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055A -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055A
KR20060100055A KR1020050021688A KR20050021688A KR20060100055A KR 20060100055 A KR20060100055 A KR 20060100055A KR 1020050021688 A KR1020050021688 A KR 1020050021688A KR 20050021688 A KR20050021688 A KR 20050021688A KR 20060100055 A KR20060100055 A KR 20060100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roller
inspection
search
lower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곤
유선종
한진영
Original Assignee
(주) 코리아 마이크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코리아 마이크론 filed Critical (주) 코리아 마이크론
Priority to KR1020050021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055A/ko
Publication of KR20060100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Landscapes

  • Burglar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찰·군부대 (이하 검문자라 칭함)에서 차량 검문/검색 시 음주 여부나 폭발물 설치 차량에 대하여 또한 검문/검색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차량에 대하여 운전자 및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또한 도주차량으로 인한 검문자의 인명피해 즉, 2차 적인 피해를 최소화하여 안전한 교통문화 및 차량으로 인한 범죄를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차량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장치는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여 불시 검문/검색에 적합하게 제작하였으며, 차량 통행 시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장치의 높이를 10cm이하로 하였고, 차량 진행 표시등을 설치하여 차량 진행을 보다 원활하게 하였으며, 타이어와 롤러 상호간에 일괄적인 회동을 취할 수 있고 또한 차량 진행 시 상·하 요동을 최소화하며, 도주 차량의 운행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타이어의 외경 크기를 분석하여 롤러를 설치하였다. 그리고 컨트롤 박스에는 검문자가 검문시 운전자와 차량의 이상유·무를 발견하였을 경우에는, 검문자가 직접 롤러의 회전을 제어시킬 수 있는 유·무선 컨트롤 장치와 도난 차량 및 범죄차량임을 파악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대테러에 이용될 수 있는 폭발물 설치차량의 식별을 위하여 폭발물 감지센서, 차량의 진행을 원활하게 도와주는 차량 진행 표시등, 정지판, 그리고 컨트롤 박스의 양 끝에서 롤러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 제동장치로 구성되었다. 또한 롤러가 차량의 무게를 버틸 수 있고, 롤러의 회전을 보다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롤러 아래에 자사 자체로 하부 베어링을 제작하여 레일형식으로 장착하여 보다 높은 하중에서도 원활하게 롤러의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발명하였다.
차량이 검문을 위하여 본 장치위에 정차 시, 검문자는 유·무선 컨트롤 장치를 이용하여 솔레노이드 제동장치를 해제하여 타이어의 회전력으로 인한 롤러의 공회전으로서 차량의 이동을 막고, 검문 후 이상이 없을 시 솔레노이드 제동장치를 작동시켜 롤러를 고정시킴으로서 차량의 통행을 원활하게 하도록 본 장치는 발명되었다.
Figure 112005013739024-PAT00001
차량 진입판, 솔레노이드 제동장치, 유·무선 컨트롤 장치, 컨트롤 박스, 검색/감시 카메라, 자사자체 제작 하부 베어링, 폭발물 감지센서, 정지판, 차량진행 표시등, 롤러, 볼케스트, 12V 배터리, 충격 흡수판, 브레이크 디스크

Description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KRH-I Koreamicron Road Hawk-I}
도 1은 검문/검색 차량 진입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검문/검색 장치 중 롤러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검문/검색 장치 중 자사 자체제작 되어진 롤러를 지탱하여 주는 하부 베어 링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상부롤러의 구조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컨트롤 박스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솔레노이드 제동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 진입판 12 : 컨트롤박스
14 : 검색/감시 카메라 16 : 12V 배터리
18 : 차량 진행 표시등 20 : 폭발물감지센서
22 : 솔레노이드 제동장치 24 : ∮40 상부롤러
26 : 자사 자체제작 하부베어링 (하중계수 10ton)
28 : 정지판 30 : 충격흡수판
32 : K-Plan 34 : ∮8 샤프트
36 : ∮35롤러 38 : 브레이크디스크
40 : 볼케스트 42 : 유·무선 컨트롤장치
