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9735A -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 Google Patents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9735A
KR20060099735A KR1020050021138A KR20050021138A KR20060099735A KR 20060099735 A KR20060099735 A KR 20060099735A KR 1020050021138 A KR1020050021138 A KR 1020050021138A KR 20050021138 A KR20050021138 A KR 20050021138A KR 20060099735 A KR20060099735 A KR 200600997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fishing net
enemy
barri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진
Original Assignee
홍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진 filed Critical 홍순진
Priority to KR10200500211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9735A/ko
Publication of KR20060099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97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1/00Culture of aquatic animals
    • A01K61/60Floating cultivation devices, e.g. rafts or floating fish-far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75/00Accessories for fishing nets; Details of fishing nets, e.g.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8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isheries management
    • Y02A40/81Aquaculture, e.g. of fis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치는 적조차단막을 승강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적기에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적조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에 대한 설치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적조차단막의 하단부를 개폐하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과 적조차단막의 주벽을 개폐하는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비하여 적조차단막을 승강시키지 않고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개폐하는 것만으로서 해수의 출입과 적조의 차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적조차단막의 상단에 에어포킷을 구비하여 적조차단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RED TIDE INTERCEPTING APPARATUS FOR NURSERY}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종단정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과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모두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4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개방하고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5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폐쇄하고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과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모두 폐쇄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적조차단막 12 : 에어포킷
13 : 결속끈 15 : 조임끈
17 : 지퍼
본 발명은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조를 적기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면서 설치가 용이하고, 평상시 가두리 내에 해수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연안의 부영양화 등으로 인하여 해상에 유해성 적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일반적인 가두리 양식장은 수면 상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에 어망을 결합하여 그 어망 내에서 양식 어ㆍ패류가 서식하도록 한 것으로서, 유해성 적조미생물이 어망의 망목을 통해 어망 내로 침투하여 양식 어ㆍ패류를 대량으로 폐사시키는 등 막대한 손해가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적조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넓은 공간에 황토를 살포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넓은 영역에 대하여 방제하여야 하기 때문에 많은 인력과 장비가 동원되어야 하므로 막대한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환경오염을 초래하게 되면서도 그 효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한편,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24286호와 같은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등록 받은 바 있다.
상기 등록특허의 장치는 장방형의 프레임에 결속되어 서ㆍ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망을 포위하며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투수성 적조차단막과, 이 적조차단막의 하단부를 조이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서는 적조 발생이 예상되거나 적조가 발생하였을 경우, 낮에는 표층에서 수심 4m까지 분포하는 적조미생물이 어망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조차단막을 끌어올려서 적조차단막의 상단이 적어도 어망의 상단과 같거나 높은 상태로 유지하며, 밤에는 적조미생물이 수심 10m이하로 내려간 적조미생물이 어망 내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조차단막의 하단을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으로 조이고, 적조현상이 계속될 경우 적조차단막에 의해 어망 내로의 해수의 출입이 차단되어 어망 내의 해수가 오염될 염려가 있으므로 적조미생물이 수심 10m 이하로 내려간 시점에서 적조차단막의 상단이 어망의 상단보다 1~3m정도 내려간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적조미생물의 치무를 방지하면서도 어망 내로의 해수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적조차단막의 재료로서 비교적 무겁고 뻣뻣한 재질인 피.브이.시 타포린 시트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설치 및 취급이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적조차단막을 승강시켜야 하므로 그 작업이 매우 어렵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수많은 단위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작업을 적기에 모두 완료하기 어려워 적조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적조차단막이 단순히 피.브이.시 타포린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 해상에 설치하는 경우 무거운 적조차단막이 가라앉지 않도록 하면서 작업을 수행하므로 많 은 힘이 들게 되는 등 그 작업이 더욱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조차단막의 개폐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많은 수의 단위 가두리 양식장에 대한 작업을 적기에 완료할 수 있어 적조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는 물론 적조 발생시에도 어망에 대한 해수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망 내의 해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조차단막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면 상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폐쇄된 자루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속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그 내부에 양식 어ㆍ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망으로 구성된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의 상기 서식 공간으로 적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어망의 수평 대각선의 길이보다 큰 직경과 어망의 수직 길이보다 긴 수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어망을 둘러싸는 비투수성 적조차단막과; 상기 적조차단막의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에 결속하는 결속수단과; 상기 적조차단막의 하단부를 조이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 및; 상기 적조차단막의 주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보인 것으로, 도 1은 전체 종단정면도, 도 2는 평면도, 도 3은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과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단 정면도, 도 4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개방하고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폐쇄한 상태를 보인 종단정면도, 도 5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폐쇄하고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개방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과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모두 폐쇄한 상태를 보인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1은 통상적인 단위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로서, 수면 상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2)과,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폐쇄된 자루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2)에 결속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그 내부에 양식 어ㆍ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망(5)으로 구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서 3은 프레임(2) 상면에 작업자가 보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판이고, 4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해 상기 발판(3)의 외곽 쪽에 설치되는 난간이며, 6은 상기 어망(5)을 상기 프레임(2)에 결속하는 결속끈이다.
