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637A - Block to form stairway in reve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Block to form stairway in reve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60100637A KR20060100637A KR1020050022329A KR20050022329A KR20060100637A KR 20060100637 A KR20060100637 A KR 20060100637A KR 1020050022329 A KR1020050022329 A KR 1020050022329A KR 20050022329 A KR20050022329 A KR 20050022329A KR 20060100637 A KR20060100637 A KR 200601006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lock
- main shaft
- shaft portion
- retaining wall
- stai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29 fi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87 stabiliz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Vegetative propaga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70—Artificial fishing banks or reef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aleontology (AREA)
- Zoolog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otan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하상 옹벽에 계단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으로의 접근성을 높이는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이 개시된다.Disclosed are a step block for a bed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provide access to a river by forming a step in the bed retaining wall.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계단블록은 직육면(直六面)을 갖는 주축부(主軸部)(10); 및 상기 주축부(10)의 정면(10f)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면(20t)과 저면(20b)은 각각 상기 주축부(10)의 상면(10t)과 저면(10b)에 상접되는 종축부(縱軸部)(2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air bloc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haft portion (主軸 部) (10) having a rectilinear surface; And a longitudinal axis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10f of the main shaft portion 10, the upper surface 20t and the bottom surface 20b being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10t and the bottom surface 10b of the main shaft portion 10 ( 20 部 20;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하상, 옹벽, 블록(block), 축조, 계단. Riverbed, retaining wall, block, construction, stairs.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계단블록을 보이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block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속하는 식생블록의 일 예를 보이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vegetation block belong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직벽형 옹벽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aight wall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계단형(경사형) 옹벽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4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ped (tilt)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식생블록을 나타내는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vegetation block of FIG.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계단블록을 보이는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bloc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옹벽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7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면에 따른 계단형(경사형) 옹벽을 보이는 부분 사시도.8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ped (tilt) retaining wall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종래의 계단식 호안블록을 보이는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epped relief block.
도 10은 종래의 다른 호안용 계단블록을 보이는 사시도.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conventional revetment stair block.
**** 도면의 주요 부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00: 계단블록 10: 주축부100: stair block 10: main shaft
20: 종축부 29: 디딤단20: longitudinal section 29: stepping
200: 식생블록 290: 식생홈200: vegetation block 290: vegetation home
310,320,330,340 : 옹벽310,320,330,340: retaining wall
1: 등록실용신안 제260417호,1: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60417,
2: 등록실용신안 제344594호,2: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44594,
3: 등록실용신안 제336702호, 등.3: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36702, etc.
본 발명은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block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하상 옹벽에 계단을 형성하여 하상의 인접 법면 또는 경사면으로부터 하천으로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p block for a bed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form a staircase on a bed retaining wall to improve access to a stream from an adjacent normal or inclined surface of the bed.
하천 등의 인접 법면이나 경사면에는 그 하천수나 빗물에 의해 토사가 유실되거나 하천수가 범람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옹벽이 구축된다. 이 옹벽은 주로 토사 등을 적층하여 제방과 하천을 분리하거나 또는 장소나 목적에 따라 석축 또는 콘크리트 블록을 축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즉, 통상적인 호안 옹벽공법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설치하거나, 돌을 축조하여 석축(石築)을 형성하거나, 또는 하상 옹벽용 블록을 축조하면서 동시에 콘크리트를 적절히 타설하는 방법을 취한다.Retaining walls are construct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at soil is lost or flooded by river water or rainwater on the adjacent law surface or slope. The retaining wall is mainly formed by stacking soil and the like to separate the dike and the river, or to build a stone or concrete block according to the place or purpose. In other words, the conventional revetment wall retaining method is to install a concrete structure, to build a stone to form a stone (mason), or to build a block for the bottom retaining wall, and at the same time take a method of properly placing concrete.
그러나 일반적인 호안 옹벽은 하천의 인접 법면에 직벽형으로 구축된다. 즉, 통상적으로 법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옹벽은 제방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고 있으므로 제방으로부터 호안에 접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However, the general shor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in the form of a straight wall on the adjacent surface of the river. That is, since the retaining wall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embankment in the state normally installed on the surface, it is not easy to approach a lake from a dike.