본 발명은 차량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경찰·군부대 (이하 검문자라 칭함)에서 차량 검문/검색 시 음주 여부나 폭발물 설치 차량 또는 검문/검색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차량에 대하여 운전자 및 차량의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도주차량으로 인한 검문자의 인명피해 즉, 2차 적인 피해를 최소화하여 안전한 교통문화 및 차량으로 인한 범죄를 최소화시키고자 하는 차량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의 911 테러사건 이후 전 세계의 테러범들에 의해 차량을 이용한 폭탄 테러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예전의 군부대나 경찰서등 주요 관공서에서 행하여지던 차량 폭탄 테러가 현재는 불특정 다수인을 겨냥한 무작위 테러로 바뀌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인도에서는 뭄바이 도심에서 25일 오후에 연쇄 차량 폭탄테러가 발생하여 최소한 44명이 숨지고 100여명이 부상하였다. 또한 미국과 이라크간의 전쟁으로 인하여 이라크 내에서도 테러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고, 이라크의 지원부대에 대한 테러도 급속히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이라크에 지원군을 보낸 우리나라도 테러에 대한 안전국가라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처럼 전 세계적으로 불특정 다수에게 행하여지고 있는 테러에 대하여 우리나라도 결코 안전국가가 아닌 것을 파악하여 테러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이 발명을 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음주단속의 실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음주단속은 음주로 인하여 판단 능력이 저하된 운전자를 검문자가 식별하여 운전자는 물론, 차량을 보호하고자 시행되고 있는 법적체제이다. 음주 단속의 경우 음주측정기를 통해 법적 기준치의 이상이 되면 엄격한 법적 제재가 가하여지나, 현재 이러한 법적 제재에도 불구하고 음주 운전은 날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최근에는 음주 운전으로 인한 사고율 또한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경찰청의 음주 교통사고의 통계를 살펴보면, 2002년 24,983건 점유율이 10.8%, 2003년 31,227건 점유율 13.0%로 약 25%의 증감율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음주 뺑소니로 인한 사망자가 2002년 907명, 2003년 1,113명으로 약 22.7%가 증가되었다. 이는 곧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된 것을 의미하고 있다.
한편, 음주 단속 과정에서 음주 운전자가 검문/검색을 불응하고 도주하는 돌발사태가 빈번히 일어나고 있으며, 또한 이를 저지하기 위한 검문자의 부상 사례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검문/검색 시 검문자에게는 검문 불응자에 대해 즉각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장치가 전무한 실정이어서 이러한 도주 차량들을 무방비로 놓치는 사례가 빈번하였다. 또한 검문자의 안전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검문에 불응하고 도주하는 차량에 대하여 휴대형 조작용 보조 작동기를 조작하여 제어통제 장치에서 탐침이 올라와 도주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켜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여 운전자를 검거할 수 있는 장치가 공개되어있다. (공개번호 특2000-034185)
또한 다른 방법으로 도로 포장층을 깊게 파내어 그 부분에 양하부 내측에 유압실린더를 장착하여 구동방식이 전륜인 차에 한하여 도주 방지 목적으로 발명 된 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공개번호 실20-0265881)
이는 도주 차량의 운행을 불가능하게 하여 운전자 및 차량의 파손 및 2차적인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는 있으나, 반면 실제 사용 시 여러 가지의 문제점들이 대두 되고 있다.
첫째, 안정성의 문제점이 있다.
순간적인 타이어 파손으로 인한 조향능력을 일시적으로 상실하게 되어 2차적인 사고 피해가 우려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운전자의 극단적인 행동이 발생 될 수 있다.
둘째, 교통 소통에 장애를 주는 문제점이 있다.
도주하는 차량의 타이어를 파손시킴으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이 정지된 상태이고 또한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드는 특수견인을 행하여야 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교통 체증이 유발된다.
셋째, 장비의 설치비 및 고정 장소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포장층을 깊게 파내고 장치를 설비하여야 함으로, 장치의 설비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며, 고정적인 장소에서 밖에 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넷째, 신속 대응이 어렵다.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롤러를 상·하로 작동하기 때문에 외부 컨트롤로 장비를 작동한다고 하여도 도주차량의 속도에 비해 장비의 운행 속도가 늦으므로 신속대응이 어렵다.
다섯 번째, 자동차의 구동방식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다.