이러한 단위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1)은 복수개가 전후좌우로 연결되어 일정 영역의 해상에 가두리 양식장 구역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적조차단장치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과 어망(4)의 수평대각선의 길이보다 큰 직경과 프레임(2)과 어망(5)의 수직 길이보다 긴 수직 길이를 가지고, 상기 어망(5)을 둘러싸는 비투수성(非透水性) 적조차단막(11)과; 상기 적조차단막(11)을 프레임(2)에 결속하는 차단막 결속수단과; 상기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를 조이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 및; 상기 적조차단막(11)의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양측 주벽(周壁)을 개폐하는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조차단막(11)은 비투수성 처리된 옥스포트지를 원통형으로 제봉한 것이 사용된다. 이때 제봉 시 생기는 바늘구멍은 심 실링(seam sealing)에 의하여 이 부분을 통해 적조미생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조차단막(11)의 상단에는 링(ring) 모양의 에어포킷(air pocket)(12)을 형성하여 적조차단막(11)을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할 때 적조차단막(11)이 가라않지 않고 해수면 상에 부상하도록 함으로써 적조차단막의 설치를 간편,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포킷(12)은 고무튜브나 합성수지튜브에 공기를 주입한 것이 사용된다. 이 에어포킷(12)은 적조차단막(11)의 상단에 제봉한다. 이때 에어포킷(12)과 적조차단막(11)의 제봉 시 생기는 바늘구멍은 해수면보다 위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심 실링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에어포킷(12)은 전체를 하나의 링(ring) 모양 에어포킷을 적조차 단막(11)의 상단에 결합할 수도 있으며, 여러 개의 에어포킷을 적조차단막(11)의 상단부에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적조차단막(11)은 상기 어망(5)만을 감싸는 식으로 설치하거나, 상기 프레임(2)의 외곽 전체를 감싸는 식으로 설치할 수 있다.
적조차단막(11)이 어망(5)만을 감싸는 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어망(5)의 크기가 가로 6m, 세로 6m, 높이 5m라고 할 때 적조차단막(11)은 그 직경을 최소한 어망(5)의 네 모서리가 내접하는 직경(약 8.5m) 이상으로 하고, 적조차단막(11)이 프레임(2)을 포함한 전체를 감싸는 식으로 설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프레임(2)의 크기가 가로 7m, 세로 7m라고 할 때 적조차단막(11)의 직경을 프레임(2)의 네 모서리가 내접하는 직경(약 10m) 정도로 하며, 두 경우 모두 적조차단막(11)의 높이를 최소한 10m이상으로 한다.
