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36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368A
KR20060097368A KR1020050019660A KR20050019660A KR20060097368A KR 20060097368 A KR20060097368 A KR 20060097368A KR 1020050019660 A KR1020050019660 A KR 1020050019660A KR 20050019660 A KR20050019660 A KR 20050019660A KR 20060097368 A KR20060097368 A KR 200600973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refrigerant
accumulator
refrigerator
evapo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다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9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7368A/ko
Publication of KR200600973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Special paper or cardboar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5/0082Wall p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4Security printing
    • B41M3/144Security printing using fluorescent, luminescent or iridescent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18Particular kinds of wallpap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지 못하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의 압축기 일측에 보조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어, 상기 증발기에서 증발되지 않은 액상냉매가 상기 증발기와 연결된 연결관을 통해 보조어큐뮬레이터의 상부로 유입되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임시로 충진되어 상기 액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로 흡입되는 것이 방지되고, 상기 연결관을 통해 유입된 기체상태의 냉매가 상기 압축기의 흡입력에 의해 고속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냉매의 고속 유동에 따른 소음을 방지하도록 되며, 상기 냉장고 냉매순환기관의 정지 시에 발생되는 다량의 액상냉매가 상기 압축기의 구동과 동시에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이다.
냉장고, 압축기, 증발기, 어큐뮬레이터

Description

냉장고{SYSTEM OF REFRIGERANTS CYCLE FOR SUPPLEMENT ACCUMULATOR}
도 1은 일반적인 냉장고에 설치되는 냉매순환기관의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냉매순환기관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보조어큐뮬레이터가 구비된 냉장고용 압축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어큐뮬레이터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냉장고 20 - 증발기
30 - 보조어큐뮬레이터 31 - 몸체
32 - 연결관 33 - 흡입관
40 - 압축기 50 - 응축기
60 - 모세관
본 발명은 냉매순환기관의 어큐뮬레이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통상의 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하기 어려운 냉매순환기관 압축기의 냉매 흡입부분에 설치되어 어큐뮬레이터 및 소음기 작용을 하도록 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매순환기관은 냉매의 증발열을 이용하여 소정장소 및 공간을 냉각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통상 가정에서 사용되는 냉장고 및 공기조화기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냉매순환기관이 구비된 냉장고(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기(40)와, 응축기(50)와, 모세관(60) 및 증발기(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압축기(40)는 저온저압의 기체를 압축하여 고온고압의 기체를 생성하도록 되고,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압축기(40)에서 생성된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를 상온고압의 액상냉매로 변환시키며, 상기 모세관(60)은 상기 응축기(50)에서 생성된 상온고압의 액상냉매를 급격히 팽창시켜 저온저압의 액상냉매로 변화시키도록 되고, 상기 증발기(20)는 모세관(60)에서 생성된 저온저압의 액상냉매를 증발시킴과 더불어 외부 공기 등과 접촉시켜 상기 공기 등을 냉각시키도록 된 것이 