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768A -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768A
KR20060098768A KR1020050018697A KR20050018697A KR20060098768A KR 20060098768 A KR20060098768 A KR 20060098768A KR 1020050018697 A KR1020050018697 A KR 1020050018697A KR 20050018697 A KR20050018697 A KR 20050018697A KR 20060098768 A KR20060098768 A KR 20060098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prefix
key button
butt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936B1 (ko
Inventor
맥카티 앤더스
Original Assignee
맥카티 앤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맥카티 앤더스 filed Critical 맥카티 앤더스
Priority to KR1020050018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93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2Agriculture; Fishing; Forestry; M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06Q20/208Input by product or record sensing, e.g. weighing or scanner process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36Checkout procedures
    • G07G1/0045Checkout procedures with a code reader for reading of an identifying code of the article to be registered, e.g. barcode reader or radio-frequency identity [RFID] read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oxic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기는 컨텐트 키 그룹(각각 둘 이상의 영어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n개의 컨텐트 키 버튼들)과 프리픽스 키 그룹(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의 할당 순서를 순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m개의 프리픽스 키 버튼들)을 포함하는 키 패드와, 키 패드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하나 이상의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키 인식부 및 당해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는 양손 조작이 편리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이동 통신 단말기, 키 패드, 배열, 영문자

Description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Text input method and apparatus}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손 조작(two-thumb operation) 방식을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 갱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이동 통신 단말기
310 : 제어부
315 : 저장부
320 : 듀플렉서부
325 : 안테나부
330 : 수신부
335 : 송신부
340 : 음성 신호 변/복조부
345 : 마이크부
350 : 스피커부
355 : 표시부
360 : 키 입력부
본 발명은 문자 입력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형 통신 장치나 터치 스크린의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과 같은 휴대형 통신 장치는 전화번호부, 단문 메시지 송수신 기능 등을 구비하고 있어 빈번한 문자 입력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휴대형 통신 장치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포함하는 키 입력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키 버튼이 각각 하나 이상의 문자 또는 기호와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는 스피커부(110), 표시부(115), 키 입력부(12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키 입력부(120)는 하나 이상의 키 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복수의 키 버튼들이 그 기능에 따라 기능 키 버튼 그룹(130)과 컨텐트 키 버튼 그룹(140)으로 그룹핑되어 있다.
기능 키 버튼 그룹(130)은 메뉴 호출을 위한 메뉴 버튼(150), 전화 걸기를 위한 통화 버튼(155), 단축 메뉴 기능과 방향 키 버튼 기능을 위한 4개의 버튼(160) 등을 포함한다.
컨텐트 키 버튼 그룹(140)은 문자(영어 문자, 한글 문자) 또는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키 버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숫자 '4' 키는 한글 문자 'ㄱㅋ', 영어 문자 'GHI'에 대응되도록 설정된다. 각 키 버튼에 배치된 문자들은 순서적으로 누르는 횟수에 따라 상응하는 키 데이터가 발생되며, 사용자는 'G'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숫자 '4'을 연속적으로 2회 눌러야한다.
도 2는 종래의 이동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문자 입력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문자 입력 화면은 문자 입력 영역(205) 및 입력 모드 선택 영역으로 구성된다. 입력 모드 선택 영역은 한글 모드(210), 영문 대문자 모드(220), 영문 소문자 모드(225) 및 특수 문자 모드(230)로 구분되고, 선택된 모드에 상응하는 영역이 하이라이트(highlight)되어진다. 사용자가 메뉴 버튼(150)을 누르는 횟수에 따라 한글 모드(210), 영문 대문자 모드(220), 영문 소문자 모드(225) 및 특수 문자 모드(230)로 순차적으로 변경된다.
즉, 사용자는 'culture'라는 단어를 입력하기 위하여 메뉴 버튼(150)을 2회 입력하여 영문 소문자 모드로 전환한 후, 순차적으로 '222885558887733'과 같이 총 17번 키 버튼을 입력하여야 한다. 단, 'tu'와 같이 숫자 8에 공통적으로 배치된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서는 먼저 't'를 입력하기 위하여 '8'을 입력한 후 잠시 시간이 경과된 후 또는 다음 문자를 입력하는 것임을 인식시키기 위해 방향키(→)를 입력한 후 'u'를 입력하기 위하여 '88'을 연속적으로 입력하여야 한다.
