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404A -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 Google Patents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404A
KR20060097404A KR1020050019715A KR20050019715A KR20060097404A KR 20060097404 A KR20060097404 A KR 20060097404A KR 1020050019715 A KR1020050019715 A KR 1020050019715A KR 20050019715 A KR20050019715 A KR 20050019715A KR 20060097404 A KR20060097404 A KR 200600974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user
hearing
hearing tes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석
Original Assignee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이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이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404A/ko
Publication of KR20060097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4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6Visors with sunscreens, e.g. tinted or dual visor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5Visors with full face protection, e.g. for industrial safety appl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18Face protection devices
    • A42B3/22Visors
    • A42B3/227Visors with sun visors, e.g. peaks above face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7/00Fastening means for head coverings; Elastic cords; Ladies' hat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00Butt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자기의 청력을 스스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칩을 내장하여 필요에 따라 자기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력테스트 모드로 선택되면, 비교 모드가 선택되는지 인식모드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비교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 테스트를 위해 출력했던 테스트 음성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청력테스트, 음성인식칩, 테스트 음성데이터

Description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Mobile Phone Capable Of Performing Hearing Test And Hearing Test Method Through The Same}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에 따른 청력테스트 모드 수행과정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에 따른 청력테스트 모드 수행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9 : 마이크 13 : 표시부
23 : 메모리부 24 : 음성인식칩
25 : 전원부 50 :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저장부
본 발명은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자기의 청력을 스스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및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기 위한 음성인식칩을 내장하여 필요에 따라 자기의 청력을 테스트할 수 있는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내부 구성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힌지부(105)에 의하여 본체부(102)와 폴더(103)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입력부(107), 제어부(108), 마이크(109), 스피커(119), 표시부(113), 조명부(120), 메모리부(123), 전원부(125) 및 송수신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2)는 사용자가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작동하기 위한 명령신호를 입력하는 수단으로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하는 일반키버튼(107b)과 기능키버튼(107a)으로 이루어진 입력부(107)와, 통화 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는 마이크 (109)와, PC 등으로부터 자료를 입력받거나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저장된 자료를 PC 등으로 출력하거나 외부 전원을 공급받기 위한 외부 단자 포트(111)와, 안테나(140a)를 통하여 무선 송수신 자료를 전송받거나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14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폴더부(103)는 제어부(108)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표시하며 입력부(107)로부터 입력된 키 데이터 및 제어부(108)의 각종 신호를 입력 받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113)와, 상대방의 음성이나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동영상 자료, 녹음 자료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9)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부(123)는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 데이터와 제어부(108)의 동작 제어 시 또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른 동작 수행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며,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제어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프로그램이나 사용자의 입력 자료를 저장하기 위한 비휘발성 메모리와 프로그램 실행 시 프로그램을 적재하기 위한 휘발성 메모리가 사용된다. 비휘발성 메모리는 비휘발성이면서도 데이터의 읽기와 쓰기가 가능한 플래쉬 메모리가 주로 사용된다. 제어부(108)는 이동통신 단말기(100) 각 구성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무선통화 혹은 문자메시지의 전달같은 통신 및 문자 메시지 송수신기능을 위한 기능만을 내장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거의 모든 성인남녀를 비롯한 국민 전체로 보급이 확산 되어가고 있으며, 대다수의 사용자들은 단말기(100)를 통신용 뿐만 이 아니라 오락기구로도 사용하고 있고, 일부 사용자들은 질병진단키트등이 내장된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신체의 질병을 진단하는 질병진단기능을 위한 도구로도 사용하고 있다.
