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154A -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 Google Patents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154A
KR20060100154A KR1020050021861A KR20050021861A KR20060100154A KR 20060100154 A KR20060100154 A KR 20060100154A KR 1020050021861 A KR1020050021861 A KR 1020050021861A KR 20050021861 A KR20050021861 A KR 20050021861A KR 20060100154 A KR20060100154 A KR 20060100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ocument
server
client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앤케이 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앤케이 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앤케이 코리아
Priority to KR1020050021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154A/ko
Publication of KR20060100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1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5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86Tem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사진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를 삽입하여 다른 이미지를 링크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들에 다른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링크함에 의하여 이미지 스토리를 갖는 이미지 앨범(포토링)을 저작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는 저작도구가 기록된 컴퓨터 장치와, 이 저작도구로 저작된 포토링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서비스 방법은 서비스사측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 저작도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XML로 작성된 포토링 문서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로드받아 서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포토링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포토링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로 구현되되, 상기 저작도구는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링크마크를 삽입시키고 이 링크마크에 다른 이미지를 링크시켜 여러 이미지들이 링크마크들을 통해 마우스 클릭에 따라 이미지가 전환되도록 연결되는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툴(to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인터넷, 웹, 이미지, 사진, 이미지 링크

Description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PHOTORING SERVICE SYSTEM OVER INTERNET AND METHOD THEREOF AND COMPUTER CONTAINING A PHOTORING AUTHORING TOOL}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첨부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며, 도면에서 대응되는 부분을 지정하는 번호는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된 저작도구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포토링 저작도구에 의해 포토링을 저작하는 화면을 캡처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포토링 저작도구에 의해 이미지들이 링크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로 순차적으로 구현되는 화면을 캡처한 이미지들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 의한 포토링 저작등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서 포토링 제공서비스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15는 유료 포토씬을 관람하기 위해 지불시스템이 가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이고,
도 16 및 도 17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일종인 MSN 메신저에 포토링 버튼을 마련하고, 포토링 버튼을 클릭한 경우 포토링 문서창이 팝업되는 것을 보여주는 이미지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클라이언트 110 : 저작도구
120 : 링브라우저 200 : 서버
210 : 데이터베이스서버 220 : 파일서버
230 : XML 해석기 240 : 저작도구 인터페이스
250 : 데이터 추출부 260 : 브라우저 인터페이스
270 : 이미지 캐쉬 메모리 280 : 다운로드서버
본 발명은 인스턴트 메시지 및 웹사이트 등의 웹상에서 연속적으로 링크된 이미지 스토리 앨범을 제작하고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를 삽입하여 다른 이미 지를 링크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들에 다른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링크함에 의하여 이미지 스토리를 갖는 이미지 앨범(이하, 포토링이라 함)을 저작하여 서버에 업로드하는 저작도구가 기록된 컴퓨터 장치와, 이 저작도구로 저작된 포토링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은 소장을 위하여 인화하여 앨범 등에 보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는 많은 양의 사진을 앨범 등에 보관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사진의 종류나 양이 많을 경우에는 분류 및 정리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앨범의 수가 계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보관상에도 많은 문제가 뒤따랐다. 또한, 이와 같이 보관된 사진을 자주 열람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사진의 빛이 바래거나 분실하는 등의 문제도 있었다.
최근에는 디지털 카메라가 급속히 보급되어 대중화됨에 따라, 사진(이미지) 데이터를 저장수단(예컨대, CD 등)에 저장하였다가 퍼스널 컴퓨터(PC)에서 이미지뷰어(image viewer) 프로그램을 통해 사진을 열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방대한 양의 사진 및 앨범을 한 장의 CD에 담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CD 등에 사진을 보관하더라도 열람하기 위해서는 CD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지방이나 외국에서는 CD를 배달받은 후에나 열람이 가능하므로, 먼 곳에서 가족의 사진이나 학교의 친구 등의 사진을 용이하게 열람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으로, 초고속 데이터 통신망의 발달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이용하며, 인터넷을 통하여 여러 가지 유용한 정보를 획득하고 있다. 이렇듯 인터넷의 사용이 일반화되어 인터넷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남에 따라, 최근에는 인터넷 상에서 동호회 또는 커뮤니티 그룹을 형성해 주는 MSN 메신저 등의 인스턴트 메시지(instant message)나 미니 홈피(mini hompy)와 같은 다양한 서비스 및 웹사이트를 통하여 회원(구성원)간에 정보를 교환하거나 의사소통을 하며 친목을 도모하는 일이 빈번해지고 있다. 특히, 최근들어서는 인스턴스 메시지나 미니홈피에 많은 사진들을 올려놓고, 그것을 회원들끼리 돌아가면서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는 그냥 단순히 사진들을 서비스사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올려놓고, 사진을 순서적으로 보여주거나 항목을 클릭하면 하나씩 보여주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따라서, 사용자들에게 재미와 흥미를 유발하지는 못하고, 단순한 이미지의 저장 및 열람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지금까지는 메신저 또는 미니홈피의 화면 일부에 HTML을 사용하여 텍스트나 사진을 단순히 링크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여 사용자의 관심을 끌지 못하고 흥미를 고취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HTML을 이용하여 링크하는 방식은 HTML 페이지 저작툴을 사용하여 이미지에 위치지정을 하여 이미지맵(image map)을 만들어 다른 이미지나 텍스트 문서로 링크를 거는 방식이었다. 이러한 이미지맵의 문제점으로는 이미지상의 좌표값에 의해 다른 이미지나 텍스트 문서를 링크하는 방 식으로 사용자가 HTML 페이지를 제작하거나 수정하기가 매우 불편하였다.