다음으로, 사용자가 'Intra-Net'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메뉴 버튼(150)을 1회 입력하여 영문 대문자 모드로 전환한 후, '444'와 같이 총 4회의 키 버튼 입력을 통해 'I'를 입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메뉴 버튼(150)을 1회 입력하여 영문 소문자 모드로 전환한 후, '668772'와 같이 총 7회의 키 버튼 입력을 통해 'ntra'를 입력한다. 이어서, 메뉴 버튼(150)을 1회 입력하여 특수 문자 모드로 전환한 후, 상응하는 키 버튼을 수회 입력하여 '-'를 입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메뉴 버튼(150)을 2회 입력하여 영문 대문자 모드로 전환한 후, '66'과 같이 총 4회의 키 버튼 입력을 통해 'N'를 입력한다.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메뉴 버튼(150)을 1회 입력하여 영문 소문자 모드로 전환한 후, '338'와 같이 총 4회의 키 버튼 입력 을 통해 'et'를 입력한다. 이와 같이, 'Intra-Net'을 입력하기 위해 최소 21회의 키 입력이 요구된다.
만일 한글 문자, 영어 문자, 기호 및 숫자가 모두 혼재된 문장의 경우 키 입력의 횟수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되며, 입력상의 복잡성도 증대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입력 모드 전환이 메뉴 버튼의 누름 횟수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다양한 언어나 기호 등을 함께 입력함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문자 입력 방식은 하나의 키 버튼에 배치된 다수의 문자들이 키 버튼 누름 횟수에 대응하여 입력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동일한 키 버튼에 대응된 다른 문자를 입력할 때 일정 시간 대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양손 조작(two-thumbed operation)이 편리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동일한 키 버튼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다양한 문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대기할 필요가 없어 신속한 메시지 작성이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언어, 기호,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입력 모드 전환이 편리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오른손 잡이 또는 왼손 잡이와 같이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용이한 키 버튼 배열 전환이 가능한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어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각각 둘 이상의 영어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n(자연수)개의 컨텐트(Content) 키 버튼들로 구성된 컨텐트 키 그룹 및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의 할당 순서를 순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m(자연수)개의 프리픽스(Prefix) 키 버튼들로 구성된 프리픽스 키 그룹을 포함하는 키 패드; 상기 키 패드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하나의 키 데이터 또는 복수의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키 인식부;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가 제공된다. 여기서,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는 상응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 및 상응하는 컨텐트 키 버튼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상기 컨텐트 키 버튼들과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의 수의 합은 12이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들은 3 x 4 배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은 상기 키 패드의 좌측에 수직으로 배열되거나 우측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키 패드는 숫자 입력 모드, 제1 언어 입력 모드, 제2 언어 입력 모드, 기호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중 둘 이상의 입력 모드간의 전환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각의 컨텐트 키 버튼은 각각 둘 이상의 기호들이 할당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기호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은 상기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두 번째 이후의 기호들의 할당 순서를 지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휴대형 단말기에서 영어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영어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임의의 제1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1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최선(最先) 영어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 기 제1 키 데이터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임의의 제2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2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키 데이터에 할당된 복수의 영어 문자 중 상기 제1 키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이 지정하는 순서의 영어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각각 둘 이상의 영어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n(자연수)개의 컨텐트(Content) 키 버튼들로 구성된 컨텐트 키 그룹 및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의 할당 순서를 순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m(자연수)개의 프리픽스(Prefix) 키 버튼들로 구성된 프리픽스 키 그룹을 포함하는 키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기호 입력 모드 선택을 위한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의 누름에 상응하는 제3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임의의 제4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4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4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최선(最先) 기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4 키 데이터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임의의 제5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5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5 키 데이터에 할당된 복수의 영어 문자 중 상기 제4 키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이 지정하는 순서의 기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컨텐트 키 버튼들의 수,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의 수 및 상기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의 수의 합은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들은 3 x 4 배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은 상기 키 패드의 좌측 또는 우측에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키 버튼에 상응하는 문자/기호 배열 구조는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 휴대 단말기(PDA) 등과 같은 휴대형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로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키오스크(KIOSK)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에 표시되는 문자/기호 배열 구조, 다이얼 패드(dial-pad) 등과 같이 웹투폰(Web-to-Phone) 서비스 수행을 위해 컴퓨터 장치 표시부에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등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키 패드 구조로 적용된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제어부(310), 저장부(315), 듀플렉서부(320), 안테나부(325), 수신부(330), 송신부(335), 음성 신호 변/복조부(340), 마이크부(345), 스피커부(350), 표시부(355), 키 입력부(360) 를 포함한다.
