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886A - 오일휠터 - Google Patents

오일휠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886A
KR20060101886A KR1020050023442A KR20050023442A KR20060101886A KR 20060101886 A KR20060101886 A KR 20060101886A KR 1020050023442 A KR1020050023442 A KR 1020050023442A KR 20050023442 A KR20050023442 A KR 20050023442A KR 20060101886 A KR20060101886 A KR 20060101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bobbin
state
filt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구
Original Assignee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말레동현필터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1886A/ko
Publication of KR20060101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8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05Filter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internal-combustion engine lubrication or fuel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3Mounting or connecting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relative to the machine or engine; Details of lubricant purify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일휠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엔진에 사용되는 오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오일휠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저면이 개방되는 상태로 내부가 중공상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시켜 하단 내주연의 단턱에 걸쳐지는 원형판상의 브라켓 외주연에 오일유입구를 갖추고, 상기 브라켓의 중앙에 오일배출관을 갖춘 오일흐름요소와;
상기 오일유입구를 관통시켜 탄성요소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개폐되면서 오일의 흐름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오일개폐요소와;
상기 오일흐름요소가 끼워지도록 원통형을 갖는 보빈을 갖추고, 상기 보빈의 외주연에 절첩되는 상태로 감싸져 상,하면에 가스켓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오일휠터{a oil filter}
도 1 은 종래의 오일휠터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오일휠터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중 요부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부분확대 분해사시도.
도 4a 는 도2의 A부 확대도로서, 오일이 유입되지 않는 상태도.
도 4b 는 도2의 A부 확대도로서, 오일이 유입되는 상태도.
도 5 는 본 고안중 엘리먼트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절개 분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오일휠터 20:하우징
30:오일흐름요소 31:브라켓
32:오일유입구 33:오일배출관
40:오일개폐요소 41:밀폐요소
41a:결합핀 43:작동관
43a:받침편 44:탄성요소
50:엘리먼트 51:가스켓
60:보빈
본 발명은 오일 휠터 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의 엔진에 사용되는 오일로부터 이물질을 제거시켜 줄 수 있도록 하는 오일 휠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일은 기계구조의 동작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접촉 면의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오일은 기계의 동작 정도에 따라 접촉 면의 표면으로부터 발생 되는 이물질을 소정량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이 그대로 오일과 함께 엔진에 유입될 경우 상기 오일과 혼합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이물질에 의해 엔진에 치명적인 손상을 주게 됨에 따라 상기 오일이 엔진에 유입되기 이전에 오일훨터를 거치도록 하여, 오일 내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엘리먼트에 의해 걸러지도록 하여 순수한 오일만을 엔진에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하므로 서, 엔진이 원활한 작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휠터(1)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로 나선체결되는 하우징(2)의 내부에 원통형의 형상을 갖추어 상,하면에 가스켓(3a)이 갖추어진 엘리먼트(여과지)(3)를 갖추고 있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3)는 소정의 폭을 갖도록 절첩시켜 준 상태에서 이를 원통형의 형상이 되도록 말아주게 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바닥면 외주연에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유입구(4)를 갖추고, 바닥면의 상면에는 상기 오일유입구를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고무 재질의 차단요소(5)를 갖추되, 상기 고무재질의 차단요소가 오일유입구를 정확히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단요소의 상면에 자체의 텐션력을 갖춘 지지요소(6)를 갖추어 준다.
