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815A -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 Google Patents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815A
KR20060098815A KR1020050019131A KR20050019131A KR20060098815A KR 20060098815 A KR20060098815 A KR 20060098815A KR 1020050019131 A KR1020050019131 A KR 1020050019131A KR 20050019131 A KR20050019131 A KR 20050019131A KR 20060098815 A KR20060098815 A KR 20060098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vacy
image
surveillance camera
unit
original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3844B1 (ko
Inventor
김학재
최진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844B1/ko
Priority to US11/325,344 priority patent/US20060206911A1/en
Publication of KR20060098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78User interface
    • G08B13/19686Interfaces masking personal details for privacy, e.g. blurring faces, vehicle license pl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04N23/61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where the recognised objects include parts of the human bod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72Means for inserting a foreground image in a background image, i.e. inlay, outlay
    • H04N5/2723Insertion of virtual advertisement; Replacing advertisements physical present in the scene by virtual advertis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으면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해상도를 낮추는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와,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A supervisory camera and a privacy protecting method of the supervisory camera}
도1은 프라이버시 영역을 마스킹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종래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3은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리지널 영상 및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4는 영상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오리지널 영상 및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재구성한 리샘플링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5는 오리지널 영상과 리샘플링 영상을 결합하여 만들어진 모자이크 영상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6은 도2에 도시한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 11: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
12:비트맵 생성부 13:리샘플링부
14:모자이크 합성부 15:영상처리부
17:A/D변환부 18:제어부
19:팬/틸트/줌 구동부 23:프라이버시 영역 저장부
24:상하반전부
본 발명은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에 포착된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낮추어 디스플레이하여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범죄 및 도난방지를 위해 건물이나 길거리에 감시카메라가 설치되고 있는데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은 경찰서나 건물관리실의 모니터에서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경찰이나 건물관리인은 감시카메라가 설치된 장소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체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하는 시스템을 감시시스템이라고 하며, 종래의 감시시스템은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69494호의 도1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감시카메라, 컨트롤러 및 모니터로 이루어진다.
감시카메라는 소정의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렌즈부와, 렌즈부를 360°수평방 향으로 팬(Pan)회전, 180°수직방향으로 틸트(Tilt)회전, 줌(Zoom)시키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감시카메라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컨트롤러는 감시카메라를 조정하기 위한 각종 키와 조이스틱을 구비하며,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복수의 감시카메라를 조정할 수 있다. 모니터는 감시카메라에서 촬영된 감시영역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러한 감시시스템이 설치되면 사용자는 컨트롤러를 조작하여 감시할 방향으로 감시카메라를 향하게 하고, 모니터에서 표시되는 영상을 체크하여 감시영역의 범죄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시스템은 범죄발생율이 높은 지역에 설치될 경우 범죄발생율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
반면에 감시시스템은 경우에 따라 개인의 사생활에 해당하는 부분까지 포착하여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함으로써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1-69494호에서는 프라이버시에 해당하는 부분을 마스킹하여 프라이버시 영역은 모니터에 디스플레이되지 않게 함으로써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즉,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에 표시되는 영상 중에서 프라이버시 영역(A)을 마스킹하여 프라이버시 영역(A)에는 실제 영상이 표시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특개2001-69494호의 방법처럼 프라이버시 영역을 마스킹하면 개인의 프라이버시는 보호할 수 있을 지 모르지만 프라이버시 영역은 전혀 감시를 할 수 없어 감시카메라의 본래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전체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영역 부분만 아무런 영상이 표시되지 않아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이 부자연스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 