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644A -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644A
KR20060096644A KR1020050017319A KR20050017319A KR20060096644A KR 20060096644 A KR20060096644 A KR 20060096644A KR 1020050017319 A KR1020050017319 A KR 1020050017319A KR 20050017319 A KR20050017319 A KR 20050017319A KR 20060096644 A KR20060096644 A KR 20060096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uplink
downlink
station system
orthogonal frequ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3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동호
이기호
권태수
이호원
최식
김주엽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500173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6644A/ko
Publication of KR2006009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2Hopping in multicarrie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 : Orthoronal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듀플렉싱 방법은,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을 도약하는 형태의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 또는 단말기로부터 트래픽을 위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요청되면, 상기 기지국시스템은 상기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상기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할당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OFDM, hopping, 주파수/시간 도약, 듀플렉싱, 트래픽

Description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method for duplexing uplink and downlink using OFDM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일반적인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일반적인 코드 분할 듀플렉싱(CDD : Cod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이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5는 이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OFDM 송신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도 7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OFDM 수신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
도 8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한 셀 내에서 단말기에게 할당한 주파수/시간 도약 자원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두 셀 내에서 단말기들에게 할당한 주파 수/시간 도약 자원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서로 다른 주파수/시간 도약 형태를 상하향링크에 할당한 경우 비대칭적인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 발명은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OFDM : Orthoronal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시스템은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으로 이루어져 사용자 단말기에게 방송, 멀티미디어 영상, e-mail, 멀티미디어 메시지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자원은 주파수채널, 즉 주파수대역으로서,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 전송되는 데이터는 여러 가지 변조기술에 의해 변조되어 전송된다.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유한한 주파수대역을 사용자간에 효율적으로 할당하여 사용하는 방법론이 다중접속(Multiple Access)방식이고, 양방향 통신에서 상향링크(up link)와 하향링크(down link)의 연결을 구분하는 연결 방법론이 듀플렉싱(duplexing)방식이다.
일반적인 변조기술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에서 통신되는 데이터를 하나의 캐리어에 의해 전송하지만, 새로운 변조기술인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은 데이터를 여러 개의 캐리어에 나누어 실어서 통신한다. 이 OFDM은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할당된 주파수 대역을 여러 개의 보조대역으로 나누고, 각 보조대역마다 하나의 캐리어를 설정하며, 그 캐리어에 정보를 실어서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OFDM 송신기는 직렬로 입력된 정보를 병렬로 여러 캐리어에 나누어 전송하고, OFDM 수신기는 병렬로 수신된 정보를 다시 직렬로 정리하여 출력한다.
이 OFDM은 그의 다중접속방식에 따라 OFDM-FDMA(O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TDMA(OFDM-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CDMA(OFDM-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로 나누어진다. 