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659A -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659A
KR20060096659A KR1020050017345A KR20050017345A KR20060096659A KR 20060096659 A KR20060096659 A KR 20060096659A KR 1020050017345 A KR1020050017345 A KR 1020050017345A KR 20050017345 A KR20050017345 A KR 20050017345A KR 20060096659 A KR20060096659 A KR 20060096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home network
packet
hom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3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6801B1 (ko
Inventor
이연경
박준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73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6801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6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6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4Switching of information between an external network and a hom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3Mains power l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제품; 및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과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홈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는 홈넷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으로 이더넷 통신 수단(방식)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더넷 통신 수단(방식)은 홈넷 서버에 전력선통신망과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통신 모듈부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이더넷 통신 모듈부와 전력선통신망 사이에 위치하여 전력선 통신 패킷을 이더넷 통신 패킷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시키는 패킷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홈네트워크 시스템, 전력선통신, 이더넷 통신

Description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Home Network Control System}
도 1은 종래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홈넷 서버 110 : 홈네트워크 제어부
120 : RS-232C통신 모듈부 130 : 이더넷 통신 모듈부
200 : 홈네트워크 제품 300 : 패킷 변환부
140, 211, 221, 231, 310 : 전력선 모뎀
400 : 전력선통신(PLC)망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홈넷 서버와 홈네트워크 제품간 데이터(패킷) 전송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살펴보면, 크게 홈넷 서버(10) 및 홈네트워크 제품(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20)은 상기 홈넷 서버(10)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홈넷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홈네트워크 제품(20)은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20)에는 홈네트워크 조명(21), 홈네트워크 커튼(22), 홈네트워크 에어콘(23) 등이 있다.
상기 홈넷 서버(10)는 가정내의 홈네트워크 제품(20)을 제어, 관리하는 중심제어기기로, 인터넷과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어락 등과 연계되어 외부 침입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해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홈넷 서버(1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1)와 통신 모듈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11)는 상기 통신 모듈부(12)를 통해 전송된 통신 패킷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받은 명령을 통신 패킷으로 작성하여 홈네트워크 제품(20)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통신 모듈부(12)는 컴포트(Comport)를 통해 전력선 통신 패킷을 송수신 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부(12)는 일례로, RS-232C 통신 모듈부를 들 수 있으며, 상기 RS-232 통신 모듈부는 RS-232C 포트 및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홈넷 서버(10)와 홈네트워크 제품(20)은 전력선통신(PowerLine Communication : PLC)망(40)을 통해 통신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20), 홈넷 서버(10)의 외부 또는 내부에는 전력선 모뎀(21a ~ 23a)(13)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전력선통신 방식을 사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통신을 위해 새로운 배선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추가 시공이 필요 없고, 별도의 설치비용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홈네트워크 제품(20)을 설치할 때도 손쉽게 전원에만 연결하면 되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홈넷 서버(10)와 홈네트워크 제품(20)간 원거리, 즉 전력선이 길어지면 노이즈(Noise : 잡음) 등으로 인한 홈네트워크 통신 신뢰성(패킷 전송 효율 등)이 하락되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전력선 네트워크에 수신한 패킷을 증폭하여 송신해주는 패킷 증폭기(Repeater)를 설치하여 패킷 손실율을 낮춰 보려는 시도가 있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홈넷 서버(10), 홈 네트워크 제품(20) 및 패킷 증폭기(Repeater)(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홈넷 서버(10) 및 홈 네트워크 제품(20)에 대한 설명은 도 1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이루어졌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패킷 증폭기(30)는 홈네트워크 제품(20)에서 발생되는 패킷을 증폭시켜 상기 홈넷 서버(10)에 전송시킨다.
도면 부호 31은 패킷 증폭기(30)와 홈네트워크 제품(20)간 통신하기 위한 전력선 모뎀을 나타내며, 상기 패킷 증폭기(30)내에 설치되어도 되고, 패킷 증폭기(30)의 외부에 따로 설치되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도 2에서는 도 1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 패킷 증폭기(30)를 추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원거리 전력선 통신 시 패킷 손실율을 낮출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전력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므로 여전히 각종 노이즈에 의한 패킷의 손실율이 높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패킷 증폭기(30)에 의해 중복 패킷이 발생되어 홈네트워크 통신상 그 신뢰성이 하락되었다. 즉, 종래의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서는 상기 패킷 증폭기(30)에 의해 발생된 중복 패킷으로 인해 홈넷 서버(10)는 홈네트워크 제품(20)이 여러 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처리)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으로 전력선통신 이외에 이더넷 통신을 더 사용함으로써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전력선통신이 어려운 경우, 상기 이더넷 통신방식을 통한 패킷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홈네트워크 통신상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제품; 및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과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홈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는 홈넷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으로 이더넷 통신 수단(방식)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더넷 통신 수단(방식)은 홈넷 서버에 전력선통신망과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통신 모듈부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이더넷 통신 모듈부와 전력선통신망 사이에 위치하여 전력선 통신 패킷을 이더넷 통신 패킷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시키는 패킷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넷 서버와 홈네트워크 제품간 패킷 전송수단 중 이더넷 통신 수단은 홈넷 서버와 홈네트워크 제품간 전력선통신 수단이 실패했을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크게, 홈넷 서버(100), 홈네트워크 제품(200) 및 패킷 변환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홈 네트워크 제품(200)은 상기 홈넷 서버(100)의 제어(명령)를 받으며, 상기 홈넷 서버(10)의 제어에 따라 해당 홈네트워크 제품(20)은 해당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200)에는 홈네트워크 조명(210), 홈네트워크 커튼(220), 홈네트워크 에어콘(230)뿐만 아니라 각종 센서도 포함된다.
