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0046A -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0046A
KR20060100046A KR1020050021674A KR20050021674A KR20060100046A KR 20060100046 A KR20060100046 A KR 20060100046A KR 1020050021674 A KR1020050021674 A KR 1020050021674A KR 20050021674 A KR20050021674 A KR 20050021674A KR 20060100046 A KR20060100046 A KR 200601000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device
sound output
hinge
insertion hol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21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00046A/ko
Publication of KR200601000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00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04M1/035Improving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by means of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housing, e.g. ribs, walls, resonating chambers or cav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후면에 오목한 홈 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결합부 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두개의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각 스피커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음향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스피커의 출력방향을 가변적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좌우 음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높은 수준의 음질 획득이 가능하게 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스테레오, 스피커, 회전, 더미힌지

Description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device for output soun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음향 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출력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음향 출력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본체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더미힌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더미힌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조작부가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d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A - 이동통신 단말기 10 - 본체
11,11' - 결합부 11a,11a' - 제 1힌지홈
11b,11b' - 제 1삽입공 11c,11c' - 걸림턱
20 - 음향 출력장치 21,21' - 스피커 하우징
22,22' - 스피커 23 - 케이블
30 - 힌지 40 - 더미힌지
41 - 몸체 41a - 후크
41b - 절개부 42 - 지지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 고정형 스피커의 좌우 음 분리 미흡 또는 부족한 공간 활용성의 단점을 개선하여 음질 향상 및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하여,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음성을 통화는 전화기로서의 기능을 넘어, 각종 동영상 및 영화감상, 음악감상, TV시청 등 다양하게 확대되어 나가고 있다.
특히, 모바일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에 따라 영화나 각종 동영상, 음악 감상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언제 어느 곳에서나 제 공받을 수 있는 환경이 갖추어져 있는 바, 이러한 다양한 서비스를 사용자들이 이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이 없도록 단말기에는 상대방과의 통화를 위한 수화부와는 별개로 각종 음향신호를 단말기의 외부로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스피커가구비되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사용자가 단말기에 내장되거나 다운로드된 동영상 및 음악파일 등으로 동영상을 감상하거나 음악을 청취하고 TV를 시청하는 등 이동통신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기능이 강화되어 감에 따라 종래의 모노 스피커에서 스테레오 스피커로 바뀌어 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스피커의 중요성과 작동 성능도 더욱 강조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되는 스테레오 스피커는 통산 고정형으로, 좌우 한조의 스피커의 출력방향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단말기의 후면에 설치되거나, 스피커의 출력방향이 서로 다른 출력방향을 갖도록 단말기의 양측면에 세워서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한조의 스테레오 스피커의 출력방향이 서로 같도록 설치되는 전자의 방식은 좌우 스피커가 동일한 출력방향을 갖기 때문에, 좌우 음의 분리가 원할히 이루어지지 않아 스테레오의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스피커의 출력방향이 서로 다른 후자의 방식은 좌우 스피커가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고 있다 하더라도 그 장착 방향으로 인하여 단말기의 공간 활용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에 스피커가 구비된 음향출력장치를 본체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하는 것에 의해 스피커의 음향 출력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음질 및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후면에 오목한 홈 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결합부 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두개의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각 스피커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음향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본체의 후면 양측단 일부를 각각 개방한 두개의 결합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개의 결합부에는 각각 끝단 내부 일측 벽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 1힌지홈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1삽입공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제 1힌지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음향 출력장치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힌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삽입공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삽입공이 구비되어, 상기 제 1힌지홈과 제 2힌지홈에는 힌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제 2삽입공에는 더미힌지가 삽입 설치됨에 따라 결합부 내에서 음향 출력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힌지는 본체의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으로 