프라이버시 영역에서도 감시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소정부분이 프라이버시 영역이면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낮춘 영상을 생성하는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와,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줌배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프라이버시 보호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프라이버시 영역 저장부에 저장된 프라이버시 위치정보와 상기 렌즈부의 팬/틸트/줌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 속한 프라이버시 영역을 연산하는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는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작성하는 비트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상기 비트맵의 분해능에 상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블럭에 속하는 모든 픽셀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 평균값을 해당 블럭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값으로 가지는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하는 리샘플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전체 비트맵 중에서 프라이버시 영역은 상기 리샘플링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이 리샘플링 영상에 의해 모자이크가 되도록 하는 모자이크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렌즈부의 틸트각이 소정범위이면 상기 각종 영상을 상하반전시켜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상하반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작성하는 비트맵 생성부와, 상기 비트맵의 분해능에 상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한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하는 리샘플링부와, 상기 비트맵에 따라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프라이버시 영역만을 리샘플링 영상으로 변환시켜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합성부와,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로 출력하 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또한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를 가지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영역 보호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으면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낮춘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줌배율 또는 프라이버시 보호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새로운 영상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생성하고, 상기 비트맵의 분해능에 상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한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비트맵을 기준으로 상기 오리지널 영상과 리샘플링 영상을 결합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상기 블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영역은 상기 리샘플링 영상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렌 즈부(28)와, 이미지센서(17)와, A/D변환부(16)와, 영상처리부(15)와, 제어부(18)와, 프라이버시 위치저장부(23)와,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는 팬/틸트/줌 구동부(19)와, 팬센서(20) 및 틸트센서(21)와, 리모콘 수신부(22)와, 상하반전부(24)와, 출력부(25)를 포함한다.
이미지센서(17)는 촬상을 위한 CCD(Charge Coupled Device:전하결합소자)로 이루어지며 렌즈부(28)로 입력되는 광신호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A/D변환부(16)는 이미지센서(17)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처리부(15)는 디지털 신호의 화질을 보상하고, ITU-R BT 601 또는 656의 규격으로 휘도신호(Y) 및 색차신호(Cr,Cb)를 합성하여 오리지널 영상(Original Image)를 출력한다.
프라이버시 위치저장부(23)는 프라이버시 영역을 나타내는 여러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 때 데이터로는 감시카메라가 프라이버시 영역을 포착하게 되는 팬(Pan)각 및 틸트(Tilt)각과, 각 영상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값과, 줌배율에 따라 달라지는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값 등을 저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버시 영역이 포함되는 감시카메라의 촬영방향은 감시카메라의 팬(Pan)각이 60°~90°, 틸트각이 0°~20°의 범위일 때이며, 이 각도의 범위에서 팬각과 틸트각이 달라질 때 촬영되는 각 영상에 포함된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값을 데이터로 저장하고 있다. 또한, 줌배율이 3배줌으로 촬영된 때와 5배줌으로 촬영된 때 각각 달라지는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값을 저장하고 있다.
위와 같이 감시카메라가 프라이버시 영역을 촬영하고 있는지는 감시카메라의 팬각 및 틸트각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에서의 프라이버시 영역은 줌배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값을 이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10)는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기 위해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11), 비트맵 생성부(12), 리샘플링부(13) 및 모자이크 합성부(14)를 가진다.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11)는 팬센서(20) 및 틸트 센서(21), 팬/틸트/줌 구동부(19)에서 제어부(18)로 피드백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현재 촬영되는 영상에 프라이버시 영역이 포함되는지, 프라이버시 영역이 포함된다면 프라이버시 영역의 위치는 어디인지를 연산한다.
즉, 팬 센서(20) 및 틸트 센서(21)에서 감지된 렌즈부(28)의 위치를 기준각으로 하여 렌즈부(28)의 팬각 및 틸트각이 프라이버시 영역을 촬영하는 각도가 되면 감시카메라가 프라이버시 영역을 촬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줌배율 및 프라이버시 위치 저장부(23)에 저장된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값을 참고하여 해당 영상에서의 프라이버시 영역 위치를 연산한다.