제어부(310)는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입력키 판단부(370), 조합키 인식부(375), 지시자 표시 제어부(380)를 포함한다. 입력키 판단부(370)는 키 입력부(360)에 구비된 키 버튼들 중 눌려진 키 버튼에 상응하여 입력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떤 키 버튼이 눌려졌는지 판단한다. 키 인식부(375)는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떤 정보가 표시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상응하는 정보가 표시부(355)에 표시되도록 한다. 만일 눌려진 키 버튼이 복수로 조합되어 인식되어야 하는 경우 키 인식부(375)는 키 데이터를 조합하고, 조합된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떤 정보(즉, 문자, 기호 또는 숫자)가 표시되어야 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키 판단부(370)와 키 인식부(375)는 하나의 구성 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지시자 표시 제어부(380)는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 모드(예를 들어, 한글 모드, 영문 모드 등), 모드 유지(LOCK) 등이 표시부(355)에 표시 아이콘(Display icon) 형태로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입력키 판단부(370), 키 인식부(375) 및 지시자 표시 제어부(380)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에 설치되어 운용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저장부(315)는 이동 통신 단말기(300)의 운용 프로그램, 이동 통신 단말기(300) 이용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되는 메시지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315)는 복수의 저장 매체들로 구성될 수 있다.
듀플렉서부(320)는 안테나부(325)를 통해 기지국과 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한다.
수신부(33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듀플렉서부(320)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며, 미약한 신호를 증폭하고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송신부(335)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음성 신호 변/복조부(340)로부터 출력된 무선 신호를 필터링하고 증폭하여 듀플렉서부(320) 및 안테나부(325)를 통해 송신한다.
음성 신호 변/복조부(340)는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부(345)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 신호를 무선 신호로 변조하고, 수신부(330)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복조하여 스피커부(350)를 통해 음성 신호로 출력한다.
키 입력부(360)는 다수의 키 버튼들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임의의 키 버튼을 누르면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시켜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키 버튼들의 배열 및 기능에 대해서는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표시부(355)는 제어부(310)에 의해 제어되고, 키 입력부(360)에 의해 발생되는 키 데이터에 상응하는 정보 및 제어부(310)의 제어에 의한 각종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355)는 액정 표시부(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형 및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양손 조작(two-thumb operation) 방식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입력부(360)의 n x m 키 패드는 프리픽스(Prefix) 키 그룹(430), 컨텐트(Content) 키 그룹(420), 모드 전환 키 그룹 (430)으로 구분된다. 단, 프리픽스 키 그룹(430), 컨텐트(Content) 키 그룹(420)의 구분은 한글 문자 입력 시에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프리픽스 키 그룹(410)은 각 키 버튼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문자들 중 입력될 문자의 순서를 지정하는 키 버튼들의 그룹이다. 