도 9에 도시된 등록실용신안 제260417호는 좌상계단(1), 좌하계단(2) 및 우상계단(3), 우하계단(4)으로 계단을 구성하되, 그 사이에는 2개의 맞물림 구간(5)(5′)을 형성하고, 각 수직면(6)은 천연 암벽형의 요철면으로 구성되는 계단식 호안블록을 제안한다. 여기서, 도 9의 미설명 도면부호 “7”은 결속공이며, 도 x에 명시된 도면부호들은 도 9의 기술구성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다른 도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The utility model No. 260417 shown in FIG. 9 constitutes a staircase with an upper left staircase (1), a lower left staircase (2) and an upper right staircase (3), and a lower right staircase (4), with two interlocking sections (5) between them. (5 '), and each vertical surface (6) proposes a stepped revetment block consisting of a natural rock-shaped uneven surface. Here, the unexplained reference numeral “7” in FIG. 9 is a binding hole, and the reference numerals specified in FIG. X refer only to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FIG. 9 and do not affect other drawings.
그러나 이 호안블록은 그 형상의 특이성으로 인하여 축조 시공이 다소 복잡하고 어렵다. 또한, 경사면에만 시공이 가능하므로 호안 접근성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직벽형으로는 축조될 수 없다.However, the construction of this revetment block is somewhat complicated and difficult due to its specificity. In addition, since the construction is possible only on the inclined surface can be secured access to the lake, but can not be built in a straight wall.
다른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344594호의 호안용 계단블록이 도 10에 도시되었다. 이 계단블록은 양 측방연부에 절취홈(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상으로 배치되도록 각각 형성된 바닥부(11)와; 상기 바닥부(11)의 전방연부로부터 수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전면부(12)와; 상기 각 절취홈(11a)의 내부에 고리부(21)가 노출되도록 상기 바닥부(11)에 매립 설치된 연결고리(20);로써 이루어지는 호안용 계단블록을 개시한다. 여기서, 도 8의 미설명 도면부호 “11b”은 배수공, “13”은 지지벽, “13a”는 걸림턱, “22”는 앵커부, “101”은 기초잡석, “102”는 기초콘크리트, “103”은 부직포, “105”는 제방, “106”은 샤클, “109”는 법면을 각각 지칭하며, 도 8에 명시된 부호들은 도 8의 기술구성만을 지칭하는 것으로, 다른 도면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Another stabilizing step stair block of the prior art Utility Model No. 344594 is shown in FIG. The stair block has a
그러나 이 등록실용신안 제344594호의 블록은 위 등록실용신안 제260417호의 블록보다 그 형상이 더 복잡하다. 또한, 채택되는 기술구성도 과다하여 비용면에서 불리하고, 이에 따라 시공성이 낮고 잔 작업을 많이 필요로 하여 시공 기간도 길어진다.However, the block of the Utility Model No. 344594 is more complicated in shape than the block of the Utility Model No. 260417. In addition, the technical configuration employed is also excessively dis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thus the construction time is low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due to a large amount of work required.
한편, 다른 종래기술로서, 도시되지 아니한 등록실용신안 제336702호는 생태 호안에 있어서 양측방이 개방되어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 계단형 틀체, 상기 내부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계단 각층의 전면수직판에 형성되는 이동통로, 이동통로를 따라 전면수직판에 체결되며 띠형으로 된 지지매체를 고정하고 있는 다수의 브라켓, 상기 계단형 틀체의 내부 공간부에 공극을 형성하며 채워지는 채움부재를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as another prior art, registered utility model No. 336702, which is not shown in the ecological lake, is open on both sides of the staircase frame formed with the inner space portion, the movement is formed on the front vertical plate of each floor to communicate with the inner space por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lurality of brackets fastened to the front vertical plate along the passage, the moving passage and holding the band-shaped support medium, the filling member is formed to form a gap in the inner space of the stepped frame body; .