삽입되는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제 2힌지홈으로 삽입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일정주기를 갖고 고정이 가능한 클릭 힌지(Clik higne)이거나, 어떠한 각도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을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둘레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2개의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개방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 형상의 조작부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는 본체의 후면 일부를 개방한 하나의 결합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의 결합부에는 양측 끝단 내부 일측 벽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제 1힌지홈이 각각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1삽입공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제 1힌지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음향 출력장치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힌지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삽입공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삽입공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 1힌지홈과 제 2힌지홈에는 힌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제 2삽입공에는 더미힌지가 삽입 설치됨에 따라 결합부 내에서 음향 출력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힌지는 본체의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으로 삽입되는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제 2힌지홈으로 삽입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일정주기를 갖고 고정이 가능한 클릭 힌지(Clik higne)이거나, 어떠한 각도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을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는 캡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둘레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 입 가능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음향 출력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향 출력장치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와 음향 출력장치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본체의 내부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3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A)는 크게 후면 양측 끝단에 한조의 결합부(11)(11')가 구비된 본체와, 상기 결합부(11)(11') 내에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음향 출력장치(20)와, 상기 본체(10)로부터 음향 출력장치(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30)와, 더미힌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바 타입의 단말기에 적용된 상태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체(10)는 단말기를 구현하기 위한 각종 전자소자를 내장할 수 있도록 함체형을 이루며, 전면에는 각종 기호나 문자의 입력을 위한 키패드(미도시)와, 음성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기 위한 송,수화부(미도시) 및, 영상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액정화면을 구비하고, 후면에는 단말기의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미도시)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본체(10)의 후면 양측단에는 후술될 한조로 이루어지는 음향 출력장치(20)가 내장 가능한 크기로 본체(10)의 후면 및 측면 일부를 개방시키는 홈 형태의 결합부(11)(11')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11)(11')의 내부 끝단 일측 벽면에는 내측으로 일정 깊이를 갖는 제 1힌지홈(11a)(11a')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 1힌지홈(11a)(11a')과 동일한 중심축을 가지는 제 1삽입공(11b)(11b')이 구비되어 본체(10)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 1삽입공(11b)(11b')의 끝단에는 후술될 더미힌지(40)와의 결합을 위한 단턱부(11c)(11c')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음향 출력장치(20)는 단말기에서 출력되는 각종 벨소리, 경보음 또는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이용시에 따른 음향을 사용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음향 출력장치(2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한조의 결합부(11)(11') 내에 내장 가능한 형태와 크기를 가지며 외측 끝단이 만곡된 곡면을 이루는 스피커 하우징(21)(21')과, 상기 스피커 하우징(21)(21')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설치되는 스피커(22)(2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피커 하우징(21)(21')의 끝단 한쪽면에는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1)(11')에 구비된 제 1힌지홈(11a)(11a')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힌지홈(21a)(21a')을 구비하여 힌지(30)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스피커 하우징(21)(21')의 다른 한쪽면에는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1)(11')에 구비된 제 1삽입공 (11b)(11b')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 2삽입공(21b)(21b')을 구비하여 더미힌지(4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힌지(30)는 본체(10)의 결합부(11)(11')에 구비된 제 1힌지홈(11a)(11a')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본체 삽입부(31)와, 스피커 하우징(21)(21')의 제 2힌지홈(21b)(21b')에 삽입 가능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32)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31)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32)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며, 일정 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되는 클릭 힌지(Click hinge)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다양한 각도로 설정할 수 있는 프리스톱 힌지(Free-Stop hinge)가 적용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프리스톱 힌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일정 주기의 각도를 갖고 고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클릭 힌지나, 다양한 각도에서도 고정을 이룰 수 있는 프리스톱 힌지는 이미 종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내부 구조 및 