프리픽스 키 그룹(410)에 속하는 키 버튼의 수량은 각 키 버튼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문자의 수에 상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각 키 버튼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문자들 중 최선(最先)의 문자는 해당 키 버튼의 입력만으로 입력될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키 버튼에 대응되도록 설정된 문자들이 4개(예를 들어, 숫자 '2'는 영어 문자 'A', 'B', 'K' 및 'S'와 대응)인 경우, 프리픽스 키 그룹(410)에 속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들의 수는 3개이다. 그리고, 프리픽스 키 그룹(410)은 키 패드의 좌측에 배치되도록 하고, 문자 배치 순서에 상응하는 키 버튼들을 수직으로 순차적으로 배열한다. 예를 들어, 프리픽스 키 버튼들은 숫자 키 버튼 '1', '4', '7'일 수 있다. 프리픽스 키 그룹(410)이 좌측에 배치된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잡이 양손 조작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즉,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으로는 프리픽스 키 버튼을 입력하고, 왼손의 엄지 손가락으로는 컨텐트 키 버튼을 입력한다. 이때 가운데열의 키 버튼들은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에 의해서도 입력될 수 있다. 물론, 왼손잡이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프리픽스 키 그룹(410)은 '3', '6', '9'와 같이 우측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컨텐트 키 그룹(420)은 사용자의 키 누름에 의해 문자나 기호가 입력되도록 하기 위한 키 버튼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3', '5', '6', '8', '9', '0'의 키 버튼들이 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키 버튼 '#'은 문자 입력 모드의 경우 컨텐트 키 그룹(420)으로 동작할 수 있다. 컨텐트 키 그룹(420)에 포함된 컨텐트 키 버튼들 중 5개의 컨텐트 키 버튼 각각의 최선 (最先) 배치 문자는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모음들로 설정한다. 예를 들어, 'A'는 컨텐트 키 버튼 '2'의 최선 배치 문자이고, 'E'는 컨텐트 키 버튼 '3'의 최선 배치 문자이다.
모드 전환 키 그룹(430)은 제1 입력 모드에서 제2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 전환 키 버튼들을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 '#'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은 숫자 입력 모드, 기호 입력 모드간의 전환을 위한 것이고, '#'은 사용 언어간의 전환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모드 전환 키 버튼은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누름 횟수에 따라 다양한 모드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이하, 도 4에 도시된 자판 구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단어 또는 문장 입력 과정을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영어 소문자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에 의하면 어떤 영어 소문자를 입력할지라도 단 2회의 입력만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컨텐트 키 버튼 '2'를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컨텐트 키 버튼 '2'에 대응되는 문자 중 두 번째 문자인 'b'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두 번째 문자의 입력을 지시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 '1'을 입력한 후, 컨텐트 키 버튼 '2'를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컨텐트 키 버튼 '2'에 대응되는 문자 중 세 번째 문자인 'k'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세 번째 문자의 입력을 지시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 '4'을 입력한 후, 컨텐트 키 버튼 '2'를 입력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컨텐트 키 버튼 '2'에 대응되는 문자 중 네 번째 문자인 's'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네 번째 문자의 입력을 지시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 '7'을 입력한 후, 컨텐트 키 버튼 '2'를 입력한다.
사용자가 'school'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종래기술에 따른 자판 구성과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을 비교하여 설명한다.