비트맵 생성부(12)는 일정한 주기로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11)에서 연산된 프라이버시 영역 및 이를 제외한 영역의 비트맵을 작성한다. 예를 들어 도3의 좌측도면에서와 같이 오리지널 영상 중에서 B부분이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11)에서 연산된 프라이버시 영역이라면 비트맵 생성부(12)는 도3의 우측도면에서와 같이 프라이버시 영역(B) 및 프라이버시 영역을 제외한 영역(C)의 비트맵을 작성한다.
리샘플링부(13)는 영상처리부(15)에서 출력된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재구성하고, 각 블럭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값은 각 블럭에 속한 모든 픽셀 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의 평균값으로 한다. 즉,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샘플링부(13)는 오리지널 영상을 i*j(단, i, j는 1이상의 자연수)의 블럭으로 재구성한다. 참고로 도4에 표시되는 사물(D)의 테두리 부분을 보면 해당 블럭에 속한 모든 픽셀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 평균값을 해당 블럭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로 나타내어 사물의 중앙부분보다 표시되는 색이 옅어짐을 볼 수 있다.
이 때 리샘플링은 비트맵 처럼 일정한 주기로 수행하고, 리샘플링 영상의 블럭 크기는 프라이버시 보호 정도에 따라 다르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블럭의 크기가 후술할 모자이크 영상에서 모자이크를 이루는 조각이 되기 때문인데, 블럭의 크기가 크면 모자이크를 이루는 조각도 커서 원래 영상의 해상도가 떨어지고, 블럭의 크기가 작으면 블럭을 이루는 조각도 작아서 원래 영상의 해상도가 높아진다. 따라서 블럭의 크기를 조절하면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가 조절되므로 결국 프라이버시 영역의 보호정도에 따라 블럭크기를 다르게 하여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러므로 설정된 프라이버시 영역중에서 상대적으로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필요성이 큰 영역에 대해서는 블럭의 크기를 크게 하여(즉, 프라이버시 영역의 모자이크 조각을 크게 하여)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도록 하고,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필요성이 크지 않은 영역에서는 블럭의 크기를 작게 하여(즉, 프라이버시 영역의 모자이크 조각을 작게 하여) 해상도가 상대적으로 커지도록 한다.
또한, 블럭의 크기는 줌배율에 따라 다르게 함이 바람직하다. 줌배율이 달라지면 모니터에서 표시되는 프라이버시 영역의 크기도 달라지므로 달라진 줌배율에 맞추어 블럭의 크기를 변경하여 모자이크 영상에서 모자이크 조작의 크기를 조절함 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럭의 크기는 비트맵의 분해능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모자이크 영상 생성과정에서 비트맵을 기준으로 프라이버시 영역과 프라이버시 영역이 아닌 부분에서 각각 다른 영상신호를 선택하므로 비트맵의 분해능과 블럭의 크기가 서로 다르면 프라이버시 영역과 프라이버시 영역이 아닌 부분의 경계에서 부자연스러운 화상이 표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자이크 합성부(14)는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한 새로운 영상을 만든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자이크 합성부(14)는 비트맵을 기준으로 스위칭하여 비트맵에서 프라이버시 영역이 아닌 블럭은 오리지날 영상의 휘도신호 및 색채신호값을 선택하고, 비트맵에서 프라이버시 영역은 리샘플링 영상의 휘도신호 및 색채신호값을 선택하여 프라이버시 영역만 모자이크 처리된 모자이크 영상을 생성한다. 도5의 우측도면에서 모자이크 조각의 크기는 리샘플링 영상의 블럭크기와 같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프라이버시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오리지널 영상을 유지하고, 프라이버시 영역만 모자이크 처리하여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다.
팬/틸트/줌 구동부(19)는 렌즈부(28)가 팬회전, 틸트회전 및 줌 되도록 한다. 팬 센서(20)에서 렌즈부(28)가 인식되면 렌즈부(28)의 팬각(0°- 360°)은 0°임을 가리키고, 틸트 센서(21)에서 렌즈부(28)를 인식하면 렌즈부(28)의 틸트각(0°-180°)이 0°임을 가리킨다. 상하반전부(24)는 렌즈부(28)의 틸트각이 90°-180°일 때 촬영된 영상을 상하반전시켜 틸트각이 90°-180°범위에서 촬영된 영상이 뒤집혀서 출력되는 것을 방지한다. 출력부(25)는 상하반전부(24)에서 출력된 영상 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키는 D/A변환부(26) 및 아날로그 변환된 휘도신호 및 색채신호를 합성하여 복합영상신호로 만드는 출력신호 합성부(27)로 이루어진다.