따라서, 웹서버에 사진들을 저장하여 어디에서든지 인터넷을 통하여 사진들을 보여주는 서비스에서 나아가서 누구나 손쉽게 이미지 앨범을 저작하고 인터넷에 올려 열람할 수 있으며, 그에 다른 다양한 서비스를 접목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흥미를 불어일으킬 수 있는 새로운 이미지 제공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제결점들을 해소하고 새로운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사진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를 삽입하여 다른 이미지를 링크하는 방식으로 이미지들에 다른 이미지들을 연속적으로 링크함에 의하여 이미지 스토리를 갖는 이미지 앨범을 손쉽게 저작하여 서버에 업로드하고, 이 업로드된 포토링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제공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포토링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사측 서버 에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 저작도구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XML로 작성된 포토링 문서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로드받아 서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포토링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포토링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도구는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를 삽입시키고 이 링크마크에 다른 이미지를 링크시켜 여러 이미지들이 링크마크들을 통해 마우스 클릭에 따라 이미지가 전환되도록 연결되는 하나의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툴(to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다른 이미지와의 링크를 표시하는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를 적어도 하나이상 삽입하여 다른 이미지와 링크함에 의하여 다수의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포토링 문서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저작도구와, 상기 포토링 문서를 서버로부터 불러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링브라우저를 구비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클라이언트의 저작도구에 의해 생성된 포토링 문서를 해당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저작도구의 요청에 따라 요청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링브라우저의 요청에 따라 해당 포토링 문서를 상기 링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해주는 포토링 서비스사측 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저작도구에서 저작되어 XML 문서로 업로드되는 상 기 포토링 문서를 해석하여 분류하는 XML 해석기; 상기 XML 해석기에 의해 해석되어 분류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서버; 상기 XML 해석기에 의해 해석되어 분류된 포토링 문서구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파일서버 및/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데이터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또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대상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link mark)들을 삽입하는 기능; 상기 링크마크들 각각에 마우스의 클릭시 이동할 연결 이미지들을 링크시키는 기능; 상기 대상 이미지 및 그의 링크마크들에 링크된 연결 이미지들을 하나의 포토링 문서로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포토링 문서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장면을 담은 문서를 포토씬(photoscene) 문서로 정의한다. 또한, 이 포토씬 문서의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링크마크(link mark; 이하, 링(ring)이라 함.)를 하여, 이 링크마크를 마우스로 클릭시 다른 장면(이미지)을 담은 제2포토씬으로 전환되게 링크하고, 제2포토씬에서도 동일하게 링크마크를 삽입하여 제3포토씬과 링크하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링크되는 포토씬 문서들의 집합 을 하나의 포토링 문서로 정의한다. 따라서, 포토링 문서는 2개나 3개 또는 그 이상의 포토씬 문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개수는 저작하는 저작자에 달려 있다. 포토링 문서는 XML 기술을 이용하여 여러개의 포토씬 문서들을 하나의 문서로 통합하여 조직화한다. 이러한 포토씬 문서들은 서버에서 계층적 HTML 문서로 변환되어 클라이언트에 제공되는 데, 이 포토씬 문서들을 디스플레이해주는 브라우저를 링브라우저로 정의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본 시스템은 이미지 스토리(story)를 구현하는 포토링 문서를 저작할 수 있는 저작도구(110)를 구비한다. 이 저작도구(110)는 클라이언트(100)측에 설치되며(install), 보다 구체적으로는 서버(200)측에서 다운로드(download)되어 응용 프로그램 형태로 클라이언트(예컨대, PC;100)에 설치되게 된다. 저작도구(110)로는 액티브엑스 콘트롤(ActiveX control)이 바람직하며, 확장자가 exe나 com을 갖는 단독실행 프로그램(stand-alone application)이 사용될 수도 있다. 저작도구(110)는 다큐먼트(document)/뷰(view) 아키텍처(architecture)를 통해서 구조화되는 포토링 문서를 만드는 툴(tool)로서, 그를 통해 이미지의 특정부분에 다른 이미지를 링크하고, 그 다른 이미지에 또다른 이미지를 링크하여, 이미지의 순차적 연결(전환)을 통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스토리(이야기)를 전개할 수 있게 한다. 이 저작도구(110)에 대한 자세한 사용방법 및 그에 의해 저작된 포토링 문서의 아키텍처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클라이언트(100)측에는 저작도구(110) 이외에도 링브라우저(ring browser; 120)가 설치된다. 이 링브라우저(120)는 통상적으로 운영체제와 함께 설치되는 웹브라우저(web browser)가 사용되며, 대표적으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IE)가 있다. 본 발명에서 포토링 문서는 XML기술을 이용하여 저작 및 수정되고, 종국적으로 계층적(layered) HTML 문서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되므로 계층적 HTML을 지원하는 모든 웹브라우저에서 열람이 가능하다.
포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사측 서버(200)에는 클라이언트(100)의 저작도구(110)에 의해 저작되어 XML문서로 생성된 포토링 문서를 해석하여 서버(200)측의 데이터베이스서버(210) 및 파일서버(220)에 저장하는 XML해석기(post acceptor;230)를 구비하고 있다. XML해석기(230)는 클라이언트(100)로부터 수신된 포토링 문서를 해석하여 이미지 파일은 파일서버(220)에 저장하고, 포토링 문서구조는 데이터베이스서버(210)에 저장한다. 이를 위해, 서버(200)측에는 데이터베이스서버(210) 및 파일서버(220)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데이터베이스서버(210)에는 포토링 문서 중에서 텍스트 파일 및 XML 스키마가 저장되고, 파일서버(220)에는 이미지 파일이 저장된다.
또한, 서버(200)에는 저작도구(110)가 호출한 데이터를 탐색하여 데이터베이 스서버(210) 및 파일서버(220)로부터 포토링 문서와 관련된 데이터를 불러오기(load) 위한 저작도구 인터페이스(240)를 구비하고 있다. 저작도구 인터페이스(240)는 클라이언트(100)에서 포토링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 서버(200)로 데이터를 요청할 때 이에 대한 응답을 처리하는 데, 이때 이미지의 링크사항은 이미지마다 부여된 고유한 포토링 아이디(ID)를 사용하여 확인한다. 이 저작도구 인터페이스(240)에서 전송된 신호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서버(210) 및 파일서버(22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XML 문서형태로 저작도구 인터페이스(240)로 보내주는 데이터추출부(250)를 구비하고 있다. 데이터추출부(250)는 미들웨어(middleware)로써 XML 포맷 및 HTML 포맷과 서버 포맷의 변환기능을 제공하여 클라이언트(100)에서 데이터베이스서버(210) 및 파일서버(220)로의 접근을 허용하며, 예컨대 마이크로 트랜잭션 서버 커먼 오브젝트 모델(Micro transaction server common object model)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200)에는 또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260)가 구비되어 있다. 브라우저 인터페이스(260)는 링브라우저(120)와 서버(200)가 인터페이스(interface)하기 위한 것으로, 링브라우저(120)에서 호출한 데이터는 브라우저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데이터추출부(250)에서 데이터베이스서버(210) 및 파일서버(220)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추출하여 계층적 HTML형태의 포토씬 문서들로 변환하여 다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260)를 거쳐 링브라우저(120)에 보내주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링브라우저(120)에서는 해당 데이터를 가져옴으로써 이미지 및 그와 링크된 다른 이미지를 연결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브라우저 인터페이스(260) 는 액티브 서버 페이지(ASP)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다른 방법으로 계층적 HTML을 표현할 수 있는 웹프로그램이면 커먼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ommon Gateway Interface; CGI), 리얼리 심플 신디케이션(Really Simple Syndication; RSS) 등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서버(200)에는 또한 자주 사용되거나 인기있는 이미지 파일을 적재하고 있다가 링브라우저(120)의 호출에 따라 브라우저 인터페이스(260)를 통해 즉각적으로 로드(load)하는 이미지캐쉬메모리(image cache memory;27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100)에 저작도구(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클라이언트(100)로 저작도구(110)를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다운로드서버(280)를 구비하고 있다.