상기 장비는 자동차의 전륜 구동방식에만 해당되는 장비로서 후륜 구동방식의 차량에 대해서는 도주방지의 효과가 떨어질 뿐 아니라 오히려 운전자의 판단착오로 핸들의 오 조작으로 인한 차량 및 인명사고의 위험성이 더욱 커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타이어 파손으로 차량을 제어하는 장치들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검문/검색 및 음주측정 시 야기되는 각종 안전사고 및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차량을 원천적으로 검문/검색자의 통제 하에 움직일 수 없도록 통제하는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KRH-Ⅰ인 차량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는 차량 진행 표시등(10)과 정지 안내판(28)을 장착함으로서 차량의 진입과 검문/검색에 용이하게 하였으며, 또한 본 장치는 롤러(24) 방식으로 가로 1m, 세로 600cm, 높이 9cm 미만의 장치로서 한 라인에 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 12개의 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하는 롤러(24)에 차량이 진입하면 롤러(24) 회동작용에 의하여 자동차 바퀴가 공회전함으로 인하여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각 부분의 구성품은 차량의 바퀴와 접촉하는 롤러(24) 및 자사 자체 제작되어진 하부 베어링(26), 검색/감시 카메라(14), 유·무선 컨트롤장치(42),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차량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의 구성과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본 장치는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가로 1m, 세로 600cm, 높이 9cm,의 크기로 총 6개의 장치로 나누어 조립하여 사용되게 구성하였다. 따라서 한 부분의 무게가 20∼40kg 미만으로 구성되어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자동차 제어장치의 평면도 및 검문/검색 차량 진행도를 나타낸 것이며, 차량 진행 표시등(18)을 보고 서행으로 운전자가 본 발명 장치 위에 진입하면 정지 안내판(28)이 가동되어 운전자가 차량을 정차시키게 되며, 이 후 검문자의 검문/검색이 실시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장치의 6개 중, 한 부분을 나타낸 것이며, 롤러와 자사 자체적으로 제작되어진 하부 베어링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절개도이다.
도3은 자사 자체로 제작되어진 하부 베어링의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다. 아연도금강판을 이용하여 고하중에서도 하부베어링(26)이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K-plan(32)을 설계하여 제작하였으며, ∮8 샤프트(34)와 ∮35 롤러(36)로 구성되어있다.
도4는 롤러(24)의 절개도를 나타낸 것이며, 롤러의 양 끝에는 롤러(24)와 CASE와의 마모를 최대한 줄이고 롤러(24)의 회전력을 더욱 좋게 하기위하여 볼케스트(40)를 부착하였다.
도5는 컨트롤박스(12)의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내부에 12V 배터리(16), 검색/감시 카메라(14), 정지판(28), 유·무선 컨트롤 박스(42), 폭발물 감지 센서(20), 차량 진행 표시등(18),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로 구성되어 있으며, 양쪽 끝부분을 접을 수 있게 만들어 휴대성이 용이하고 또한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를 설치 시 좌·우 대칭이 완벽히 이루도록 제작되어져 있다. 또한 양 끝에서 롤러(24)의 회동을 제어 시 킬 수 있도록 제작되어있다.
도6은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를 나타낸 상세도이며, 앞부분에 브레이크 디스크(38)를 자체 제작하며 부착하였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24)와 하부 베어링(26)이 부착된 장치에 차량이 진입하면 롤러(24)와 하부 베어링(26)의 회동작용에 의하여 차량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게 됨으로 인하여 차량이 주행할 수 없도록 하는 것으로서 검문/검색 차량이 진행할 경우 검문/검색 차량이 차량 감지선을 통과하게 되면 차량 검문/검색 도주 방지 장치판에 부착된 검색/감시 카메라(14)의 작동으로 차량의 정면을 촬영 전송하여 뺑소니 도주차량 등의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게 되고 검문 검색자의 검문완료시 무선 컨트롤 박스(12)에 장치되어 있는 유·무선 컨트롤 장치(42)가 작동하여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가 작동하여 롤러(24)의 회전을 멈추게 되므로 차량이 정상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 때 하부 베어링 (26)은 레일 형식으로 롤러(24)의 하부에 장착되어 차량의 하중이 롤러(24)로 가해지는 것을 하부 베어링(26)을 통하여 이 하중을 분산되게 하여, 본 발명 장치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 할 뿐 아니라 롤러(24)의 회동을 더욱 원활하게 하여 본 장치의 특성을 더욱 부각시켰으며, 또한 차량이 상판을 통과할 때 상판에 부착된 폭발물 감지 센서(20)를 통하여 테러에 이용될 차량을 미리 검색하여 범죄에 이용될 요소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검색/감시 카메라(14)나 폭발물 감지 센서(20)에서 차량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게 되면 자동으로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가 작동하여 차량의 이동을 막도록 하였다.
