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181B1 - 배터리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181B1
KR101048181B1 KR1020080060824A KR20080060824A KR101048181B1 KR 101048181 B1 KR101048181 B1 KR 101048181B1 KR 1020080060824 A KR1020080060824 A KR 1020080060824A KR 20080060824 A KR20080060824 A KR 20080060824A KR 101048181 B1 KR101048181 B1 KR 101048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se
battery
rotating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0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1068A (ko
Inventor
이영욱
김세윤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0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181B1/ko
Publication of KR20100001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1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 커버 및 힌지를 포함하고, 힌지는 케이스와 커버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되는데, 커버가 케이스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될 때 회전되어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이 오픈되는 배터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외관에 커버로 인한 라인이 생기지 않아 단말기 디자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커버가 슬라이딩되면 배터리를 삽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커버가 열리기 때문에 배터리의 탈착이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가 단말기와 별도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의 분실에 대한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터리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 배터리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커버장치, 힌지, 토션스프링, 커버, 케이스

Description

배터리 커버장치{DEVICE OF BATTERY COVER}
본 발명은 배터리 커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많은 전자제품들은 소형화되어 휴대가 간편하게 제작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전자제품들은 실외에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휴대용 음향기기(일예로, MP3 플레이어), 영화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및 휴대폰 등이 있는데, 이와 같은 전자제품들을 휴대함으로써 사라들의 생활이 윤택해지고 있다.
그런데, 위와 같은 전자제품들을 휴대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배터리(Battery)가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휴대용 전자제품에 있어서, 배터리의 지속시간이나 배터리의 교체에 대한 편의성 등이 전자제품을 선택하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작용되고 있다.
특히,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휴대폰의 경우에 대해서 살펴보면, 휴대폰의 사용되는 빈도수만큼 배터리의 소모가 가장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배터리를 재충전하거나 충전된 배터리로 교체하여야 정상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최근에 사용되는 배터리는 휴대폰에 장착하는 방식이 아닌 휴대폰의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는 셀 타입(Cell Type)의 배터리가 많이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셀 타입의 배터리를 휴대폰에 넣고 배터리가 빠지지 않도록 덮는 커버가 반드시 필요하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장치에서는 휴대폰 본체(10), 배터리(20), 커버(30)가 포함되어 이루어진다.
휴대폰 본체(10)에 배터리(20)를 장착하고, 커버(30)를 이용하여 배터리(20)가 휴대폰 본체(10)에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커버(30)로 씌움으로써 휴대폰 본체(10)에 커버(30)를 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배터리(20)가 휴대폰의 내부에 장착됨으로써 휴대폰에서 배터리(2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고, 배터리(20)와 상관없이 외형 디자인을 통일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런 커버(30)는 휴대폰 본체(10)와 분리되도록 제작이 되기 때문에 휴대폰 단말기의 외관에 커버(30)에 의해서 라인이 생기기 때문에 외관의 디자인과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커버(30)를 휴대폰 본체(10)에 고정하기 위해 후크(Hook)나 라커(Locker)가 이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배터리(20) 교체를 위해 커버를 열 때 사용성이 떨어지고, 사용자의 실수 등으로 인하여 휴대폰 단말기를 떨어뜨리는 등 휴대폰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면 커버(30)가 분리되어 배터리(20)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휴대폰 단말기의 외관 디자인과 완성도를 떨어뜨리지 않고,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터리가 쉽게 분리되지 않는 배터리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Battery)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Cover); 일측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일측과 상기 커버에 결합된 타측이 연결된 곳을 축으로 회전되는 힌지(Hinge);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회전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이 오픈(Open)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Battery