그러나 이 생태 호안은 옹벽을 이루는 것이 아니다. 즉, 틀체 자체를 계단형으로 적층하는 것일 뿐이고, 옹벽의 높이가 높아질수록 최하단을 이루는 틀체의 수량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므로, 따라서 과도한 제반 비용을 필요로 한다.But this ecological retreat is not a retaining wall. That is, only the frame itself is stacked in a stepped shape, and as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ncreases, the quantity of the frame forming the lowest end increases exponentially, thus requiring excessive overall costs.
이와 같은 종래의 여러 호안 공법은 여러 다양한 실시 예를 제안하고 있으나, 하천으로의 높은 접근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있고, 그 변형 실시되는 예에 따라 부수적인 문제점을 수반한다.While many conventional embodiments of the above-described revetment method suggest various embodiments, high access to rivers is not secured and accompanying problems are accompanied according to the modified example.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종래의 기술로는 해결하기 곤란하였거나 불가능하였던 여러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various problems that have been difficult or impossible to solve by the prior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광의적인 과제는 주지, 공지되지 않아 전혀 새롭 거나 또는 공지, 공용의 것에 비하여 보다 적은 구성으로도 향상된 효과를 얻는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an effort to provide a step block for a riverbed retaining wall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which are not known and are not known at all.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콘크리트 옹벽과 같이 구조적으로 안정적이면서 생태계를 보존하고, 직벽형/경사형 공히 적용 가능하며, 특히 인간과 동물들이 하천에 보다 쉽게 접근하게 함으로써 종래의 하상 옹벽용 블록이 갖는 낮은 접근성을 높일 수 있는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 및 그 축조 방법을 구현하는 것이다.The specific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ructurally stable, such as a concrete retaining wall, and preserves the ecosystem, and can be applied to both the straight wall and the slope type, and in particular, has a conventional river retaining wall block by making humans and animals more easily accessible to the river. It is to implement a step block for the riverbed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increase the low accessibility.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된 목적에 한정되지 아니하는바, 언급되지 아니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아래에 기재된 내용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object,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are clearly to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can be understood.
위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기술구성을 채택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following technical configuration.
본 발명에 따른 하상 옹벽용 계단블록은 직육면(直六面)을 갖는 주축부(主軸部); 및 상기 주축부의 정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은 각각 상기 주축부의 상면과 저면에 상접되는 종축부(縱軸部);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air block for riverbed retaining w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shaft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a longitudinal axis portion extending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shaft portion,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being respectively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shaft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본 발명은 상기 종축부의 어느 한 측상부(惻上部)가 하향으로 함몰되어 상기 종축부에 형성된 디딤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epping step formed in the longitudinal axis portion by recessing one side portion of the longitudinal axis portion downward.
한정적으로, 상기 주축부는, 어느 한 측면에는 내측으로 함몰된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한 측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끼움부가 형성된 것이 특징이다.In one embodiment, the main shaft portion has a fitting groove recessed inwardly on one side thereof, and a fitting portion protruding outwardly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reof.
또한, 상기 주축부는, 상면에 내측으로 인입되는 요홈이 형성되고, 저면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철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in shaf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oove is formed in the upper surface is drawn inward,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with a convex portion protruding outward.
본 발명은 상기 주축부에 그 상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난간공이 천공된 것이 다른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alustrade hole connecting the upper surface and the bottom surface is drilled in the main shaft portion.
본 발명의 하상 옹벽 축조 방법은, 1) 직육면(直六面)을 갖는 주축부(主軸部)와, 상기 주축부의 정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면과 저면은 각각 상기 주축부의 상면과 저면에 상접되는 종축부(縱軸部)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계단블록을 하안의 하상에 설치하고 상기 계단블록의 좌, 우측으로 식생블록을 결합 설치하는 단계; 2) 상기 설치된 계단블록의 주축부의 상면 중앙부에 다른 계단블록의 주축부의 측하부가 위치되도록 계단블록을 적층하는 단계; 3) 상기 적층된 계단블록의 좌, 우측으로 식생블록을 결합하여 적층하는 단계; 4) 상기 적층된 계단블록의 주축부의 상면 중앙부에 또다른 계단블록의 주축부의 측하부가 위치되도록 계단블록을 적층하는 단계; 및 5) 상기 3)단계 및 4)단계를 순차적으로 반복 실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lower be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1) a main shaft portion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urface and an extension from a front surface of the main shaft portion, and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thereof are in contact with an upper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the main shaft portion, respectively. Installing a staircase block including a longitudinal axis portion (縱軸 部) to be provided on a lower side of a lower eye and combining and installing vegetation blocks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aircase block; 2) stacking the stair block so that the side lower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of the other stair block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haft portion of the installed stair block; 3) combining and stacking vegetation block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stacked step blocks; 4) stacking the stair block such that the side lower portion of the main shaft portion of another stair block is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shaft portion of the stacked stair block; And 5) repeating steps 3) and 4) sequentially.