동작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더미힌지(40)는 힌지(30)와 같이 고유기능을 갖지 않으며, 본체(10)로부터 음향 출력장치(20)가 회동될 때 그 회동축 역할을 함과 더불어, 음향 출력장치(20)와 본체(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23)의 연결통로를 제공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더미힌지(40)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은 도 1에 도시된 더미힌지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더미힌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구비되는 더미힌지(40)는, 본체(10)의 결합부(11)(11')에 구비된 제 1삽입공(11b)(11b')과, 스피커 하우징(21)(21')의 끝단에 구비된 제 2삽입공(21b)(21b')으로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는 것에 의해 본체(10)로부터 음향 출력장치(20)의 회동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더미힌지(40)는 상기 제 1삽입공(11b)(11b')과 제 2삽입공(21b)(21b')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는 원통형의 몸체(41)와, 상기 몸체(41)의 선단 둘레에 구비되어 제 2삽입공(21b)(21b')의 내부 벽면에 걸리는 후크(41b) 및, 상기 몸체(41)의 하단 둘레에 형성되어 제 1삽입공(11b)(11b')에 구비된 걸림턱(11c)(11c')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지지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몸체(41)의 중앙 양측에는 상기 더미힌지(40)가 삽입공(11b)(11b')(21b)(21b')으로 삽입되는 것을 원할하게 하기 위한 절개부(41a)를 더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의 결합부(11)(11')에 음향 출력장치(20)를 각각 안착시키면, 도 5의 도시와 같이 음향 출력장치(20)에 구비된 제 2삽입공(21b)(21b')은 본체(10)의 결합부(11)(11')에 구비된 제 1삽입공(11b)(11b')의 위치와 동일하게 되고, 이와 같이 제 1삽입공(11b)(11b')과 제 2삽입공(21b)(21b')의 위치가 동일하게 되면, 본체(10) 내측에서 더미힌지(40)를 삽입한다
이와 같이 더미힌지(40)를 삽입하면, 더미힌지(40)는 제 1삽입공(11b)(11b') 과 제 2삽입공(21b)(21b')을 순차적으로 관통하게 되면서, 몸체(41) 선단에 구비된 후크(41a)는 제 2삽입공(21b)(21b')의 내측면에 걸리게 되고, 하단에 구비된 지지부(42)는 제 1삽입공(11b)(11b')에 구비된 걸림턱(11c)(11c')에 걸리게 됨으로써, 음향 출력장치(20)는 본체(10) 내에서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견고한 결합 설치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더미힌지(40)는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음향 출력장치(20)에 구비된 스피커(42)에서 인출되는 케이블(23)은 상기 더미힌지(40)의 내부를 통로로 하여 본체(10) 내부와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간편한 구조를 가지며 케이블(23)의 설치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상기 한조로 구성되는 결합부(11)(11') 사이에 홈 형태의 조작부(13)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즉, 도 6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음향 출력장치(21)(21')의 개방동작시 용이하게 음향 출력장치(21)(21')를 파지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한조의 결합부(11)(11') 사이를 일정부분 개방하는 홈 형태의 조작부(12)를 구비함으로써, 음향 출력장치(21)(21')의 개방동작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출력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구비된 음향 출력장치(20)는, 평상시 도 7a의 도시와 같이 본체(10)의 결합부(11)(11') 내에 완전히 인입되어 스피커(22)(22')의 출력방향이 본체(10)의 후면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단 말기의 크기를 최소한으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종 동영상 및 영화감삼, 음악감상, TV시청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의 이용시에는 도 7b 내지 도 7d와 같은 상태로 음향 출력장치(20)의 위치를 가변적으로 조절하여 좌우 스피커(22)(22')의 출력방향을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스테레오 음의 좌우 분리를 더욱 확실하게 하여 좋은 품질의 음향을 얻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 구비되는 결합부(11)(11')는, 본체(10)의 후면 양측 끝단을 개방한 두개로 도시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결합부(12)만이 구비되어 있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구비되는 결합부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의 도시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A)에는 음향 출력장치(20)의 설치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결합부(12)가 하나로만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결합부(12)가 하나의 구조로 일체화 되어 있어도, 상기 제 1실시예 에서와 같이 두개의 음향 출력장치(21)(21')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며, 이경우에는 상기 결합부(12)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 에 제 1실시예에서와 같이 음향 출력장치(21)(21')의 개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별도의 조작부(13)가 구비되지 않더라도, 음향 출력장치(20)의 개방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사용자의 의지에 따라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스피커의 출력방향을 가변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좌우 음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져 높은 수준의 음질 획득이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6)

  1. 스테레오 스피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후면에 오목한 홈 형상의 결합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결합부 내에 각각 회동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두개의 스피커 하우징과, 상기 각 스피커 하우징의 전면에 노출되도록 장착되는 스피커로 이루어지는 음향 출력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본체의 후면 양측단 일부를 각각 개방한 두개의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결합부에는 각각,
    끝단 내부 일측 벽면에 일정 깊이를 갖는 제 1힌지홈이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1삽입공이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제 1힌지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음향 출력장치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힌지홈이 구비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대응되 는 위치에는 상기 제 1삽입공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삽입공이 구비되어,
