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1637A -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1637A
KR20060101637A KR1020050023150A KR20050023150A KR20060101637A KR 20060101637 A KR20060101637 A KR 20060101637A KR 1020050023150 A KR1020050023150 A KR 1020050023150A KR 20050023150 A KR20050023150 A KR 20050023150A KR 20060101637 A KR20060101637 A KR 20060101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housing
cam
hinge cam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537B1 (ko
Inventor
박명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3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53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1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with incorporated means for positioning inserts, e.g.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42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oulding surface, e.g. ribs or grooves
    • B29C33/424Moulding surfaces provided with means for marking or patter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힌지 캠들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힌지 캠들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구성함으로써, 플립 또는 폴더가 개방되는 동작에는 일반적인 힌지 장치와 같이 개방된 각도에 따라 다시 폐쇄되는 방향 또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면서, 단말기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이 멈출 수 있는 프리 스톱(free stop) 기능을 갖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개방 시에 일반적인 플립 또는 폴더를 개방시키는 동작과 동일하게 단말기를 개방시키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를 임의의 각도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단말기, 힌지, 프리 스톱, 힌지 캠, 탄성 수단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HINGE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1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2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3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4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5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힌지 샤프트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가 개방될 때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2 내지 도 14는 휴대용 단말기가 폐쇄될 때 도 1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힌지 하우징의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는 측면도,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힌지 하우징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2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3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도 15에 도시된 힌지 장치의 제4 힌지 캠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하우징을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임의의 각도에서 회동을 멈추게 할 수 있는 힌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와 다른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전기통신 기능을 제공하는 통신기기로서,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휴대하고 다니면서 음성 통화, 단문 메시지, 멀티미디어 서비스, 엔터테인먼트 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설치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와 같이 하나의 하우징에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 등을 설치하고서 키패드와 같은 데이터 입력 장 치를 개폐시키는 플립 커버가 부착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접철 가능하게 구성되면서 송화부, 수화부, 데이터 입출력 장치들을 한 쌍의 하우징 각각에 적절하게 분산 배치한 폴더형 단말기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사용자들의 취향이 다양해지면서, 슬라이딩형, 팝업형, 스윙형 단말기들이 등장하여 상용화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들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플립형 또는 폴더형 단말기들은 본체 하우징에 플립 또는 다른 하우징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하여 힌지 장치를 구비한다. 이러한 힌지 장치는 플립 또는 다른 하우징이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한 각도에 따라 다시 본체 하우징으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또는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힌지 장치들은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특허 허여된 국내특허 제296,038호(2001. 5. 7; 미국특허 제6,292,980호) 등에 다양하게 개시되고 있다.
한편, 이동통신 서비스가 동영상 파일, 화상 촬영 및 전송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 영역으로 확대되면서 본체 하우징에 대한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힌지 장치들은 플립 또는 폴더 등 본체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구성요소들을 개폐시키는 구동력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그 각도를 다양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수단은 미비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하우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면서, 한 쌍의 하우징이 개방동작을 할 때 일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에서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하고, 다시 폐쇄되는 동작에서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동을 멈출 수 있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힌지 캠;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힌지 캠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힌지 캠;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2 힌지 캠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힌지 캠;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힌지 캠과 제2 힌지 캠, 제2 힌지 캠과 제3 힌지 캠이 각각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힌지 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제2, 제3 힌지 캠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제3 힌지 캠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힌지 캠은 상기 제1 힌지 캠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를 개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도 1에 도시된 힌지 하우징(109)이 생략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 조립된 상태의 구성요소들만 개시되고 있음에 유의한다.
상기 힌지 장치(100)는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에 힌지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제1 하우징은 키패드, 송화부 등이 설치되고 단말기 메인보드가 내장된 본체 하우징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키패드 등을 개폐시키는 플립 또는 폴더 하우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더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은 플립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 디스플레이 장치가 설치되는 경우 상기 제2 하우징은 폴더 하우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도시되지는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장치(100)를 이용하여 플립형 또는 폴더형 단말기를 구성하는 것은 본 출원인에게 특허 허여된 국내특허 제296,038호를 통해서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100)는 제1, 제2, 제3, 제4, 제5 힌지 캠(101, 102, 103, 104, 105), 탄성 수단(106) 및 힌지 샤프트(107)를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 조립되어 하나의 모듈 형태를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하나의 모듈 형태로 구성된 상기 힌지 장치(100)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 중 제2 하우징에 수용되어 이들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게 된다.