앞서 도 1에 도시된 자판 구성을 이용하여 'school'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숫자 키 버튼 '7', '7', '7', '2', '2', '2', '4', '4', '6', '6', '6', '6', '6', '6', '5', '5', '5'를 순차적으로 입력하여야 하며, 그 횟수는 총 17회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을 이용하여 'school'이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프리픽스 키 버튼 '7', 컨텐트 키 버튼 '2', 프리픽스 키 버튼 '1', 컨텐트 키 버튼 '3', 프리픽스 키 버튼 '4', 컨텐트 키 버튼 '9', 컨텐트 키 버튼 '6', 컨텐트 키 버튼 '6', 프리픽스 키 버튼 '4', 컨텐트 키 버튼 '3'을 순차적으로 입력하여야 하며, 그 횟수는 총 10회이다. 즉, 본 발명에 의할 때 종래 기술에 따른 문자 입력 방식보다 키 버튼 횟수 및 문자 입력 시간을 상당히 절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영어 대문자 및 소문자의 혼용 단어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 방법은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입력 모드를 전환한 후 상응하는 문자를 입력하여 단어를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은 컨텐트 키 버튼 '9'의 최선 배치 문자가 대문자 입력을 위한 캡스(Caps, ↑)에 대응되도록 설정되어 있어 대문자 단어의 입력을 용이하게 한다. 사용자가 컨텐트 키 버튼 '9'을 1회 입력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이후 입력되는 한 글자만 대문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사용자가 컨텐트 키 버튼 '9'을 2회 연속 입력한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이후 입력되는 모든 글자를 대문자로 표시하는 것으로 인식한다. 키버튼 '9'가 2회 연속 입력된 경우 표시부(355)에는 록(LOCK) 아이콘이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다시 컨텐트 키 버튼 '9'을 1회 입력함으로써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AtoZ'라는 문자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는 컨텐트 키 버튼 '9', 컨텐트 키 버튼 '2', 프리픽스 키 버튼 '7', 컨텐트 키 버튼 '3', 컨텐트 키 버튼 '6', 컨텐트 키 버튼 '9', 프리픽스 키 버튼 '7', 컨텐트 키 버튼 '0'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즉, 최소한의 키 버튼 누름에 의해 영어 대문자 및 소문자의 혼용 단어 입력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영어 문자와 한글 문자가 혼용된 예를 들어 'Tom의 일기'라는 문장의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 방법은 종래 기술은 문자 입력의 어려움뿐 아니라 메뉴 버튼을 이용한 입력 모드 전환의 어 려움이 함께 존재하므로 매우 복잡하다. 즉,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T'를 입력한다. 이어서,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om'을 입력한다. 이어서,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의 일기'를 입력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는 영어 대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메뉴 버튼을 1회 입력한 후, 숫자 키 버튼 '8'을 입력한다. 이어서, 사용자는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메뉴 버튼을 1회 입력한 후, 숫자 키 버튼 '6666'을 입력한다. 앞의 '666'은 'o'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마지막의 '6'은 'm'을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그 사이에는 약간의 소요 시간이 필요하다. 만일 '6666'을 연속적으로 입력하면 이동 통신 단말기(100)는 'm' 하나만을 표시할 것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영어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 메뉴 버튼을 2회 입력한 후, 숫자 키 버튼 '031015541'을 순차적으로 입력한다. 이와 같이, 메뉴 버튼과 숫자 키 버튼들의 반복적 입력이 필요하므로 양손 조작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은 별도의 메뉴 버튼 이용 없이 n x m 형태의 키 버튼 배열 상에서 다양한 언어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영어 문자 입력 후 사용자는 단지 모드 전환 키 '#'만을 입력함으로써 다른 언어로 전환한 후 상응하는 문자의 입력이 가능하다. 단, 이동 통신 단말기(300)는 모드 전환 키의 1회 입력은 이후 입력되는 1글자만을 전환된 언어로 입력하기 위한 설정이고, 모드 전환 키의 2회 입력은 이후 입력되는 모든 글자들을 전환된 언어로 입력하기 위한 설정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양한 언어와 기호가 혼용된, 예를 들어 'hi~, 안녕!'이라는 문장의 입력 방법을 설명한다.
