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538A -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 Google Patents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538A
KR20060100538A KR1020050022118A KR20050022118A KR20060100538A KR 20060100538 A KR20060100538 A KR 20060100538A KR 1020050022118 A KR1020050022118 A KR 1020050022118A KR 20050022118 A KR20050022118 A KR 20050022118A KR 20060100538 A KR20060100538 A KR 20060100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guide plate
discharge roller
inflow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일
Original Assignee
한국사무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사무자동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사무자동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2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538A/ko
Publication of KR20060100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5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2Dip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0Pump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47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재질이 크기와 상관없이 계수할 수 있도록 하는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인 계수기는 본체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적층한 후 계수하는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층판;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이동경로가 직선궤적을 이루어 상기 대상물이 이동 중 굽혀지지 않도록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판; 상기 적층판에 접하는 상기 안내판의 일측인 입구부에 장착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한 장씩 이송하는 다수개의 유입롤러; 상기 안내판의 타측인 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롤러; 및 상기 안내판을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에 접하도록 상기 안내판 형성부 주위에 장착되어 대상물을 계수하고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롤러의 제어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감지센서로 구성됨으로써, 계수하고자하는 대상물이 직선궤적을 따라 이송되어 크기 및 재질에 상관없이 계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계수기, 안내판, 유입롤러, 배출롤러, 감지센서

Description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COUNTER AND COU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 구조의 계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계수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수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계수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로써
도 6은 계수기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7은 대상물의 계수가 완료되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0 : 적층판
120 : 안내판 130 : 유입롤러
140 : 배출롤러 150 : 감지센서
본 발명은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나 재질에 상관없이 계수할 수 있도록 대상물이 직선 궤적을 따라 이송시키는 안내판과 다수개의 감지센서가 구비된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수기라 함은 지폐를 자동으로 계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로서 보통 현금을 많이 취급하는 금융기관, 매표소, 약국 및 물류센터 등에서 주로 사용한다. 이와 같은 일반적인 계수기는 지정된 장소에서 사용되므로 상용전원을 그 공급전원으로 지폐전용 계수인 경우에는 위폐를 식별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되기도 하고 그 계수되는 종류에 따른 기타 기능들이 추가 설치되어 더욱 전문화된 계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지폐를 개수하는 계수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수기는 후술하는 권종 식별 및 제어수단으로부터 표시신호를 받아서 계수된 지폐의 갯수를 표시함과 동시에 기준 권종과 다른 이권종의 지폐 및 위조 지폐가 상기 권종 식별 및 제어수단에 의해 식별되었을 경우 권종이 다른 상태 및 위조 지폐 검출을 표시하도록 하우징(4)의 전면에 표시수단(2)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지폐를 누적하여 합산하라는 누적 합산 명령, 지폐 계수 동작에 에러 발생시 지폐를 방출시키라는 지폐 방출 명령, 기타 지폐의 계수에 필요한 조작 명령 및 사용자가 계수의 목표로 하는 목표 계수값을 후술하는 권종 식별 및 제어수단에 입력하도록 상기 하우징(4)의 전면에 상기 표시수단(2) 형성부와 이웃하도록 키 입력 수단(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4)의 상단부인 윗면에는 계수할 지폐를 삽입할 수 있도록 로딩 위치에서 지지하는 제1 지폐 지지대(8)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4)의 하단부 전면에는 계수가 완료된 지폐를 사용자가 취할 수 있도록 로딩 위치에서 지지하는 제2 지폐 지지대(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의 육면체 형상을 갖으며 그 전면부는 사용자가 상기 표시 수단(2) 및 키 입력 수단(6)을 편리하게 이용하도록 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 지폐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계수기의 제1 지폐 지지대(8)에 계수하고자 하는 지폐를 적층시키고 키 입력 수단(6)을 눌러 작동시키면 제1 지폐 지지대(8)에 적층되었던 지폐가 하우징(4)의 내부로 인입되면서 카운팅이 시작됨과 동시에 위폐 여부를 판별한 후, 제2 지폐 지지대(10)로 유출시킴과 동시에 계수된 지폐의 량을 상기 표시 수단(2)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 구조로 이루어진 계수기는 상기 제1 지폐 지지대(8)의 크기가 지폐의 크기에 맞도록 그 폭이 설정되어 지폐와 크기가 다른 티켓이나 명함 등을 계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으며, 지폐와 같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상기 하우징(4)의 내부에서 구부러지며 그 굴곡을 이루는 이동경로를 따라 제2 지폐 지지대(10) 까지 