도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을 설명한다. 감시카메라를 설치하고 사용자가 컨트롤러(미도시)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를 작동시키면 렌즈부(28)에 입사된 광신호가 이미지 센서(17)에서 전기신호로 변환되고 A/D변환부(16)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영상처리부(15)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여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한다.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11)는 감시카메라의 팬각 및 틸트각을 확인하여 감시카메라가 프라이버시 영역을 촬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프라이버시 영역을 촬영하고 있다면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를 연산한다. 프라이버시 영역의 좌표연산이 완료되면 비트맵 생성부(12)는 적절한 비트맵 분해능으로 프라이버시 영역이 포함된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작성한다(32). 이 때 비트맵의 분해능은 리샘플링 영상의 블럭크기(즉, 모자이크 영상의 모자이크 크기)와 연동하므로 프라이버시 보호정도 또는 렌즈부(28)의 줌배율에 따라 적절한 값을 선택한다.
한편, 리샘플링부(13)는 오리지널 영상을 비트맵 분해능에 상응하는 블럭크기로 재구성한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한다(34). 모자이크 합성부(14)는 비트맵을 기준으로 오리지널 영상과 리샘플링 영상을 결합하여 프라이버시 영역이 모자이크 처리된 새로운 영상을 생성한다(36). 이 때 프라이버시 영역을 제외한 부분은 오리지널 영상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값을 선택하고, 프라이버시 영역은 리샘플링 영상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값을 선택하여 결국 오리지널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영역만 리샘플링 영상의 블럭에 의해 모자이크 처리된 것 같은 효과가 발생한다.
모자이크 영상이 생성되면 제어부(18)는 90°≤틸트각≤80°인지 판단하여(38) 틸트각이 90°에서 180°범위내라면 상하반전부(24)에서 모자이크 영상을 반전시키도록 한다(40). 그러나 틸트각이 90°미만이라면 모자이크 영상을 반전시키지 않는다.
다음으로 D/A변환부(26)는 디지털 신호인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신호 합성부(27)는 이 신호들을 복합영상신호로 합성한다(42).(단, 모니터가 아날로그 방식일 때) 그리고 복합영상신호를 모니터(미도시)로 전송하여 모니터에서 디스플레이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므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프라이버시 영역에 대한 감시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버시 보호정도에 따라 모자이크 조각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므로 최적의 감시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줌배율에 따라 모자이크 조각의 크기를 다르게 하여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조절하므로 최적의 감시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6)

  1.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소정부분이 프라이버시 영역이면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낮춘 영상을 생성하는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와,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줌배율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프라이버시 보호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프라이버시 영역 저장부에 저장된 프라이버시 위치정보와 상기 렌즈부의 팬/틸트/줌 정도를 고려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 속한 프라이버시 영역을 연산하는 프라이버시 영역 연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는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작성하는 비트맵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상기 비트맵의 분해능에 상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블럭에 속하는 모든 픽셀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 평균값을 해당 블럭의 휘도신호 및 색차신호값으로 가지는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하는 리샘플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 처리부는 전체 비트맵 중에서 프라이버시 영역은 상기 리샘플링 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제외한 영역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선택하여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이 리샘플링 영상에 의해 모자이크가 되도록 하는 모자이크 합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카메라는 상기 렌즈부의 틸트각이 소정범위이면 상기 각종 영상을 상하반전시켜 상기 출력부로 전송하는 상하반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
  10.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작성하는 비트맵 생성부와, 상기 비트맵의 분해능에 상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한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하는 리샘플링부와, 상기 비트맵에 따라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프라이버시 영역만을 리샘플링 영상으로 변환시켜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합성부와, 각종 영상을 디스플레이 기기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감시카메라