도 3을 더 참조하면, 상기 제1 힌지 캠(101)은 일단에 제1 산형부(111)와 제1 골형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샤프트 홀(11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샤프트 홀(115)은 그 내벽의 적어도 일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원형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제1 산형부(111)와 제1 골형부(113)는 각각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대칭을 이루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캠(101)은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 4를 더 참조하면,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회전할 뿐만 아니라, 직선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홀(128)이 형성된 실린더 형상으로 그의 일단에는 상기 제1 산형부(111), 제1 골형부(113)에 상응하는 제2 산형부(121)와 제2 골형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102)이 각각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됨에 따라,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함께 회전하거나 또는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2 힌지 캠(102)의 타단에는 락킹 홈(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 홈(125)은 일측이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락킹 면(126)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은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제1 캠 면(12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 홈(125)은 상기 제2 힌지 캠(102)의 타단에 한 쌍이 형성된 구성이며, 상기 힌지축(A)에 대하여 서로 대칭을 이루게 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3 힌지 캠(103)은 상기 제2 힌지 캠(102)의 타단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직선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3 힌지 캠(103)의 일단에는 상기 제2 힌지 캠(102)의 락킹 홈(125)에 상응하는 락킹 돌기(1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락킹 돌기(131)의 일측면은 상기 락킹 홈(125)과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제1 락킹 면(126)과 밀착되는 제2 락킹 면(132)으로, 그의 타측면은 상기 제1 캠 면(127)과 밀착되는 제2 캠 면(13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3 힌지 캠(103)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 로 관통하게 형성된 관통홀(133)을 구비한다.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하우징이 회동하면, 상기 힌지 하우징(109), 제3 힌지 캠(103)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락킹 면(126)과 제2 락킹 면(132)이 서로 맞물려 상기 제3 힌지 캠(103)은 상기 제2 힌지 캠(102)을 회전시키게 된다. 반대로, 상기 제2 하우징이 다시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1 캠 면(127)과 제2 캠 면(133)이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25)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는 도 9 내지 도 14를 통해 더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힌지 캠(101)에 대하여 상기 제2 힌지 캠(102)이 회전하면, 상기 산형부들(111, 121)과 골형부들(113, 123)이 이탈되어 상기 제2 힌지 캠(102)이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힌지 캠(102)에 대하여 상기 제3 힌지 캠(103)이 회전하면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25)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제3 힌지 캠(103)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4 힌지 캠(104)은 그의 일단에 적어도 하나의 스토퍼 돌기(14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샤프트 홀(143)을 구비한다. 상기 제4 힌지 캠(104)은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직선이동 및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4 힌지 캠(104)에 형성된 샤프트 홀(143)은 상기 제1 힌지 캠(101)에 형성된 샤프트 홀(115)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5 힌지 캠(105)은 상기 제4 힌지 캠(104)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힌지 하우징(109) 일단 내측에 고정된 상태로 결합된다. 상기 제5 힌지 캠(105)의 일단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141)에 상응하는 스토퍼 홈(15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스토퍼 돌기(141)와 스토퍼 홈(151)은 상기 제4 힌지 캠(104)이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360도 회전함에 따라 1회 맞물리는 구성이다. 상기 제5 힌지 캠(105)은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된 관통홀(153)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힌지 캠(103)과 제5 힌지 캠(105)의 외주면에는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하여 결합 돌기(139, 159)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 하우징(109) 내에서 회전 가능한 힌지 캠은 상기 제1, 제2 및 제4 힌지 캠(101, 102, 104)으로 설정된다.
상기 탄성 수단(106)은 상기 제3 힌지 캠(103)과 제4 힌지 캠(104) 사이에 개재된다. 즉, 상기 탄성 수단(106)의 일단은 상기 제3 힌지 캠(103)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제4 힌지 캠(104)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 수단(106)의 탄성력은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102), 상기 제2 힌지 캠(102)과 제3 힌지 캠(103), 상기 제4 힌지 캠(104)과 제5 힌지 캠(105)이 각각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 수단(106)의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102) 각각에 형성된 산형부들(111, 121)과 골형부들(113, 123)이 서로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이들이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 다. 이러한 회전력은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107)는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샤프트(171)와, 상기 샤프트(171)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 돌기(173)를 구비한다. 상기 샤프트(171)의 외주면은 적어도 일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힌지 캠(101) 및 제4 힌지 캠(104)에 각각 형성된 샤프트 홀(115, 143)의 형상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 캠(101), 제4 힌지 캠(104) 및 힌지 샤프트(107)는 상기 힌지축(A)에 대한 회전이 상호 구속된 상태이다. 반면에, 상기 제2, 제3 힌지 캠(102, 103)은 상기 힌지 샤프트(107)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이다. 상기 샤프트(171)는 상기 제1, 제2, 제3 힌지 캠(101, 102, 103), 탄성 수단(106), 제4 힌지 캠(10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고, 그의 단부는 상기 제5 힌지 캠(105)의 관통홀(153)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5 힌지 캠(105)의 관통홀(153) 내에 상기 샤프트(171)의 단부가 위치되더라도, 상기 제5 힌지 캠(105)은 상기 샤프트(171)에 대하여 회전 자유롭게 됨에 유의한다.