이동이 가능하나, 딱딱한 재질로 이루어진 전화카드 및 신용카드 등은 계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크기와 재질이 다른 지 폐, 티켓, 카드 등을 모두 계수할 수 있는 계수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계수기는 본체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적층한 후 계수하는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층판;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이동경로가 직선궤적을 이루어 상기 대상물이 이동 중 굽혀지지 않도록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판; 상기 적층판에 접하는 상기 안내판의 일측인 입구부에 장착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한 장씩 이송하는 다수개의 유입롤러; 상기 안내판의 타측인 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롤러; 및 상기 안내판을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에 접하도록 상기 안내판 형성부 주위에 장착되어 대상물을 계수하고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롤러의 제어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감지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계수기는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제1모터를 작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모터에 연결된 제1유입롤러가 회전되어 대상물을 상기 안내판의 입구부에 유입시키는 제2단계; 상기 대상물이 낱장으로 유입되고 굽혀지지 않는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되지 않는 제3유입롤러와 회전되는 제2유입롤러 사이로 통과시키고 상기 안내판을 따라 상기 배출롤러 장착부까지 이동시키는 제3단계; 유입되는 대상물을 계수함과 동시에 투과율로 대상물이 낱장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 롤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감지센서가 작동되어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단계; 상기 배출롤러에 대상물이 접하게 되면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안내판에서 배출될 때까지 상기 제1모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계수 중에 또 다른 대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감지센서가 유입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5단계; 및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배출롤러 및 제2배출롤러 사이로 계수가 완료된 대상물이 통과하여 상기 안내판 외부로 배출되는 제6단계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대상물의 크기 및 재질에 상관없이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계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계수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계수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B-B"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계수기의 작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상태도로써 도 6은 계수기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인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고, 도 7은 대상물의 계수가 완료되어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2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계수기는 상판(101a) 및 하판(101b)이 소정의 설치공간을 형성하도록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본체(100)의 외주면에 상측커버(102) 및 하측커버(103)가 씌워져 구성되고,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계수에 필요한 조작 명령 및 사용자가 계수의 목표로 하고자 하는 계수값을 제어수단에 입력하는 키 입력수단(미도시)과 계수된 지폐의 량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 수단(104)이 상기 상측커버(102)의 상측면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일측면에는 계수가 완료된 대상물이 쌓이는 지지대(105)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는 상기 본체(100)의 상판(101a)에 관통되고 폭방향으로 연장된 슬라이딩홈(10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층판(110)과, 상기 적층판(110)의 일측 끝단에 연결되어 대상물이 직선궤적을 따라 이동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세워져 연장된 각각의 안내판(120)과, 상기 안내판(120)의 입구부측, 즉 상기 적층판(110)과 접하는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적층판(110)에 적층된 대상물을 상기 안내판(120) 사이로 인입시키는 다수개의 유입롤러(130)와,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판(120)을 통해 안내되는 대상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롤러(140)와, 상기 안내판(120)을 통해 안내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제어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감지센서(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적층판(110)은 본체(100)의 상판(101a)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대상물을 지지하는 수직판부(111)와, 상기 수직판부(111)와 직각을 이루며 상기 본체(110)의 상판(101a) 위에 얹어지는 수평판부(112)와, 상기 수평판부(112)의 양측면에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본체(100)의 상판(101a)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06)에 삽입되고, 삽입된 그 끝단부에는 상기 상판(101a)에 형성된 가이드레일(107)을 따라 이송되도록 가이드롤러(114)가 다수개 장착된 가이드부(113)와, 그 일측은 상기 가이드부(113)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본체(100)에 고정되어 상기 적층판(110)을 잡아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1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안내판(120)은 상기 적층판(110)의 연장선상을 따라 직선궤적을 이루는 이동경로가 형성되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각각 상기 상판(101a)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세워져 대상물이 인입되는 입구부측과 대상물이 배출되는 출구부측을 이룬다.