검문에 불응하거나 도주하는 차량이 차량 감지선을 통과하여 바닥에 장치된 차량제어판에 차량의 바퀴가 접촉하게 되면 롤러(24)와 하부 베어링(26)의 회동으로 인하여 차량의 바퀴가 공회전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차량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도주 방지는 물론이고 검문검색자의 안전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찰이나 군부대에서 차량의 검문검색 및 음주측정 시 검문검색 불응이나 음주측정을 거부하고 도주하는 경우 검문검색자의 안전확보 및 도주차량 운전자에 대한 안전까지도 고려하여 인명사고 및 물적 피해를 사전 예방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으므로 검문/검색자들에 대한 안전사고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도난차량 식별 등 자동차관련 범죄자들의 색출도 용이하게 함으로서 자동차관련 범죄를 예방하는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2)

  1. 휴대용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장치이므로 불시 검문/검색에 용이하게 구성되어있고, 이 장치는 차량 자동 진행 표시등(18)과 롤러(24), 유·무선 컨트롤 장치(42),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 하부 베어링(26), 검색/감시 카메라(14), 폭발물 감지센서(20), 컨트롤박스(12)로 구성되어 있으며, 장치의 높이는 9cm 이하로, 장비의 휴대성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가로 1m, 세로 600cm로 제작하였으며, 한 라인을 다시 6등분으로 분리시켰으며, 한부분당의 무게를 20∼40kg 미만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롤러(24)에는 솔레노이드 제동장치(22), 하부 베어링(26)이 유·무선 컨트롤 장치(42)와 연결되어 검문자의 판단에 따라 롤러(24)의 회동을 제어함으로서 도주 용의차량을 미연에 제어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검색/감시 카메라(14)를 이용하여 차량 번호를 식별하여 도난 차량 유·무를 파악하고 또한 차량 하부를 검색하여 폭발물 등의 위험물의 설치 여부를 파악하여 차량이 범죄에 이용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을 특징으로 한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장치.
  2. 자사 자체제작 되어진 하부베어링(26)은 아연 도금 강판으로 제작되었으며, 두께는 1.6t, 길이는 135mm, 높이 32mm로 구성되어져있으며, 보다 높은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기 위하여 ∮8 샤프트(34)를 ∮35 롤러(36)의 중심을 관통시켜 제작하였다. 또한 고하중으로 인한 제품의 변형을 막기 위하여 하부 베어링(26)의 양옆에 기울기를 주어 탄성력을 높여 주었으며, 하중을 분산시킬 목적으로 K-Plan(32)에 Hole을 내었다.
    하부베어링(26)은 개당 10ton의 하중을 견딜 수 있게 하였으며, 무게가 200g이하로 이 하부 베어링(26)을 제작하였다.
    이러한 하부베어링(26)을 레일형식으로 나열하여 롤러에 높은 하중이 가해진다하더라도 롤러(24)의 변형이 유발되지 않게 하고 하중 또한 견딜 수 있게 설치되었다.
KR1020050021688A 2005-03-16 2005-03-16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KR200601000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88A KR20060100055A (ko) 2005-03-16 2005-03-16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88A KR20060100055A (ko) 2005-03-16 2005-03-16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7022 Division 2005-03-16 2005-03-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55A true KR20060100055A (ko) 2006-09-20

Family

ID=37631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88A KR20060100055A (ko) 2005-03-16 2005-03-16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0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71B1 (ko) * 2007-04-26 2007-08-08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성능 영상감시 체계
KR101457170B1 (ko) * 2014-04-11 2014-11-05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 주차장용 주차턱시설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771B1 (ko) * 2007-04-26 2007-08-08 주식회사 영국전자 고성능 영상감시 체계
KR101457170B1 (ko) * 2014-04-11 2014-11-05 주식회사 한반도건축 공동주택 주차장용 주차턱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7250B1 (en) Traffic safety system
CN110575637A (zh) 高速公路应急救援与巡检机器人
KR20090027874A (ko) 차량 검문검색용 도주방지장치
KR20060100055A (ko)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CN202976465U (zh) 智能路桥保护系统
CN101701875A (zh) 机动车综合性能复合测试台
Shvetsov et al. Method of protection of pedestrian zones against the terrorist attacks made by means of cars including off-road vehicles and trucks
CN206863955U (zh) 一种防超限超载锁定系统
CN105513398A (zh) 高速公路事故高发路段行车安全引导系统及其引导方法
KR100754028B1 (ko)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CN213653283U (zh) 一种公路智能限高装置
CN106012886A (zh) 一种行使车辆可识别的地标线及其交通安全智能监管系统
EP1052606B2 (en) Thermographic system to check and prevent fires in a vehicle
Tullier Governmental liability for negligent failure to detain drunk drivers
KR20060074624A (ko)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CN111986478A (zh) 车辆分析方法、装置、平台、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KR200398277Y1 (ko) 차량 검문검색 및 도주 방지 장치
JP3514733B2 (ja) 異常状態報知機能付ナンバープレート
McCann et al. Dump truck‐related deaths in construction, 1992–2007
KR200388746Y1 (ko) 차량 도주 방지 장치
Pinizzotto et al. Accidentally Dead
Bureau Railway level crossing safety bulletin
Larson Intoxication as a Defense in Workmen's Compensation
Berces Improving worker safety through better visibility
Westendorf et al. The Prouse dicta: From random stops to sobriety checkpoi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