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865A -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865A
KR20060098865A KR1020050019193A KR20050019193A KR20060098865A KR 20060098865 A KR20060098865 A KR 20060098865A KR 1020050019193 A KR1020050019193 A KR 1020050019193A KR 20050019193 A KR20050019193 A KR 20050019193A KR 20060098865 A KR20060098865 A KR 200600988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eck
plywood
preservative
antisep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44433B1 (ko
Inventor
이동흡
손동원
이명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Priority to KR1020050019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443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4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4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3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by using electromagnetic radiation or mechanical waves
    • B27K5/0065Ultrasonic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3/00Impregnating wood, e.g. impregnation pretreatment, for example puncturing; Wood impregnation aids not directly involved in the impregnation process
    • B27K3/52Impregnating agents containing mixtures of inorganic and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 침지처리로 방부처리한 단판으로 적층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처리로 방부처리한 단판으로 표판, 심판, 이판으로 적층 배열하여 구성하는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 및 전술한 방부합판을 데크재로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의 제조방법은
(1)표판 하부에 표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되어 구비되는 심판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2)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의 심판은 교호로 심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3)이판 상부에 이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되어 구비되는 심판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4)표판, 심판 및 이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Laminated veneer products for deck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ing ultrasonic deeping preservative-treated veneer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재의 단면분해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제조시 표판의 표면 가공전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제조시 표판의 표면을 미끄럼방지 처리를 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방부처리한 단판으로 적층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 처리로 방부처리한 단판으로 각각 표판, 심판, 이판으로 적층 배열하고 접착제로 압착시킨 데크용 방부합판, 이의 제조방법 및 전술한 방부합판을 데크재로 이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데크는 주택에서 제2의 거실과 같은 용도로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거실과 연결되기 때문에 신발을 신지 않고 사용하거나, 추운 겨울철을 제외하고 어린아이들의 경우는 데크 위에 누워서 노는 등 신체접촉이 매우 많은 주거공간의 일부이다.
이러한 데크에 적용하는 목재 판재를 이용한 소재형의 데크는 사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뒤틀림, 휨, 갈라짐, 못이 솟아올라오는 등의 결함이 발생하기 쉽고, 이로 인하여 신체 등이 다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소재형의 데크는 절단과 포삭 등의 목재가공 공정이 끝난 후 목재 내부 및 외부의 썩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압방부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한 것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므로 방부제의 유효성분이 표면에 노출되므로 신체와 직접 접촉하는 곳에서는 방부제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
현재 국내에서 사용하는 데크 용도의 목재방부제는 대부분이 크롬·구리·비소화합물계(CCA)의 것이다. 그러므로 양생과정을 충분하게 거친 것이 아니면 방부제의 용탈로 피해를 받을 수도 있다. 또 CCA 목재방부제는 산림청고시「목재의 방부·방충처리기준」에서 사용환경범주 H2에서는 사람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곳에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며, 사용환경범주 H3에서는 신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도장 등의 처리를 하여 사용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설치 후 표면에 페인트나 바니시(varnish) 등의 도장처리를 요구하고 있다.