앞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입력 방법은 매우 복잡하다. 즉,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영어 소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hi'를 입력한다. 이어서,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을 입력한다. 이어서,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안녕'을 입력한다. 이어서, 메뉴 버튼을 여러 차례 입력하여 특수 문자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을 입력한다. 종래 기술은 문자 입력의 어려움뿐 아니라 메뉴 버튼을 이용한 입력 모드 전환의 어려움이 함께 존재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은 별도의 메뉴 버튼 이용 없이 n x m 형태의 키 버튼 배열 상에서 다양한 언어의 혼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즉, 영어 문자 입력 후 사용자는 단지 모드 전환 키 '*'만을 누름으로써 기호 입력 모드로 전환한 후 상응하는 기호의 입력이 가능하다. 기호의 입력 방법도 앞서 영어 문자 입력 방법과 마찬가지로 프리픽스 키 버튼과 컨텐트 키 버튼의 조합으로 가능하다. 기호의 입력이 완료되면 모드 전환 키 '#'을 눌러 한글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안녕'을 입력한 후, 다시 기호 입력 모드로 전환하여 '!'를 입력한다. 즉, 최소한의 키 버튼 누름에 의해 다양한 언어 및 기호들의 혼용 문장 입력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판 구성은 모드 전환 키 '*'이 숫자 입력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문자 입력 상태에서 숫자를 입력하기 위해 종래 기술과 같이 하나의 키 버튼을 오래 누르고 있을 필요가 없으며, 신속한 문장 입력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과정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 기호 등은 표시부(355)의 문자 입력 영역(440)에 표시되고, 모드 전환 키 버튼 누름에 의해 전환된 입력 모드와 모드 유지 여부가 아이콘의 형태(450, 460)로 표시부에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영어 문자 입력 모드의 경우 대문자 입력 모드, 소문자 입력 모드가 별도의 아이콘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단축 메뉴 기능과 방향 키 버튼 기능을 위한 4개의 버튼(160) 중 일부를 모드 전환 키 버튼으로 활용하기 위한 키 입력부(360)의 자판 구성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상방 버튼(↑, 610)을 선택한 경우, 표시부(355)의 임의의 영역에 특수 문자 선택 창(615)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사용자가 하방 버튼(↓, 620)을 선택한 경우, 숫자 입력 모드로 전환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키 입력부의 자판 구성 갱신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단축 메뉴 기능과 방향 키 버튼 기능을 위한 4개의 버튼(160) 중 하나를 배열 변경 키 버튼(710)으로 활용하여 키 입력부(360)의 자판 구성을 갱신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즉, 사용자가 하방 버튼(↑, 710)을 선택한 경우, 키 입력부(360)의 자판 구성에서 프리픽스 키 그룹이 우측으로 이동되고, 컨텐트 키 그룹이 좌측 및 중앙으로 이동함으로써 왼손 잡이인 사용자도 편리한 양손 조작이 가능해진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배열 변경에 의해 각 키 버튼에 상응하는 기능이나 배치 문자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키 버튼에 인쇄되어 표시된 정보를 수정하거나 스티커 등을 부착하여 대체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키오스크 등에 구현된 터치 스크린의 경우 배열 변경 키 버튼(710)만의 입력에 의해 사용자에게 적합한 키 버튼 배열로 갱신하여 표시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는 양손 조작(two-thumbed operation)이 편리하고 신속한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키 버튼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다양한 문자를 순차적으로 입력하기 위하여 일정 시간 대기할 필요가 없어 신속한 메시지 작성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언어, 기호, 숫자 등의 입력을 위한 입력 모드 전환 이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은 오른손 잡이 또는 왼손 잡이와 같이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용이한 키 버튼 배열 전환이 가능하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3)

  1. 휴대형 단말기에 있어서,
    각각 둘 이상의 영어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n(자연수)개의 컨텐트(Content) 키 버튼들로 구성된 컨텐트 키 그룹 및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의 할당 순서를 순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m(자연수)개의 프리픽스(Prefix) 키 버튼들로 구성된 프리픽스 키 그룹을 포함하는 키 패드;
    상기 키 패드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하나의 키 데이터 또는 복수의 키 데이터를 이용하여 표시 정보를 결정하는 키 인식부; 및
    상기 표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되,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는 상응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 및 상응하는 컨텐트 키 버튼이 순차적으로 입력되어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휴대형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키 버튼들과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의 수의 합은 12이하인 휴대형 단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들은 3 x 4 배열로 형성되는 휴대형 단말기.
  4.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은 상기 키 패드의 좌측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휴대형 단말기.
  5. 제1항 또는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은 상기 키 패드의 우측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휴대형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는 숫자 입력 모드, 제1 언어 입력 모드, 제2 언어 입력 모드, 기호 입력 모드, 특수 문자 입력 모드 중 둘 이상의 입력 모드간의 전환을 위한 하나 이상의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을 더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컨텐트 키 버튼은 각각 둘 이상의 기호들이 할당되도록 설정되고, 상기 기호 입력 모드로의 전환을 위한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은 상기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의 입력에 의해 두 번째 이후의 기호들의 할당 순서를 지정하는 휴대형 단말기.