상기 유입롤러(130)는 상기 본체(100)의 설치공간에 장착된 제1 모터(136)의 구동풀리(136a)와 벨트(136b)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유입풀리(131a)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120)의 입구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유입축(131b)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판(120)의 입구부에 접하는 제1유입롤러(131)와, 상기 제1 모터(13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유입풀리(132a)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유입축(131b)의 장착위치에서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측으로 이웃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유입축(132b)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판(120)의 입구부에 접하는 제2유입롤러(132)와, 상기 제2유입롤러(132)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2유입축(132b)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3유입축(133b)의 타측에 장착된 제3유입롤러(133)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3유입롤러(133)의 제3유입축(133b)은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탄성복귀력을 갖으며 회동축(13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판(13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3유입롤러(133)와 제2유입롤러(132) 사이로 다양한 두께의 대상물이 통과하더라도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제3유입롤러(133)는 단방향 베어링(137)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 반대방향으로만 회전된다.
상기 배출롤러(140)는 상기 본체(100)의 설치공간에 장착된 제2 모터(146)의 구동풀리(146a)와 벨트(146b)로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1배출풀리(141a)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 측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1배출축(141b)의 타측에 장착되어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에 접하는 제1배출롤러(141)와, 상기 제1배출롤러(141)와 맞물리도록 상기 제1배출축(141b)과 대응되는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제2배출축(142b)의 타측에 장착된 제2토출롤러(14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토출롤러(142)의 제2토출축(142b)은 토션스프링이 장착되어 탄성복귀력을 갖으며 회동축(14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회동판(145)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제1토출롤러(141)와 제2토출롤러(142) 사이로 다양한 두께의 대상물이 통과하더라도 항상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모터(146)의 회전축 상에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의 홀이 원형을 이루도록 배열된 카운터 슬릿(147)이 장착된다.
상기 감지센서(150)는 상기 적층판(110) 형성부에 장착되어 상기 적층판(110)에 적층된 대상물의 유무를 판단하여 상기 제1모터(136)의 구동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감지센서(151)와, 상기 안내판(120)에서 상기 유입롤러(130)와 배출롤러(140) 사이에 장착되어 대상물을 계수하며 상기 제1모터(136) 및 제2모터(146)의 제어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감지센서(152)와, 상기 배출롤러(140)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롤러(140)까지 이송된 대상물의 유무를 감지하여 상기 제1모터(136)의 제어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감지센서(153)와, 상기 제2모터(146)에 장착된 카운터 슬릿(147)의 홀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대상물을 한 장 이송시키는 동안 상기 카운터 슬릿이 회전되는 회전각도를 측정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감지센서(15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계수기가 작동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적층판(110)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적층시킨 후, 키 입력수단을 눌러 작동을 지시하면 상기 제1 감지센서(151)가 상기 적층판(110)에 적층된 대상물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면 그 신호에 의해 상기 제1모터(136)가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는 제1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136)가 회전함에 따라 벨트(136b)로 연결된 제1유입롤러(131)가 회전하면서 상기 적층판(110)에 적층된 대상물이 한 장씩 안내판(120)의 입구부에 유입되는 제2단계가 진행된 후, 상기 대상물이 상기 벨트(136b)에 연결되어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제2유입롤러(132)와 회전하지 않는 제3유입롤러(133) 사이를 통과하면서 대상물이 겹쳐지지 않은 낱장 상태로 출구부 방향으로 상기 배출롤러(140) 장착부까지 이동시키는 제3단계가 진행된다.