도 2는 도 1에서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된 저작도구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포토링 저작도구에 의해 포토링을 저작하는 화면을 캡처한 도면이고, 도 4는 포토링 저작도구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화면에서 이미지의 3부분에 링크마크 아이템들을 삽입하여 각기 다른 이미지들이 링크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저작도구는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대상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링크마크(link mark)들을 아이템으로 삽입하는 기능과, 이 링크마크 아이템들 각각에 마우스의 클릭시 이동할 연결 이미지들을 링크시키는 기능과, 대상 이미지 및 그의 링크마크들에 링크된 연결 이미지들을 포토링 문서로 생성하는 기능, 및 이 포토링 문서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구비한다. 이러한 기 능은 다큐먼트/뷰 아키텍처에 의해 구현되는 데, 이제부터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저작도구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저작도구(11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큐먼트/뷰 아키텍처로 구조화된다. 먼저, 뷰(view) 아키텍처에 대해 설명하면,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뷰(112)는 목록 뷰(112a), 사진 뷰(112b), 링크 뷰(112c), 및 아이템 뷰(112d)가 있다. 목록 뷰(112a)는 새로운 사진이미지들을 추가하거나 등록된 사진이미지들의 정보를 설명하는 데 이용된다. 사진 뷰(112b)는 사진이미지에 링크마크(링 아이템)를 삽입하고 이 링크마크에 다른 사진이미지를 연결하는 링크걸기 기능과, 사진이미지에 유료 아이템으로 다양한 장식 및 효과를 부여하여 가공하는 기능 등을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링크 뷰(112c)는 링크된 전체 사진들의 연결도를 보여주는 기능을 갖는다. 아이템 뷰(112d)는 웹상에서 서버(200)에 구성된 아이템 몰을 통해 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뷰(112)에서 만들어진 구조체는 다큐먼트 오브젝트(object)에서 관리된다.
다큐먼트 오브젝트(document object;114)는 서버(200)로부터 포토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서 수정할 수 있도록 가져오는 데이터 수신부(114a)와, 뷰(112)에서 작업한 내용을 반영하여 포토링 문서구조로 만들어주는 문서관리부(114b), 및 저작된 포토링 문서를 서버(200)에 전송하는 데이터 송신부(114c)를 구비한다. 특히, 데이터 수신부(114a)는 HTTP의 GET 명령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서버(200)로부터 가져오며, 데이터 송신부(114c)는 HTTP의 POST 명령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서버(200)로 전송한다. 문서관리부(114b)에서는 뷰(112)를 통해 변경된 모든 내용을 XML의 포토링 문서구조로 변환시킨다. 이때, 단순히 XML 데이터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JPEG 포맷으로의 변환 및 브라우저 창에 맞도록 크기변환 등의 후처리 작업을 추가로 진행하여 완전한 포토링 문서를 만들게 된다.
위와 같이 저작도구(110)에 의해 만들어진 포토링(photoring) 문서는 XML 포토링 문서구조와 이 문서구조내에 연결관계가 정의된 이미지들로 구성되며, 링브라우저에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한장씩의 장면이미지를 담은 포토씬(photoscene) 문서들의 집합으로 링브라우저에 제공된다. 이와 같이 한 장면을 표현하는 포토씬은 사진 이미지와 그에 부여된 링크마크 아이템 및 각종 효과와 꾸미기 아이템들이 함께 있는 계층적 구조의 이미지로 구성된다.
사용자는 포토링 문서를 열람할 때 한번에 하나의 포토씬 문서만을 볼 수 있으며, 포토링 문서내의 다른 포토씬 문서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해당 포토씬에 정의된 링(ring)을 클릭(click)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도 4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시작 포토링의 링들(r1,r2,r3) 중에 어느 하나를 클릭함에 의해 해당 링과 링크된 포토씬1, 포토씬2 또는 포토씬3으로 장면이 전환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해당 링을 클릭하여 장면이 전환될 때 효과음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음은 오디오파일 형태(예컨대, mp3, wav, mid파일)로서 지원되며 스트링방식 및 다운로드 방식형태로 지원된다. 특히, 효과음은 저작도구에서 이미지에 링을 삽입할 때 링별로 다른 효과음악파일을 선택( 또는 등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그러면, 선택하는 링에 따라 다양한 효과음을 발생시켜 효과음의 단조로움을 탈피 하고 사용자에게 다채롭고 신선한 느낌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마우스 커서가 해당 링에 올라가면 링선택효과음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링을 선택했다는 것을 음향으로 확인시켜 주는 보다 편리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포토링 문서의 구조는 아래 표 1과 같다.
표 1. 포토링 문서 스키마.
Figure 112005013828517-PAT00001
위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토링 문서는 XML로 된 포토링 문서 스키마(schema)에 의해 그 구조가 정의된다. 예를 들어, 위 표 1에서 "씬정보(SceneInfo)"는 "순서(Oreder)", "제목(Title)", "가격(Price)", "이미지파일 (ImageFile)", 및 "이미지크기(ImageSize)"로 구성되도록 정의되어 있다. 또한, 위 정의로부터 "순서(Oreder)", "제목(Title)", "가격(Price)", "이미지파일(ImageFile)", 및 "이미지크기(ImageSize)"는 텍스트로만(textOnly)로만 기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포토링 문서 스키마에 의해 구조화된 포토링 문서는 일예로 아래 표 2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표 2. 포토링 문서
Figure 112005013828517-PAT00002
위 표 2와 같은 포토링 문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측에 설치되는 저작도구에 의해 쉽게 저작될 수 있다.