상기 차단막 결속수단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조차단막(11)의 상단부를 프레임(2)에 결속하는 차단막 결속끈(13)으로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은 도 1 내지 도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조차단막(11)의 하단에 원주를 따라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리(14)들과, 이들 복수개의 고리(14)에 끼워져 그 끝 부분이 어느 하나의 고리(14)에 고정되는 조임끈(15)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적조차단막(11)의 하단 조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에 적조차단막(11)과 동일한 재질이면서 적조차단막(11)보다 부드러운 재질의 조임막(16)을 결합하고, 이 조임막(16)에 상기 고리(14)를 고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은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적조차단막(11) 주벽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을 상기 적조차단막(11)이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절개하고, 이 절개부에 지퍼(zipper)(17)를 부착하여 구성된다.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지퍼(17)는 상기 적조차단막(11)을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하였을 때 해수의 유동 방향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개방하였을 때 해수가 상기 어망(5)에 대하여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퍼(17)는 슬라이더(slider)(17b)를 위로 올렸을 때 티스(teeth)(17a)가 잠기고, 슬라이더(17b)를 밑으로 내렸을 때 티스(17a)가 벌어지도록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더(17b)에는 이 슬라이더(17b)를 상기 프레임(2) 상에 있는 작업자가 갈고리 달린 막대기 등을 이용하여 위로 올렸다 밑으로 내렸다 할 수 있도록 고리형 손잡이(17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지퍼(17)는 가두리 양식장의 조건에 따라 적조차단막(11)의 네 면 모두에 설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지퍼(17)의 길이는 상기 어망(5)의 높이를 5m라고 할 때 1~3m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조차단막(11)을 가두리 양식장에 설치함에 있어서는 가두 리 양식장 구조물(1)측으로 운반된 적조차단막(11)은 상기 어망(5)을 둘러싸도록 한 상태에서 그 상단부를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1)의 프레임(2)에 결속수단인 결속끈(13)으로 결속하는 것에 의해 설치가 완료된다.
이때 적조차단막(11)을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1)측으로 운반함에 있어서는 적조차단막(11)의 상단에 에어포킷(12)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이 에어포킷(12)에 의하여 적조차단막(11)이 가라앉지 않고 해수면 상에 부유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적조차단막(11)을 운반할 때 무거운 적조차단막(11)의 무게를 전적으로 부담하지 않고 가볍게 운반할 수 있어 운반 및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평상시에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구성하는 조임끈(15)을 늘어뜨려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가 개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지퍼(17)의 슬라이더(17b)를 밑으로 내려서 티스(17a)가 벌어져서 적조차단막(11)의 상단 주벽 일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와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된 부분을 통하여 상기 어망(5)에 대한 해수의 출입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은 해수의 유동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므로 해수의 출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적조 발생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과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이용하여 어망(5)에 대한 적조미생물의 침투를 방지하게 된다.
이때 낮에는 적조미생물이 해수면으로부터 수심 4m까지 분포하므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지퍼(17)의 슬라이더(17b)를 위로 올려서 티스(17a)가 잠기면서 적조차단막(11)의 주벽이 모두 폐쇄되도록 하고,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는 개방된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경우 적조미생물이 적조차단막(11)의 주벽을 통해 어망(5)쪽으로 침투하는 것은 방지되면서도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를 통해 해수의 출입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어망(5) 내에서의 어ㆍ패류의 서식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밤에는 적조미생물이 수심 10m이하로 내러가므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을 구성하는 조임끈(15)을 잡아당겨서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가 조여져서 폐쇄되도록 하고,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지퍼(17)의 슬라이더(17b)를 밑으로 내려서 티스(17a)가 벌어지게 하여 적조차단막(11)의 주벽 일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이 경우 적조미생물이 적조차단막(11)의 하단부를 통해 어망(5)쪽으로 침투하는 것은 방지되면서도 적조차단막(11)의 주벽 일부를 통해 해수의 출입이 이루어지게 되어 어망(5) 내에서의 어ㆍ패류의 시식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적조가 발생한 상태에서 풍랑이 높은 경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조미생물이 수심 10m이하로 내려갔다고 하더라도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구성하는 슬라이더(17b)를 위로 올려서 티스(17a)가 닫히게 하여 적조차단막(11)의 주벽을 폐쇄한다.
