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7357A -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7357A
KR20060097357A KR1020050018897A KR20050018897A KR20060097357A KR 20060097357 A KR20060097357 A KR 20060097357A KR 1020050018897 A KR1020050018897 A KR 1020050018897A KR 20050018897 A KR20050018897 A KR 20050018897A KR 20060097357 A KR20060097357 A KR 20060097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ver
mobile communication
guard rai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1998B1 (ko
Inventor
주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199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7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7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1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1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F16K31/602Pivoting levers, e.g. single-side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21Devices for positioning or connecting of water supply 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2Arrangements on taps for wash-basins or baths for connecting to the wal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00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 F16K5/04Plug valves; Taps or cocks comprising only cut-off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of the sealing faces shaped as a more or less complete surface of a solid of revolution, the opening and closing movement being predominantly rotary with plugs having cylindrical surfaces; Pack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거치대로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을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휴대 및 보관 등의 취급을 간편하게 하고, 분실의 우려를 제거한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그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양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드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플렌지부와; 일측이 상기 플렌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드레일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드레일부는; 상기 결합부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공간부를 가지며,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확장된 공간의 회전공간부을 갖는 회전레일부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거치대, 커버, 슬라이드, 레일, 회전

Description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Terminal having a combined Cradle and Cover}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 및 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5의 결합부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
도 7은 도 5의 가드레일부를 나타낸 요부 발췌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이동통신 단말기 110 : 커버
111 : 플렌지부 120 : 본체
121 : 가드레일부 122 : 이동공간부
123 : 회전레일부 124 : 회전공간부
130 : 결합부 131 : 슬라이드마찰부
132 : 슬라이드홈 133 : 체결홈
140 : 볼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거치대로도 사용하도록 하는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셀룰러 폰, PCS, PDA 등을 포함한다.)는 무선방식으로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 등의 정보교환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로서, 최근에는 음성 통화 및 문자 메시지의 전송뿐만 아니라 인터넷접속, MP3 및 음성 녹음/재생, 사진촬영, 동영상촬영 및 편집 등의 다양한 기능이 부가되고 있다.
또한, 그 형상에 있어서도 사용자의 취향과 편리성을 고려하여 폴더형, 슬라이드형, 플립형 및 바형 등의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배터리의 충전 등을 위하여 소정장소에 단말기 본체를 세워서 거치시킬 필요가 발생하고, 이를 위하여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본체를 거치시킬 수 있는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를 거치시키기 위한 별도의 거치대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성부품이 증가하여 제조비용이 상승하고, 휴대 및 보관 등의 취급이 불편하며, 분실의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거치대로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을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휴대 및 보관 등의 취급을 간편하게 하고, 분실의 우려를 제거한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그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시키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는; 양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드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플렌지부와; 일측이 상기 플렌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드레일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가드레일부는; 상기 결합부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공간부를 가지며,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확장된 공간의 회전공간부을 갖는 회전레일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하부에 그 형상이 평편하고 상기 가드레일부에 대응되어 상기 이동공간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마찰부가 형성된다.
상기 가드레일부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그 외주면 중앙에 상기 걸림턱부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100), 커버(110), 플렌지부(111), 본체(120), 가드레일부(121), 결합부(13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상기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그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본체(120)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20)를 거치시키는 커버(1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20)는 양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드레일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110)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플렌지부(111)와, 일측이 상기 플렌지부(11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드레일부(121)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130)를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부 및 결합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결합부를 나타낸 요부 발췌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가드레일부를 나타낸 요부 발췌 측면도이다.
본체(120)의 가드레일부(121)는 결합부(130)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공간부(122)를 가지며,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130)가 회전가능하도록 확장된 공간의 회전공간부(124)를 갖는 회전레일부(123)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130)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하부에 그 형상이 평편하고, 상기 가드레일부(121)에 대응되어 상기 이동공간부(122)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마찰 부(131)가 형성된다.
상기 가드레일부(121)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0)의 외주면 중앙에는 상기 걸림턱부(125)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32)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결합부(130)는 상기 가드레일부(121)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부(130)는 체결홈(133)이 형성되고, 볼트(140)를 통하여 상기 커버의 플렌지부(111)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130)는 통상의 힌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드레일부(121)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0)는 그 외주면 중앙에 상기 걸림턱부(125)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32)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본체(120)와, 상기 본체(120)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그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본체(120)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20)를 거치시키는 커버(11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10)가 본체(120)를 감싸고 있는 상태에서, 도 2와 같이 커버(110)를 본체(120)의 하단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커버(110)는 상기 본체(120)의 양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드레일부(121)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한다.
즉, 상기 커버(110)는 상기 본체(12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플렌지부(111)가 연장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플렌지부(111)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드레일부(121)에 결합된 결합부(130)가 가드레일부(121)를 따라 하방으로 슬라이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커버(110)가 본체(120)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이동된 후,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20)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120)를 거치시키게 된다.
이때,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드레일부(121)는; 상기 결합부(130)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공간부(122)를 가진다. 또한,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130)가 회전가능하도록 확장된 공간의 회전공간부(124)를 갖는 회전레일부(123)를 포함한다.
따라서,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결합부(130)의 상하부에 평편한 형상을 갖는 슬라이드마찰부(131)가 상기 가드레일부(121)의 이동공간부(122)에 삽입되어 본체(120)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후, 확장된 공간의 회전공간부(124)를 갖는 회전레일부(123)에서 상기 결합부(130)가 회전하여, 상기 커버가 상기 본체의 뒤쪽으로 접히는 형상이 됨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20)를 거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결합부(130)가 상기 가드레일부(121)의 이동공간부(122)에 삽입되어 본체(120)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상기 결합부(130) 외주면 중앙의 슬라이드홈(132)이 상기 가드레일부(121)의 절곡된 걸림턱부(125)에 삽입되어 외부로 이탈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커버(110)를 본체(120)의 후방으로 회전시켜 거치대로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을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휴대 및 보관 등의 취급을 간편하게 하고, 분실의 우려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의 커버를 본체의 후방으로 회전시켜 거치대로도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구성부품을 감소시켜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휴대 및 보관 등의 취급을 간편하게 하고, 분실의 우려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본체와;
    상기 본체에 슬라이딩되게 결합되어 그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본체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회전되어 상기 본체를 거치시키는 커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양측면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드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연장된 플렌지부와;
    일측이 상기 플렌지부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가드레일부에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부는;
    상기 결합부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이동공간부를 가지며, 그 단부에 상기 결합부가 회전가능하도록 확장된 공간의 회전공간부을 갖는 회전레일 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대략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하부에 그 형상이 평편하고 상기 가드레일부에 대응되어 상기 이동공간부에 삽입되는 슬라이드마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5. 제 2 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가드레일부(121)는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걸림턱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30)는 그 외주면 중앙에 상기 걸림턱부(125)가 삽입되는 슬라이드홈(13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20050018897A 2005-03-07 2005-03-07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1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897A KR100691998B1 (ko) 2005-03-07 2005-03-07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897A KR100691998B1 (ko) 2005-03-07 2005-03-07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7357A true KR20060097357A (ko) 2006-09-14
KR100691998B1 KR100691998B1 (ko) 2007-03-09