보편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냉장고(10)가 작동됨과 더불어, 냉장고(10)의 하부 기계실에 설치된 압축기(40)의 압축작용으로 상기 압축기(40) 내로 냉매가 흡입되고, 상기 압축기(40)로 냉매가 흡입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기(40)가 압축 작용되어 상기 냉매가 고온고압의 기상냉매로 압축되며, 이 압축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40)에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기계실에 설치된 응축기(50)에서 외기와 열교환되면서 상온고압의 액상냉매로 변환되고, 상기 응축기(50)에서 상온고압으로 변환된 냉매가 상기 응축기(50)에 연결된 모세관(60)으로 통과되면서 팽창되어 저온저압의 액상냉매로 변환되며, 상기 모세관(60)을 통과한 냉매가 상기 냉장고(10)의 각 저장실 등에 설치된 증발기(20)로 유입되어 상기 증발기(20)에서 증발되면서 상기 냉장고(10)의 저장실 공기와 열교환되어 상기 냉장고(10)의 냉각을 이루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 상기 냉매순환기관으로 유통되는 냉매가 일부 증발되거나 소실되면서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작동이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냉매순환기관에 어큐뮬레이터(70)를 추가로 장착하여 여분의 냉매를 순환시키도록 하거나, 상기 압축기(40)로 액상냉매가 흡입되어 상기 압축기(40)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어큐뮬레이터(70)가 추가 설치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여기서, 상기 어큐뮬레이터(7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단이 냉매순환기관에 연결되도록 개구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하단의 개구가 압축기(40)와 연결되는 토출관(72)과, 증발기(20)와 연결되는 유입관(71)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또, 상기 토출관(72)은 상기 어큐뮬레이터(70)의 상단에서 상기 압축기(40)에 이르도록 연결된 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입관(71)은 상기 증발기(20)의 출구단에서 어큐뮬레이터(70)의 하단으로 연결됨과 더불어, 상기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로 연장되고 그 선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이에 따라, 상기 증발기(20)에서 증발 작용되어 저온저압의 기체 또는 액체상태로 된 냉매가 상기 유입관(71)을 통해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에서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어큐뮬 레이터(70)의 상단에 연결된 토출관(72)을 통해 유동되어 상기 압축기(40)로 흡입되며, 상기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 중에서 액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유입관(71)의 선단 개구를 통해 토출됨과 더불어 자체 하중에 의해 상기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에 충진된다.
또, 상기 어큐뮬레이터(70)의 내부에 충진된 액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기상냉매로 증발되어 상기 어큐뮬레이터(70)의 상단 토출관(72)을 통해 상기 압축기(40)로 유동되는 것이 보편적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냉장고(10) 중에서 기계실의 설계나 냉장고(10) 외형설계로 인해 상기 어큐뮬레이터(70)를 설치할 수 없는 냉장고(10)가 개발되고 있고, 상기 냉장고(10) 중에서 비교적 작은 용량을 갖는 냉장고(10)의 경우, 상기 어큐뮬레이터(70)를 설치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70)가 설치되지 않은 냉장고(10)는 증발기(20)에서 미쳐 증발되지 않은 액체상태의 냉매가 지속적으로 압축기(40)로 유입되어 상기 압축기(40)에서 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액체를 압축하게되므로, 상기 압축기(40)에 적정 이상의 부하가 걸리면서 상기 압축기(40)의 이상작동 또는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작은 용량을 갖는 냉장고(10)의 경우, 상기 냉매의 작동정도가 비교적 낮게되므로 증발기(20)에서 액체상태의 냉매가 압축기(40)로 유입되는 양이 비교적 적어 상기 압축기(40)에 부하를 주는 정도가 미비하나, 상기 작은 용량을 갖는 냉장고(10)의 초기 구동 시에,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압축기(40)가 정지되고 증발기(20)의 증발작용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순환기관 전체에 걸쳐 냉매가 증발 작용되지 않아 액체상태로 존재하게됨과 더불어, 상기 냉매순환기관이 외부 공기와 접촉되면서 냉각되어 상기 응축기(50)의 작용과 동일하게 내부의 냉매를 냉각시켜 상온의 액상냉매로 변환시키게된다.