또한, 이 OFDM은 일반적인 듀플렉싱 방식을 이용하여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연결을 구분하는 바, 일반적인 듀플렉싱 방식에는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과, 코드 분할 듀플렉싱(CDD : Code Division Duplexing) 방식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FDD : Frequency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법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임의의 한 셀에서 임의의 한 사용자 단말기의 하향링크에 주파수 대역(f1)이 할당되고 상향링크에 주파수 대역(f2)이 할당된 경우, 기지국은 주파수 대역(f1)을 이용하여 단말기에게 하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단말기는 주파수 대역(f2)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상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해당 셀 내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각각 할당된 주파수 대역이 다르기 때문에 상호간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으며, 기지국과 단말기는 듀플렉싱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셀의 인접셀에서도 하향링크에 주파수 대역(f1)이 할당되고 상향링크에 주파수 대역(f2)이 할당된 경우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셀의 경계면에서 신호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법은 상하향 링크 데이터 통신을 위해서 두 개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이 각각의 주파수 대역은 그 크기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향링크의 트래픽 부하가 변할 경우에는 이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가 없다. 또한, 상호 인접한 두 셀에서 같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경우, 셀 경계 부근에서는 상호 간의 간섭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셀 가장자리에서의 채널 용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시간 분할 듀플렉싱(TDD : Tim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시간 분할 듀플렉싱 방법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임의의 한 셀은 하나의 단말기에 상하향링크를 위한 하나의 주파수 대역(f1)을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시간(t1, t2)이 할당된다. 즉, 단말기는 시간(t1)동안 주파수 대역(f1)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상향 데이터를 전송하고, 기지국은 시간(t2)동안 주파수 대역(f1)을 이용하여 단말기에게 하향 데이터를 전송한다. 해당 셀 내에서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각각 할당된 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상호간의 간섭은 일어나지 않으며, 기지국과 단말기는 듀플렉싱 통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해당 셀의 인접셀에서도 동일 주파수와 동일 시간을 할당한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셀의 경 계면에서는 신호의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이 시간 분할 듀플렉싱 방법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시간슬롯(time slot)의 개수를 평균 트래픽 부하량에 비례하게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주파수 분할 듀플렉싱 방법에 비해 상하향링크의 비대칭적인 트래픽을 비교적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그러나, 옆 셀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려면 모든 셀들이 하향링크와 상향링크를 위한 자원 할당비를 고정적으로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상하향링크 트래픽 부하량이 자주 변하는 상황에서는 그 변화량에 맞게 시간 자원의 비율을 할당하기가 어렵다. 또한, 해당 주파수 대역에서 상하향 링크 변경을 위해 보호시간이 필요하므로 셀 용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도 3은 일반적인 코드 분할 듀플렉싱(CDD : Code Division Duplexing) 방식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코드 분할 듀플렉싱 방법을 이용한 무선통신시스템에서, 임의의 한 셀은 하나의 단말기에 상하향링크를 위한 하나의 주파수 대역(f1)을 사용하지만, 서로 다른 코드(c1, c2)가 할당되고, 인접셀들의 간섭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인접셀에서도 서로 다른 코드를 할당할 수 있다. 하향링크의 경우 사용자 단말기에게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코드와 옆 셀에서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할당된 코드의 직교성에 따라 간섭의 영향이 다르게 미치게 된다. 즉, 적절한 코드의 사용으로 간섭의 영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지연 차이에 의한 간섭을 줄일 수 있는 'interference free window'를 갖는 스마트코드를 사용하여 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즉, 각 셀에서 각 사용자 단말기에게 'interference free window'를 갖는 스마트 코드를 할당해야 하는데, 이 'interference free window'를 갖는 스마트 코드의 수는 기존 CDMA시스템의 코드수에 비해 작기 때문에, 셀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OFDM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듀플렉싱 방식은 인접셀의 간섭에 의한 영향을 많이 받고, 그로 인해 셀 용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인접셀의 간섭영향을 받지 않아 셀 가장자리에 있는 사용자들의 용량을 개선하고, 상하향링크 각각에 모든 주파수대역과 시간대역을 사용가능하게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방법은,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을 도약하는 형태의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 또는 단말기로부터 트래픽을 위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요청되면, 상기 기지 국시스템은 상기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상기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할당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듀플렉싱 