그리고, 상기 제2유입롤러(132)를 지나 상기 배출롤러(140)까지 이동되기 전에 이동되는 대상물을 계수함과 동시에 그 투과율로 대상물이 낱장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낱자인 경우에만 동작이 계속해서 이루어지도록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단계가 진행된다.
상기 제4단계에서 계수가 완료된 대상물이 제2모터(146)의 회전축과 벨트(146)로 연결되어 회전하는 제1배출롤러(141)와 제2배출롤러(142) 사이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3감지센서(153)가 대상물을 감지하고 검출신호를 발생시켜 대상물이 상기 제3감지센서(153)에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제1모터(136)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킴으로써, 인입된 대상물이 안내판(120)의 외부로 배출되기 전에 또 다른 대상물이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5단계가 진행된다.
제 5단계에서 제1모터(136)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제1배출롤러(141)와 제2배출롤러(142)의 회전에 의해 계수가 완료된 대상물이 상기 안내판(120)의 출구부 밖으로 배출되어 지지되는 제6단계가 진행된다.
상기와 같이 제 6단계까지 진행되어 대상물 낱장의 계수가 완료되면 다시 상기 제1단계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진행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상기 적층판(110)에 적층된 대상물의 계수가 완료된 후, 상기 제1감지센서(151)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더 이상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1모터(136)가 일정 각도만큼 역회전하면서 상기 제2유입롤러(132)에 접촉된 제3유입롤러(133)가 일정각도만큼 역회전하게되어 제3유입롤러(133)의 편마모를 방지하는 제3유입롤러 역회전단계가 실시된다. 그리고, 상기 제1모터(136) 및 제2모터(146)의 회전이 멈추게 됨과 동시에 대상물의 계수량을 상기 표시수단(104)에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이를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상기 유입롤러(130)에 의해 유입된 후, 계수가 완료되고 배출롤러(140)를 지나 배출되는 동안 상기 제2모터(146)에 장착된 카운터 슬릿(147)의 회전량을 상기 제4감지센서(154)가 감지하여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대상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속도 조절단계가 추가적으로 실시된다. 즉, 대상물이 길이가 길어 대상물이 상기 배출롤러(140)에 접촉된 후, 배출될 때까지 상기 카운터 슬릿(147)의 회전량이 많게 되면 상기 제2모터(146) 및 제1모터(136)의 회전속도를 높여 이송이 빨리 이루어지도록 하고, 대상물의 길이가 짧아 대상물이 상기 배출롤러(140)에 접촉된 후, 배출될 때까지 상기 카운터 슬릿(147)의 회전량이 적게 되면 상기 제2모터(146) 및 제1모터(136)의 회전속도를 대상물의 길이가 긴 경우보다 낮추어 이송이 천천히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은 계수하고자하는 대상물이 직선궤적을 따라 이송되며 계수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직선경로를 형성하는 안내판(120)이 형성됨으로써,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에 관계없이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적층판(110) 위에 대상물이 얹혀진 상태가 되며 대상물이 적층된 후 차례로 상기 유입롤러(130)에 의해 안내판(120)으로 안내될 때, 상기 대상물이 다른 부품들간의 마찰을 저감하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계수하고자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제1모터(136) 및 제2모터(146)의 회전속도를 조절하여 계수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은 계수 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직선궤적을 따라 이동되며 다수개의 감지센서에 의해 계수되는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지폐, 티켓, 명함, 전화카드 및 신용카드 등 대상물의 재질이나 크기에 상관없이 계수할 수 있게되어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사용상의 편의가 제공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층판에 대상물이 얹혀진 상태로 이송되어 대상물과 다른 부품간의 마찰을 저감하여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본체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적층한 후 계수하는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층판;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이동경로가 직선궤적을 이루어 상기 대상물이 이동 중 굽혀지지 않도록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판;
    상기 적층판에 접하는 상기 안내판의 일측인 입구부에 장착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한 장씩 이송하는 다수개의 유입롤러;
    상기 안내판의 타측인 출구부에 장착되어 상기 대상물을 배출하는 배출롤러; 및
    상기 안내판을 따라 이동되는 대상물에 접하도록 상기 안내판 형성부 주위에 장착되어 대상물을 계수하고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롤러의 제어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다수개의 감지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롤러는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내판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유입롤러;
    상기 제1유입롤러에 의해 유입된 대상물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유입롤러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제2유입롤러