본 발명은 상기 1)단계 이전에, 최하단의 계단블록 및 식생블록이 위치되는 하상을 정지(整地)하고 그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before step 1), stopping the lower bed on which the lowermost staircase block and the vegetation block are positioned and pouring the foundation concrete thereon to cure.
한정적으로, 상기 3)단계와 4)단계 사이에, 상기 설치된 계단블록 및 식생블록의 배면 전방으로 골재를 충진하는 뒷채움 단계;가 추가될 수 있다.Limited, between the step 3) and step 4), the back filling step of filling the aggregate in front of the back of the installed stair block and vegetation block; may be added.
상기 2)단계는, 상단의 계단블록이 그 하단의 계단블록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후퇴하여 계단형으로 축조되는 것이 다른 특징이다.Step 2)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block of the upper step is retracted from the front to the rear step block with respect to the step block of the bottom is constructed in a step shape.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본 발명을 이루는 각 부를 지칭하기 위하여 제시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본 발명이 속한 업계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각 부를 이루는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도 1 내지 도 8을 걸쳐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erms used to refer to each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customs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he same code | symbol is used for the same component which comprises each part of this invention as much as possible through FIGS.
본 발명이 제시하는 계단블록(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축부(主軸部)(10)와 종축부(縱軸部)(2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위 주축부(10)는 대략 직육면체(直六面體)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위 주축부(10)는 직육면(直六面)을 갖는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위 주축부(20)는 가로 방향 길이가 세로방향 폭에 비하여 길다.The
또한, 주축부(10)의 어느 한 측면(10l)과 다른 한 측면(10r)에는 각각 끼움홈(11)과 끼움부(12)가 형성된다. 끼움홈(11)은 주축부(10)의 측면(10l)에서 내향(內向)으로 함몰됨으로써 형성되며, 끼움부(12)는 주축부(10)의 다른 측면(10r)에서 외향(外向)으로 돌출됨으로써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위 끼움홈(11)은 인입 깊이가 위 끼움부의 돌출 높이와 같다. 그리고 위 끼움홈(11)과 끼움부(12)는 일정한 단면을 갖는다. 도시된 실시 예는, 각각 위 끼움홈(11)은 주축부(10)의 좌측면(10l)에, 위 끼움부(12)는 주축부(10)의 우측면(10r)에 형성되었음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각각 주축부(10)의 좌측면(10l)에 끼움부가, 그리고 주축부(10)의 우측면(10r)에 끼움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위 끼움홈(11)과 끼움부(12)는 각각 식생블록(200)을 계단블록(100)에 더욱 확고하게 결합하기 위한 것이다.The upper
그리고 주축부의 상면(10t)에는 요홈(13)이 내측으로 인입 형성되며, 저면(10b)에는 외측으로 철부(14)가 돌출 형성된다. 이 요홈(13)과 철부(14)는 옹벽 축조시 철부(14)가 요홈(13)에 끼움됨으로써 블록들(100,200)이 더욱 확고하게 결합되도록 이루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종축부(縱軸部)(20)는 주축부(10)의 정면(10f)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이 종축부(20)는 그 상면(20t)이 위 주축부(10)의 상면(10t)과 상접된다. 또한, 종축부(20)의 저면(20b)과 일 측면(20l)은 위 주축부(10)의 저면(10b)과 일 측면(10l)에 상접된다.The
그리고 도시된 실시 예는, 종축부(20)의 좌측면(20l)이 주축부(10)의 좌측면(10l)과 상접됨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와 반대로 종축부(20)의 우측면(20r)이 주축부(10)의 우측면(10r)에 상접되도록 계단블록(100)을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hows that the left surface 20l of the
위 종축부(20)는 대략 직육면체(直六面體)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디딤단(29)이 형성된다. 이 디딤단(29)은 종축부(20)의 좌측면(20l)과 상면(20t)이 만나는 모 주변에서 상면(20t)이 하향으로 인입(함몰)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종축부(20)의 횡단면은 전체적으로 일정한 “┛”형상을 갖는다.The
이와 유사하게, 종축부(20)의 우측면(20r)이 주축부(10)의 우측면(10r)에 상접되도록 형성되면, 위 디딤단(29)은 종축부(20)의 우측에 형성될 것이며, 이때 종 축부(20)의 횡단면은 “┗”형상으로 형성될 것이다.Similarly, if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계단블록(100)은 종래의 블록에 비하여 비교적 단순한 형상을 가지므로, 제조(대량 생산)가 쉽고 취급이 용이하여 시공성도 높아진다.Since the
이하 계단을 갖는 본 고안의 하상 옹벽 축조 방법을 살펴본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structing a bed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staircase will be described.