Cover)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회전판; 일측이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가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Slide)판; 상기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딩부를 덮으면서 양측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일측은 상기 회전판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판에 걸려 상기 슬라이드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힌지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판;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고, 타측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회전판; 및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회전판에 걸려 상기 고정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회전판이 결합되는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커버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홈이 상기 돌기에서 이탈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단말기의 외관에 커버로 인한 라인이 생기지 않아 단말기 디자인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커버가 슬라이딩되면 배터리를 삽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커버가 열리기 때문에 배터리의 탈착이 쉬워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버가 단말기와 별도로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커버의 분실에 대한 염려가 없을 뿐 아니라, 단말기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배터리가 쉽게 분리되지 않아 배터리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장치에서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3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닫혀있을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배터리 커버장치는 케이스(Case, 100), 커버(Cover, 200) 및 힌지(Hinge, 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케이스(100)는 배터리(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다. 물론, 케이스(100)는 독자적으로 배터리만 수납할 수도 있고, 휴대폰의 단말기 중 일부가 될 수도 있다. 휴대폰의 단말기 일부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휴대폰 단말기 배면의 일부에 배터리 커버장치를 도3의 (a)와 같이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커버(200)는 일측이 케이스(100)와 연결되어 케이스(100)의 개방된 일면을 덮도록 형성되는데, 케이스(100)의 수용공간에 배터리를 삽입하였을 때, 배터리가 케이스(100)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커버(200)의 타측에는 커버(200)가 닫혀있을 때, 커버(200)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걸림단(미도시)이 형성되는데, 걸림단의 형태는 어떤 형태로 형성되든 무관하다.
힌지(300)는 회전판(310), 슬라이드(Slide)판(320), 고정판(330),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340) 및 샤프트(Shaft, 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판(310)은 커버(200)에 결합되어 회전판(310)이 슬라이드판(320)에서 회전될 때 커버(200)가 같이 회전된다. 그리고 회전판(310)의 일측단은 슬라이드판(320)과 연결된다.
슬라이드판(320)은 회전판(310)의 일측단과 일측이 연결되고, 슬라이딩부(322)와 걸림부(324)가 구비된다. 이때 슬라이딩부(322)의 너비는 일정한 너비를 가지면서 일정한 길이를 가지며 회전판(310)의 일측단과 연결되고, 걸림부(324)는 타측에 형성되는데, 걸리부의 너비는 슬라이딩부(322)의 너비보다 크게 형성된다.
고정판(330)은 슬라이드판(320)의 슬라이딩부(322)의 일부를 덮으면서 양측은 케이스(100)에 고정된다. 이때, 고정판(330)이 슬라이드판(320)의 슬라이딩부(322)의 일부를 덮는 너비는 슬라이딩부(322)가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덮고, 슬라이드판(320)의 걸림부(324) 너비보다는 작은 너비를 가진다. 그러므로 슬라이드 판(320)이 슬라이딩되는 거리는 고정판(330)에 의해 덮여지지 않은 슬라이딩부(322)의 길이만큼 슬라이딩될 수 있고, 슬라이딩되더라도 슬라이딩판의 걸림부(324)가 고정판(330)에 걸려 슬라이드판(320)이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토션스프링(340)은 비틀림을 이용하여 반발력을 얻는 스프링으로 회전하는 상대물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프링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일측은 회전판(310)에 걸리고, 타측은 슬라이드판(320)에 걸려 토션스프링(340)의 탄성에 의해서 회전판(310)이 슬라이드판(320)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샤프트(350)는 회전판(310)과 슬라이드판(320)을 연결하고, 회전판(310)이 슬라이드판(320)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회전축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샤프트(350)는 생략되어 회전판(310)과 슬라이드판(320)을 직접 연결하고 회전될 수 있도록 제작이 가능하다.
도4와 도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슬라이딩 되어 회전되는 상태 및 그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배터리를 삽입하거나 삽입된 배터리를 배출하기 위해서는 케이스(100)의 일면을 오픈(Open)시켜야 한다. 그러므로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0)의 일면을 오픈시키기 위해 커버(200)를 케이스(100)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킨다. 그러면 도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는 케이스(100)와 연결된 부분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되어 케이스(100)의 일면이 오픈된다.