이에 따라, 상기 냉장고(10) 또는 압축기(40)의 작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내부에 다량의 액상냉매가 존재하게되고, 냉매순환기관의 내부에 다량의 액상냉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0) 또는 압축기(40)를 작동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40)의 내부로 다량의 액상냉매가 흡입되어 상기 압축기(40)에 적정 이상의 부하를 주게되어 상기 압축기(40)의 고장을 유발하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어큐뮬레이터(70)가 설치되지 못하는 냉장고(10) 등의 냉매순환기관에 액상냉매를 거르도록 된 종래 어큐뮬레이터(70)의 작용을 이루는 또 다른 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또, 상기 냉매순환기관은 상기 압축기(40)가 고압으로 냉매를 압축함과 더불어, 흡입 및 토출작용을 이루도록 됨에 따라, 상기 압축기(40) 및 이와 연결된 기관에서 상기 냉매가 기관의 내부로 급격히 유동되는 유동음 또는 팽창음 등이 발생되어 상기 냉매순환기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통상의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지 못하는 냉매순환기관에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작용을 이루도록 된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매순환기관의 압축기로 흡입되는 액상냉매를 거르도록 됨과 더불어, 상기 압축기의 흡입부분 또는 냉매순환기관 전체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저감하도록 된 냉장고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교적 설치가 용이하며, 설치공간의 확보가 용이한 압축기의 입구단에 액상냉매를 거르도록 된 보조어큐뮬레이터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는 통형상의 몸체와, 이 몸체의 상단 및 하단에 형성된 개구 및 상기 몸체 상/하단의 개구에 연결된 연결관과 흡입관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연결관은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상단에서 증발기에 이르도록 연결된 관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흡입관은 그 일단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하단을 통해 관통되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 중앙에 이르도록 연장되고, 그 타단이 압축기에 연결된 관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어큐뮬레이터 내부로 삽입된 흡입관의 선단이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축방향에서 소정각도 기울어지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증발기에서 유동되는 냉매가 상기 어큐뮬레이터의 연결관을 통해 유입됨과 더불어, 상기 냉매 중 기상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로 삽입된 흡입관을 통해 상기 압축기로 흡입되어 압축되고, 상기 냉매 중에서 액상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증발기 등에서 발생된 소음이 상기 연결관을 통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로 유동됨과 더불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면에 접촉되고 비교적 넓은 체적을 갖는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서 압력이 낮아져 해당 유속이 저하됨과 더불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로 연장된 흡입관의 선단으로 방향 전환되면서 해당 유속이 저하되어 상기 냉매의 유동음이 저감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일반적인 종래구조를 도시한 도 1 내지 도 2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표기하면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종래의 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되지 못하는 냉장고(10)에 보조어큐뮬레이터(30)가 설치된 것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 조어큐뮬레이터(30)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압축기(40)와, 응축기(50)와, 모세관(60)과, 증발기(20)로 이루어진 냉장고 냉매순환기관에 보조어큐뮬레이터(30)가 더 구비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냉매순환기관이 설치되는 통상의 냉장고(10)를 그 일례로써 설명한다.
상기 압축기(40)는 상기 냉장고(10)의 하부 기계실의 바닥면에 브래킷과 방진고무를 매개로 고정되며,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내부로 유동되는 냉매를 흡입하여 고압으로 압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응축기(50)는 상기 냉장고(10)의 기계실에 설치되며, 상기 압축기(40)에서 압축된 냉매를 수용하여 상온의 공기로써 냉각시켜 상온고압의 액상냉매로 변환시키도록 형성된다.
상기 모세관(60)은 상기 응축기(50)에서 상온고압의 액체로 변환된 냉매가 통과되면서 팽창되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증발기(20)가 상기 냉장고(10)의 상부에 형성되는 저장실에 설치됨에 따라 상기 증발기(20)가 설치된 냉장고(10)의 상부에 형성된다.
상기 증발기(20)는 상기 냉장고(10)의 각 저장실 또는 어느 한 저장실의 후방에 설치되며, 상기 모세관(60)과 상기 압축기(40)에 연결된다.
또, 상기 증발기(20)는 상기 모세관(60)에서 팽창된 저온저압의 액상냉매가 유입되어 외부공기와 열교환되면서 저온저압의 기상냉매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40)의 흡입력에 의해 압축기(40)로 유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는 상기 증발기(20)에서 증발된 냉매 중에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거르면서 상기 압축기(40)로 유동시키도록 상기 증발기(20)와 압축기(40)의 사이에 형성된다.
또,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는 상기 냉장고(10)의 각 저장실 후방의 공간부족 또는 상기 냉장고(10)의 용량에 의해 상기 냉장고(10)의 하부 압축기(40)의 흡입부분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는 상기 증발기(20)에서 압축기(40)에 연결된 관의 일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축기(40)에 근접되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는 몸체(31)와, 연결관(32)과, 흡입관(3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몸체(31)는 상기 증발기(20)에 연결된 관과 상기 압축기(40)에 연결된 관이 그 상/하단에 연결되는 통형상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몸체(31)는 그 상/하단이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관들과 연결되도록 개구되고, 그 내부가 중공되어 형성된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그 상/하부로 가면서 해당 체적이 저감되도록 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32)은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 몸체(31)의 상단 개구에 연통되도록 체결되고 상기 증발기(20) 이르도록 연결된 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흡입관(33)은 그 일단이 상기 압축기(40)의 입구단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 몸체(31)의 하단을 통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 (30)의 내부로 연장된 관으로 형성된다.