    상기 제 1힌지홈과 제 2힌지홈에는 힌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제 2삽입공에는 더미힌지가 삽입 설치됨에 따라 결합부 내에서 음향 출력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본체의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으로 삽입되는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제 2힌지홈으로 삽입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일정주기를 갖고 고정이 가능한 클릭 힌지(Clik hig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본체의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으로 삽입되는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제 2힌지홈으로 삽입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어떠한 각도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스톱 (Free-Stop)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을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7. 제 3항 내지 제 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둘레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 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결합부 사이에는,
    상기 음향 출력장치의 개방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홈 형상의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본체의 후면 일부를 개방한 하나의 결합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결합부에는,
    양측 끝단 내부 일측 벽면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제 1힌지홈이 각각 구비되고, 다른 일측 벽면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1삽입공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의 제 1힌지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음향 출력장치에는 상기 제 1힌지홈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힌지홈이 각각 구비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제 1삽입공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는 제 2삽입공이 각각 구 비되어,
    상기 제 1힌지홈과 제 2힌지홈에는 힌지가 삽입 설치되고, 상기 제 1삽입공과 제 2삽입공에는 더미힌지가 삽입 설치됨에 따라 결합부 내에서 음향 출력장치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본체의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으로 삽입되는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제 2힌지홈으로 삽입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일정주기를 갖고 고정이 가능한 클릭 힌지(Clik hign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는,
    본체의 결합부에 구비된 제 1힌지홈으로 삽입되는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에 구비된 제 2힌지홈으로 삽입되는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로 구분 형성되고,
    상기 본체 삽입부와 음향 출력장치 삽입부가 동일한 회전축으로 각개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며, 어떠한 각도에서도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프리스톱(Free-Stop)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4.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을 순차적으로 관통 삽입되는 캡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1항 내지 1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힌지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원통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둘레에 구비되는 후크 및,
    상기 몸체의 하단 둘레에 구비되는 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결합부의 제 1삽입공과 음향 출력장치의 제 2삽입공에 탄력적으로 삽입 가능하도록 몸체의 양측에 구비되는 절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21674A 2005-03-16 2005-03-16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10004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74A KR20060100046A (ko) 2005-03-16 2005-03-16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674A KR20060100046A (ko) 2005-03-16 2005-03-16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0046A true KR20060100046A (ko) 2006-09-20

Family

ID=37631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674A KR20060100046A (ko) 2005-03-16 2005-03-16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0004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83268B1 (en) Speaker device for mobile terminal
US8391533B2 (en) Ear bud earphone with variable noise isolation, a cushion for an ear bud earphone and a corresponding method
EP2238769B1 (en) Acoustic reconfiguration devices and methods
US7228158B2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tereo sound
US10321215B2 (en) Earphone
US8867770B2 (en) Speaker-connector module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EP2451188A2 (en) Using accelerometers for left right detection of headset earpieces
US8041047B2 (en) Plug, sound inputting and outputting apparatus, and noise cancel system
EP1895810B1 (en) Head set device
JP2002158758A (ja) 開閉型携帯情報端末
US20070223762A1 (en) External sound outputting device
KR10065152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KR20060100046A (ko) 음향 출력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13162A (ko) 회전 스피커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0676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서라운드 스피커 장치
JP3792608B2 (ja) 折り畳み式携帯型通話装置
KR100677500B1 (ko) 스피커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JP2007282292A (ja) 開閉式携帯端末装置
KR20060132343A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3214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어폰 잭
KR200303650Y1 (ko) 듀얼스피커장치
JP2008066763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装置
KR20060033604A (ko) 회전형 스피커모듈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321575Y1 (ko) 단말기 케이스 외측에 스피커가 구비된 무선통신 단말기
KR20040044106A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