링브라우저, 예컨대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되는 한 장면을 정의하는 포토씬 문서는 배경이미지와 이미지 아이템 및 링 아이템으로 구성된다.
포토씬에 포함되는 각종 아이템은 레이어(layer) 형태로 포개어져 보여진다. 이때, 각각의 레이어는 순서를 가지고 있어, 순서가 낮은 것은 아래쪽에 그리고 순서가 높은 것은 위쪽에 놓여진다. 만약, 두 이미지가 서로 겹치는 경우 아래쪽 레이어에 있는 이미지의 일부는 위쪽의 레이어에 있는 이미지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위쪽에 놓여지는 이미지의 경우 이미지가 차지하는 영역 외에는 투명해야 하므로, 포토링 문서에 사용되는 아이템의 이미지 포맷과 링브라우저는 이미지의 투명한 영역을 처리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아이템 꾸미기는 배경이미지 위에 단순히 다른 이미지를 올려놓는 것이 아니라 임의로 확대축소하거나, 회전, 좌우대칭, 상하대칭을 해서 꾸밀 수 있도록 하며, 각 아이템에 별도의 애니메이션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 링브라우저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포토씬 문서는 HTML 표준 형식을 따른다. 레이어 기능은 DIV 태그를 이용한 계층적 HTML로 구현되고, 투명한 이미지 처리는 gif 또는 png 이미지 파일형식을 사용하며, 아이템 꾸미기는 HTML의 이미지 리사이즈(resize) 기능과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 브라 우저의 이미지 회전 및 대칭기능을 이용한다. 이와 같이 HTML 표준양식을 따름으로써 포토씬 문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와 같은 일반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전용 브라우저를 개발할 시간과 금전적인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웹브라우저상에서 HTML문서로 구현되는 포토씬 문서 구조의 일예가 아래 표 3에 나타나 있다.
표 3. 포토씬 문서 구조
Figure 112005013828517-PAT00003
위의 표 3에 나타낸 문서구조는 링브라우저를 위한 HTML문서 중 포토씬 부분을 표시하는 프로그래밍의 일예이다. 본 예에서 사용되는 태그(tag)는 범용적인 HTML 표준양식 및 CSS(Cascaded Style Sheet) 표준양식을 따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TML 헤더(header)부(310)에서는 포토링 서비스에서 장면전환에 사용하는 스크립트 코드가 정의된다. 여기에서는 사용자가 포토씬에 표시된 링(ring)을 클릭했을 때 다른 포토씬으로 이동하기 위한 함수가 정의되어 있다.
포토씬 표시부(320)는 DIV 태그로 구성하여 포토씬이 표시될 위치와 크기를 지정하며, 본 포토씬 표시부(320)가 포함되어 있는 HTML 문서의 다른 표시부분과 발생할 수 있는 상호작용(예컨대, 충돌)을 최소화한다. 포토씬 표시부(320)는 포토씬 배경표시부(321), 기본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2), 복수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3), 회전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4), 대칭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5) 및 링 아이템 표시부(326)로 구성되는 데, 그에 대해 아래에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포토씬 배경 표시부(321), 기본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2), 복수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3), 회전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4), 대칭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5) 및 링 아이템 표시부(326)는 이미지 표시부에 해당하며, 각각 DIV 태그로 구성된다. DIV 태그에서는 레이어 순서와 배경, 아이템 이미지, 링 이미지 등이 표시될 위치가 지정되고, 외부 스크립트와의 연동을 위한 ID 속성이 지정된다. 각각의 이미지 표시부는 DIV 태그 내에 다른 하나의 DIV 태그를 포함하는데, 이것은 아이템이 두개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이미지의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것이다. 두개 이상의 이미지로 구성된 이미지 표시부에 대해서는 복수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3)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포토씬 배경 표시부(321)는 배경이미지 하나로 구성되기 때문에, 배경 표시부를 표현하는 DIV 태그 내부에 이미지용 DIV 태그는 하나만 존재한다. 배경 이미 지는 포토링 서비스 사용자가 수정하여 올린 이미지로 파일서버에 별도로 저장되어 있으므로 URL을 지정하여 이미지를 불러들이게 된다. 특히, 포토씬의 배경 이미지는 최하층의 레이어에 위치하므로 투명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투명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이미지의 경우 굳이 이미지 형식을 투명 이미지를 지원하는 gif나 png로 제한할 필요는 없다. 바람직하게는, 통상 배경 이미지는 실사 이미지이기 때문에 투명영역이 필요없고 해상도가 우수한 jpg 이미지 형식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기본 아이템 표시부(322)는 아이템 표시부를 표현하는 DIV 태그 내부에 이미지용 DIV 태그가 하나 존재한다. 그리고, 이미지용 DIV 태그내에 있는 IMG 태그에서 폭(width)과 높이(height) 속성값을 지정하여 표시되는 이미지를 확대 또는 축소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이미지를 표시한다.
복수 아이템 표시부(323)는 아이템 표시부를 표현하는 DIV 태그 내부에 이미지용 DIV 태그가 아이템을 표현하는 적정한 개수로 존재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2개가 존재하고 있는데, 이것은 하나의 아이템이 2개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각 이미지용 DIV 태그에는 표시될 아이템의 표시영역 내에서 각 이미지의 상대위치가 지정된다. 표 3의 예시에서는, 하나의 아이템이 "R003234L1.gif" 이미지가 표시되는 2개의 이미지부분 "LAYER02PART1IMG"와 "LAYER02PART2IMG"로 구성됨을 보여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하나의 아이템이 다수개의 이미지로 구성되는 경우 그 이미지 개수만큼 이미지용 DIV 태그가 존재한다.
회전 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4)는 90도, 180도, 270도로 회전된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을 정의하며, 본 예에서 이미지 회전기능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DXImageTransform.Microsoft 필터기능을 이용하여 구현한다. 예시에서는 DXImageTransform.Microsoft.BasicImage 필터함수의 파라미터 중 회전(Rotation)값이 1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90도로 회전된 이미지를 표시하고 있으며, 만약에 회전(Rotation)값을 2로 하면 180도 회전, 3으로 하면 270도 회전된 이미지를 표시하게 된다.