상기 힌지 샤프트(107)가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상기 힌지 하우징(109)에 조립되면, 상기 힌지 돌기(173)는 상기 힌지 하우징(109)의 일단에 형성된 힌지 홀(191)을 통해 돌출된다. 상기 힌지 장치(100)가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과 결합되면, 상기 힌지 돌기(173)는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샤프트(107), 제1 힌지 캠(101), 제4 힌지 캠(104)은 상 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기 제3 힌지 캠(103), 제5 힌지 캠(105)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의 관점에서 보면, 상기 힌지 샤프트(107), 제1 힌지 캠(101), 제4 힌지 캠(104)은 상기 제2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3 힌지 캠(103), 제5 힌지 캠(105)은 상기 제1 하우징에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제1, 제2 하우징 중 선택된 어느 한 하우징 상에서 회전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기 힌지 장치(100)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 내지 도 14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탄성 수단(106)과 힌지 하우징(109)이 도시되지 않고 있음에 유의한다.
도 9 내지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가 개방될 때, 즉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힌지 장치(10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하우징이 고정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작에서 상기 힌지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밀착되어 서로 폐쇄된 상태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형부들(111, 121)과 골형부들(113, 123), 상기 락킹 홈(125)과 락킹 돌기(131), 상기 스토퍼 돌기(141)와 스토퍼 홈(151)이 서로 맞물린 상태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제2 하우징이 90도 회전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힌지 하우징(109), 제3 힌지 캠(103), 제5 힌지 캠(105)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 힌지 캠(102)의 제1 락킹 면(126)이 상기 제3 힌지 캠(103)의 제2 락킹 면(132)에 구속되어, 상기 제2 힌지 캠(102)도 상기 제3 힌지 캠(103)과 함께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제3 힌지 캠(103)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 힌지 캠(102)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산형부들(111, 121)과 골형부들(113, 123)은 서로 이탈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최초 상태로부터 90도 회전한 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산형부(111)의 최고점과 제2 산형부(121)의 최고점이 서로 대면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이 최초 상태로부터 90도 미만의 각도만큼 회전한 상태에서는 상기 산형부들(111, 113)과 골형부들(113, 123)이 구성하는 곡면 형상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은 다시 최초 상태로 되돌아 가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제공받게 된다. 이는, 상기 탄성 수단(106)의 탄성력과 상기 제1, 제2 힌지 캠(101, 102)의 캠 선도의 구성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하우징이 최초 상태로부터 90도를 초과하여 회동한 때 상기 힌지 장치(100)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 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최초 상태로부터 90도를 초과하여 회동한 때 제공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제2 하우징은 최초 상태로부터 180도까지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5 힌지 캠(105)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홈(151)으로부터 상기 스토퍼 돌기(141)가 이탈된다. 즉, 상기 제4 힌지 캠(104)은 상기 힌지 샤프트(107) 상에서 직선 이동한다. 또한, 상기 스토퍼 돌기(141)와 스토퍼 홈(151)은 상기 제5 힌지 캠(105)이 360도 회전할 때 1회 서로 맞물리게 구성되므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동안 서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2 내지 도 14는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180도로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힌지 장치(100)의 동작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제2 힌지 캠(102)과 제3 힌지 캠(103) 각각에 형성된 제1 캠 면(127)과 제2 캠 면(133)이 서로 미끄럼 접촉하면서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25)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102)은 서로 맞물려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3 힌지 캠(103)과 제5 힌지 캠(105)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에는 상기 제1 락킹 면(126)과 제2 락킹 면(132)이 서로 간섭되어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제3 힌지 캠(103)과 함께 회전하지만,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때에는 상기 락킹 돌기(131)가 상기 락킹 홈(125)으로부터 이탈되고 상기 제2 힌지 캠(102)은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함께 고정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산형부들(111, 121)과 골형부들(113, 123) 사이의 경사도보다 상기 제1, 제2 캠 면(127, 133)의 경사도가 더 완만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2 힌지 캠(102)의 타단의 면은 상기 락킹 홈(125)을 제외한 부분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락킹 돌기(131)의 단부가 미끄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에는 상기 힌지 장치(100)의 구동력이 발생되지 않아 임의의 각도에서 상기 제2 하우징의 회동이 멈출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힌지 장치(100)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으로부터 제2 하우징이 멀어지게 회동하는 동안에는 일반적인 힌지 장치와 같이 회전력을 제공하게 구성되지만, 제2 하우징이 다시 제2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에 회동을 멈출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다시 밀착되는 때, 상기 제4 힌지 캠(104)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고정되고 상기 제5 힌지 캠(105)이 상대적인 회전을 함에 따라 상기 스토퍼 돌기(141)가 상기 스토퍼 홈(151)에 다시 맞물리게 된다.