Family

ID=37629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897A KR100691998B1 (ko) 2005-03-07 2005-03-07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91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5705A2 (ko) * 2010-02-23 2011-09-01 주식회사 다이아벨 회전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37472A (en) 1995-03-09 1996-07-16 At&T Corp. Portable telephone with flip stand or hinged doors and having speaker therein
KR20000008155U (ko) * 1998-10-16 2000-05-15 정태기 세움판을 갖는 휴대폰
JP2001292217A (ja) 2000-04-07 2001-10-19 Kyocera Corp 携帯通信装置
KR100376573B1 (ko) * 2000-11-16 2003-03-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거치 가능한 이동전화기
KR20020039063A (ko) * 2000-11-20 2002-05-25 구자홍 송수화기 고정장치
KR100560921B1 (ko) * 2003-10-16 2006-03-14 주식회사 팬택 거치수단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105705A2 (ko) * 2010-02-23 2011-09-01 주식회사 다이아벨 회전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WO2011105705A3 (ko) * 2010-02-23 2012-01-05 주식회사 다이아벨 회전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91998B1 (ko) 200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WO2005086466A1 (ja) 携帯端末用クレードル装置
US7261973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a flip cover battery compartment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2011069488A (ja) ヒンジ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携帯電子装置
KR10065257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카메라 회전장치
US20060172786A1 (en) Compact tele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upper and lower members slidable and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JP2009124245A (ja) 情報処理装置
KR100691998B1 (ko)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US7168133B2 (en) Hing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1133050B1 (ko) 폴더용 휴대단말기의 프리스탑 힌지모듈
US20050003871A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hiftable pivot structure
JP5454818B1 (ja)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KR100653212B1 (ko) 폴더형 힌지장치 및 폴더형 힌지장치를 사용한개인휴대단말기
US798362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locking release device
KR100628761B1 (ko) 바형 휴대폰의 카메라 고정장치
US7302283B2 (en) Portable digital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improved grip
KR101048181B1 (ko) 배터리 커버장치
KR20050091631A (ko) 휴대 단말기용 거치대
CN220457469U (zh) 带有翻转支架的保护套
EP1510905B1 (en)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Shiftable Pivot Structure
JP2005012458A (ja)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JPH09273540A (ja) カバー開閉構造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2003333145A (ja) 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