대칭 이미지 아이템 표시부(325)는 좌우 대칭된 이미지를 정의하는 부분이다. 본 예에서 이미지 대칭기능은 인터넷 익스플로러 웹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DXImageTransform.Microsoft 필터기능을 이용하여 구현된다. 예컨대, 예시한 바와 같이 DXImageTransform.Microsoft.BasicImage 필터함수의 파라미터 중 미러(Mirror)값을 1로 하면 좌우대칭된 이미지가 표시된다. 상하대칭 이미지는 180도 회전과 좌우대칭 기능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링 아이템 표시부(326)는 다른 포토씬으로의 링크(link)를 정의하는데 사용되는 부분이다. 링 아이템 표시부(326)는 마우스가 이미지의 링 위에 있을 때 표시할 툴팁(tool tip)과, 링을 클릭했을 때 이동할 포토씬을 지정한다. 본 예에서는, 마우스가 링위에 위치하면 "알고 싶으면 여길 클릭"이라는 툴팁이 표시되고, 그 링을 클릭하면 ID "232153"의 포토씬으로 이동하도록 정의하고 있다. 포토씬을 이동할 때는 HTML 헤더부에서 정의된 다른 포토씬으로 이동하는 함수를 호출하게 된다.
위와 같은 배경 표시부(321)를 제외한 나머지 아이템 표시부들(322~326)은 이미지의 투명한 영역을 지원할 수 있는 gif나 png의 이미지 형식을 이용한다. 이상의 예시 및 설명에서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5.5이상에서 지원되는 DXImageTransform.Microsoft 필터기능을 이용하여 아이템 표시부를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위의 필터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버전 5.0 이하나 기타 웹브라우저는 각 아이템의 이미지별로 회전과 좌우대칭이 조합된 8개의 이미지를 구축하여 필요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로딩(loading)함으로써 위에 설명한 바와 동일한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HTML 바디(body)부(330)는 포토씬 표시부(320) 외에 포토링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해당 포토씬과 관련된 여러 데이터를 표시하는 부분으로, HTML 표준과 일반적인 웹 어플리케이션 구축방법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해당 포토씬과 관련되는 여러 데이터로는 포토씬 문서에 표시되는 제작자, 제작일, 덧글쓰기 등을 들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서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들로, 이제 이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도면들은 제품출시에 앞서 시제품을 PC상에서 테스트하고 있는 화면을 캡처(capture)한 이미지들이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포토씬 문서(P)에서 상단메뉴의 '포토링만들기'(Pb)를 클릭하면 포토링저작창(Pm)이 뜨게 된다. 이 포토링저작창(Pm)에 포토링 문서를 만들 이미지들을 먼저 불러온다. 이 이미지들은 클라이언트측 PC에서 불러오거나 아니면 홈피(서비스사측 서버)에서 불러올 수 있는데, 이를 위해 포토링저작창(Pm)에는 우측상단에 "홈피에서 사진 불러오기"(Pm1)와 "PC에서 사진 불러오기"(Pm2)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해당 버튼을 누르면 도 6에서와 같이 이미지들의 목록선택창(Ps1,Ps2)이 뜬다. 이 목록선택창(Ps1,Ps2)에서 이미지들을 선택하면 포토링저작창(Pm)의 이미지목록 표시부분에 이미지들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먼저 링을 삽입할 대상 이미지를 선택하면 해당 이미지가 대상 이미지표시창에 표시된다.
위와 같이 대상 이미지를 선택한 후, 대상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링(ring) 아이템을 삽입하여 사용자가 설계한 스토리에 따라 원하는 이미지를 링크할 수 있다. 링, 즉 링크마크는 미리 아이템으로 만들어져 사용자는 링 아이템 목록창에서 선택하는 것만으로 원하는 형태의 링을 이미지의 선택위치에 삽입할 수 있으며, 링은 다양한 형태, 예컨대 원형, 별형, 각종 다각형으로 만들어 저작도구에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포토링저작창(Pm)의 "사진에 링 삽입"(Pm3) 버튼을 클릭하면, 도 7에서와 같이 링모양을 선택하는 목록과 링으로 연결될 장면(이미지)을 선택하는 목록이 보이게 된다. 여기에서, 링모양을 원형, 별형, 삼각형 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링에 연결될 이미지를 장면 목록에서 선택하면 해당 링 아이템에 이미지가 링크된다. 이때, 링은 하나의 이미지에 여러개를 삽입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5개정도가 적당하다. 이미지에 여러개의 링을 삽입하려면 "사진에 링 삽입"(Pm3) 버튼을 여러번 클릭하여 위와 같은 과정으 로 링을 계속해서 만들면 된다. 도 9에서는 대상 이미지에 3개의 링(r4,r5,r6)을 삽입하는 예를 보여주고 있다.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첫번째 이미지에 링으로 링크된 두번째 이미지에 링을 삽입하여 셋번째 이미지로 링크를 거는 식으로, 연속적으로 이미지들을 링 아이템으로 연결하여 저작하고자 하는 스토리를 전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체의 링삽입이 완료되어 링크작업이 끝나면, 포토링저작창(Pm)에 마련된 "링크 미리보기"(Pm4) 버튼을 클릭하여 제작한 포토링의 전체구조를 도 10에서와 같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포토링의 전체구조는 다른 표시창을 띄워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표시창에 있는 사진을 클릭하면 그에 대한 링크내용을 확인할 수 있고, "전체펼침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포토링 전체의 링크를 볼 수 있다.
이미지에 링을 삽입하여 링크를 건 후에는, 이미지에 각종 효과를 넣을 수 있다. 즉, 도 11에서와 같이 "링크걸기"(Pm5) 버튼 옆에 있는 "사진효과"(Pm6) 버튼을 클릭하면 사진이미지에 효과를 부여할 수 있는 부메뉴들이 나오며, 이 부메뉴에서 이미지 회전, 크기 조정 및 흑색 영상으로 변환 등의 각종 효과를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와 같이 "꾸미기"(Pm7)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된 이미지에 예컨대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거나 제공되는 다양한 장식아이템으로 이미지를 꾸밀 수도 있다. 또한, 아이템에 애니메이션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데, 이때에는 gif 또는 png 이미지 파일형식의 애니메이션 기능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제작된 포토링에 제목을 달거나, 각 포토씬마다 소제목을 지정할 수 있다.