또한 수입 데크재나 난주입재를 가공할 때는 인사이징처리를 한 것을 사용하므로 목재 표면에 칼날로 섬유를 끊어준 결함이 있으므로 미관상에 좋지 않으며, 사용중 양말이나 스타킹 등에 손상을 입히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한 데크재에 사용하는 목재방부제의 문제와 데크재의 뒤틀림, 휨, 갈라짐, 못이 솟아올라오는 등의 결함을 해결에 시급한 실정이나 아직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방부처리한 단판을 이용하는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여 합판이 지니는 우수한 내구성 및 방부처리한 단판에 의해 방부합판의 목재 내부가 썩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창안된 것인데, 본 발명의 목적은 저독성의 목재방부제를 초음파 침지로 단판의 내부까지 주입하고, 이 단판을 고내수성의 상온경화형의 접착제로 접착시켜 데크용 방부합판을 제공함으로써 데크 소재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을 최소화시킨 데크용 방부합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데크 소재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데크용 방부합판의 제조방법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을 이용한 데크는 신체와 접촉이 많은 야외사용 또는 내부사용시 친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기존 데크 소재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어린이, 노약자 및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언급한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부처리된 단판을 합판의 표판, 심판 및 이판으로 하여 적층시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은 표판 및 이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되도록 배열하고,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에 구비되는 심판은 표판 및 이판의 섬유방향과 동일하게 배열된 데크용 방부합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에서 방부처리된 단판은 목재방부제로 방부처리를 실시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방부처리되며, 방부처리된 단판은 각각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에 있어서, 방부합판의 표면에 구비되는 표판, 방부합판의 하부에 구비되는 이판, 표판 및 이판 사이의 내부에 구비되는 심판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뒤틀림, 휨 및 갈라짐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부 표판과 그 하부에 배열되는 심판은 섬유길이 방향으로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이 좋다. 동일한 이유로 하부 표면판과 그 상부에 구비되는 심판은 섬유길이 방향으로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시키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기 위해 표판, 이판,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에 구비되는 심판은 동일한 섬유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에 구비되는 표판, 이판 및 심판은 침엽수, 활엽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와 직접 접촉되는 표판, 이판에 사용하는 데크 용 방부합판의 단판은 마모저항이 큰 침엽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일단 습기나 물이 심판 내부로 스며들면 수분의 제거가 어려우므로 심판 내부가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심판에 사용하는 데크용 방부합판의 단판은 방부제 약액의 주입이 양호한 활엽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데크용 방부합판의 단판으로 사용하는 표판, 이판, 심판에 적용할 수 있는 침엽수재의 일예로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라디에타소나무, 미송(다글러스퍼), 미국솔송나무(햄록), 가문비나무, 미국남부소나무(써든파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데크용 방부합판의 단판으로 사용하는 표판, 이판, 심판에 적용할 수 있는 활엽수재의 일예로서 백합나무, 포플러, 아스팬, 라왕류, 케루잉, 라민, 코튼우드, 오리나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상부 표판에 미끄럼방지 가공을 하여 데크용 방부합판으로 이루어진 데크에 도보로 걸어 다니거나, 운반도구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할 경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미끄럼 방지의 일예로서 상부 표판에 요철가공이나 물결모양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표판 및 이판 사이에 구비되는 심판은 1개 이상 구비할 수 있으나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휨, 비틀림, 갈라짐에 대한 내성과 수분침투 억제를 위해 심판은 최소 3개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접착제를 용이하게 도포하기 위해 3개 이상 홀수의 심판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에서 단판은 초음파 침지처리와 목재방부제를 이 용하여 단판에 방부처리를 할 수 있다. 이하 단판의 방부처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표판, 이판, 심판으로 구성되면, 이들 각각의 두께는 당업자가 소정의 크기로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또한 심판의 개수는 사용처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이들 표판, 이판, 심판의 두께는 발명의 필수 구성성분이 아니므로 이하 자제한 내용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데크용 방부합판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의 제조방법은 데크용 방부합판의 제조에 있어서, 방부처리된 단판을 표판, 심판, 이판으로 하고, (1)표판 하부에 표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되어 구비되는 심판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2)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의 심판은 교호로 심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3)이판 상부에 이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로 구비되는 심판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4)표판, 심판 및 이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표판과 그 하부에 구비되는 심판은 데크용 방부합판의 뒤틀림, 휨 및 갈라짐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섬유길이 방 향으로 서로 직교가 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좋다. 