이때, 도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00)가 케이스(100)의 일측방향 으로 슬라이딩될 때, 힌지(300)는 커버(200)에 고정된 회전판(310)과 회전판(310)에 연결된 슬라이드판(320)이 케이스(100)의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그런데, 슬라이딩판의 걸림부(324)가 고정판(330)에 걸리게 되므로 일정 거리만큼 슬랑이딩된 슬라이드판(320)은 더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고, 멈춘다. 그리고 슬라이딩판이 어느 정도 슬라이딩되면 토션스프링(340)에 의해서 회전판(310)이 회전된다.
토션스프링(340)은 일측은 회전판(310)에 걸리고, 타측은 고정판(330)에 걸려 토션스프링(340)의 탄성에 의해서 회전판(310)이 고정판(330)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물론, 회전판(310)이 토션스프링(340)에 의해서 회전되기 위해서는 커버(200)가 닫힌상태에서 커버(200)의 회전을 방지하는 커버(200)에 형성된 걸림단이 커버(200)의 슬라이딩으로 인해서 더 이상 걸리지 않게 되면 회전판(310)과 커버(200)가 회전되어 케이스(100)의 일면이 오픈된다.
<제2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가 커버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배터리 커버장치는 케이스(400), 커버(500) 및 힌지(6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케이스(400)는 제1실시예에서의 케이스(40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함으로 그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힌지(600)는 고정판(610), 회전판(620), 토션스프링(630) 및 샤프트(6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판(610)은 일측에 회전판(620)과 연결되는 연결부(612)가 형성되고, 타측은 케이스(400)에 결합된다.
회전판(620)은 일측이 고정판(610)과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622)가 형성되고, 타측은 커버(500)의 결합부(510)에 결합되는데, 이를 위하여 타측의 양측에는 걸림부(624)가 형성된다.
토션스프링(630)은 일측은 회전판(620)에 걸리고, 타측은 고정판(610)에 걸려 토션스프링(630)의 탄성에 의해서 회전판(620)이 고정판(610)을 기준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샤프트(640)는 고정판(610)의 연결부(612)와 회전판(620)의 연결부(622)을 연결하고, 회전판(620)이 고정판(610)을 기준으로 회전될 때, 회전축으로써의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서 샤프트(640)는 생략되어 회전판(620)과 고정판(610)을 직접 연결하고 회전될 수 있도록 제작이 가능하다.
이때, 커버(500)에는 힌지(600)의 회전판(620)이 결합될 수 있는 결합부(510)가 형성되고, 회전판(620) 타측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부(622)가 걸리도록 결합부(510)의 양측에는 걸림턱(512)이 형성된다.
결합부(510)의 크기는 회전판(620)의 넓이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결합부(510)에는 회전판(620)과 고정판(610)의 연결부(612)가 포함된 일부가 결합부(510)에 위치하게 된다.
걸림턱(512)은 회전판(620)이 결합되는 면에서 수직하게 돌출되어 내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가진다. 그러므로 회전판(620)의 걸림부(624)가 걸림턱(512)에 걸려 회전판(620)이 커버(500)에서 분리되지 않지만, 회전판(620)은 커버(500)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판(620)이 커버(500)에서 일정 이상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걸림턱(512)의 끝단에는 스토퍼(512a)가 형성된다. 그러므로 스토퍼(512a)에 의해서 회전판(620)이 커버(500)에서 일정 이상 슬라이딩되지 않고, 회전판(620)이 슬라이딩으로 인해 커버(50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힌지가 사용된 배터리 커버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은 상태에서 커버가 케이스의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힘을 받으면, 회전판에서 커버가 슬라이딩된다. 즉, 회전판은 고정판과 샤프트에 의해서 연결되어 있고, 고정판은 커버에 결합되어, 회전판이 커버에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므로 커버는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커버(500)가 케이스(400)의 개방된 일면을 덮은 상태에서는 토션스프링(630)에 의해 커버(500)가 회전되지 않는데, 이는 커버(500)의 결합부(510)에 회전판(620)이 결합되고, 회전판(620)의 연결부(622)에 고정판(610)의 연결부(612)가 연결되어 고정판(610)의 일부도 커버(500)의 결합부(510)에 위치하게 되므로 회전판(620)의 회전축으로 작용하는 회전판(620)의 연결부(622)가 커버(500)의 결합부(510)에 포함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커버(500)가 케이스(400)에서 케이스(400) 의 개방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되지 않으면 커버(500)는 회전되지 않으므로 케이스(400)의 개방된 일면이 오픈되지 않는다.
