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8301A -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8301A
KR20060098301A KR1020050020479A KR20050020479A KR20060098301A KR 20060098301 A KR20060098301 A KR 20060098301A KR 1020050020479 A KR1020050020479 A KR 1020050020479A KR 20050020479 A KR20050020479 A KR 20050020479A KR 20060098301 A KR20060098301 A KR 200600983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leansing
cosmetic composition
skin
or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541B1 (ko
Inventor
박창훈
한상훈
안수미
권이경
최영호
강학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to KR102005002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54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3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3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9/54Roller fly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2009/807Brakes preventing fast screen movement
    • E06B2009/808Fluid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클렌징,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오리스 추출물, O2-클리어 콤플렉스, 산소 정화

Description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oxygen purification cleansing effect on the skin}
본 발명은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피지막을 만들어 피부를 보호하는 한편 윤기나 촉촉함을 유지하기 위해 많은 역할을 한다. 그러나 스스로 더러움을 지울 능력은 없으므로 깨끗하고 건강한 피부를 오랫동안 간직하려면 그날그날의 더러움을 말끔히 지워야 한다.
피지와 땀, 각질 등은 체온이나 체내의 균형을 조절하고 새로운 세포를 만들기 위해 배출된 분비물들이지만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산화작용을 하여 피부 트러블이 발생하고 색소 침착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며 결국 피부를 노화시키게 된다. 그리고 대부분의 여성들은 색조화장을 하는데, 이때 색조화장에 함유되어 있는 안료(pigment)들까지 피부에 잔존하게 된다. 이러한 색조화장의 내용물과 오염물질을 깨끗이 제거하기 위해서는 클렌징 제품을 이용한 유성 세안을 하고 비누나 폼과 같 은 수성 세안제를 함께 사용해야 한다. 클렌징 제품을 사용하기 위해 피부 위에서 손놀림을 하는 동안 산소와의 접촉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하여 피부 위에 존재하는 유성성분의 산화를 가속화할 가능성도 있다. 근래에는 편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클렌징 제품으로 색조화장을 지우고 곧바로 물로 씻어내는 제품들이 시판되어 비누나 폼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어주고 있다.
일반적으로 클렌징 제품은 계면활성제, 오일 또는 폴리올(예를 들면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등) 성분을 이용하여 색조화장품에 들어 있는 안료(pigment)나 유성성분들을 녹여서 제거해 준다. 이러한 일반적인 클렌징 제품은 단순히 피부에 남아 있는 유성성분과 안료들을 제거하여 피부에 유해하게 될 수 있는 성분을 없애주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클렌징 제품들은 피부에 있는 유성성분이 산화되어 활성산소가 발생하고 이로 인해 피부에 나쁜 영향을 주는 문제를 해결해 줄 수는 없었다. 따라서, 클렌징 제품이 색조화장을 지워주는 역할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활성 산소를 제거하여 줌으로써 젊고 활력 있는 피부로 만들어줄 수 있도록 하는 이들의 부가적 기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게다가 최근의 웰빙트렌드에 맞추어 소비자들에게 클렌징 제품의 고급화를 위해서도 이러한 부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화장료 조성물에 사 용이 가능하고 활성 산소 제거 효과가 있으면서 식물성 기원의 원료를 조사하던 중, 수련이 산소에 의한 수질정화 효과가 뛰어나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이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과 혼합하여 "O2-클리어 콤플렉스"를 제조하였으며, 상기 "O2-클리어 콤플렉스"를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경우 피부의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뛰어남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서의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우수하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서의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련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을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O2-클리어 콤플렉스"를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O2-클리어 콤플렉스"는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 리스 추출물을 0.1∼10.0:0.1∼10.0:0.1∼10.0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각 추출물은 1: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수련 추출물(Nymphaea alba)은 미나리아재비목 수련과의 여러해살이물풀을 추출한 것으로서, 수질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위치하젤(Witchhazel)은 동부와 중앙 북아메리카에 자생하는 나무 같은 관목인 하마메리스(Hamamelis virginiana)의 가지와 나무껍질에서 얻어지고, 탄닌과 탄닌산이 들어 있으며 피부 수렴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리스(orris) 추출물(Iris Florentina)은 뿌리 줄기 성분으로서 수렴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추출물들은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하여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O2-클리어 콤플렉스"를 함유함으로써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뛰어난 기능을 가지도록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O2-클리어 콤플렉스"를 O/W 제형의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상기 "O2-클리어 콤플렉스"의 함량이 0.01% 미만에서는 충분한 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며, 50.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크림 제형으로 제조시 외상(수상파트)보다 내상, 즉 유상파트가 더 많아지게 되어 많은 쪽 부분이 바깥쪽에 있으려고 하는 성질 때문에 상기 O/W 제형이 W/O 제형으로 전상되어 제형이 만들어질 가능성이 낮으며 경제성이 떨어지게 된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의 "O2-클리어 콤플렉스" 및 이를 함유함으로써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가 뛰어난 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4]
먼저 O2-클리어 콤플렉스 원료의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를 보기 위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실시예 1∼4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수련추출물 및 오리스 추출물은 SOLABIA(프랑스)에서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였고, 위치하젤 추출물은 FLACHSMANN(독일)에서 제조한 제품을 사용하였다.