도 15와 도 16은 각각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는 힌지 하우징(209)에 가이드 홈(293)을 형성하여 그 내부에서 일부 힌지 캠들의 직선 왕복운동을 안정시키게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200)와 선행 실시 예에 따른 힌지 장치(100)를 비교해 보면, 힌지 하우징(209)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293)과 제2, 제3, 제4 힌지 캠(202, 203, 204)에 각각 가이드 돌기(229, 239, 249)가 형성된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각 힌지 캠(101, 202, 203, 204, 105)들 간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원활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캠면에 존재하는 모서리 등을 곡면으로 처리한 점에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선행 실시 예의 구성요소들의 배열이 본 실시 예에 동일하게 이루어지며, 그 동작에 있어서는 다소 차이가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것은 선행 실시 예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음에 유의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힌지 하우징(209)은 외주면에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가이드부(291)가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291)는 그 내측면, 즉 상기 힌지 하우징(209)의 내주면에 상기 힌지축(A) 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가이드 홈(293)을 형성하기 위한 두께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 홈(293)은 상기 제2, 제3, 제4 힌지 캠(202, 203, 204)이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회전하는 것을 제한하면서 그들의 직선 운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 상의 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가이드 홈(293)은 한 쌍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상기 힌지 하우징(209)의 단부에 위치되는 제1 힌지 캠(101)과 대면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직선 운동하거나,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함께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외주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293)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들(22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가이드 돌기(229)가 상기 가이드 홈(293)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직선 운동만 가능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229)가 상기 가이드 홈(293)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회전도 가능하게 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제3 힌지 캠(203)은 상기 제2 힌지 캠(202)과 대면한 상태로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상기 제3 힌지 캠(203)과 제2 힌지 캠(202) 사이에는 락킹 홈(225)과 락킹 돌기(23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상기 제3 힌지 캠(203)에 구속되거나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락킹 돌기(231)와 락킹 홈(225)의 구성에 따른 상기 제2 힌지 캠(202)과 제3 힌지 캠(203)의 동작은 선행 실시 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선행 실시 예에서는 제4 힌지 캠(104)이 힌지 하우징(109)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었으나,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4 힌지 캠(204)의 외주면에 가 이드 돌기(249)가 형성되어 상기 제4 힌지 캠(204)은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하고, 상기 제5 힌지 캠(105)이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었다.
상기 제3 힌지 캠(203)과 제4 힌지 캠(204) 사이에는 탄성 수단(106; 도 16에 도시됨)이 개재되어 상기 제3 힌지 캠(203)과 제4 힌지 캠(204)에 각각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1 내지 제5 힌지 캠(101, 202, 203, 204, 105) 및 탄성 수단(106)이 상기 힌지 하우징(209)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캠(101)으로부터 제5 힌지 캠(105)을 순차적으로 관통한 힌지 샤프트(107)는 상기 힌지 하우징(209)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힌지 하우징(209)의 외부로 돌출된 상기 힌지 샤프트(107)의 외주면에는 이-링(E-ring)(295)이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 내지 제5 힌지 캠(101, 202, 203, 204, 105) 및 탄성 수단(106)이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 완전히 수용된다.