동일한 이유로 이판과 그 상부에 배열되는 방부처리된 심판은 섬유길이 방향으로 서로 직교되도록 배열하는 것이 좋다.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의 심판은 데크용 방부합판의 수분의 침투가 가장 용이한 목구면의 노출을 최소화하여 내부로 수분침투를 줄이고, 뒤틀림, 휨 및 갈라짐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판과 이판과 동일한 섬유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심판 중에서 표판과 인접한 심판과 이판과 인접한 심판은 동일한 섬유길이 방향을 가지며, 마찬가지로 표판, 표판 및 이판과 인접한 심판 내부의 심판, 이판은 동일한 섬유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사용되는 표판, 이판 및 심판에 사용되는 단판은 침엽수, 활엽수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외부와 직접 접촉되는 표판, 이판에 사용하는 데크용 방부합판의 단판은 마모저항이 큰 침엽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고, 일단 습기나 물이 심판 내부로 스며들면 수분의 제거가 어려우므로 심판 내부가 썩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심판에 사용하는 데크용 방부합판의 단판은 방부제 약액의 주입이 양호한 활엽수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표판, 이판, 심판에 사용할 수 있는 침엽수재의 일예로서 소나무, 리기다소나무, 잣나무, 라디에타소나무, 미송(다글러스퍼), 미국솔송나무(햄록), 가문비나무, 미국남부소나무(써든파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표판, 이판, 심판에 사용할 수 있는 활엽수재의 일예로서 백합나무, 포플러, 아스팬, 라왕류, 케루잉, 라민, 코튼우드, 오리나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표판에 미끄럼방지 가공을 하여 데크용 합판으로 이루어진 데크에 도보로 걸어 다니거나, 운반도구를 이용하여 화물을 운반할 경우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미끄럼 방지의 일예로서 상부 표면판에 요철가공 또는 물결모양 가공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판은 모두 목재방부제로 방부처리하여 수분에 대한 데크제의 훼손 내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에서 단판의 구성 매수는 용도에 따라 5겹 이상의 기수로 배열될 수 있다. 즉 단판 사이에 함유되는 교차 배열용 심판의 개수는 표층용 단판의 상하의 사이에 한 겹으로 배열하여 데크용 방부합판의 방부처리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 심판의 표면에 도포하는 접착제는 수분에 의해 데크용 방부합판 내부의 심판의 결합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내수성이 높으며 추후 적층된 합판을 압착시 상온에서도 접착시킬 수 있도록 상온에서 경화하는 목재용 접착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접착제의 일예로서 레소시놀 수지 접착제, 페놀 수지 접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압착은 표판, 이판, 심판의 구성 매수는 당업자가 적의 선택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압착조건의 일예로서 단판의 두께가 3mm인 표판 및 이판용 단판 두 개, 심판 7개를 사용하여 총 9개의 단판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접착제가 심판에 도포한 후 압착하여 최종적으로 데크용 방부합판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압착조건은 합판을 얻을 수 있는 조건이라면 어떠한 조건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에서 데크용 방부합판 제조시 압착조건은 180℃∼190℃에서 10분∼30분 동안 20∼30kg/cm2의 고온압착시키거나 또는 상온에서 30분∼2시간 동안 20∼30kg/cm2의 압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판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방부처리 할 수 있다.
먼저 단판을 함수율이 8∼15%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
단판을 방부제액이 함유된 초음파 침지처리기에 침지하거나, 또는 초음파 발생장치가 구비된 방부제액에 침지시킨 후 초음파를 발생시켜 단판을 방부처리 시키는 단계,
방부처리 후 단판의 함수율을 4∼5% 되도록 건조하는 단계로부터 얻을 수 있다.
상기에서 단판은 방부처리 하기 전에 방부처리가 원활히 되도록 하기 위해 단판의 함수율이 8∼15%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단판의 함수율이 8% 미만이면 건조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있고, 단판의 함수율이 15% 초과되면 방부제의 흡수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단판은 방부처리 하기 전에 함수율이 8∼15% 되도록 건조하는 것이 좋다.
단판을 위와 같은 함수율이 되도록 건조하기 위해 실시하는 건조조건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적인 건조조건에 의한 방법을 이용하여 건조할 수 있다. 일예로 상온, 상압의 조건하에서 자연건조하거나, 열풍건조기를 이용하여 상압, 40∼60℃에서 건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판을 방부처리 하기 위한 방부제는 저독성의 방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러한 저독성 방부제의 일예로서 나프텐산구리(NCU), 나프텐산아연(NZN), 구리-알킬암모늄(ACQ)화합물계 방부제, 구리-붕소-아졸(CUAZ)화합물계 방부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판을 방부제로 방부처리시 방부처리의 효율을 높이고, 방부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초음파 침지처리를 하여 단판을 방부제로 방부처리 할 수 있다.