또한, 커버(500)가 케이스(400)의 개방된 일면을 덮은 상태에서 토션스프링(630)에 의해 커버(5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케이스(400)와 커버(500)가 접하는 부분에 각기 단차를 줄 수도 있다. 즉, 케이스(400)는 커버(500)와 접하는 부분에 단차를 형성하고, 커버(500)에는 케이스(400)에 형성된 단차에 대응되도록 단차를 형성함으로써 커버(500)가 케이스(400)의 개방된 일면을 덮은 상태에서 토션스프링(630)에 의해 커버(500)가 회전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도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500)의 결합부(510) 가운데에는 작은 돌기(514)가 형성되고, 이 돌기(514)와 대응되도록 회전판(620)의 가운데에 홈(626)이 형성된다. 그러므로 돌기(514)가 홈(626)에 걸리면서 회전판(620)이 커버(500)에서 쉽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회전판(620)이 커버(500)에서 슬라이딩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외력이 작용해야 한다. 즉, 커버(500)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해서는 케이스(400)의 일측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져야 커버(500)가 슬라이딩된다.
이때, 회전판(620)의 홈(626)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데, 도8의 (a)와 (b)에 도시된 회전판(620)에서는 커버(500)의 돌기(514)와 같이 보이는데, 이는 회전판(620)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철판으로 제작되어 돌기(514)에 대응되는 홈(626)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동공(空洞, Cavity)과 같은 형상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즉, 회전판(620)에 형성되는 홈(626)은 홈(626)을 형성하기 위해 회전 판(620)을 깎아내는 것이 아니라 회전판(620)의 일측에서 회전판(620)을 눌러서 형성하기 때문에 홈(626)이 형성된 회전판(620)의 배면에는 커버(500)의 돌기(514)와 같은 형상으로 돌출된다.
케이스(400)의 일측방향으로 커버(500)가 슬라이딩되면 도8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션스프링(630)의 탄력에 의해서 케이스(400)를 기준으로 커버(500)가 회전되어, 케이스(400)의 개방된 일면이 오픈되므로 이를 통해 배터리를 케이스(400)의 수용공간에 삽입 또는 배출시킬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1은 일반적인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장치에서 커버가 닫혀있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닫혀있을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슬라이딩 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슬라이딩될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의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의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커버가 회전될 때의 힌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힌지가 커버와 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힌지가 사용된 배터리 커버장치의 동작에 대해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400: 케이스
200, 500: 커버
510: 결합부
512: 걸림턱 512a: 스토퍼
514: 돌기
300, 600: 힌지
310, 620: 회전판
622: 연결부 624: 걸림부
626: 홈
320: 슬라이드판
322: 슬라이딩부 324: 걸림부
330, 610: 고정판
612: 연결부
340, 630: 토션스프링
350, 640: 샤프트

Claims (4)

  1. 삭제
  2. 휴대폰 단말기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배터리(Battery)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Cover);
    일측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일측과 상기 커버에 결합된 타측이 연결된 곳을 축으로 회전되는 힌지(Hinge);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전이 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이 오픈(Open)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에 결합되는 회전판;
    일측이 상기 회전판과 연결되고, 일정한 너비를 가지는 슬라이딩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가 타측에 형성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드(Slide)판;
    상기 슬라이드판의 슬라이딩부를 덮으면서 양측이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는 고정판; 및
    일측은 상기 회전판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슬라이드판에 걸려 상기 슬라이드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Torsion Spring);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장치.