상기 센서에는 외부 침입 감지 센서, 화재 감지 센서, 실내 온도 감지 센서, 누전 감지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홈넷 서버(100)는 가정 내의 홈네트워크 제품(20)을 제어, 관리하는 중심제어기기로, 인터넷과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어락 등과 연계되어 외부 침입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해주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홈넷 서버(100)는 홈네트워크 제어부(110)와 통신 모듈부(120) 및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110)는 상기 통신 모듈부(120)를 통해 전송된 통신 패킷을 해석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사용자 입력 장치로부터 받은 명령을 통신 패킷으로 작성하여 홈네트워크 제품으로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110)는 그 일례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 (Graphic User Interface : GUI) 등을 들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GUI를 통해 홈네트워크 제품(20)에 명령을 하달하기도 하고, 상기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홈네트워크 제품의 상태를 디스플레이시키도 한다.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110)는 통신 모듈부(120) 및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과 각각 통신이 이루어진다. 즉, 상기 두 모듈부(120)(130)를 통해 홈네트워크 제품에서 발생된 패킷이 전송되는데, 상기 홈네트워크 제어부(110)는 상기 패킷을 처리(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통신 모듈부(120)는 컴포트(Comport)를 통해 전력선 통신 패킷을 송수신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즉, 상기 통신 모듈부(120)는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간 전력선통신(PowerLine Communication : PLC)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200) 및 상기 통신 모듈부(120)에는 전력선 모뎀(211 ~ 231)(140)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력선 통신 모뎀 140은 통신 모듈부(120)와 전력선 통신망(400)간 통신을 위한 모뎀이고, 상기 전력선 통신 모뎀 211 내지 231은 홈네트워크 제품(200)과 전력선 통신망(400)간 통신을 위한 모뎀이다.
상기와 같은 전력선통신 방식을 사용한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은 통신을 위해 새로운 배선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추가 시공이 필요 없고, 별도의 설치비용이 들지 않을 뿐만 아니라 홈네트워크 제품을 설치할 때도 손쉽게 전원에만 연결하면 되는 등 많은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통신 모듈부(120)는 일례로, RS-232C 통신 모듈부 등을 들 수 있 으며, 상기 RS-232 통신 모듈부는 RS-232C 포트 및 드라이버를 포함한다.
상기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는 홈넷 서버(100)와 전력선통신망(400)간 이더넷 통신을 위해 구비되며, 이더넷 포트를 통해 패킷을 송수신하는 소프트웨어 모듈이다.
상기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는 그 일례로,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랜 카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패킷 변환부(300)는 상기 이더넷 통신 모듈부와 전력선통신망 사이에 위치하여 전력선 통신 패킷을 이더넷 통신 패킷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패킷 변환부(300)는 홈네트워크 제품(200)에서 전력선통신망(400)을 통해 전송된 패킷(전력선 통신 패킷)을 인터넷을 경유하여 홈넷 서버(100)의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로 전송시키기 위해 이더넷 통신 패킷으로 변환시키며, 또한 그 역으로, 이더넷 통신 패킷을 전력선 통신 패킷으로 변환시키는 장치이다.
상기에도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통적으로 전력선통신망(400)과 각 홈네트워크 제품(200)간 전력선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상기 전력선통신망(400)과 홈넷 서버(100) 사이의 통신 방식은 다음 두가지 형태를 사용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전력선통신망(400)과 홈넷 서버의 RS-232C 통신 모듈부(120)간 통신이 이루어지는 전력선통신 방식(①)과, 상기 전력선통신망(400)과 홈넷 서버의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간 통신이 이루어지는 이더넷통신 방식(②)이 있다.