  11.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를 구동하는 팬/틸트/줌 구동부와, 상기 렌즈부에 포착된 오리지널 영상을 출력하는 영상처리부를 가지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영역 보호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는지 확인하고,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이 있으면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를 낮춘 새로운 영상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의 해상도는 상기 프라이버시 영역을 모자이크 처리하여 낮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상기 감시카메라의 줌배율 또는 프라이버시 보호정도에 따라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영상은 상기 오리지널 영상의 비트맵을 생성하고, 상기 비트맵의 분해능에 상응하여 상기 오리지널 영상을 복수의 블럭으로 분할한 리샘플링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비트맵을 기준으로 상기 오리지널 영상과 리샘플링 영상을 결합하여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모자이크의 크기는 상기 블럭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지널 영상에서 프라이버시 영역은 상기 리샘플링 영상으로 대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KR1020050019131A 2005-03-08 2005-03-08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KR101113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31A KR101113844B1 (ko) 2005-03-08 2005-03-08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US11/325,344 US20060206911A1 (en) 2005-03-08 2006-01-05 Security camera employing privacy prot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131A KR101113844B1 (ko) 2005-03-08 2005-03-08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815A true KR20060098815A (ko) 2006-09-19
KR101113844B1 KR101113844B1 (ko) 2012-02-29

Family

ID=36972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131A KR101113844B1 (ko) 2005-03-08 2005-03-08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60206911A1 (ko)
KR (1) KR1011138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188B1 (ko) 2015-02-13 2016-08-1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개별 객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48190B1 (ko) 2015-02-13 2016-08-1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변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동적 객체 영상 처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10787B2 (en) * 2007-06-22 2013-12-17 Panasonic Corporation Camera device including privacy protection method
KR101453087B1 (ko) 2008-01-24 2014-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의 마스크 색상 제어장치 및 방법
US20090251311A1 (en) * 2008-04-06 2009-10-08 Smith Patrick W Systems And Methods For Cooperative Stimulus Control
US8837901B2 (en) * 2008-04-06 2014-09-16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 recorder user interface
US10354689B2 (en) 2008-04-06 2019-07-16 Taser Internation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vent recorder logging
US8301659B2 (en) * 2008-11-18 2012-10-30 Core Wireless Licensing S.A.R.L.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media item privacy settings
US9235452B2 (en) * 2010-02-05 2016-01-1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ics remoting using augmentation data
JP5791256B2 (ja) * 2010-10-21 2015-10-07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
KR20130050464A (ko) * 2011-11-08 2013-05-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증강 콘텐츠 생성 장치 및 방법, 증강 방송 송신 장치 및 방법, 및 증강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JP6120169B2 (ja) * 2012-07-25 2017-04-26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
US9124762B2 (en) 2012-12-20 2015-09-0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ivacy camera
US20150106195A1 (en) * 2013-10-10 2015-04-16 Elwha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handling inserted data into captured images
US10013564B2 (en) 2013-10-10 2018-07-03 Elwha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handling image capture devices and captured images
US20150106627A1 (en) * 2013-10-10 2015-04-16 Elwha Ll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analyzing captured image data and privacy data
US10346624B2 (en) 2013-10-10 2019-07-09 Elwha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obscuring entities depicted in captured images
US20150104004A1 (en) 2013-10-10 2015-04-16 Elwha Llc Methods, systems, and devices for delivering image data from captured images to devices
US9799036B2 (en) 2013-10-10 2017-10-24 Elwha Ll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epresentations of entities through use of privacy indicators
US10289863B2 (en) 2013-10-10 2019-05-14 Elwha Llc Devices,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representations of entities through use of privacy beacons
US9881171B2 (en) 2015-11-16 2018-01-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ivacy protecting sensing devices
WO2018052621A1 (en) * 2016-09-15 2018-03-22 Axon Enterpris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information from a recording device