    상기 제1유입롤러에 의해 유입된 대상물이 한 장씩만 상기 출구부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의 기준으로 상기 제2유입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2유입롤러와 접촉되며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제3유입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유입롤러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터는 대상물의 계수를 완료한 후 일시적으로 역회전하며 상기 제3유입롤러는 단방향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일정각도만큼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롤러는
    제2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내판에 접하도록 장착되는 제1배출롤러; 및
    상기 안내판을 기준으로 상기 l제1배출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배출롤러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접촉되고 상기 제1배출롤러와의 사이로 대상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롤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터에는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그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카운터 슬릿과,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한 장 이송되는 동안 상기 카운터 슬릿이 회전되는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감지센서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유입롤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판 장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유무 판단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감지센서;
    대상물을 계수함과 동시에 대상물의 투과율로 지폐의 낱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롤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롤러와 배출롤러 사이에 장착되어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감지센서; 및
    상기 배출롤러에 대상물이 접하게 되면 상기 유입롤러의 회전을 정지시켜 대상물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롤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롤러 장착부에 이동된 대상물의 유무 판단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감지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판은
    상기 대상물의 일측면에 접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는 수직판부;
    상기 수직판부에 적층되는 대상물이 얹어지도록 상기 수직판부의 일측면에서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수평판부;
    상기 수평판부의 양측면에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을 향해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본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본체에 타측이 고정되어 상기 유입롤러가 형성된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8. 본체에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적층한 후 계수하는 계수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이 적층되는 적층판;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이동경로가 직선궤적을 이루어 상기 대상물이 이동 중 굽혀지지 않도록 상기 대상물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안내판;
    상기 적층판에 접하는 상기 안내판의 일측인 입구부에 장착되어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한 장씩 이송할 수 있도록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 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내판에 접하도록 장착되어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일측면에 접촉되는 제1유입롤러와, 상기 제1유입롤러에 의해 유입된 대상물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측으로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1유입롤러에 인접한 위치에 장착되는 제2유입롤러와, 상기 제1유입롤러에 의해 유입된 대상물이 한 장씩만 상기 출구부 측으로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안내판의 기준으로 상기 제2유입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2유입롤러와 접촉되며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되지 않는 제3유입롤러로 이루어진 유입롤러;
    제2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안내판에 접하도록 장착되는 제1배출롤러와, 상기 안내판을 기준으로 상기 l제1배출롤러와 대응되는 위치에 장착되어 상기 제1배출롤러와 연동되도록 상기 제1배출롤러와 접촉되고 상기 제1배출롤러와의 사이로 대상물을 배출하는 제2배출롤러로 이루어진 배출롤러;