초음파는 용액 속으로 조사되면 공동화기포(cavitation bubble)가 발생하고 그것이 성장하여 파열할 때 고온, 고압의 충격파가 발생하는데 이것이 에너지원으로 작용하여 각종 화학반응공정에서 반응효율을 증대시킨다. 본 발명에서 단판의 방부처리 방법은 초음파 침지처리를 적용하였으므로 침지처리로는 단시간처리에서 불가능하였던 3mm 단판의 내부까지 단시간에 방부제를 침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판을 방부처리시 실시하는 초음파 침지처리 조건은 목적 달성을 위한 조건이면 어떠한 초음파 처리 조건으로도 단판을 방부처리 할 수 있다. 이 러한 초음파 처리 조건의 일예로서 300∼500W의 출력으로 10∼60분간 처리할 수 있다.
초음파 침지처리와 방부제를 이용하여 단판을 방부처리 후 단판은 데크용 방부합판에 사용하기에 적절한 함수율을 갖도록 단판을 건조할 수 있다. 이때 단판의 최종 함수율은 4∼5% 되도록 건조할 수 있다. 이때 건조 조건의 일예로 인공열기건조, 열풍건조기를 이용한 건조 조건으로 방부처리한 단판을 건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합판의 단면분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데크재 합판의 절단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데크재 합판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다.
도 1에서 표판(V1), 이판(V9), 표판(V1) 및 이판(V9)과 인접한 심판(V2, V8), 심판(V2,V8) 내부의 심판(V3∼V7)은 두께 3mm의 로타리레이스에서 깍은 단판을 사용하였다.
상기의 로타리레이스에서 깍은 단판은 함수율이 13% 되도록 상온에서 자연건조한 후, 초음파 처리를 이용하여 방부처리를 하였다. 이때 초음파 침지처리를 이용한 방부처리는 발진(40kHz)이 가능한 400W의 출력의 초음파 침지처리기에 방부제로서 나프텐산구리 유제(油劑)를 단편이 침지될 정도로 넣고, 각각의 단판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침지하면서 5분간 초음파 침지처리하여 단판에 방부제액의 흡 수량이 0.8kg/m3 ∼1.0kg/m3 되도록 하여 방부처리된 단판을 얻고 단판의 함수율이 5% 되도록 인공열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였다.
상기에서 방부처리된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합판은 표판(V1), 이판(V9) 및 심판(V2∼V8)으로 이루어지며, 이때 표판(V1)과 심판(V2) 및 이판(V9)과 심판(V8)은 섬유길이 방향으로 직교가 되도록 배열하였다. 또한 심판(V2, V8) 사이의 심판(V3∼V7) 5매는 표판(V1), 이판(V9)과 동일한 섬유길이 방향이 되도록 배열하였다.
레소시놀수지 접착제를 심판(V2), 심판(V4, V6), 심판(V8)의 양면에 300± 10g/m2으로 도포한 것을 상온에서 30분 동안 20kgf/cm2으로 압착하여 데크용 방부합판을 제조하였다(도 2 참조).
접착이 종료되면 상부 표면판(V1)의 표면을 섬유길이 방향으로 미끄럼방지 요철 가공을 하고, 하부 표면판(V9)은 사포로 표면을 깨끗하게 연삭하였다(도 3 참조).
상기에서 제조한 데크용 방부합판을 일정한 폭, 예를 들어 폭 145mm로 재단하여 데크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체육시설의 마루형 데크, 등산로 데크, 계단용 데크, 조경시설용 보도워크 데크, 주택의 베란다용 데크, 복도용 데크 또는 장애인 램프시설용 데크의 야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실내용 멍애, 마루장선 멍애, 결로가 우 려되는 곳의 마루판, 공공시설물의 마루판, 역사의 프레트폼, 터미날의 프레트폼, 목교의 상판 또는 에스프라나데(esplanade)용의 실내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최선의 방법으로 선택한 개념으로 간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한 의미와 개념으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초음파 침지처리한 방부처리 단판으로 구성된 데크용 방부합판은 신체와 접촉이 많은 야외사용 데크를 친환경적으로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 소재 데크의 결함을 최소화하여 어린이, 여성, 노약자 및 장애인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데크용 합판은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방부합판을 데크의 폭으로 재단 후 상품으로 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야외사용 용도로 하안 및 호안의 둔치를 이용한 체육시설과 관련된 마루형의 데크, 등산로 데크, 계단용 데크, 조경시설용 보도워크에 사용하는 데크, 주택 및 집합주택의 베란다, 복도에 사용하는 데크, 장애인 램프시설용 데크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데크용 방부합판은 상기의 야외사용 용도 뿐만 아니라 실내 사용 용도로 마루장선 또는 멍애, 결로가 우려되는 곳의 마루판, 공공시설물의 마루판, 역사 및 터미날의 프레트폼, 목교의 상판, 에스프라나데(esplanade)용으로 설치하는 데크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데크용 방부합판에 있어서,
    방부처리된 단판을 합판의 표판, 심판 및 이판으로 하여 적층시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은 표판 및 이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로 배열하고,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에 구비되는 심판은 표판 및 이판의 섬유방향과 동일하게 배열된 데크용 방부합판.