수련 추출물:위치하젤 추출물:오리스 추출물의 함량비
실시예 1 1:1:1
실시예 2 1:1:0
실시예 3 1:0:1
실시예 4 0:1:1
[시험예 1] 형광물질을 이용한 ROS 생성 억제 효과
인간각질세포 HaCaT(Human keratinocytes HaCaT cell line)은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FBS 10% 함유)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시험을 위해 형광측정용 96-웰 블랙 플레이트(96-well black plate)에 상기 세포를 각 웰당 2.0x104개로 분주한 후 세포 부착을 위해 1일간 배양하였다. 다음날 상기 배지에 실시예 1∼4의 조성물을 처리하고 37℃, 5% CO2 조건에서 1일간 더 배양하였다. 배양 후 1xPBS 완충 식염수(Sigma Co.)로 세척한 다음 다시 1xPBS 완충 식염수(Sigma Co.) 100㎕를 첨가한 후 자외선 B(UV B) 램프(Model: F15T8, UV B 15W, Sankyo Dennki사, Japan)를 이용하여 자외선 30mJ/㎠를 조사한 다음, PBS를 덜어내고 각 웰에 적당량의 조성물을 희석한 배양액 200㎕를 다시 첨가하였다.
실시예 1∼4의 조성물을 넣고 24시간 배양한 후 HCSS(HEPES-buffered control salt solution)로 세척하여 남아있는 배지를 제거하고 HCSS에 20μM로 준비된 DCFH-DA(2,7-dichlorodihydro-fluorescein diacetate, Molecular Probes, Inc) 100㎕를 첨가한 다음, 37℃, 5% CO2 조건에서 20분간 배양하고 HCSS로 세척하였다. 이 후 시료 농도별로 처리된 HCSS 100㎕를 첨가한 다음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nm, Em=530nm)를 이용하여 초기에 ROS로 산화된 DCF(dichlorofluorescein)의 형광도를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UVB(30mJ/㎠)를 처리하여 처리직후 및 처리 3시간 후의 형광도를 형광플레이트 리더(Ex=485 nm, Em=530nm)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실험결과는 처리 3시간 후의 결과를 기준으로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활성산소종 제거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비타민 E의 유도체인 트록솔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O2-클리어 콤플렉스의 ROS 생성억제효과(% of control)
시료의 농도(%) 트록솔 (Trolox)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0 71.3 53.6 56.7 58.1 63.5
5 76.8 58.5 69.1 68.2 68.6
1 82.1 63.1 73.9 71.8 80.0
ROS 생성 억제능은 UV 조사를 시행한 군의 형광도 절대치를 100%로 환산하여 대조군으로 설정하고 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를 수치로 환산한 값으로서, 이 수치가 낮을수록 ROS 생성이 억제됨을 의미한다.