방법은,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을 도약하는 형태의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 또는 단말기로부터 트래픽을 위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할당이 요청되면,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상기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각각 할당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각각 할당된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듀플렉싱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이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기지국을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기지국은 하향링크 송신부(410)와 상향링크 수신부(420)로 구성되고, 이 하향링크 송신부(410)와 상향링크 수신부(420)는 채널(430)에 연결된다. 하향링크 송신부(410)는 하향링크 데이터에 서브캐리어를 할당하는 서브캐리어 할당부(411)와, 할당된 서브캐리어에 하향링크 데이터를 실어서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OFDM 송 신부(412)와, 채널추정부(413)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할당부(411)는 하향링크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맵(MAP)과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로 데이터를 받기 위한 맵(MAP) 정보를 생성하는 맵 정보 생성부(411a)와, 상위계층 SDU로부터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받아 OFDM 송신부(412)에게 전달하는 상위계층 SDU 연결부(411b)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수신부(420)는 단말기로부터 상향링크 데이터를 수신하는 OFDM 수신부(421)와, 수신된 상향링크 데이터를 추출하는 서브캐리어 매핑부(422)를 포함한다. 서브캐리어 매핑부(422)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상위계층 SDU에게 전달하는 상위계층 SDU 연결부(422a)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실선은 제어신호 전송을, 실선은 사용자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맵 정보 생성부(411a)는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위한 맵 정보를 생성하여 서브캐리어 매핑부(422)와 단말기에게 전달한다. 이 맵 정보 생성부는 전 주파수 영역에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도약 시퀀스(hopping sequence)별로 해당 시퀀스가 사용할 서브캐리어를 미리 설정하고 그 정보를 기지국과 단말기가 공유한다. 시퀀스별로 해당 시퀀스가 사용할 서브캐리어를 미리 설정하는 방법은 일반적인 도약 시퀀스 생성방법을 이용한다. 예컨대, 1번 시퀀스가 사용할 서브캐리어가 5→8→10→4→21로 설정되고, 2번 시퀀스가 사용할 서브캐리어가 1→3→5→7→9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 또는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 전송이 요청되면, 기지국은 할당되지 않고 남아있는 시퀀스 중 하나를 해당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에 할당하고, 해당 기지국 또는 단말기는 할당된 시퀀스에 설정된 서브캐리어들을 순차적으로 이용하여 하향링크 또는 상향링크 데이터를 단말기 또는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도 5는 이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시스템의 단말기를 도시한 기능 블록도이다. 이 단말기는 하향링크 수신부(510)와 상향링크 송신부(520)로 구성되고, 하향링크 수신부(510)와 상향링크 송신부(520)는 채널(430)에 연결된다. 하향링크 수신부(510)는 OFDM 수신부(511)와 서브캐리어 할당부(512)를 포함하는데, 서브캐리어 할당부(512)는 맵 정보 검색부(512a)와 상위계층 SDU 연결부(512b)를 포함한다. 상향링크 송신부(520)는 서브캐리어 매핑부(521)와 OFDM 송신부(522)를 포함한다. 맵 정보 검색부(512a)는 채널(430)을 통해 송수신되는 상향링크 데이터와 하향링크 데이터에 서브캐리어를 할당한다. 상위계층 SDU 연결부(512b, 521a)는 맵 정보 검색부(512a)의 맵 정보에 따라 서브캐리어에 실어서 전송된 하향링크 데이터를 복원하거나 상향링크 데이터를 서브캐리어에 실어서 전송한다. 도면에서 실선은 제어신호 전송을, 실선은 사용자 데이터 흐름을 나타낸다.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단말기와 기지국이 연결을 셋업(connection setup)한다.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트래픽 QoS를 만족하는 상향링크 자원 할당을 요청하고, 기지국은 그 트래픽 QoS를 만족하는 상향링크 통신을 위한 주파수 도약 패턴을 할당한다. 그후, 단말기는 배정된 주파수 도약 패턴을 이용하여 기지국에게 상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음, 기지국이 단말기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기지국과 단말기가 연결을 셋업(connection setup)한다. 단말기가 기지국에게 하향링크 통신을 지시하면, 기지국은 하향링크 주파수 도약패턴과 데이터를 위 한 맵 정보를 단말기에게 전송하고, 배정된 주파수 도약 패턴을 이용하여 단말기에게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6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OFDM 송신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이다. 송신 데이터는 직렬/병렬변환부(S/P)(61)에서 병렬로 변환되고, IDFT(Inverse Discrete Fourier Transform)(62)는 역 이산 FFF 연산을 수행하여 병렬 데이터를 변조하고, 보호구간(GI : guard interval)(63)을 삽입하여 다중경로(multi path)로 인한 신호왜곡을 막는다. 그리고 난 후 디지털/아날로그변환부(D/A)(64)가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승산기(65)는 이 아날로그신호와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먹싱(muxing)하여 신호(S(t))를 전송한다.