상기 힌지 샤프트(107)는 그의 힌지 돌기(173)에 힌지 더미(175)가 결합된 상태로 단말기의 제1 하우징에 고정된다. 상기 힌지 더미(175)에는 상기 힌지 돌기(173)가 결합되는 더미 홀(17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5 힌지 캠(101, 202, 203, 204, 105)은 각각 상기 힌지 샤프트(107)가 지나는 관통홀(228, 235, 2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5 힌지 캠(101, 105)은 상기 힌지 샤프트(107) 상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제3, 제4 힌지 캠(202, 203, 204)은 상기 힌지 샤프트(107) 상에 회전 가능함과 동시에 직선 운동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200)는 선행 실시 예를 통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힌지 장치(200)의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상기 힌지 샤프트(107)와 함께 상기 제1 힌지 캠(101), 제5 힌지 캠(105)이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회전하면서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산형부(111)는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골형부(223)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때, 상기 락킹 돌기(231)와 락킹 홈(225)이 서로 맞물려,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상기 제3 힌지 캠(203)에 구속된 상태이다.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산형부(111)가 점차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산형부(221)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상기 제3 힌지 캠(203)과 함께 상기 힌지 하우징(209)의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상기 제3 힌지 캠(203)과 함께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로 후퇴하면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가이드 돌기(229)가 상기 가이드 홈(293)과 맞물려 상기 제2 힌지 캠(202)은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의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제5 힌지 캠(105)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4 힌지 캠(204)은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직선 운동하여 상기 제3 힌지 캠(203)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캠(101)이 더 회전하여,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산형부(111)가 다시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골형부(223)에 근접하면, 상기 제2 힌지 캠 (202)은 상기 제1 힌지 캠(101)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상기 제1 힌지 캠(101) 방향으로 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가이드 돌기(229)는 상기 가이드 홈(293)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상기 힌지 하우징(209) 내에서 회전하여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산형부(111)와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골형부(223)가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는 상기 탄성 수단(106)의 탄성력이 상기 제1, 제2, 제3 힌지 캠들(101, 202, 203)의 캠면이 밀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가이드 돌기(229)가 상기 가이드 홈(293)으로부터 이탈되면, 상기 제1 힌지 캠(101)의 산형부(111)와 제2 힌지 캠(202)의 골형부(223)가 서로 맞물리는 방향으로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회전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폴더형 또는 플립형 단말기에 상기 힌지 장치(200)가 적용되고 단말기의 폴더 또는 플립이 본체로부터 회동하여 160도 정도까지 개방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가이드 돌기(229)가 상기 가이드 홈(293)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은 상기 폴더 또는 플립이 본체로부터 대략 150도 이상 개방된 때이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는 앞서 언급된 제1 하우징을 의미하고, 상기 폴더 또는 플립은 제2 하우징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상기 가이드 홈(293)으로부터 이탈하면서 상기 제2 힌지 캠(202)이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락킹 홈(225)과 락킹 돌기(231)의 락킹 상태가 해제되며, 상기 락킹 돌기(231)가 상기 제2 힌지 캠(202)의 단부 면에 접촉된 상태로 마찰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락킹 돌기(231)와 락킹 홈(225)이 다 시 맞물릴 때까지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202)은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209)에 대한 회전을 멈출수 있게 된다.
상기 제1 힌지 캠(101)은 단말기의 제1 하우징 측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 하우징(209)은 단말기의 제2 하우징 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 캠(101)과 제2 힌지 캠(202)이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힌지 하우징(209)에 대한 회전을 멈출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개방된 상태의 제2 하우징이 다시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에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동이 멈출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는 플립 또는 폴더가 개방되는 동작에는 일반적인 힌지 장치와 같이 개방된 각도에 따라 다시 폐쇄되는 방향 또는 개방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면서, 단말기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다시 폐쇄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각도에서 회전이 멈출 수 있는 프리 스톱(free stop) 기능을 갖게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단말기 개방 시에 일반적인 플립 또는 폴더를 개방시키는 동작과 동일하게 단말기를 개방시키면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단말기의 플립 또는 폴더를 임의의 각도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한 장점이 있다.