또, 상기 흡입관(33)은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 몸체(31)의 내부로 연장됨과 더불어, 그 선단부가 일방향으로 굴곡되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 몸체(31)의 중심축에서 소정각도 기울어져 형성되고, 상기 몸체(31)의 상면에 형성된 연결관(32)의 개구와 서로 마주 보지 않는 방향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관(32)과 흡입관(33)은 기존 어큐뮬레이터의 유입관과 토출관의 작용과 반대되는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용을 설명한다.
냉장고(10)의 작동에 따라 압축기(40)가 작동되고, 상기 압축기(40)의 작동에 따라 상기 압축기(40)로 흡입관(33)을 통해 냉매순환기관의 냉매가 흡입된다.
이때, 상기 압축기(40)에 연결된 증발기(20) 부분에서 유입되는 냉매는 상기 증발기(20)에 연결된 연결관(32)을 통해 상기 압축기(40)의 일측에 밀착되어 설치된 보조어큐뮬레이터(30)로 유동되고,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로 유동되는 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로 유입된 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벽면과의 마찰 등을 통해 해당 유속이 저하됨은 물론, 상기 연결관(32)에 비해 단면적이 넓게 형성된 보조어큐뮬레이터(30)에서 확산되면서 해당 유속이 저하되어 상기 냉매의 유동에 따른 마찰음 등의 소음이 저감된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로 유동되면서 소음이 저감된 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로 연통되고 개구된 흡입관(33)의 내부로 유동되고, 상기 흡입관(33)의 내부로 유동된 냉매는 상기 압축기(4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흡입관(33)을 통해 압축기(40)로 흡입되어 압축되고, 상기 압축기(40)에서 압축된 냉매가 상기 압축기(40)에 연결된 모세관(60)을 통과하면서 팽창되고 다시 상기 증발기(20)로 유동되어 증발되면서 상기 냉매의 순환을 이루게 된다.
여기서, 상기 냉매가 압축기(40)의 흡입력으로 고속 유동되는 것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에서 감속되어 유동되도록 되어 상기 냉매의 고속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저감된다.
또, 상기 냉장고(10) 또는 압축기(40)의 작동이 정지되면, 상기 냉매순환기관 전체에 수용된 냉매가 외부 공기 등에 의해 상온으로 냉각되거나, 상기 증발기(20)에서 더 이상 열교환이 이루어지지 않음과 더불어, 상기 냉매가 더 이상 증발되는 것이 정지되어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전체에 존재하는 기체상태의 냉매가 상온의 액체상태 냉매로 변환된다.
상기 압축기(40)의 정지로 인해 액체상태로 변환된 냉매가 냉매순환기관에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고(10)의 가동 또는 압축기(40)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압축기(40)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액상냉매가 상기 압축기(40)의 방향으로 유동되고, 상기 압축기(40)의 방향으로 유동되는 냉매는 상기 압축기(40)의 흡입부분에 설치된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로 유동된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로 유동된 액상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중공된 내부에 낙하되어 충진된다.
이때,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상단 개구를 통해 유입되는 액상냉매는 상기 상단 개구와 동일축 상에 형성된 흡입관(33)의 방향으로 낙하되지만, 상기 흡입관(33)의 선단이 굴곡 형성되고 그 입구가 상기 상단 개구와 마주보지 않는 방향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액상냉매는 상기 흡입관(33)의 굴곡된 상부 정점에 부딪쳐 비산되거나 흘러내려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에 충진된다.