먼저, 블록(100,200) 축조 전에 옹벽이 위치될 하상(河床)을 정지(整地)작업한다. 이 정지된 하상면 위에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일정 기간 동안 양생하여 평활한 기초면을 얻는다.First, before constructing the
다음으로, 이 기초면 상부에 옹벽의 최하단을 형성하기 위한 블록(100,200)들을 배열 설치한다.Next, the
구체적으로, 먼저 계단블록(100)을 위치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종축부(20)가 하천(400)측을 향하도록 한다. 그 이유는 디딤단(29)이 형성된 종축부(20)가 호안 법면, 즉 제방측을 향하면 뒷채움 공정에 의해 디딤단(29)이 지면 내부로 매립되기 때문이다.Specifically, first, the
계속하여, 계단블록(100)의 양 측면에 식생블록(200)을 결합한다.Subsequently, the
이 식생블록(200)의 양 측면에는 각각 계단블록(100)의 끼움홈(11) 및 끼움부(12)에 대응하는 끼움부(212) 및 끼움홈(211)이 형성되어 있다. 식생블록(200)의 끼움홈(211) 및 끼움부(212)를 계단블록(100)의 끼움부(12) 및 끼움홈(11)에 끼워 맞춰 양 블록(100,200)을 상호 확고하게 결합한다. 동일한 방법으로, 양 식생블럭(200)의 좌, 우측면으로 동일한 다른 식생블록(200)을 결합한다.Both sides of the
여기서, 위 식생블록(200)의 형상을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 식생블록(200)의 상면에는 요홈(213)이 격자형으로 인입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식생블록(200)의 저면에는 선형 철부(214)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위 철부(214)는 위 요홈(213)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된 것이다.Here, the shape of the
그리고 식생블록(200)의 양 측면에는 식생홈(290)이 형성된다. 위 식생홈(290)은 바람직하게는 반 원통 형상을 이루지만, 다른 형상인 사각, 육각, 팔각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식생홈(29)은 전고후저(前高後低) 형상으로서, 선단부가 후단부에 비하여 높다. 그리고 식생홈(290)은 정면에서 배면을 향하여 점차 단면적이 감소되거나 또는 그 반대인 테이퍼(tapperd)형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위 식생홈(290)은 후면 단면적이 전면 단면적에 비하여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 이유는 식생홈(290)의 전면이 넓고 후면이 좁으면 전면으로 토사 유출이 많아지고 초본류의 뿌리가 제방 법면 내부로 착근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경우에는 초본류가 식생홈(290)의 전면을 통하여 생장하기 곤란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식생홈(290)의 단면을 적절하게 형성하도록 한다. And
식생블록(200)의 양 측면에는 식생홈(290)과 병행하여 끼움홈(211)과 끼움부(212)가 형성된다. 위 끼움부(212)는 끼움홈(211)에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홈(290)의 형성이 우선하여 끼움홈(211) 및 끼움부(212)는 일부가 식생홈(290)에 의해 단절되어 있다.Both sides of the
또한, 식생블록(200)의 배면에는 법면과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수개의 마찰홈(215)이 인입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식생블록(200)의 양 측면에 형성된 식생홈(290)은 어류 등의 이동공간, 서식 공간, 피난공간, 산란공간 등으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두 식생홈(290)은 하나의 일체된 식생홀(291)을 형성하게 된다(도 8). 이 식생홀(291)은 초본류(500)의 생장 공간으로 이용되는데, 식생홀(291)을 통하여 초본류(500)의 뿌리가 제방에 착근된다. 식생홀(291)은 어소(魚所) 공간으로써 이용될 수 있으며, 이 식생홀(291)을 통하여 생장한 수중식물에 의하여 어초(魚礁)가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계속하여, 옹벽의 최하단 블록들(100,200)이 설치되면, 이 블록들(100,200)의 후면과 법면 사이에 굵은 골재 및 잔 골재를 충진하여 뒷채움함으로써 옹벽의 축조된 상태를 안정화한다.On the other hand, if the lowermost blocks (100,200) of the retaining wall is installed, by filling the thick aggregate and fine aggregate between the rear surface and the normal surface of the blocks (100,200) to stabilize the built state of the retaining wall.