이에, 상기 전력선통신 방식(①)에서는 상기 전력선통신망(400)과 홈넷 서버의 RS-232C 통신 모듈부(120) 사이에는 전력선통신 모뎀(140)이 구비되며, 상기 이더넷통신 방식(②)에서는 상기 전력선통신망(400)과 홈넷 서버의 이더넷 통신 모듈부(130) 사이에는 패킷 변환부(300) 및 상기 패킷변환부(300)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전력선 통신 모뎀(310)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 중 이더넷 통신 수단은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으로 전력선통신 수단이 실패했을 때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평상시에는 홈넷 서버와 홈네트워크 제품간 패킷 송수신을 전력선통신방식(①)의 경로를 따르며, 유사시(평상시가 아닌 경우)에는 홈넷 서버와 홈네트워크 제품간 패킷 송수신을 이더넷 통신 방식(②)의 경로를 따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평상시'라는 것은, 종래의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다시 말하면, 홈넷 서버와 홈네트워크 제품간 데이터의 송수신이 원활한 경우를 말한다.
상기와 같이 평상시 및 유사시로 구분하는 이유는, 평상시에도 이더넷 통신 방식(②)의 경로로 패킷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면 중복 패킷 발생으로 인해 네트워크 상 과부하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으로 전력선통신 이외에 이더넷 통신을 더 사용함으로써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전력선통신이 어려운 경우, 상기 이더넷 통신방식을 통한 패킷의 전송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발생된다.
첫째, 홈넷 서버는 거리가 먼 전력선 통신 홈네트워크 제품이 발생하는 패킷을 수신할 수 있는 확률(패킷 전송 효율)이 향상되고,
둘째, 종래의 패킷 증폭기(Repeater)로 인해 생겼던 중복 패킷 발생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셋째, 각종 노이즈(Noise)에 노출되어 생기는 패킷 손실율을 낮출 수 있고,
넷째, 다양한 구조와 크기, 환경을 갖는 주택에 설치하는 전력선 기반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통신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홈네트워크 제품; 및 상기 홈네트워크 제품과 전력선통신망을 통해 홈네트워크 제품을 제어하는 홈넷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이더넷 통신 수단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이더넷 통신 수단은 홈넷 서버에 전력선통신망과 이더넷 통신을 위한 이더넷 통신 모듈부를 더 구비시키고, 상기 이더넷 통신 모듈부와 전력선통신망 사이에 위치하여 전력선 통신 패킷을 이더넷 통신 패킷으로 또는 그 역으로 변환시키는 패킷 변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 중 이더넷 통신 수단은 홈넷 서버와 전력선통신망간 패킷 전송수단으로 전력선통신 수단이 실패했을 때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KR1020050017345A 2005-03-02 2005-03-02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KR101076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45A KR101076801B1 (ko) 2005-03-02 2005-03-02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45A KR101076801B1 (ko) 2005-03-02 2005-03-02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59A true KR20060096659A (ko) 2006-09-13
KR101076801B1 KR101076801B1 (ko) 2011-10-25

Family

ID=37624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345A KR101076801B1 (ko) 2005-03-02 2005-03-02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68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11219C2 (ru) * 2009-01-15 2014-04-10 Абб Текнолоджи Аг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KR20200099907A (ko) * 2019-02-15 2020-08-25 안규민 월패드 연동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511219C2 (ru) * 2009-01-15 2014-04-10 Абб Текнолоджи Аг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KR20200099907A (ko) * 2019-02-15 2020-08-25 안규민 월패드 연동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6801B1 (ko) 201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2271B1 (ko) 빌딩관리시스템
KR100381170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1171803B2 (en) Smart home communications architecture
KR100424297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WO2005114611A1 (en) Hazardous condition detector with integral wireless connectivity infrastructure device
EP1486010B1 (en) Repeater for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
KR200188053Y1 (ko) 전력선 통신 랜 장치
US20080183317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US20050049754A1 (en) Power and data configurations for building automation systems
KR100680218B1 (ko) 빌딩관리시스템 및 그의 통신방법
KR101076801B1 (ko) 홈네트워크 제어 시스템
KR20050098180A (ko) 고주파 무선제어를 이용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
JP4770629B2 (ja) 遠隔監視制御システム
US20080198765A1 (en) Signal Interconnection System
KR20090041607A (ko) 공기조화 시스템
KR100355048B1 (ko) 전기기기 감시 및 제어 시스템
KR100697609B1 (ko) 무선랜 시스템을 내장한 월패드
KR20070072260A (ko) 빌딩제어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11296992B2 (en) Network interface for home-automation apparatus, home-automation system for a building containing such home-automation apparatus and building comprising such home-automation system
WO2009037573A2 (en) Utility outlets as a security system
JP4333250B2 (ja) 防災照明用監視システム
KR100657463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
KR100381201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KR100424298B1 (ko) 가전기기 제어시스템
JP2010222782A (ja) 電気錠用配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