또한, 무선통신기능 외에 다양한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에 최근에는 MP3와 같은 디지탈 음악 파일을 무선 인터넷 접속을 통해 다운로드하여 즐기는 경우가 많고, 이에 따라 일부 단말기에는 음악을 더욱 실감나게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멀티미디어용 스피커가 내장된 경우도 있다. 이런 음악 파일 감상 기능용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청력에 이상이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에 청력테스트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별도로 음성인식이 가능한 음성인식칩을 내장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자신의 청력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력의 저하를 미리 감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청력 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청력테스트용 프로그램을 내장하고 별도로 음성인식이 가능한 음성인식칩을 내장하여 이를 통해 사용자가 수시로 자신의 청력을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력의 저하를 미리 감지하고 예방 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력테스트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력테스트 모드로 선택되면, 비교 모드가 선택되는지 인식모드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비교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 테스트를 위해 출력했던 테스트 음성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력테스트 방법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1 과정에서 인식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4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칩을 통해 인식하여 그 인식된 사용자 음성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음성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송수신부, 키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프로그램 데이터나 제어부 동작 제어 시 또는 사용자의 입력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각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조명부 및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이 저장된 청력테스트 프로그 램 저장부, 청력테스트를 위한 청력테스트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메모리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청력테스트용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청력테스트용 음성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서 이것을 표준단어에 대한 정확도를 판단하는 음성인식칩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인식된 단어와 표준단어발음을 비교한 결과를 수치화화여 상기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상기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청력 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3 은 본 발명에 따른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내부 구성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유사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1)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은 상기 도 1에서와 유사하게, 입력부(7), 제어부(8), 마이크(9), 스피커(119), 표시부(13), 조명부(20), 메모리부(23), 전원부(25), 송수신부(4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참조부호 24는 음성인식칩을 나타낸 것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서 이것을 표준단어에 대한 정확도를 판단한다. 즉, 사용자가 발음하여 음성인식된 단어와 표준단어발음을 비교하고 정확도를 수치(%)로 판단하여 그 결과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귀하의 청력은 100%(양호한 수준)입니다."라는 음성 데이터 메시지를 상기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음성인식칩(24)은 종래 상용으로 판매되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음성인식칩(24)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표준발음들에 대하여 발음에 대한 정확도와 아울러 청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칩(24)은 상기 마이크(9)를 통해 입력된 음성을 인식한다.
참조부호 50은 본 발명의 특징인 청력테스트 모드를 표시하고 수행하기위한 위한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는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저장부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제어부(8)의 제어하에 청력 테스트 모드설정화면 및 기타 음성인식을 통한 청력테스트 결과 화면을 표시부(13)를 통해 표시한다. 아울러 상기 청력테스트 모드 설정화면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비교모드와 인식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식모드의 경우 사용자로부터 입력되어 음성인식칩(24)를 통해 음성인식된 음성데이터와 테스트 음성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를 수치화하여 스피커 또는 표시부를 통해 출력시키는 역할도 한다.
상기 메모리부(23)는 청력테스트를 위한 표준 음성데이터와 사용자로 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4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에 따른 청력테스트 모드 수행과정의 일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청력을 테스트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입력부(7)를 통해 특정 버튼(예를 들면 '메뉴'라고 써있는 버튼)을 누른다. 이때, 제어부(8)는 청력테스트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200)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저장부(50)를 통해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독취하여 실행시키고, 이에 따라 또 다른 모드 선택화면을 출력한다. 이때 사용자가 비교모드를 선택한 경우(205), 이후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된다(210). 이후 사용자는 출력된 청력 테스트 음성을 듣고 동일하다고 생각되는 음성을 마이크(9)를 통해 입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8)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215)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계속 실행시켜 다음 동작이 진행된다. 즉 청력 테스트를 위해 출력했던 테스트 음성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이로써 사용자는 테스트 음성과 자신의 음성을 비교하면서 들을 수 있고 이를 통해 자신의 음성과 테스트 음성간의 차이를 알 수 있으므로 이를 자신의 청력테스트 결과로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자신의 음성이 테스트 음성과 어떻게 다른지를 비교하여 자신의 발음이 잘못된 경우에는 발음을 교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사용자로부터 소정시간내에 음성입력이 없는 경우에는(225) 초기모드로 복귀한다.
도 5는 도 3의 이동통신 단말기 구성에 따른 청력테스트 모드 수행과정의 다른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자신의 청력을 테스트 하기 위해 이동통신 단말기(1)에서 입력부(7)를 통해 특정 버튼(예를 들면 '메뉴'라고 써있는 버튼)을 누른다. 이때, 제어부(8)는 청력테스트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고(200)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저장부(50)를 통해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독취하여 실행시키고, 이에 따라 또 다른 모드 선택화면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비교모드 및 인식모드를 표시하는 화면이 출력된다. 이때 사용자가 인식모드를 선택한 경우(206),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된다(210). 이후 사용자는 출력된 청력 테스트 음성과 동일하다고 생각되는 음성을 마이크(9)를 통해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8)는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215)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계속 실행시키며 이에 따라 다음 동작이 진행된다. 즉 상기 마이크(9)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칩(24)을 통해 인식하고 음성인식된 데이터와 표준발음(테스트 음성데이터)이 저장된 메모리부(23)를 통해 출력된 표준(테스트)음성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 신호를 상기 제어부(8)를 통해 출력한다. 상기 출력 결과는 예를 들면, "귀하의 청력은 100% 양호합니다."와 같은 음성데이터가 스피커(119)를 통해 출력된다. 물론 표 시부(13)를 통해 해당 내용을 표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청력을 테스트 음성과의 비교를 통해 인식된 결과를 통해 미리 알 수 있다.