  2. 제1항에 있어서, 방부처리된 단판은 방부제에 단판을 침지한 후 초음파발진에 의해 방부처리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용 방부합판.
  3. 제1항에 있어서, 단판을 방부처리시 사용하는 방부제는 나프텐산구리(NCU), 나프텐산아연(NZN), 구리-알킬암모늄(ACQ)화합물계 방부제, 구리-붕소-아졸(CUAZ)화합물계 방부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용 방부합판.
  4. 제1항에 있어서, 표판의 표면을 요철 또는 물결모양으로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용 방부합판.
  5. 제1항에 있어서, 레조시놀 수지 또는 페놀수지의 접착제로 표판, 심판 및 이 판을 접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용 방부합판.
  6. 데크용 방부합판의 제조에 있어서,
    방부처리된 단판을 표판, 심판, 이판으로 하고, 표판 하부에 표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되어 구비되는 심판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표판 및 이판에 인접한 심판 내부의 심판은 교호로 심판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이판 상부에 이판의 섬유방향과 직교로 구비되는 심판 양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단계,
    표판, 심판 및 이판을 순서대로 적층하고, 압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크용 합판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방부처리된 단판은 방부제에 단판을 침지한 후 초음파발진에 의해 방부처리된 것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단판을 방부처리시 사용하는 방부제는 나프텐산구리(NCU), 나프텐산아연(NZN), 구리-알킬암모늄(ACQ)화합물계방부제, 구리-붕소-아졸(CUAZ)화합물계방부제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접착제는 레조시놀 수지 또는 페놀수지 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180℃∼190℃에서 10분∼30분 동안 10∼30kg/cm2의 고온압착시키거나 또는 상온에서 30분∼2시간 동안 10∼30kg/cm2의 압착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표판의 표면을 요철 또는 물결모양으로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12.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데크용 방부합판을 체육시설의 마루형 데크, 등산로 데크, 계단용 데크, 조경시설용 보도워크 데크, 주택의 베란다용 데크, 복도용 데크 또는 장애인 램프시설용 데크에 사용하는 방법.
  13. 특허청구범위 제1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항의 데크용 방부합판을 실내용 멍애, 마루장선 멍애, 결로가 우려되는 곳의 마루판, 공공시설물의 마루판, 역사의 프레트폼, 터미날의 프레트폼, 목교의 상판 또는 에스프라나데(esplanade)용으로 사용하는 방법.