또한, 상기 하우징의 바닥면 중앙에는 오일이 배출될수 있도록 하는 오일배출관(7)을 갖추되, 상기 오일배출관의 상단 내부에는 탄성요소(8a)에 의해 탄지되는 차단요소(8)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의 내부 중앙에는 보빈(9)을 일체로 갖추어 엘리먼트(3)의 내부를 안정되게 잡아줄수 있도록 되어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종래의 오일휠터(1)는 오일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오일유입구(4)와, 오일배출관(7)이 지지요소(6)및 탄성요소(8a)에 탄지되어 있는 각각의 차단요소(4,8)가 긴밀히 차단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 있게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각종의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오일이 오일유입구(4)를 통해 유입될 경우, 상기 유입되는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차단요소(4)를 밀어 올려줌에 따라 오일이 오일유입구(4)를 통해 하우징(2)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이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오일은 엘리먼트(3)를 통과하면서 오일에 혼합되어 있는 각종의 이물질을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 이물질이 걸러진 순수한 오일은 하우징(2)의 바닥면 중앙에 갖추어져 있는 오일배출관(7)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져 엔진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오일배출관(7)은 탄성요소(8a)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차단요소(8)가 오일배출관(7)을 차단하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서, 엔진의 정지 상태에서는 오일이 임의로 배출되지 않게되는 것이며, 엔진의 가동시 오일의 펌프 압력에 의해 탄성요소(8a)에 탄지 되어 있는 차단요소(8)가 탄성요소를 압축하면서 오일배출관을 개방시켜 주므로 서, 오일이 엔진으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휠터는 오일유입구를 고무재질로 형성된 차단판이 덮이도록 한 상태에서 이의 상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된 지지요소를 갖추고 있는 상태에서 유입되는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차단판과 지지요소를 밀어올려 주도록 하고 있어 일정기간 사용하다 보면 얇은 두께를 갖고 있는 지지요소의 누름력이 약해질 경우, 상기 지지요소가 차단판을 긴밀하게 눌러주지 못해 오일유입구와 차단판 사이에 미세한 틈새가 발생되는 현상이 있어, 오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오일이 역류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엘리먼트(3)는 부직포를 재질로 하여 원통형의 형상을 갖도록 말아준 상태에서 이의 상,하면에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수 있도록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 가스켓(3a)을 부착시켜 준 상태 즉, 엘리먼트가 단순히 상,하면에 위치하는 가스켓에 의해 형체를 유지하고 있어, 일정기간 사용하다 보면 부직포를 제질로 하고 있는 엘리먼트에 오일의 일부가 흡수된 상태에 있으므로서, 흡수된 오일로 인해 상기 엘리먼트의 형체가 변형되는 현상이 발생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상기와 같이 엘리먼트의 형체가 변형될 경우 오일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이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오일중 일부의 오일이 엘리먼트를 거치지 않고 그대로 오일배출관을 통해 배출이 이루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엔진에 악영향을 주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물질이 혼합되어 있는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유입구에 탄성요소에 의해 탄지되어 개별적으로 승,하강 작동될수 있는 오일개폐요소를 갖추어 항상 정확한 개폐 작동에 의해 유입된 오일이 역류되는 일이 없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엘리먼트(여과지)에 오일이 흡착되더라도 상기 엘리먼트의 형체가 임의로 변형되지 않도록 하여 이물질이 걸러지지 않은 오일이 순수한 오일과 함께 엔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발명이 적용된 오일휠터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결합단면도이고, 도 3 은 본 발명중 의 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요부확대 분해사시도로서, 본 발명인 오일휠터(10)는 저면을 기준으로 하여 내부가 중공상태를 갖도록 한 상태에서 2등분시켜 나선체결되는 하우징(20)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시켜 하단 내주연에 갖추어진 단턱(21)에 걸쳐지는 원판상의 브라켓(31) 외주연에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유입구(32)를 갖고 중앙에 오일이 배출될수 있도록 오일배출관(33)을 갖는 오일흐름요소(30)를 갖춘다.
이때, 상기 하우징(20)의 상면 중앙에는 돌출관(22)을 갖추고, 상기 돌출관의 외주연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걸림돌기(24)를 갖춘 탄지편(23)을 갖추어, 상기 하우징(20)의 착탈이 용이할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오일배출관(33)은 후에 설명할 엘리먼트의 내주연에 끼워지는 상태로 하여 적어도 엘리먼트의 절반 이상이 끼워질수 있을 정도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한다.