상기 표 2의 결과를 살펴보면, 실시예 1∼4에서 모두 ROS 생성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활성산소종 제거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비타민 E의 유도체인 트록솔 보다도 ROS 생성 억제능이 우수하였다. 오리스 추출물이 들어간 실시예 3이 위치하젤 추출물이 들어간 실시예 2 보다 값이 더 작았으며 이는 오리스 추출물에 의한 시너지 효과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위치하젤, 오리스 추출물에 의한 효과보다 수련추출물에 의한 ROS 생성 억제능이 큰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수련추출물을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과 함께 함유하는 실시예 1의 O2-클리어 콤플렉스가 상기 성분들의 시너지 효과에 의하여 ROS 생성 억제능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지질 과산화 억제능
인간 각질세포 HaCaT 세포주를 60mm 디쉬당 1.0x106개로 분주하고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DMEM(FBS 10%)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조건에서 1일간 배양한 후 실시예 1∼4의 조성물과 동시에 4mM의 BHT(t-butyl hydroperoxide)를 처리하였다. 37℃, 5% CO2 조건에서 4시간동안 배양한 후 세포를 수득하였다. 상기 세포는 냉동/해동 공정을 반복하는 방법(freeze/thawing)으로 용해(lysis)하였으며, 이하의 시험은 분석 키트(assay kit)에 나와 있는 방법에 준하여 시행하였다.
즉, 본 발명에서는 칼바이오켐 지질 과산화 분석 키트(Calbiochem Lipid peroxidation assay kit; Cat. No. 437634)를 시약으로 사용하였고, 말론디알데하이드(malondialdehyde, MDA) 및 4-하이드록시알케날(hydoxyalkenals; i.e. 4-hydroxy-2(E)-nonenal, 4-HNE)과 같은 장쇄 불포화지방산과 연관된 에스테르의 과산화물이 상기 시약과 반응하여 586nm에서 안정한 화합물을 형성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지질과산화(lipid peroxidation)를 측정하였다. 또한 활성산소종 제거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진 비타민 E의 유도체인 트록솔을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O2-클리어 콤플렉스의 지질과산화 억제능(% of control)
시료 농도(%) 트록솔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10 153.5 151.2 162.8 160.7 169.9
5 185.6 162.4 171.9 169.8 178.5
1 200.3 185.1 188.4 177.2 190.3
상기 표 3에서, 각 수치는 BHT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지질 과산화를 유도하였을 때 양성 대조군(트록솔) 또는 실시예 1∼4의 조성물에 의해 억제되는 정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또한 수치가 작을수록 지질 과산화물의 생성 정도를 억제하는 효과가 큰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지질 과산화 정도를 100%로 환산하고, 이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실시예 1∼4 모두에서 지질 과산화가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4의 조성물이 양성대조군인 트록솔 보다도 지질 과산화 억제능이 우수하였다.
그러므로, ROS 생성억제능과 지질과산화 억제능 실험을 통하여 수련추출물을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과 함께 함유하는 실시예 1의 O2-클리어 콤플렉스가 활성 산소제거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의 O2-클리어 콤플렉스가 산소 정화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을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하기의 제형들은 O/W 제형이며, 단위는 중량%이다.
구분 원료명 제형예 1 제형예 2 비교제형예 1
유 상 성 분 1 스테아르산 1.0 1.0 1.0
세테아릴알코올 1.5 1.5 1.5
하이드로제네이티드 오일 0.7 0.7 0.7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방부제 0.3 0.3 0.3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20.0 20.0 20.0
메도우폼시드오일 2.0 2.0 2.0
해바라기 종자유 5.0 5.0 5.0
디메치콘 0.5 0.5 0.5
세틸옥타노에이트 2.0 2.0 2.0
데실 코코에이트 (Decyl cocoate) 1.0 1.0 1.0
사이클로메치콘 3.0 3.0 3.0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수상성분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글리세린 4.0 4.0 4.0
부틸렌글리콜 5.0 5.0 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0.02
티이에이 0.15 0.15 0.15
방부제 0.2 0.2 0.2
수상성분 2 카보머 1% 수용액 12.0 12.0 12.0
수상성분 3 O2-클리어 콤플렉스 (실시예 1) 5.0 10.0 -
유상성분 2 적량 적량 적량
<제조방법>
(1) 수상성분 1을 70∼75℃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2) 유상성분 1을 70∼75℃로 가온하여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3) 상기 (1)에 상기 (2)를 넣고 호모믹싱한 다음에 수상성분 2 및 수상성분 3을 투입하여 균일하게 분산하였다.
(4) 상기 (3)에 유상성분 2를 넣고 교반시킨 후에 탈기하고 냉각하여 크림 제형을 얻었다.