도 7은 도 4와 도 5에 도시된 OFDM 수신부의 상세 기능 블록도이다. 승산기(71)는 수신신호(S(t))와 서브캐리어 주파수를 먹싱(muxing)하여 기저대역(base band)신호로 만들고, 아날로그/디지털변환부(A/D)(72)는 이 기저대역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그 후 DFT(73)는 이산 FFT 연산을 수행하여 디지털신호에 대해 각 서브캐리어당 신호를 복원하는데, 각 단말기의 상하향링크에 할당된 주파수 도약 형태를 참조하여 데이터를 복원한다. 마지막으로 병렬/직렬변환부(P/S)(74)는 복원된 데이터를 직렬로 변환한다.
도 8은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한 셀 내에서 단말기에게 할당한 주파수/시간 도약 자원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기지국의 맵정보 생성부는 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주파수/시간 도약 자원을 생성하여 할당하는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셀 내에서 각 단말기에게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 약 형태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각각 자원을 할당하되, 그 주파수/시간 도약이 전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에 대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 때문에, 이 발명에 따르면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의 직교성이 유지되어 내부 간섭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롭게 되고, 전 주파수 대역과 시간대역을 도약하기 때문에 자원의 다양성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9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라 두 셀 내에서 단말기들에게 할당한 주파수/시간 도약 자원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기지국에서 단말기들에게 할당한 주파수/시간 자원의 도약 형태와 제2기지국에서 단말기들에게 할당한 주파수/시간 자원의 도약 형태는 간간히 직교성이 깨질 수도 있다. 그러나 이렇게 직교성이 깨진 것으로부터 발생한 에러는 통상적인 FEC(Forward Error Correction) 방식 등을 이용하여 극복할 수 있다. 즉, 인접셀에 의한 간섭의 영향은 평균화되어 극복될 수 있다. 또한, 간섭에 민감한 채널은 직교의 주파수/시간 도약 형태를 할당함으로써, 채널 용량을 극대화하여 다른 채널과 차별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간섭에 민감한 채널이라 함은 높은 MCS 레벨을 사용하는 채널과 목표에러율이 낮은 채널을 말한다.
도 10은 서로 다른 주파수/시간 도약 형태를 상하향링크에 할당한 경우 비대칭적인 트래픽을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서브채널은 몇 개의 주파수/시간 자원의 도약 형태로 구성된 채널을 의미한다.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전송해야 할 트래픽양은 시시각각 변할 수 있으므로 각 서브채널이 어느 사용자에게 할당되었으며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 중 무엇을 위해 할당 되었는 지를 알려줘야 한다. 그러므로 채널의 할당 정보 등을 알려주는 제어채널과 이 제어채널이 지정한 상하향링크 채널로 하나의 프레임이 구성되어 있다. 이때, 제어채널은 초기 연결설정과정을 통하여 고정되며, 상향링크 채널과 하향링크 채널은 제어채널에 따라 가변적으로 할당되어 상하향링크 비대칭 트래픽 특성 및 시간에 따른 가변 트래픽양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상향링크 묶음이 하나의 상향링크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다수의 하향링크 묶음이 하나의 하향링크 서브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해당 상향링크 서브채널과 하향링크 서브채널이 어느 기지국과 단말기간 통신에 할당되었는 지 여부는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 발명을 위하여, 서브캐리어를 분리하는 DFT와 IDFT의 처리속도가 확보되어야 하며, 서브캐리어간의 직교성이 보다 정확하게 확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이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이 발명의 가장 양호한 일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이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따르면 보호대역(guard band)이나 보호시간(guard time) 없는 듀플렉싱 방식을 사용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자원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인접 셀의 간섭 영향에 강해서 에러 상황에도 데이터를 신뢰성있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각각에 모든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을 할당할 수 있기 때문에 자원의 다양성 효과를 최대화하여 셀 용량을 개선할 수 있다.