위와 같은 저작과정을 거쳐 포토링의 제작이 완료된 다음에 "포토링 제작완료"(Pm8) 버튼을 클릭하면 저작된 포토링 문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포맷(XML 포맷)으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사용자에 의한 포토링 저작등록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제, 도 13 및 전술한 도 1의 시스템도를 병행 참조하면서 본 포토링 저작등록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포토링 저작등록방법은 크게 분류하면, 먼저 저작도구(110)를 서비스사측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아 클라이언트(100)에 설치하는 단계와, 저작도구(110)를 이용하여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단계와, 이렇게 저작된 포토링 문서를 서버(200)에 업로드(upload)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이렇게 커다랗게는 3개의 단계로 구분되는 포토링 저작등록방법을 보다 세분화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포토링을 저작하기 위해서는 먼저 포토링 서비스사 서버(200)에 접속한다. 그러면, 서버(200)는 사용자 인증을 통해 인가(authorization) 및 인증(authentication)을 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로그인(login)과정을 거치게 된다. 로그인과정 수행시 사용자가 정당한 사용자가 아니면 회원가입과 같은 등록기능이 선행되며, 이를 위해서 클라이언트(100) PC에는 소정의 회원가입 화면이 제공된다.(단계 S1)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클라이언트(100) 시스템의 레지스트리를 검사하여 클라이언트(100) PC에 저작도구(110)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먼저 확인한다.(단계 S3) 저작도구(110)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200)는 다운로드서버(280)를 통하여 저작도구(110)를 클라이언트(100)에 설치한다.(단계 S5) 반면에, 저작도구(110)가 이미 설치되어 있으면, 곧바로 기존에 제작된 포토링 문서를 수정하는 작업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7) 이때, 기존의 포토링을 수정하는 작업으로 확인되면, 저작도구 인터페이스(240)를 통하여 서버(200)로부터 포토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100) PC에 다운로드한 후 포토링 문서를 작성한다.(단계 S9,S11) 다운로드되는 포토링 데이터는 인터넷상에서 HTT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PC로 전송되며, 수정을 위해 다운로드되거나 수정후 다시 서버(200)에 업로드되는 문서구조는 모두 XML 포토링 문서구조를 따르게 된다.
한편, 위 단계 S7에서 기존 포토링의 수정작업이 아닌 경우에는 곧바로 포토링을 작성하는 모드(mode)로 진입한다.(단계 S11) 앞의 도 6 내지 도 12에서 기설명한 방식으로 포토링을 작성한 후에는 작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작성이 완료된 경우는 XML양식의 포토링 문서를 생성한다.(단계 S13,S15) 이 XML 포토링 문서 생성단계에서는 단순히 XML 데이터만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이미지의 jpeg 포맷으로의 변환 및 브라우저창에 적합하도록 크기 변환 등의 추가작업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렇게 생성된 XML 포토링 문서는 서버(200)에 업로드되는 데, 먼저 용량이 큰 이미지 파일이 파일서버(220)에 업로드된다.(단계 S17) 그리고 나서, 비교적 용량이 작은 텍스트 파일과 XML 스키마와 같은 포토링 문서구조가 데이터베이스서 버(210)에 업로드된다.(단계 S19) 특히, 이미지 파일은 업로드시 서버(200)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임시 디렉토리에 업로드되었다가, 포토링 문서가 완전히 업로드된 후에 고유한 ID를 할당받게 되면 적합한 디렉토리로 이동하게 된다.
서버(200)는 업로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업로드가 완료되었으면 작업을 종료한다.(단계 S21)
도 14는 본 발명에서 포토링을 제공하여 관람할 수 있도록 웹서비스하는 부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유료 포토씬을 관람하기 위해 지불시스템이 가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을 캡처한 것이다. 도 13에서와 같이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여 서버(200)에 등록(업로드)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서버(200)에 저장된 포토링 문서를 웹브라우저를 통해 클라이언트(100)에서 불러들여 관람할 수 있다. 이때, 어떤 포토씬은 무료로 그리고 어떤 포토씬은 유료로 제공되며, 유료인 경우 지불시스템이 가동하여 지불된 상태에서만 관람이 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포토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스턴트 메시지나 미니홈피 등에서 포토링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포토링 및 포토씬 데이터는 클라이언트(100)로 다운로드된다.(단계 S30) 이때, 로그인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클라이언트(100)측에 로그인 화면을 표시한다.(단계 S32,S34) 로그인이 필요하지 않는 경우에는 곧바로 포토링 정보를 표시한다.(단계 S36)
링을 클릭하여 링크된 이미지로 넘어갈 때 해당 이미지가 유료인지 그리고 미지불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38) 이때, 유료이고 미지불 상태라면, 클라이언트 (100)측 웹브라우저에 지불화면을 표시하고 지불시스템을 가동시킨다.(단계 S40) 예컨대, 사용자는 도 15에서와 같이 미리 아이템몰에서 구슬을 구입하고, 이 구슬을 유료 포토씬을 관람하는 비용으로 지불할 수 있다. 그런다음, 다시 지불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8) 한편, 무료이거나 유료로서 지불된 상태라면, 웹브라우저에 포토씬 배경 이미지를 표시하고, 모든 아이템의 표시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2,S44) 아이템 표시가 완료되었다면 표시를 완료하고, 그렇지 않다면 아이템 이미지를 표시한 후 단계 S44를 피드백한다.(단계 S46)
도 16 및 도 17은 인스턴트 메시지의 일종인 MSN 메신저에 "포토링보기" 버튼을 마련하고, "포토링보기"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포토링창이 팝업(pop-up)되면서 본 서비스를 구현하는 일예를 보여주는 화면들이다. 도 16은 "포토링보기"(Pd) 버튼이 클릭되기 전의 이미지를 캡처한 것이고, 도 17은 MSN 메신저에 마련된 "포토링보기"(Pd) 버튼을 클릭하여 메신저 위에 포토링창이 팝업된 상태를 보여준다. 이와 같이, MSN 메신저에 간단하게 "포토링보기"(Pd) 버튼을 마련하여 포토링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미니홈피나 기타 웹사이트에 포토링보기 버튼이나 메뉴를 신설하여 포토링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컨대, 앞서 설명한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3명의 친구들이 함께 찍은 사진이미지에서 각자의 얼굴부분에 링을 삽입하여 각자 단독으로 찍은 사진이미지와 링크함으로써 3명의 친구들이 함께 있는 포토씬으로부터 시작하여 어느 한 친구의 링을 클릭하면 그 친구만이 있는 포토씬으로 넘어가면서 스토리를 3개의 친구에서 각자의 이야기로 전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든다면 강과 산이 함께 찍힌 풍경사진이미지에서 강부분에 링을 삽입하여 다음에 강과 관련한 사진과 연결하여 강을 주제로 한 사진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되게 하고, 산부분의 링에는 산을 주제로 한 사진들을 연속적으로 링크하여 사용자가 표현하고자 하는 스토리를 일관적인 이미지들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 의해서만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저작툴(tool)을 이용하여 서버에 올려진 이미지들에 링크를 연속적으로 걸어서 이야기화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흥미를 고취시키고, 다양한 효과와 꾸미기 기능을 사용하여 이미지를 장식할 수 있어 보다 다채로운 재미를 줄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웹상에서 XML형태의 문서로 전송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된 포토링 문서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나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 나아가, 표현양식이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웹프로 그래밍 방식을 따르므로 다양한 양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애니메이션이나 그래픽의 삽입으로 미려한 영상을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소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웹브라우저가 설치된 어떠한 컴퓨터 환경에서나 구동이 이루어지며, 자료의 보존과 검색 및 누적되는 데이터의 추가가 용이하다. 