한편, 청력테스트를 위한 비교모드 및 인식모드를 구분하지 않고 청력테스트 모드 하나로만 구성하여 바로 테스트 음성데이터 및 사용자 입력 음성데이터를 순차출력하는 과정과 사용자 입력 음성데이터와 테스트 음성데이터의 비교결과를 출력하는 과정을 계속적으로 진행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에 기재한 본 발명에 따른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1)에 따르면, 사용자는 자신의 청력을 청력테스트 모드를 선택하여 표준음성과 비교하면서 들을 수 있고 또한 청력테스트 결과를 음성인식칩을 통해 수치적으로 알아볼 수 있으므로 청력저하와 같은 문제를 미리 알 수 있고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청력을 테스트하는 방법에 있어서,
    청력테스트 모드로 선택되면, 비교 모드가 선택되는지 인식모드가 선택되는 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비교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2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 테스트를 위해 출력했던 테스트 음성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제 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력테스트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과정에서, 인식 모드가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청력을 테스트하기 위한 테스트 음성이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제 4 과정과,
    사용자로부터 음성입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데이터를 음성인식칩을 통해 인식하여 그 인식된 사용자 음성데이터와 상기 테스트 음성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수치화하여 출력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청력테스트 방법.
  3.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 신호를 수신하거나 송신하는 송수신부, 키 입력을 받기 위한 입력부, 프로그램 데이터나 제어부 동작 제어 시 또는 사용자의 입력 중 발생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각종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부, 조명부 및 상기 구성들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이 저장된 청력테스트 프로그램 저장부,
    청력테스트를 위한 청력테스트 음성 데이터 및 사용자로부터 상기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상기 메모리부,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데이터 저장부에 저장된 청력테스트용 음성데이터를 출력하고, 이후 상기 사용자로부터 마이크를 통해 음성이 입력된 경우에는 상기 청력테스트용 음성데이터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상기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상기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서 이것을 표준단어에 대한 정확도를 판단하는 음성인식칩 및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음성을 인식하여 음성인식된 단어와 표준단어발음을 비교한 결과를 수치화화여 상기 스피커 및 표시부를 통해 출력하도록 상기 청력테스트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상기 제 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9715A 2005-03-09 2005-03-09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KR200600974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15A KR20060097404A (ko) 2005-03-09 2005-03-09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715A KR20060097404A (ko) 2005-03-09 2005-03-09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404A true KR20060097404A (ko) 2006-09-14

Family

ID=37629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715A KR20060097404A (ko) 2005-03-09 2005-03-09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40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876B2 (en) 2009-08-18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of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the apparatus
WO2021099834A1 (en) * 2019-11-21 2021-05-27 Cochlear Limited Scoring speech audiometr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31876B2 (en) 2009-08-18 2015-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rtable sound source playing apparatus for testing hearing ability and method of testing hearing ability using the apparatus
WO2021099834A1 (en) * 2019-11-21 2021-05-27 Cochlear Limited Scoring speech audiometr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67542B2 (en) Sound recording device, sound recording method, and sound recording program embodied on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07525897A (ja) マルチモーダル埋め込み型インタフェースの交換可能なカスタマイズ用の方法及び装置
JP2003337042A (ja) ナビゲ−ション装置
US773865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ustomizing an audio file in a mobile device
KR10078311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음악 파일 단축 저장 방법
KR100677350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mp3 청취 중 메뉴 조작 방법
JP2011049885A (ja) 携帯電子機器
US8892173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ound control system
KR20100081022A (ko) 전화번호부 업데이트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KR20060097404A (ko) 청력테스트가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통한 청력테스트 방법
KR20070076942A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작곡 장치 및 방법
CN105913841A (zh) 语音识别方法、装置及终端
JP3931166B2 (ja) 携帯型端末装置
JPH10133852A (ja) 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および音声属性パラメータの管理方法
CN101242440A (zh) 一种带语音复读功能的手机
CN111176538B (zh) 一种基于智能音箱的屏幕切换方法及智能音箱
CN104660819B (zh) 移动设备以及访问移动设备中文件的方法
JP2010032788A (ja) 楽曲選択システム、サーバ装置、および携帯端末装置
KR19990011023A (ko) 기능모드의 음성 인식이 가능한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 및 그 인식방법
JP2003324505A (ja) 携帯電話機
CN111148007A (zh) 一种音质调节方法、无线发射设备、音质调节系统及介质
US20080207175A1 (en) Communication notification setting method
KR100381970B1 (ko) 거짓말 탐지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거짓말 탐지방법
JP2017122930A (ja) 発話制御装置、方法、発話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030224720A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user-configurable memo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