Claims (7)

  1. 기지국시스템이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을 도약하는 형태의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 또는 단말기로부터 트래픽을 위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 할당이 요청되면,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상기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할당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요청된 트래픽의 간섭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인접셀 기지국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와의 직교성의 정도를 설정하고, 상기 직교성의 정도에 따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트래픽이 간섭에 민감하면 상기 기지국시스템은 상기 인접셀 기지국시스템의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와의 직교성이 유지된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 링크 자원 할당방법.
  4. 기지국시스템이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자원을 할당하며, 상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를 이용하여 듀플렉싱 통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에 할당된 전체 주파수 대역 및 시간 대역을 도약하는 형태의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 또는 단말기로부터 트래픽을 위한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할당이 요청되면,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기지국시스템과 단말기간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상기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들을 각각 할당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제 2 단계에서 상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에 각각 할당된 서로 다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의 듀플렉싱 통신을 수행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듀플렉싱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요청된 트래픽의 간섭에 대한 민감도에 따라 인접셀 기지국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와의 직교성의 정도를 설정하고, 상기 직교성의 정도에 따른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듀플렉싱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된 트래픽이 간섭에 민감하면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인접셀 기지국시스템의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와의 직교성이 유지된 직교 주파수/시간 도약 시퀀스를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 링크 듀플렉싱 방법.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시스템이 상기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데이터 전송을 위한 채널을 가변적으로 할당하고, 상기 상향링크 채널과 하향링크 채널의 가변적인 할당상태를 제어채널을 통해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듀플렉싱 방법.
KR1020050017319A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KR200600966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19A KR20060096644A (ko)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19A KR20060096644A (ko)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44A true KR20060096644A (ko) 2006-09-13

Family

ID=37624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319A KR20060096644A (ko)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직교주파수분할다중 기술을 이용한 상하향링크 자원 할당 및 듀플렉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664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9280A1 (zh) * 2009-07-22 2011-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ofdma系统中提升边缘用户性能的方法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09280A1 (zh) * 2009-07-22 2011-01-2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ofdma系统中提升边缘用户性能的方法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8730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방식을 사용하는 통신 시스템에서기지국 구분을 위한 파일럿 패턴 세트 송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860663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자원 할당 장치 및 방법
CN101199149B (zh) 在多载波系统中分配无线资源的方法
KR101239865B1 (ko) 다중 반송파의 집적 전송을 실현하는 방법 및 장치
CN102307057B (zh) 无线发送装置
US7792088B2 (en) Method for partitioning resource space, assigning physical channel, and allocating power in OFDMA-based cellular system
EP2183895B1 (en) Transmission of data using repetition coding with PAPR reduction
CN110557237B (zh) 一种降低网络延迟的无线通信方法和装置
US20090122887A1 (en) Carrier allocation method in multi cell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JP2010541301A (ja) Mimo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アップリンク用ofdmaフレーム構造
CN101541011B (zh) 一种协调方法、装置及用户设备
KR20060016463A (ko) 직교주파수다중분할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고속 순방향 패킷데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할당하는장치 및 방법
WO2006135187A2 (en) A method of allocating wireless resources in a multi-carrier system
KR20050053907A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시스템에서 서브 캐리어 할당 방법
CN101682491A (zh) 在移动通信系统中使用的基站装置、用户装置和方法
US20060187887A1 (en) Wireless multiple access system for suppressing inter-cell interference
KR2009005678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0886549B1 (ko)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시스템에서 안테나-간 간섭억제를 위한 서브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8306141B2 (en) Method and a device for determining shifting parameters to be used by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telecommunication devices
WO2007128199A1 (fr) Procédé de multiplexage d'ondes pilotes, appareil et système de communication radio de plusieurs antennes
WO2007066846A2 (en) Adaptive transmission device using limited feedback inform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thereof
KR101339507B1 (ko) 부호어의 전송방법
EP1919152B1 (en) Dual-mode shared OFDM methods/transmitters, receivers and systems
WO2005060195A1 (en) Method and apparatus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KR100751509B1 (ko) 부분적 공유를 이용한 선택적 채널 피드백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70421

Effective date: 200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