즉, 인터넷 웹상에서 방대한 양의 사진들을 효율적으로 보관 및 관리할 수 있어, 사진 보관시의 부피 문제나 시간에 의한 변색, 분실, 및 화재의 위험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소중한 추억이 담긴 사진의 수명을 반영구화할 수 있다. 더욱이, 여행이나 출장중인 고객이 언제 어디에 있던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기만 하면 사진들을 열람하고 전송받을 수 있고,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사진을 디스켓 등의 매체에 가지고 다닐 필요없이 인터넷을 통해 사진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작도구에서 링 아이템을 선택하면 간단하게 이미지의 선택위치에 링크를 걸 수 있으므로 영상처리를 위한 전문적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여 세부적 사용법을 배워야 하는 어려움이 없이 간편하게 이미지 앨범(포토링)을 저작할 수 있으며, 나아가 배경 및 특수효과 등이 아이템으로 제작되어 제공되므로 간단한 조작(목록에서의 선택)만으로 고객의 기호에 맞게 다양한 배경과 특수효과를 줄 수 있어 누구나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액티브엑스 콘트롤로 제공되는 저작도구를 통해 웹프로그램을 배우지 않고도 누구나 쉽게 이미지에 링크를 걸고 다양한 효과를 주어 원하는 이미지 스토리 앨범을 간단하고 쉽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저작툴을 이용하여 웹상에서 포토링을 제작하거나 필요에 따라 수정 및 편집하여 서버에 올리고, 인터넷의 웹브라우저를 통해 손쉽게 열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지의 보관 및 열람에 있어 공간적 물리적인 제약을 받지 않을 뿐만 아니라, 휴대하거나 보관상의 불편이 없고,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하다. 특히, 이미지의 원하는 위치들에 링 아이템들을 삽입하여 다른 이미지로 전환되면서 다양한 이야기를 구성할 수 있어 매우 흥미진진한 영화와 같은 스토리 앨범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제작하고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다른 이미지와의 링크를 표시하는 아이템 형태의 링크마크를 적어도 하나이상 삽입하여 다른 이미지와 링크함에 의하여 다수의 이미지들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포토링 문서를 생성하여 서버로 전송하는 저작도구와, 상기 포토링 문서를 서버로부터 불러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링브라우저를 구비하는 클라이언트; 및
    상기 클라이언트의 저작도구에 의해 생성된 포토링문서를 해당 저장공간에 저장하고, 상기 저작도구의 요청에 따라 요청 데이터를 추출하여 제공하며, 상기 링브라우저의 요청에 따라 해당 포토링 문서를 상기 링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해주는 포토링 서비스사측 서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저작도구에서 저작되어 XML 문서로 업로드되는 상기 포토링 문서를 해석하여 분류하는 XML 해석기;
    상기 XML 해석기에 의해 해석되어 분류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서버;
    상기 XML 해석기에 의해 해석되어 분류된 포토링 문서구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파일서버 및/또는 상기 데이터베 이스서버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데이터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3.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삽입된 적어도 하나이상의 링크마크 아이템을 통하여 다른 이미지들과 링크되는 포토링 문서를 만들어 서버에 업로드하는 저작도구 및 이 포토링 문서를 서버로부터 불러들여 디스플레이하는 링브라우저가 설치된 클라이언트로부터 인터넷을 통한 입력 및 데이터요청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고 제공하는 서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저작도구에서 저작되어 XML 문서로 업로드되는 상기 포토링 문서를 해석하여 분류하는 XML 해석기;
    상기 XML 해석기에 의해 해석되어 분류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서버;
    상기 XML 해석기에 의해 해석되어 분류된 포토링 문서구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서버;
    상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한 데이터를 상기 파일서버 및/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서버로부터 추출하는 데이터추출부; 및
    상기 데이터추출부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를 받아 상기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는 상기 클라이언트에 설치된 저작도구로부터의 다운로드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저작도구 인터페이스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링브라우저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데이터추출부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를 상기 링브라우저로 전송하는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도구를 상기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다운로드서버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6. 제 4항에 있어서, 이미지 중에서 사용빈도가 높은 이미지를 적재해 놓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따라 신속하게 제공하는 이미지 캐쉬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우저 인터페이스는 계층적(layered) HTML을 표현할 수 있는 웹프로그램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 비스 시스템.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계층적 HTML을 표현할 수 있는 웹프로그램은 액티브 서버 페이지(Active Server Page; ASP), 커먼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ommon Gateway Interface; CGI) 및 리얼리 심플 신디케이션(Really Simple Syndication; RSS)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링브라우저는 계층적 HTML을 지원하는 웹브라우저이고, 상기 포토링 문서는 상기 서버로부터 계층적 HTML로 된 포토씬 문서들의 집합으로 제공되어 웹브라우저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
  10. 대상 이미지를 표시하고, 대상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링크마크(link mark)들을 아이템으로 삽입하는 기능;
    상기 링크마크들 각각에 마우스의 클릭시 이동할 연결 이미지들을 링크시키는 기능;
    상기 대상 이미지 및 그의 링크마크들에 링크된 연결 이미지들을 하나의 포토링 문서로 생성하는 기능; 및
    상기 포토링 문서를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이미지에 이미지 회전, 크기 조정 및 흑백 영상으로의 변환의 효과를 주거나 장식아이템으로 장식하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마크를 삽입하는 기능은 상기 대상 이미지에서 상기 링크마크 아이템의 삽입위치를 지정하는 것과, 원형, 다각형 및 별형의 상기 링크마크 아이템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이미지의 표시전에 대상 이미지의 선택을 위해, 다수의 이미지들을 서버 및/또는 클라이언트로부터 불러들여 이미지목록창에 등록하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이미지들을 링크하는 기능은 상기 이미지목록창에서 링크할 이미지를 선택함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5.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되어 서버에 저장된 포토링 문서를 클라이언트에서 편집할 수 있도록 수신하는(불러들이는) 기능을 더 구비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저작도구는 서버에 저장되어 클라이언트의 요청시 클라이언트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링 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17. a) 서비스사측 서버에서 클라이언트 시스템을 확인하여 클라이언트에 저작도구를 설치하는 단계;