[시험예 3]
상기의 결과로 본 발명에 의한 O2-클리어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활성산소를 제거하여 산소정화 클렌징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번에는 제품의 가장 중요한 속성인 클렌징 능력이 떨어지는 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품평을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정상인 피부라 생각되는 성인 여자 15명을 2개 조로 나누어, 각 조에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색조화장을 한 상태에서 똑같은 양으로 안면에 도포하여 클렌징 능력 등의 사용감 속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를 설문지로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도포 개시 전 얼굴 양쪽에 똑같이 색조화장을 하고 나서 30분 동안 항온, 항습 조건(24℃,상대습도 40%)에서 방치한 후 클렌징 능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클렌징 능력 효능 평가 설문조사
집단 선호도 발림성 클렌징 능력 티슈오프후 잔여감
제형예 1 및 비교제형예 1 도포 그룹 제형예 1 선호 대등 비교제형예 1 선호 2 11 2 0 15 0 2 12 1
제형예 2 및 비교제형예 1 도포 그룹 제형예 2 선호 대등 비교제형예 1 선호 2 10 3 1 13 1 1 12 2
상기 표 5의 결과에서, 제형예 1∼2 및 비교제형예 1의 클렌징 능력은 대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발림성이나 티슈오프 후 잔여감에서도 큰 차이가 없는 결과를 얻었다. 약간의 차이는 제조시 유화입자가 만들어지고 냉각되는 과정에서의 물성(점도나 경도)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련 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혼합하여 제조한 O2-클리어 콤플렉스를 함유하는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를 가지면서도 클렌징 제형에서 가장 중요한 속성인 클렌징 능력이 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산소 정화 클렌징 효과를 통해 깨끗하고 활력 있는 피부를 만들어 줄 수 있으며, 클렌징 제품의 본질적인 기능에 부가적으로 활성산소 제거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소비자에게 차별화된 클렌징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5)

  1. 수련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산소 정화용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수련추출물, 위치하젤 및 오리스 추출물을 0.1∼10.0:0.1∼10.0:0.1∼10.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함유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활성산소 억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지질과산화 억제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50020479A 2005-03-11 2005-03-11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1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479A KR101181541B1 (ko) 2005-03-11 2005-03-11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0479A KR101181541B1 (ko) 2005-03-11 2005-03-11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301A true KR20060098301A (ko) 2006-09-18
KR101181541B1 KR101181541B1 (ko) 2012-09-10

Family

ID=37629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0479A KR101181541B1 (ko) 2005-03-11 2005-03-11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54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85B1 (ko) * 2006-05-03 2007-05-07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111602A (ja) * 2008-11-05 2010-05-20 Atm Kk 抗酸化剤
KR101305972B1 (ko) * 2006-10-19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전 스웰링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86451B2 (en) 2019-06-28 2023-10-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kin care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55452A (en) 1979-03-19 1981-03-10 Veney Ruby G Cosmetic composition
JPS6261924A (ja) 1985-09-11 1987-03-18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ES2322337T3 (es) 2002-08-16 2009-06-19 Coty B.V. Cosmetico para alisar la piel a base de extractos vegetal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485B1 (ko) * 2006-05-03 2007-05-07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피부 미백 및 항노화 효과를 갖는 수련 뿌리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05972B1 (ko) * 2006-10-19 2013-09-12 (주)아모레퍼시픽 피부 각전 스웰링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111602A (ja) * 2008-11-05 2010-05-20 Atm Kk 抗酸化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541B1 (ko) 2012-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US8808761B2 (en) 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containing rose extract and epigallocatechin gallate(EGCG)
KR20130022471A (ko) 녹차 성분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006708A (ja) 皮膚外用剤、美白剤、抗老化剤および抗酸化剤
WO2011129428A1 (ja) ウメ抽出物を含む、化粧用組成物
KR101181541B1 (ko) 산소 정화 클렌징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4889B1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FR3029417A1 (fr) Complexe actif pour un produit cosme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cutane
KR20130050675A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15369B1 (ko) 식물 분말로 구성된 기능성 입욕제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84297B1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30481B1 (ko) 오스톨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090002369A (ko) 피부 노화를 억제하여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9259B1 (ko) 플럼코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25409B1 (ko) 백당나무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3912A (ko) 길경, 홍삼 및 시호 사포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주름 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외용 조성물
KR101081585B1 (ko) 광나무 및 원추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70743B1 (ko) 천연 토코페롤 비누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하여제조된 천연 토코페롤 비누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102327092B1 (ko) 아구아헤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25091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공 수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33787B1 (ko) 물고사리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성분에 대한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