그리고 최하단의 계단블록(100)의 상단에 동일한 다른 계단블록(100)을 적층한다. 이때, 상단에 위치되는 계단블록(100)을 측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적층한다. 즉, 하단에 위치되는 계단블록(100)의 주축부(10)의 상면(10t) 중앙부에, 상단에 위치되는 계단블록(100)의 주축부(10)의 측하부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는 하단 계단블록(100)의 디딤단(29)과 상단 계단블록(100)의 디딤단(29)으로써 계단을 형성하기 위함이다.And the
이렇게 계단블록(100)을 축조한 후, 위 기술한 바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양측으로 식생블록(200)을 결합하여 옹벽의 2번째 단을 축조하고, 이 블록들(100,200)의 후면과 인접 법면 사이에 굵은 골재 및 잔 골재를 충진한다.After constructing the
이상과 같은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 회 반복 실시하여 도 3과 같은 하상 옹벽(310)을 완성한다. 이 옹벽(310)은 블록들(100,200)이 수직하게 적층되어 하상 옹벽(310)이 직벽형으로 축조된다.By repeating the above steps several times sequentially, the
블록(100,200) 축조시, 상단 블록(100,200)을 그 하단 블록(100,200)에 비하여 배면 방향으로 약간 후퇴시켜 적층하면 도 4와 같은 계단형(경사형) 옹벽(320)을 구축할 수 있다. 즉, 상단 계단블록(100)은 하단 계단블록(100)에 비하여 측방향으로 약간 이동되어 적층되는데, 주축부(10)의 배면(10rr) 방향으로도 약간 거리를 이격시켜 적층 할 수 있다. 이때 식생블록(200)의 요홈(213)도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으로부터 배면 방향으로 약간 이격되어 형성된다. 이와 동일하게, 계단블록(100)의 요홈(13) 또한 주축부(10)의 배면(10rr) 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Wh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면에 따른 계단블록을 보이는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p block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 도시된 계단블록(100)은 위 계단블록(100)과 동일하나, 주축부(10)가 서로 대면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된 것이 다른 점이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도 1의 실시 예에서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예컨대 도 3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간(600)을 형성하기 위하여 계단블록(100)은 주축부(10)에 그 상면과 저면을 연결하는 난간공(10h)이 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디딤단(29)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하여 넌슬립(non-slip)(10n)이 형성될 수 있다.The
이와 같은 계단블록(100)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곡부를 갖는 옹벽(330)을 축조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된 옹벽(330)은 계단블록(100)이 옹벽(330)으로부터 일정 거리만큼 인입되어 있어 하천수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즉, 도 3의 계단블록(100)은 하천수의 유동에 대하여 일종의 저항으로 작용할 수 있는데, 도 7과 같이 옹벽(330)을 일부가 법면측으로 인입되도록 축조하면 계단블록 (100)이 하천수의 유동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Such a
또한, 도 6의 블록을 이용하여 도 8과 같은 경사형(계단형) 옹벽(340)을 축조할 수 있다. 이러한 옹벽(340) 축조 예는 도 4에 도시된 옹벽 축조 예와 동일하다.In addition, the inclined (stepped) retaining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계단블록(100)과 이를 이용한 옹벽(310,320,330,340) 축조 방법이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 예로써 제시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된 기술적 사상 및 그 구성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이므로, 이러한 변형된 실시 예들도 본 발명에 귀속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과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하상 옹벽에 계단을 형성함으로써 하천으로의 접근성을 높인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above configuration improves access to the river by forming a step on the river retaining wall.
