가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예를 들어, 근거리 신호 감지 가능 지역)내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에서, 근거리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 HomeRF, IrDA 또는 RFID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 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전자기기(200)가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을 벗어났음을 알람음, 전등 표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사용자에게 알린다.
상기,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목걸이, 시계와 같이 사용자의 몸에 항상 착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전자기기(200)는 휴대폰, PDA, MP3와 같은 전자부품을 의미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10),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20), 전자기기의 분실 알림을 램프 점등 형태로 나타내기 위한 점등부(130), 근거리 통신 모듈(2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감지하는 근거리 신호 인식부(140), 근거리 신호가 감지되는 않는 경우, 이를 알리는 알림부(150) 및 전자기기의 분실 알림을 알람 형태로 출력하여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근거리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 HomeRF, IrDA, RFID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메모리(120)는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가 수신하여야 할 특정 근거리 신호와 매칭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210) 정보를 저장한다.
근거리 신호 인식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근거리 통신 모듈 (210)을 포함하는 전자기기(200)로부터 출력되는 근거리 신호를 수신한다.
제어부(110)는 근거리 신호 인식부(140)로부터 전자기기(200)의 근거리 신호가 전송되지 않는 경우, 이를 근거리 통신 모듈(210)을 포함하고 있는 전자기기(200)의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이탈로 간주하고, 이를 알림부(150)로 전달한다.
여기에서, 상기 근거리 신호는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고 있어, 동일한 지역내에 서로 다른 복수의 근거리 통신 모듈(210)이 존재하여도 각각의 근거리 신호를 구분할 수 있다.
알림부(150)는 제어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기기(200)의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이탈 사실을 수신하면,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이러한 사실을 점등부(130), 출력부(160)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전자기기(200)의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이탈 사실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며,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특정 근거리 신호와 매칭되는 근거리 통신 모듈(210)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120)를 구비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210)로부터 전송되는 고유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근거리 신호를 수신한다.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의 근거리 신호 인식부(14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근거리 신호 통신이 가능한 지역 내에서 기 설정된 근거리 통신 모듈(210)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 탐색을 시도한다(S101). 여기에서, 근거리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무선 LAN, HomeRF, IrDA 또는 RFID와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간에 송수신 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이어서, 제어부(110)는 단계 S101의 결과, 근거리 신호 인식부(140)가 특정 전자기기(200)의 근거리 신호를 감지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103).
단계 S103의 결과, 미리 설정된 근거리 통신 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근거리 신호가 감지된 경우, 전가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단계 S101 이후의 과정을 수행한다.
단계 S103의 결과, 미리 설정된 근거리 통신 모듈(210)로부터 출력되는 근거리 신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10)는 이를 알림부(150)로 전달한다.
이후, 알림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점등부(130), 출력부(160)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100)가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을 이탈하였다는 알람을 출력한다(S105).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은 고유 식별번호를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전자기기에 부착한 후,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며, 전자기기가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내에서 벗어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때문에, 고가의 전가기기의 도난 및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기초로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로서,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내에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신호는 블루투스 신호, 무선 LAN 신호, HomeRF 신호, IrDA 신호 또는 RFID 신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은 특정 식별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는,
    상기 전자기기의 분실 알림을 램프 점등 형태로 나타내기 위한 점등부 및 전자기기의 분실 알림을 알람 형태로 출력하여 청각으로 제공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점등부, 상기 출력부 또는 이들 모두를 이용하여 전자기기 분실 알림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5. 근거리 통신 모듈를 포함하는 전자기기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기초로 전자기기의 분실을 예방하기 위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으로서,
    근거리 통신 가능 지역 내에서 미리 설정된 특정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를 탐색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근거리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근거리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
KR1020050023635A 2005-03-22 2005-03-22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KR20060101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35A KR20060101961A (ko) 2005-03-22 2005-03-22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35A KR20060101961A (ko) 2005-03-22 2005-03-22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61A true KR20060101961A (ko) 2006-09-27

Family

ID=37632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35A KR20060101961A (ko) 2005-03-22 2005-03-22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196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50B1 (ko) * 2007-05-18 2009-07-02 비알아이티(주) 노드 이탈 자동경보시스템 및 자동경보방법
KR20190029914A (ko) 2017-09-13 2019-03-21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낚시용품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5550B1 (ko) * 2007-05-18 2009-07-02 비알아이티(주) 노드 이탈 자동경보시스템 및 자동경보방법
KR20190029914A (ko) 2017-09-13 2019-03-21 한국정보공학 주식회사 낚시용품 도난 방지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36434B (zh) 用于移动设备的配对系统和方法
CN101438617B (zh) 在电子电话簿中存储近距离通信标签的系统和方法
CN104038300A (zh) 一种移动终端防丢失的方法、装置及系统
US7994918B2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one or more objects by electronic device
WO2010088019A2 (en) Device configuration manager and absent connection alerter
BR102013023307A2 (pt) Dispositivo de comunicação móvel, método , e, aparelho sem fio
CN103858154A (zh) 接近度标签
CN104052876A (zh) 一种应用于移动终端的呼吸灯提醒方法和移动终端
KR100695081B1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방법과 이를위한 이동통신 단말
US20150372721A1 (en) Configuring User Equipment to Display Information Through a Cover Window
CN105204632B (zh) 一种控制智能移动终端进入静音模式的方法及可穿戴设备
CN102832976A (zh) Nfc通信方法及装置
JP2007019719A (ja) 携帯端末装置、無線通信ユニット、および使用制限システム
CN105282326A (zh) 一种控制方法、电子设备及电子装置
JP2009213036A (ja) 物品の紛失防止及び位置検出システム
JP2007019718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使用制限システム
KR20090009009A (ko) 구조신호 발생기 및 이를 이용한 긴급 구조요청 방법
JP2006221452A (ja) 携帯端末、認証端末及び携帯端末の不正使用禁止方法、プログラム
KR200482398Y1 (ko) 스마트폰 분실 방지 장치
JP2008217584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キー、並びに無線認証システム
JP2011002873A (ja) 応答装置、応答方法、及び応答装置制御プログラム
KR20060101961A (ko)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전자기기 분실 방지 장치 및 방법
WO2012030163A2 (ko) 개인화 통신단말의 블루투스 통신 기능을 활용한 신용카드 위치 검색 시스템 및 방법
CN105812271B (zh) 一种可提示遗失物品的无线路由设备及通信方法
JP2007072706A (ja) Simホルダ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