    상기 유입롤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적층판 장착부에 형성되어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의 유무 판단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1감지센서와, 대상물을 계수함과 동시에 대상물의 투과율로 지폐의 낱장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롤러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유입롤러와 배출롤러 사이에 장착되어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2감지센서와, 상기 배출롤러에 대상물이 접하게 되면 상기 유입롤러의 회전을 정지시켜 대상물이 겹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롤러 장착부에 장착되어 상기 배출롤러 장착부에 이동된 대 상물의 유무 판단에 필요한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3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센서; 및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그 이송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모터의 회전축에 장착된 카운터 슬릿과,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한 장 이송되는 동안 상기 카운터 슬릿이 회전되는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감지센서;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센서에 상기 적층판에 적층된 대상물이 감지되면 상기 제1모터를 작동시키는 제1단계;
    상기 제1모터에 연결된 제1유입롤러가 회전되어 대상물을 상기 안내판의 입구부에 유입시키는 제2단계;
    상기 대상물이 낱장으로 유입되고 굽혀지지 않는 상태로 이송될 수 있도록 회전되지 않는 제3유입롤러와 회전되는 제2유입롤러 사이로 통과시키고 상기 안내판을 따라 상기 배출롤러 장착부까지 이동시키는 제3단계;
    유입되는 대상물을 계수함과 동시에 투과율로 대상물이 낱장인지 아닌지를 판단하여 상기 유입롤러 및 배출롤러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제2감지센서가 작동되어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4단계;
    상기 배출롤러에 대상물이 접하게 되면 상기 대상물이 상기 안내판에서 배출 될 때까지 상기 제1모터의 동작을 일시적으로 정지시켜 계수 중에 또 다른 대상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3감지센서가 유입되는 대상물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발생시키는 제5단계;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제1배출롤러 및 제2배출롤러 사이로 계수가 완료된 대상물이 통과하여 상기 안내판 외부로 배출되는 제6단계;
    를 순차적으로 실시하여 대상물의 크기 및 재질에 상관없이 계수하고자 하는 대상물을 계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의 계수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된 대상물의 계수가 모두 완료되면 상기 제3유입롤러의 편마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모터를 일정각도만큼 역회전시켜 상기 제2유입롤러에 접촉된 제3유입롤러를 상기 안내판의 출구부 반대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역회전시키는 제3유입롤러 역회전단계가 추가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수기의 계수방법.
  11. 제 9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계수하고자하는 대상물이 상기 유입롤러에 유입된 후, 계수가 완료되고 배출롤러를 지나 배출되는 동안 상기 제2 모터에 장착된 카운터 슬릿의 회전량을 상기 제4감지센서가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대상물이 이송되는 이송속도를 조절하는 이송속도 조절단계가 추가적으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 수기의 계수방법.
KR1020050022118A 2005-03-17 2005-03-17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KR20060100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118A KR20060100538A (ko) 2005-03-17 2005-03-17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118A KR20060100538A (ko) 2005-03-17 2005-03-17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538A true KR20060100538A (ko) 2006-09-21

Family

ID=37632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118A KR20060100538A (ko) 2005-03-17 2005-03-17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5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6895B1 (ko) 지폐 취급 장치
US7850165B2 (en) Paper sheet storing apparatus
WO1993007588A1 (en) Changing machine having function of judging wear of bill
CN109416859B (zh) 接触式推送器/进给轮实现方式
KR100866290B1 (ko) 매체 처리 장치
CN109416855B (zh) 用于使文件居中对准的对中去偏斜子组件
JP5932447B2 (ja) 紙幣処理装置及び自動取引装置
WO2008050461A1 (fr) Compteur de feuille
US8961275B2 (en) Coin depositing and dispensing machine
JP2007302418A (ja) 媒体集積装置
EP3455833B1 (en) Single continuous belt in an escrow subassembly
US20130319816A1 (en) Pathway selection
KR20060100538A (ko) 계수기 및 계수기의 계수방법
US9981815B2 (en) Transport device
US11542111B2 (en) Center de-skew subassembly to center align documents
JP2019204377A (ja) 厚み検出装置および媒体取引装置
KR100961576B1 (ko) 종이매체 공급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532662B2 (ja) 紙葉類繰出機構および紙葉類処理装置
JP4610295B2 (ja) 自動取引装置
KR101876503B1 (ko) 지폐 계수기의 지폐 걸림 방지구조
JP7465130B2 (ja) 紙葉類処理装置、紙葉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紙葉類処理方法
JP5608814B2 (ja) 紙葉類識別装置
US9384637B2 (en) Picker for use with an automated banking machine
JP2009007113A (ja) 紙葉類繰込繰出装置
KR20060118226A (ko) 계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