KR1020050019193A 2005-03-08 2005-03-08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KR100644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93A KR100644433B1 (ko) 2005-03-08 2005-03-08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93A KR100644433B1 (ko) 2005-03-08 2005-03-08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65A true KR20060098865A (ko) 2006-09-19
KR100644433B1 KR100644433B1 (ko) 2006-11-23

Family

ID=3763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93A KR100644433B1 (ko) 2005-03-08 2005-03-08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4433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666B1 (ko) * 2007-05-21 2009-07-29 대한민국 생원목의 압축가공 방부처리방법
WO2014046679A1 (en) * 2012-09-24 2014-03-27 Celanese Acetate Llc Wood laminate articles comprising substituted cellulose ester adhesiv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9023757B2 (en) 2012-01-27 2015-05-05 Celanese Acetate Llc Substituted cellulose acetates and uses thereof
US9090045B2 (en) 2012-09-24 2015-07-28 Celanese Acetate Llc Engineered wood produced with substituted cellulose ester adhesiv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9167830B2 (en) 2012-01-27 2015-10-27 Celanese Acetate Llc Substituted cellulose acetates and uses thereof
US9212290B2 (en) 2012-01-27 2015-12-15 Celanese Acetate Llc Substituted cellulose acetates and uses thereof
CN109015948A (zh) * 2018-09-25 2018-12-18 嘉善欣达胶业有限公司 一种复合板材及其加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3893B1 (ko) * 2019-01-25 2019-07-25 선창산업주식회사 지붕용 내수 합판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89503A (ja) * 1990-11-26 1992-07-08 Shigeru Yoshihara 木材の処理方法
KR100431804B1 (ko) * 2001-01-10 2004-05-17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수익률 및 손실률을 설정할 수 있는 금융펀드 운용 방법및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9666B1 (ko) * 2007-05-21 2009-07-29 대한민국 생원목의 압축가공 방부처리방법
US9023757B2 (en) 2012-01-27 2015-05-05 Celanese Acetate Llc Substituted cellulose acetates and uses thereof
US9167830B2 (en) 2012-01-27 2015-10-27 Celanese Acetate Llc Substituted cellulose acetates and uses thereof
US9212290B2 (en) 2012-01-27 2015-12-15 Celanese Acetate Llc Substituted cellulose acetates and uses thereof
WO2014046679A1 (en) * 2012-09-24 2014-03-27 Celanese Acetate Llc Wood laminate articles comprising substituted cellulose ester adhesiv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9090045B2 (en) 2012-09-24 2015-07-28 Celanese Acetate Llc Engineered wood produced with substituted cellulose ester adhesiv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US9138967B2 (en) 2012-09-24 2015-09-22 Celanese Acetate Llc Wood laminate articles comprising substituted cellulose ester adhesives and methods relating thereto
CN109015948A (zh) * 2018-09-25 2018-12-18 嘉善欣达胶业有限公司 一种复合板材及其加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4433B1 (ko)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4433B1 (ko) 초음파 침지처리 단판을 이용한 데크용 방부합판 및 이의제조방법
KR100679815B1 (ko) 대칭구조를 이용한 무늬목과 고밀도섬유판을 갖는마루바닥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87820B1 (ko) 합판과 고밀도 섬유판이 결합된 마루재 및 그 제조방법
Christiansen et al. Hydroxymethylated resorcinol coupling agent for wood surfaces to produce exterior durable bonds
Shukla et al. Effect of copper based preservatives treatment of the properties of southern pine LVL
EP1513661B1 (en) Method to reduce surface cracking of coated hardwood composite flooring
US20110155315A1 (en) Preservative-treated i-joist and components thereof
Wang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phenol formaldehyde resin-impregnated veneers and laminated veneer lumber
Tohmura Acceleration of the cure of phenolic resin adhesives VII: Influence of extractives of merbau wood on bonding
EP0532444A1 (en) Process for impregnating wood with plastic material
JP6494419B2 (ja) 木材薬液処理方法
JP3315647B2 (ja) 単板積層材
JP3727251B2 (ja) 建築用材の製造方法
US3523049A (en) Process for high-frequency bonding of wood sections having impregnated preservative
RU2518728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литы из деревянного шпона
Reinprecht et al. Decay resistance of laminated veneer lumbers from European oaks
Mittal ALFRED W. CHRISTIANSEN*.*.* and CHARLES B. VICK
JPH08254003A (ja) 強化木質化粧材
JP3595538B2 (ja) 合成木質建材の消臭方法、及び消臭合成木質建材の製造方法、及び消臭合成木質建材
JP3064730U (ja) 木質構成材
JPH08267413A (ja) 防腐・防蟻性集成木質材料の製造方法
Piao et al. Laminated crossarms made from decommissioned chromated copper arsenate–treated utility pole wood. Part II: Preservative retention, glue-line shear, and delamination
CN115087528A (zh) 一种通过工程层提高木材耐用性和耐候性的方法
US20190275768A1 (en) Exterior laminated veneer wood deck system
JP2005179474A (ja) 熱硬化性接着剤とそれを用いた木質系建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