    b) 상기 저작도구를 이용하여 XML로 작성된 포토링 문서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업로드받아 서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 및
    c) 상기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해당 포토링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상기 클라이언트에 상기 포토링 문서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저작도구는 이미지의 소정부분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링크마크 아이템을 삽입시키고 이 링크마크에 다른 이미지를 링크시켜 여러 이미지들이 링크마크들을 통해 마우스 클릭에 따라 이미지가 전환되도록 연결되는 하나의 포토링 문서를 저작하는 툴(to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는
    서버는 클라이언트 시스템의 레지스트리를 검사하여 클라이언트 PC에 저작도구가 설치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단계에서 저작도구가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서버는 다운로드서버를 통하여 저작도구를 해당 클라이언트 PC에 설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19.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는
    기존에 제작된 포토링문서를 수정하는 작업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기존의 포토링 문서를 수정하는 작업으로 확인되면, 기존 포토링 문서를 수정할 수 있도록 저작도구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서버에 저장된 포토링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제공(download)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기존 포토링 문서의 수정작업이 아닌 것으로 확인되면, 새로운 포토링 문서를 작성하는 모드(mode)로 진입하는 단계;
    포토링 문서를 작성한 후 작성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작성이 완료된 경우는 포토링 문서를 XML 포맷으로 변환하여 XML 포토링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XML 포토링 문서를 업로드받아 서버의 저장공간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XML 포토링 문서 생성단계에서는 XML 데이터로의 변환, 이미지의 jpeg 포맷으로의 변환 및 브라우저창에 적합하도록 크기 변환의 추가작업이 함께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21.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에서 업로드는 먼저 이미지 파일을 파일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 및
    다음으로, 텍스트 파일과 XML 스키마와 같은 포토링 문서구조를 데이터베이스서버에 업로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파일은 서버상에 존재하는 사용자의 임시 디렉토리에 업로드되었다가, 포토링 문서가 모두 업로드되어 상기 이미지 파일이 고유한 ID를 할당받게 되면 해당 디렉토리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23.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서버에서 포토링 문서를 계층적 HTML로 된 포토씬 문서들의 집합으로서 클라이언트에 제공하여 웹브라우저상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상기 웹브라우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에서 링크마크를 클릭하여 링크된 이미지로 전환할 때 해당 이미지가 유료인지 그리고 미지불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단계에서 유료이고 미지불 상태라면, 클라이언트에게 지불화면을 표시하고 지불시스템을 가동시키는 단계;
    상기 지불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무료이거나 유료로서 지불된 상태이면, 다음의 포토씬 문서를 클라이언트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지불시스템은 서버의 아이템몰에서 전자화폐(사이버 머니)를 구입하고, 상기 전자화폐를 유료 포토씬을 관람하는 비용으로 지불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방법.
KR1020050021861A 2005-03-16 2005-03-16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KR20060100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861A KR20060100154A (ko) 2005-03-16 2005-03-16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861A KR20060100154A (ko) 2005-03-16 2005-03-16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154A true KR20060100154A (ko) 2006-09-20

Family

ID=37631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861A KR20060100154A (ko) 2005-03-16 2005-03-16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1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8862A (zh) * 2024-02-05 2024-03-15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授权信息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708862A (zh) * 2024-02-05 2024-03-15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授权信息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7708862B (zh) * 2024-02-05 2024-05-1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授权信息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044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remote motion graphics authoring
US8316084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presentations over a network
US20040210845A1 (en) Internet presentation system
US9485365B2 (en) Cloud storage for image data, image product designs, and image projects
US20100083077A1 (en) Automated multimedia object models
US20040145603A1 (en) Online multimedia presentation builder and presentation player
WO2015035943A1 (zh) 一种在浏览器中进行图片加载的方法、装置和浏览器
KR100845815B1 (ko) 개인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방법
JP2007533015A (ja) メディア・パッケージならびにメディア・パッケージの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13150484A2 (en) User event content, associated apparatus and methods
WO2015035944A1 (zh) 一种在浏览器中进行图片处理的方法、装置和浏览器
JP2001100887A (ja) オブジェクト処理装置
JP2002335487A (ja) 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ならびに該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サーバ
US10560588B2 (en) Cloud storage for image data, image product designs, and image projects
JP200519661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Bausch et al. Flickr Hacks: Tips & Tools for Sharing Photos Online
Lucero et al. Image space: capturing, sharing and contextualizing personal pictures in a simple and playful way
KR20060100154A (ko) 인터넷을 통한 포토링 서비스 시스템과 그 방법 및 포토링저작도구를 기록하고 있는 컴퓨터 장치
JP2007104326A (ja) コンテンツ作成装置及びコンテンツ作成方法
KR200362667Y1 (ko) 플래시 앨범 씨디 자동 제작시스템
JP2005196613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00979989B1 (ko) 개인용 화보집을 출판하는 서비스시스템 및 출판하는 방법
JP2002077806A (ja) 電子アルバムシステム及び電子アルバム配信方法
JP6320586B1 (ja) 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コンテンツ管理方法、及び媒体セット
JP200519661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