  8. 영어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휴대형 단말기에서 실행될 수 있는 명령어들의 프로그램이 유형적으로 구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형 단말기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임의의 제1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1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1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최선(最先) 영어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키 데이터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임의의 제2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2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2 키 데이터에 할당된 복수의 영어 문자 중 상기 제1 키 데이터에 상응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이 지정하는 순서의 영어 문자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기는 각각 둘 이상의 영어 문자가 할당되도록 설정된 n(자연수)개의 컨텐트(Content) 키 버튼들로 구성된 컨텐트 키 그룹 및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두 번째 이후의 영어 문자의 할당 순서를 순차적으로 지정하기 위한 m(자연수)개의 프리픽스(Prefix) 키 버튼들로 구성된 프리픽스 키 그룹을 포함하는 키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0. 제9항에 있어서,
    기호 입력 모드 선택을 위한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의 누름에 상응하는 제3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임의의 제4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4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제4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4 키 데이터가 컨텐트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상기 컨텐트 키 버튼에 할당된 최선(最先) 기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4 키 데이터가 프리픽스 키 버튼에 상응하는 경우, 임의의 제5 키 버튼 누름에 상응하는 제5 키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5 키 데이터에 할당된 복수의 영어 문자 중 상기 제4 키 데이터에 상 응하는 프리픽스 키 버튼이 지정하는 순서의 기호를 표시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트 키 버튼들의 수,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의 수 및 상기 입력 모드 전환 키 버튼의 수의 합은 12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키 패드에 구비된 키 버튼들은 3 x 4 배열로 형성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제9항 또는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픽스 키 버튼들은 상기 키 패드의 좌측 또는 우측에 수직으로 배열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KR1020050018697A 2005-03-07 2005-03-07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699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697A KR100699936B1 (ko) 2005-03-07 2005-03-07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697A KR100699936B1 (ko) 2005-03-07 2005-03-07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768A true KR20060098768A (ko) 2006-09-19
KR100699936B1 KR100699936B1 (ko) 2007-03-26

Family

ID=37630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697A KR100699936B1 (ko) 2005-03-07 2005-03-07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9936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248A (ko) * 1996-08-09 1998-05-25 조영선 한글코드를 전화다이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수신장치
KR100354778B1 (ko) * 2000-09-04 2002-10-05 엘지전자주식회사 휴대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9936B1 (ko) 2007-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32948A1 (en) Apparatus and methods of selecting special characters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730173B2 (en) Electronic device with predictive candidate selection based on character input
RU2421773C2 (ru) Клавиатура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и способ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клавиатурой электронн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KR100566204B1 (ko) 성조가 표기된 한어 병음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370528B1 (ko) 휴대 단말 장치
KR20110003130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KR20130042675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점자 입력을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99936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장치
KR1003704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한글 입력 방법
KR1010453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문자 입력장치 및 그 방법
KR100378986B1 (ko) 전화기의 키패드와 문자입력방법
KR20050110329A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10107066A (ko) 문자 입력장치, 그를 갖는 이동 전화 시스템 및 그 입력제어방법
KR100354778B1 (ko) 휴대폰 단말기의 문자입력방법
KR100697518B1 (ko) 이동단말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JP2002116862A (ja) リング状文字入力および機能選択システム
KR20070082777A (ko) 문자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문자 입력방법
KR1006384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 장치 및 방법
KR101188133B1 (ko) 휴대단말의 문자입력 키패드
JP2002251252A (ja) 携帯電話機、並びにその文字入力方法、及びその文字表示方法
KR20050022560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변환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100648348B1 (ko) 전자기기의 문자입력장치 및 그 입력방법
KR20000047230A (ko)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JP2006081137A (ja) キーボードを備えた電子機器
KR100438559B1 (ko) 휴대통신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