EP3340623B1 (en) 2016-12-20 2023-04-12 Axis AB Method of encoding an image including a privacy mask
WO2018179555A1 (ja) * 2017-03-31 2018-10-0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CN107463306B (zh) * 2017-07-12 2020-02-14 北京潘达互娱科技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及装置
EP3564900B1 (en) * 2018-05-03 2020-04-01 Axis AB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a degree of blurring to be applied to image data in a privacy area of an image
CN112770049A (zh) * 2020-12-30 2021-05-0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拍摄方法、装置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2653B2 (ja) * 1999-08-31 2005-11-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監視カメラ装置及び監視カメラの表示方法
US6509926B1 (en) * 2000-02-17 2003-01-21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Surveillance apparatus for camera surveillance system
JP2003061076A (ja) 2001-08-10 2003-02-28 Sogo Keibi Hosho Co Ltd 監視装置、監視方法およびその方法をコンピュータに実行させるプログラム
US7161615B2 (en) * 2001-11-30 2007-01-09 Pelco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objects and obscuring fields of view under video surveillance
KR20050011034A (ko) * 2003-07-21 2005-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킹 블록의 세팅방법
KR100579458B1 (ko) * 2003-07-28 2006-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마스킹 블록의 배율 조정방법
JP3938127B2 (ja) * 2003-09-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0588170B1 (ko) * 2003-11-20 2006-06-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카메라에서의 프라이버시 마스킹 설정방법
US8212872B2 (en) * 2004-06-02 2012-07-03 Robert Bosch Gmbh Transformable privacy mask for video camera images
US9210312B2 (en) * 2004-06-02 2015-12-08 Bosch Security Systems, Inc. Virtual mask for use in autotracking video camera images
US20050270372A1 (en) * 2004-06-02 2005-12-08 Henninger Paul E Iii On-screen display and privacy masking apparatus and method
US7493038B2 (en) * 2004-12-15 2009-02-1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rivacy mask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188B1 (ko) 2015-02-13 2016-08-1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개별 객체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1648190B1 (ko) 2015-02-13 2016-08-16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환경 변화에 따른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동적 객체 영상 처리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06911A1 (en) 2006-09-14
KR101113844B1 (ko) 2012-0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844B1 (ko) 감시카메라 및 감시카메라의 프라이버시 보호방법
EP24029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ctively tracking multiple moving objects using a monitoring camera
JP3870124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US7701492B2 (en) Image-capturing apparatus and image capturing method
US6853809B2 (en) Camera system for providing instant switching between wide angle and full resolution views of a subject
US20040179100A1 (en) Imaging device and a monitoring system
JP3770859B2 (ja) 監視カメラ装置
JP4685561B2 (ja) カメラシステムの表示方法及びカメラシステム
US20110090341A1 (en) Intruding object detectio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RU2722771C1 (ru) Оптико-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наблюдения для наземного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1778744B1 (ko) 다중 카메라 입력의 합성을 통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JP2008042729A (ja) ネットワークカメラ
US9065986B2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system
JP2006304122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監視カメラ装置
JP2014042357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
JP2005135014A (ja) 物体検出装置
KR102009988B1 (ko) 초광각 카메라를 이용한 렌즈 왜곡 영상 보정 카메라 시스템의 영상 보정 방법 및 그가 적용된 tvi 장치
JP2011138409A (ja) 画像センサおよび監視システム、ならびに、画像センサの画像処理方法
JP2011217307A (ja) 監視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監視システム
JP2004015517A (ja) 映像集約表示装置
JP4311255B2 (ja) 監視画像の生成方法
KR100343836B1 (ko) 파노라마 영상 감시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5115018B2 (ja) 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KR101685421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장치의 마스킹 방법
KR101454601B1 (ko) 디지털 틸트 비디오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