또한, 상기 오일유입구(32)에는 유입되는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흐름이 개폐되는 오일개폐요소(40)를 갖추되, 상기 오일개폐요소는 브라켓(31)의 상면에 얹혀져 오일유입구(32)를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패킹(42)을 갖춘 밀폐요소(41)를 갖추고, 상기 밀폐요소의 저면에 연장된 결합핀(41a)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에 외측으로 절곡되는 받침편(43a)을 갖는 작동관(43)을 갖추며, 상기 작동관의 외주연에 감싸지는 상태로 하여 상단은 브라켓(31)의 저면에 탄지되고, 하단은 작동관의 받침편에 탄지되어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패킹이 오일유입구를 긴밀하게 밀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탄성요소(44)를 갖추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0)의 내부에서 오일배출관(33)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로 기워져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줄수 있도록 하는 엘리먼트(여과지)(50)를 갖추게 되는데, 상기 엘리먼트(50)는 소정의 폭으로 접어준 상태에서 후에 설명할 보빈(60)의 외주연에 감싸지는 형태를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원통형으로 말아진 엘리먼트(50)의 상,하면에 가스켓(51)을 부착시켜 원통형으로 말리는 엘리먼트가 자체의 형상을 그대로 유지할수 있도록 하게되는데, 이때 상기 가스켓(51)을 소정의 두께를 갖는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엘리먼트(50)와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사용도중 엘리먼트로 부터 가스켓(51)이 임의로 떨 어지는 일이 없게됨에 따라 엘리먼트가 원통형의 형체를 그대로 유지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원통형의 형태를 갖는 엘리먼트(50)의 내주연에는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보빈(60)을 갖추어 여과지를 재질로 하여 원통형으로 말아져 있는 엘리먼트(50)가 사용도중 내측으로 변형됨을 방지함과 아울러, 보빈(60)의 내주연에 오일배출관이 걸쳐지는 상태를 갖도록 하여 엘리먼트(50)가 안정되게 설치될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엘리먼트(50)의 상,하면에 접착되는 가스켓(51)의 내주연부를 보빈(60)의 내주면에 접착될수 있도록 절곡시켜 준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하는 본 발명은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 유입되지 않을 경우에는 탄성요소(44)의 탄성력에 의해 패킹(42)이 오일유입구(32)를 긴밀하게 밀착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 있으므로 인하여 오일의 흐름을 차단시켜 주게 된다.
즉, 오일유입구(32)를 통해 브라켓(31)의 상면에 위치하고 있는 오일이 엔진의 정지로 인하여 흐름이 정지되었을때 오일의 유입압력이 가해지지 않아 탄성요소(44)에 탄지된 상태에 있으므로 인하여 패킹(42)이 오일유입구(32)를 긴밀하게 밀폐시켜 주고 있어 오일의 역류를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엔진의 정지 상태에서 하우징(20)의 내부에 오일이 잔류하지 않을 경우 엔진을 재 가동시 오일휠터에 오일이 없을 경우 오일이 오일휠터를 통해 여과되기 까지는 오일이 엔진으로 유입되지 못해 엔진의 마모를 가져옴에 따라 항상 오일휠터내에는 일정량의 오일이 잔류하여야만 엔진을 재가동시 엔진으로 오일이 공급되어 엔진의 손상을 방지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엔진을 가동시켜 주게 되면 모든 기계적인 작동에 의해 오일을 오일휠터(10)내로 공급시켜 주어 엘리먼트(50)를 거치면서 오일내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고 순수한 오일만을 오일배출관(33)을 통해 배출시켜 이와 연결되어 잇는 엔진으로 오일을 순환시켜 주게된다.