  3. 휴대폰 단말기 몸체의 배면에 결합되어 배터리(Battery)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고, 일면이 개방된 케이스(Case);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는 커버(Cover);
    일측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결합된 일측과 상기 커버에 결합된 타측이 연결된 곳을 축으로 회전되는 힌지(Hinge);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측방향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회전이 되어,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이 오픈(Open)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힌지는,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는 고정판;
    일측이 상기 고정판과 연결되고, 타측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에 걸리는 걸림부가 형성되는 회전판; 및
    일측은 상기 고정판에 걸리고, 타측은 상기 회전판에 걸려 상기 고정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판이 회전되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 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에는,
    상기 회전판의 걸림부가 걸리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는 상기 회전판이 결합되는 일면에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판에는 상기 커버에 형성된 돌기에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스의 개방된 일면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일측방향으로 상기 커버에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홈이 상기 돌기에서 이탈되어 상기 회전판이 상기 커버에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커버장치.
KR1020080060824A 2008-06-26 2008-06-26 배터리 커버장치 KR101048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824A KR101048181B1 (ko) 2008-06-26 2008-06-26 배터리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0824A KR101048181B1 (ko) 2008-06-26 2008-06-26 배터리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68A KR20100001068A (ko) 2010-01-06
KR101048181B1 true KR101048181B1 (ko) 2011-07-08

Family

ID=4181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0824A KR101048181B1 (ko) 2008-06-26 2008-06-26 배터리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1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24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커버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0054B1 (ko) * 2004-06-0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
JP2007116475A (ja) * 2005-10-20 2007-05-10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KR100801460B1 (ko) * 2003-12-19 2008-02-1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어스되고 착탈 가능한 도어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460B1 (ko) * 2003-12-19 2008-02-11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바이어스되고 착탈 가능한 도어를 갖는 하우징 조립체
KR100630054B1 (ko) * 2004-06-01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 장치
JP2007116475A (ja) * 2005-10-20 2007-05-10 Fujifilm Corp デジタルカメラ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24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커버 장치
US8967425B2 (en) 2012-08-30 2015-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ver apparatus for electronic device
KR101965727B1 (ko) * 2012-08-30 2019-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커버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1068A (ko) 2010-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67497B1 (en) Flash memory apparatus having single body type rotary cover
US7295431B2 (en) Portable disk with a protective housing
KR101927201B1 (ko) 지지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US20090117953A1 (en) Construction of mobile device
US20080125171A1 (en) Portable terminal with protrusion type mic module
KR101163705B1 (ko) 휴대 가능한 거치대 겸용 충전 배터리 팩
US9215299B2 (en) Cover member engaging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with battery cover engaging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0735305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및 그에장착된 외장형 카드 커버 장치
US8192861B2 (en) Battery cover fixing means for portable terminal
JP2000269655A (ja) バッテリ保持構造と該バッテリ保持構造を備えた携帯型電子機器
US6203363B1 (en) Electronic equipment with removable battery terminal
KR101048181B1 (ko) 배터리 커버장치
US8041408B2 (en) Battery fastening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CN105655792B (zh) 一种卡连接器保护装置及电子设备
US20090137292A1 (en) Recessed hinge
CN107785945B (zh) 一种接口位置可调的底座
KR100691998B1 (ko) 거치대 겸용 커버를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CN216017119U (zh) 一种便携式蓝牙耳机充电收纳一体盒
CN215647274U (zh) 一种盒体及耳机充电盒
KR100690802B1 (ko) 회동배터리커버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845222B1 (ko) 휴대폰의 플립형 덮개
KR100800828B1 (ko) 배터리 커버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208523B1 (ko) 이동통신 단말기
KR20020012416A (ko) 휴대폰의 배터리 수납장치
US20140113170A1 (en) Storage structure and device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