또,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내부에 잔존된 기체상태의 냉매는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에서 해당 유속이 저하되면서 소음이 저감되어 상기 흡입관(33)의 굴곡된 선단 개구를 통해 상기 압축기(40)로 흡입되어 압축된다.
또한,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냉매는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작동에 의해 소정압력과 증발기(20)에서 증발된 기체의 유동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증발되고, 이 증발된 냉매는 상기 흡입관(33)을 통해 상기 압축기(40)로 유동되어 압축된다.
또,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지속적인 작용으로 인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에 충진된 액상냉매가 모두 증발되어 보조어큐뮬레이터(30)의 내부가 중공되면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30)는 상기 증발기(20)에서 압축기(40)로 유동되는 기상냉매의 유속을 저하시키는 머플러의 역할을 하면서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소음을 저감시키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의 어큐뮬레이터를 설치하기 어려운 냉매순환기관의 압축기 일측에 보조어큐뮬레이터를 장착하여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작동으로 발생되는 액상냉매를 걸러 기상냉매만을 압축기로 유통시키도록 되어 상기 압축기의 효율이 저하되거나, 압축기에 고장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압축기의 흡입력으로 인해 고속으로 흡입되는 냉매의 유속을 보조어큐뮬레이터의 내부에서 감속시켜 상기 냉매의 유동으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냉매순환기관의 초기 구동 시에 다량의 액상냉매가 압축기의 흡입력에 의해 유입되는 것을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에서 액상냉매를 임시로 저장하고,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증발된 기상냉매만을 상기 압축기로 흡입시키도록 되어 상기 압축기의 효율향상은 물론, 상기 냉매순환기관의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냉장고의 증발기에서 압축기에 이르도록 연결된 관의 상기 압축기 입구단과 직결되어 액상냉매와 기상냉매를 분리하도록 된 보조어큐뮬레이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어큐뮬레이터는 그 상/하단이 개구되고 그 내부가 중공된 통형상으로 형성된 몸체;
    상기 증발기의 출구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상단 개구에 그 타단이 연결된 연결관;
    상기 압축기의 입구단에 그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몸체의 하단 개구에 그 타단이 연결됨과 더불어 내부로 삽입되고 그 선단이 굴곡되어 형성된 흡입관;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을 통해 증발기의 출구단으로부터 냉매가 유입되고, 상기 흡입관을 통해 압축기의 입구단으로 냉매가 토출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고.
KR1020050019660A 2005-03-09 2005-03-09 냉장고 KR2006009736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60A KR20060097368A (ko) 2005-03-09 2005-03-0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660A KR20060097368A (ko) 2005-03-09 2005-03-0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68A true KR20060097368A (ko) 2006-09-14

Family

ID=37629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660A KR20060097368A (ko) 2005-03-09 2005-03-0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736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50663A1 (en) Refrigerator
JP4776438B2 (ja) 冷凍サイクル
KR20110071167A (ko) 냉장고
JP2009008361A (ja) 冷凍装置
JP5971633B2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127655A (ja) 冷蔵庫
KR20060097368A (ko) 냉장고
JP2010236829A (ja) 冷凍装置
JP2007327355A (ja) 蒸気圧縮式冷凍回路及び当該回路を用いた車両用空調システム
KR100556760B1 (ko) 듀얼 콘덴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0348438Y1 (ko) 냉각장치용 소음기
CN111256384A (zh) 空调系统
KR100857315B1 (ko)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응축기 유니트
KR20050077605A (ko) 멀티형 냉장고
CN112747501B (zh) 压缩机组件、热交换系统和电器设备
KR100735961B1 (ko) 공기조화기용 압축기/응축기 유니트
JP2012247097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437015B1 (ko) 냉장고의 진동저감구조
JPH0541318Y2 (ko)
WO2020157806A1 (ja) 冷蔵庫
KR100441085B1 (ko) 펌프다운을 위한 용기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20070025726A (ko) 냉장고
KR100287714B1 (ko) 냉장고의 냉매유음 방지장치
KR100441086B1 (ko) 펌프다운을 위한 용기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KR100441084B1 (ko) 수액기가 구비된 공기 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26

Effective date: 2007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