Claims (15)

  1.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한 상태로 멀어지거나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2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고 상기 제1 하우징에 고정된 제1 힌지 캠;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1 힌지 캠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힌지 캠;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2 힌지 캠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힌지 캠; 및
    상기 제2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1 힌지 캠과 제2 힌지 캠, 제2 힌지 캠과 제3 힌지 캠이 각각 서로 밀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힌지 캠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제2, 제3 힌지 캠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제3 힌지 캠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힌지 캠은 상기 제1 힌지 캠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 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캠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산형부와 제1 골형부; 및
    상기 제2 힌지 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산형부, 제1 골형부에 상응하는 제2 산형부와 제2 골형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 캠의 타단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락킹 홈; 및
    상기 제3 힌지 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락킹 홈에 상응하는 형상의 락킹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락킹 돌기의 일측은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된 락킹 면으로 형성되고, 타측은 상기 힌지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연장된 캠 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3 힌지 캠이 상기 제2 힌지 캠에 대하여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캠 면이 상기 락킹 홈의 내벽과 미끄럼 접촉하여 상기 락킹 돌기가 상기 락킹 홈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캠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 캠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샤프트의 일단에 상기 제1 힌지 캠의 타단에 지지되고 상기 제2 하우징에 고정되는 힌지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3 힌지 캠은 각각 상기 힌지 샤프트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1 힌지 캠과 함께 상기 제2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4 힌지 캠; 및
    상기 제4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고정된 제5 힌지 캠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수단의 일단은 상기 제3 힌지 캠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4 힌지 캠에 지지되어 상기 제4 힌지 캠과 제5 힌지 캠이 서로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힌지 캠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상기 제1 힌지 캠에 고정 결합되는 힌지 샤프트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4 힌지 캠은 상기 힌지 샤프트 상에서 직선이동 가능하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힌지 캠의 일단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돌기; 및
    상기 제5 힌지 캠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 돌기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퍼 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 돌기와 스토퍼 홈이 서로 맞물림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의 일면에 적어도 키패드, 송화부가 설치된 본체이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키패드를 개폐시키는 플립이며,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플립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그의 일면에 적어도 키패드, 송화부가 설치된 본체이고,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키패드를 개폐시키는 폴더이며,
    상기 힌지 장치는 상기 폴더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1.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제3 힌지 캠 및 탄성 수단을 수용하고, 일단으로 상기 힌지 돌기를 돌출시키는 힌지 하우징을 더 구비하고,
    상기 힌지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에 수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그의 내주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과, 상기 제2 힌지 캠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제2 힌지 캠이 상기 힌지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함에 따라 상기 가이드 홈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동하는 때 상기 가이드 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 힌지 캠이 상기 제2 하우징과 함께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때 상기 가이드 돌기는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이탈하여 상기 제2 힌지 캠은 상기 제1 힌지 캠과 맞물려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그의 내주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3 힌지 캠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3 힌지 캠은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수용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제4 힌지 캠; 및
    상기 제4 힌지 캠에 대면한 상태로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수용된 제5 힌지 캠을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 수단의 일단은 상기 제3 힌지 캠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4 힌지 캠에 지지되어 상기 제4 힌지 캠과 제5 힌지 캠이 서로 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하우징은 그의 내주면에 상기 제2 하우징의 힌지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4 힌지 캠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맞물리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제4 힌지 캠은 상기 힌지 하우징 내에서 직선 왕복운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20050023150A 2005-03-21 2005-03-2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89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150A KR100689537B1 (ko) 2005-03-21 2005-03-2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150A KR100689537B1 (ko) 2005-03-21 2005-03-2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637A true KR20060101637A (ko) 2006-09-26
KR100689537B1 KR100689537B1 (ko) 2007-03-02

Family

ID=37632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150A KR100689537B1 (ko) 2005-03-21 2005-03-21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5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59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224A1 (ko) * 2021-06-16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064A (ko) * 2002-10-18 2004-04-29 (주) 프렉코 휴대폰 힌지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0859A1 (ko) * 2020-10-16 2022-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힌지 구조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2265224A1 (ko) * 2021-06-16 2022-12-2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537B1 (ko) 200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035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KR10065149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US7450979B2 (en) Sliding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KR100463777B1 (ko) 바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및 그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US7440783B2 (en) Dual axis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0842529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3722780B2 (ja) マルチアングルヒンジカムを設けた携帯用端末機のヒンジ装置
EP1507388A1 (en) Foldable mobile phone with one touch opening function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KR100547740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 형 힌지 모듈
KR100547726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 폴더의 회전 멈춤 장치
US899607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multiple-hinges
KR1006895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49318B1 (ko) 힌지 장치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058715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66944B1 (ko) 휴대단말기용 팝업형 카메라장치
KR100678058B1 (ko) 힌지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0703152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단말기
KR100810277B1 (ko) 듀얼 연결부재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그의 힌지 장치
KR100790076B1 (ko) 휴대 단말기의 회전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듀얼 힌지장치, 스윙형 휴대 단말기
KR10067824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6403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084252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138539B1 (ko) 휴대 단말기의 힌지 장치
KR101084535B1 (ko) 가로보기 폴더형 휴대폰의 2클릭 힌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