또한, 비교적 간단한 구성과 방법으로 하상 옹벽에 계단을 형성할 수 있으며, 직벽형 및 경사형 축조 모두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orm a staircase on the riverbed retaining wall with a relatively simple configuration and method, and both a straight wall type and an inclined structure can be used.
Claims (9)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2329A KR100701484B1 (en) | 2005-03-17 | 2005-03-17 | Block to form stairway in reve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22329A KR100701484B1 (en) | 2005-03-17 | 2005-03-17 | Block to form stairway in reve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100637A true KR20060100637A (en) | 2006-09-21 |
KR100701484B1 KR100701484B1 (en) | 2007-03-29 |
Family
ID=37632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22329A KR100701484B1 (en) | 2005-03-17 | 2005-03-17 | Block to form stairway in reve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0148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0136A (en) * | 2018-08-16 | 2020-02-26 | 서정수 | Panel |
KR102630066B1 (en) * | 2023-09-25 | 2024-01-30 | 주식회사 하이콘텍 |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eco-friendly energy generation that provides safety and ease of maintenan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4854B1 (en) | 2018-07-19 | 2020-12-23 | 김성채 | waterway structure with ecology moving passage using transformation wall block |
KR102194853B1 (en) | 2018-07-19 | 2020-12-23 | 김성채 | waterway structure using wall block with ecology moving passage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3919B1 (en) * | 2004-02-13 | 2004-06-09 |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 block |
KR200378431Y1 (en) * | 2004-12-31 | 2005-03-14 | 황성민 | A retaining wall-block for vegetation |
-
2005
- 2005-03-17 KR KR1020050022329A patent/KR100701484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20136A (en) * | 2018-08-16 | 2020-02-26 | 서정수 | Panel |
KR102630066B1 (en) * | 2023-09-25 | 2024-01-30 | 주식회사 하이콘텍 | Retaining wall structure for eco-friendly energy generation that provides safety and ease of maintenan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01484B1 (en) | 2007-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4514227B (en) | The spatial intersecting mutually-embedded ecological building block retaining wall system on a kind of variable slop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701484B1 (en) | Block to form stairway in reve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2011144615A (en) | Assembly vegetation block compatible with environment | |
CN210104786U (en) | Road shoulder retaining component capable of greening | |
KR100538186B1 (en) | Greening vegetation block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 |
CN110306588B (en) | Panel module unit for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
KR100978807B1 (en) | Fabricated stair block | |
CN215330002U (en) | Ecological building block reaches ecological building block wainscot structure who contains it | |
CN212078004U (en) | Retaining wall | |
KR20060060639A (en) | Canal block for pro-circumstance | |
JP4190534B2 (en) | Taxiway building block | |
KR102107751B1 (en) | Construction Method Using Planting Block | |
KR20060112129A (en) | The block for the river bed protection,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is | |
KR100720928B1 (en) | Prefabricated prevet construction | |
KR100465828B1 (en) | Retaining wall block | |
KR100663257B1 (en) | A block for a retaining wall | |
KR100626325B1 (en) | concrete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tilizing the same | |
KR102194854B1 (en) | waterway structure with ecology moving passage using transformation wall block | |
CN102995657B (en) | Ecological retaining wall with embedded building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 |
KR20150015195A (en) | Plantable block | |
KR200283005Y1 (en) | Synthetic plate concrete block structure preventing fall of road's slope | |
KR102194853B1 (en) | waterway structure using wall block with ecology moving passage | |
KR20090084568A (en) | A wall engineering works construction concrete block structure | |
KR200371373Y1 (en) |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 |
KR101701796B1 (en) | Friendly eco drainage canal block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