이 경우 적조미생물이 풍랑을 타고 올라와서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에 의해 개방된 적조차단막(11)의 주벽을 통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지퍼(17)의 슬라이더(17b)를 위로 올리거나 밑으로 내리는 작업은 상기 프레임(2) 상에 있는 작업자가 갈고리 달린 막대기를 이용하여 슬라이더(17b)의 고리형 손잡이(17c)에 갈고리를 걸어서 끌어올리거나 밀어내리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에 의하면 적조차단막을 승강시키지 않고 적조차단막의 하단은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에 의해 개폐하고, 적조차단막의 주벽은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해수의 출입을 허용하거나 차단하는 것이므로 많은 수의 단위 가두리 양식장체 대한 작업을 적기에 완료할 수 있어 적조 피해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에 의하면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에 의한 적조차단막 하단부의 개폐와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에 의한 적조차단막의 주벽 개폐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는 물론 적조가 발생한 경우에도 어망에 대한 해수의 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어망 내의 해수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에 의하면 적조차단막의 상단부에 에어포킷을 구비한 것이므로 무거운 적조차단막의 운반 및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면 상에 설치되는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단이 개구되고 하단이 폐쇄된 자루모양으로 형성되어 그 상단 가장자리가 상기 프레임에 결속되어 수중으로 늘어뜨려져 그 내부에 양식 어ㆍ패류가 서식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어망으로 구성된 가두리 양식장 구조물의 상기 서식 공간으로 적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과 어망의 수평 대각선의 길이보다 큰 직경과 어망의 수직 길이보다 긴 수직 길이를 가지며 상기 어망을 둘러싸는 비투수성 적조차단막과;
    상기 적조차단막의 상단부를 상기 프레임에 결속하는 결속수단과;
    상기 적조차단막의 하단부를 조이는 차단막 하단부 조임수단 및;
    상기 적조차단막의 주벽을 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은 적조차단막의 적어도 서로 마주보는 양측 주벽에 설치되며, 해수의 유동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 주벽 개폐수단은 주벽의 서로 마주보는 양측 을 적조차단막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상하방향으로 절개하고, 이 절개부에 지퍼를 부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퍼는 그 지퍼를 구성하는 슬라이더를 밑으로 내렸을 때 그 지퍼를 구성하는 티스가 벌어져 상기 적조차단막의 주벽이 개방되고, 슬라이더를 위로 올렸을 때 닫혀서 상기 적조차단막이 폐쇄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조차단막의 상단부에 부착된 에어포킷을 더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KR1020050021138A 2005-03-14 2005-03-14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KR200600997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138A KR20060099735A (ko) 2005-03-14 2005-03-14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138A KR20060099735A (ko) 2005-03-14 2005-03-14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9735A true KR20060099735A (ko) 2006-09-20

Family

ID=37630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138A KR20060099735A (ko) 2005-03-14 2005-03-14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973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84B1 (ko) * 2021-01-19 2021-08-24 (주)생태와환경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패류 채취장치
CN116114666A (zh) * 2023-03-15 2023-05-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深远海网箱养殖大黄鱼保活捕捞网具及捕捞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2584B1 (ko) * 2021-01-19 2021-08-24 (주)생태와환경 오탁수의 확산을 방지하는 패류 채취장치
CN116114666A (zh) * 2023-03-15 2023-05-16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深远海网箱养殖大黄鱼保活捕捞网具及捕捞方法
CN116114666B (zh) * 2023-03-15 2024-05-14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一种深远海网箱养殖大黄鱼保活捕捞网具及捕捞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252B2 (en) Cage farming apparatus
US6267079B1 (en) Fish cage
CN109329152B (zh) 一种大面积水域围网养殖潜网诱捕起捕平台
KR101174864B1 (ko) 어촌관광형 다영양입체양식장치
JP3194157U (ja) 稚魚保護育成礁
KR101728120B1 (ko) 해파리 포획장치
JP2017176082A (ja) アワビ類育成用海底設置型網生け簀
EP0612210A1 (en) DEVICE FOR A FISH CULTURE UNIT.
AU2011200222B1 (en) Artificial Reef
KR200448134Y1 (ko) 어린해삼 양육용 인공어초
KR20060099735A (ko)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JP6470644B2 (ja) タコの飼育方法、タコ飼育用シェルタおよびタコの飼育システム
JP6323966B1 (ja) 魚類の捕獲装置、および魚類の捕獲方法
JP2006197854A (ja) 水位低下追い込み式定置網
KR100423152B1 (ko) 잠수 조절 기능과 균형 부유 기능을 갖는 가두리 양식장구조물 및 그 사용방법
KR100906601B1 (ko) 인공어초
CN207305778U (zh) 多功能养鱼网栏
KR100424286B1 (ko) 가두리 양식장의 적조차단장치
KR101779379B1 (ko) 양식장의 적조방제 부양막
JP2007105002A (ja) 外来魚採捕装置
WO20181969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control of lice in fish farming, in particular fish farming in territorial waters
CA3212807A1 (en) Fish farm with a closed submersible unit
KR101015664B1 (ko) 적조 및 해양환경 오염방지를 위한 양식장
NO20161924A1 (no) System og fremgangsmåte for å hindre påslag av lus på fisk i en oppdrettsmerd
JP3335451B2 (ja) 底棲魚類幼稚魚用魚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