즉, 오일이 공급되면 공급되는 오일의 압력에 의해 탄성요소(44)에 의해 탄지되어 있는 작동관(43)과 개폐요소(41)가 상부로 밀려 올라감에 따라 상기 개폐요소의 저면에 위치하고 있는 패킹(42)이 오일유입구(32)를 개방시켜 주게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되는 오일의 공급압력에 의해 오일유입구(32)가 개방되면 상기 오일유입구를 통해 흐르는 오일이 브라켓(31)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엘리먼트(50)를 거치면서 오일내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게 되는 것이며, 이물질이 걸러준 순수한 오일은 오일배출관(33)을 통해 엔진으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얇은 두께의 여과지를 재질로 하여 원통형으로 말려진 엘리먼트(50)의 내주연에 합성수지를 재질로 한 보빈(60)이 위치하고 있어 일정기간 사용에 따라 엘리먼트(50)에 흡착되더라도 오일로 인하여 엘리먼트(50)의 형체가 변형되지 않는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유입구를 개폐시켜 주는 오일개폐요소가 오 일유입구를 관통하는 상태로 하여 탄성요소에 의해 탄지되도록 하여 상기 탄성요소의 탄성압력과 오일개폐요소의 자중에 의해 오일유입구를 긴밀히 밀폐시켜 주도록 하고있어 오랜 기간 동안 사용하더라도 오일개폐요소가 오일유입구를 긴밀하게 밀폐시켜 줌에 따라 오일이 역류 되는 오동작이 발생 되지 않아 엔진의 치명적이 손상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엘리먼트의 내주연에 합성수지를 재질로 하는 보빈을 갖추어 주므로서, 얇은 두께를 갖고 있는 여과지를 재질로 하는 엘리먼트에 오일이 흡수되더라도 엘리먼트의 형체가 변형되는 일이 없어 오일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걸러줄수 있게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저면이 개방되는 상태로 내부가 중공상태를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시켜 하단 내주연의 단턱에 걸쳐지는 원형판상의 브라켓 외주연에 오일유입구를 갖추고, 상기 브라켓의 중앙에 오일배출관을 갖춘 오일흐름요소와;
    상기 오일유입구를 관통시켜 탄성요소에 의해 탄지된 상태에서 유입되는 오일의 유입압력에 의해 개폐되면서 오일의 흐름을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하는 오일개폐요소와;
    상기 오일흐름요소가 끼워지도록 원통형을 갖는 보빈을 갖추고, 상기 보빈의 외주연에 절첩되는 상태로 감싸져 상,하면에 가스켓이 갖추어진 상태에서 오일에 함유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엘리먼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휠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개폐요소는 오일유입구를 개폐시켜 줄수 있도록 패킹을 갖춘 밀폐요소를 갖추고, 상기 밀폐요소의 저면에 결합핀에 결합된 받침편을 갖는 작동관을 갖추며, 상기 작동관의 외주연에 감싸지는 상태로 하여 브라켓의 저면과 받침편에 각각 탄지되는 탄성요소로 갖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휠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먼트의 상,하면에 부착되는 가스켓을 엘리먼트와 동일한 재질인 부직포로 형성하고, 상기 가스켓의 내측단부를 보빈의 내주면에 접지되도록 절곡시켜 보빈과의 기밀을 유지할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휠터.
KR1020050023442A 2005-03-22 2005-03-22 오일휠터 KR200601018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42A KR20060101886A (ko) 2005-03-22 2005-03-22 오일휠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442A KR20060101886A (ko) 2005-03-22 2005-03-22 오일휠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886A true KR20060101886A (ko) 2006-09-27

Family

ID=3763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442A KR20060101886A (ko) 2005-03-22 2005-03-22 오일휠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18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2212B2 (ja) メディアを通してベントされるベント式液体フィルタ
US8551375B2 (en) Filter element
US7563300B2 (en) Air cleaner
JP5133420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及びフィルタシステム
EP1792646B1 (en) Fluid filt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09078269A (ja) 燃料フィルタダイバータ
EP2207610A1 (de) Filterelement für flüssigkeitsfilter und flüssigkeitsfilter
JP2010527768A (ja) 安全機能がついた流体ろ過装置および方法
US20220106933A1 (en) Tank device
US10486096B2 (en) Axial flow air filter element
JP2004160348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機構、流体フィルタに使用されるドレン用冶具並びに流体フィルタのドレン方法
US20190321758A1 (en) Filter device and filtration device
GB1583736A (en) Fluid filter assembly
KR20160019551A (ko) 다이어프램 밸브
JP7426042B2 (ja) フィルタ、フィルタ装置
KR20060101886A (ko) 오일휠터
JP2008280897A (ja) 流体フィルタ及びそのドレン用弁体
JP2004255310A (ja) フィルタ
JP2009539581A (ja) ろ過方法及びろ過装置
US6120683A (en) Filter with shut-off valve
US10201771B2 (en) Gasket having an integral drain
US11541334B2 (en) Integral filter endcap, mold, and seal
US20050133433A1 (en) Sealing mechanism and filter cartridge with improved sealing mechanism
CN106999839B (zh) 干燥剂筒
KR102075015B1 (ko) 에어 브리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