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6784A -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 Google Patents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6784A
KR20090056784A KR1020080053047A KR20080053047A KR20090056784A KR 20090056784 A KR20090056784 A KR 20090056784A KR 1020080053047 A KR1020080053047 A KR 1020080053047A KR 20080053047 A KR20080053047 A KR 20080053047A KR 20090056784 A KR20090056784 A KR 200900567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channel
channel region
tiles
control signal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33457B1 (ko
Inventor
천진영
임빈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3457B1/ko
Priority to PCT/KR2008/006966 priority patent/WO2009069936A1/en
Priority to US12/744,377 priority patent/US8279824B2/en
Publication of KR20090056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6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시간 영역으로 복수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부반송파로 이루어지는 타일(tile)을 복수 개 포함하는 제어채널 영역을 통해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채널 영역을 통해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시간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타일이 분산될 수 있는 범위인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 내에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이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어채널 영역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채널환경에서 적응적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Method for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채널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6 표준은 광대역 무선 접속(broadband wireless access)을 지원하기 위한 기술과 프로토콜을 제공한다. 1999년부터 표준화가 진행되어 2001년 IEEE 802.16-2001이 승인되었다. 이는 'WirelssMAN-SC'라는 단일 반송파(single carrier) 물리계층에 기반한다. 이후 2003년에 승인된 IEEE 802.16a 표준에서는 물리계층에 'WirelssMAN-SC' 외에'WirelssMAN-OFDM'과 'WirelssMAN-OFDMA'가 더 추가되었다. IEEE 802.16a 표준이 완료된 후 개정된(revised) IEEE 802.16-2004 표준이 2004년 승인되었다. IEEE 802.16-2004 표준의 결함(bug)과 오류(error)를 수정하기 위해 'corrigendum'이라는 형식으로 IEEE 802.16-2004/Cor1이 2005년에 완료되었다.
차세대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고 있는 시스템 중 하나가 낮은 복잡도로 심볼간 간섭(inter-symbol interference) 효과를 감쇄시킬 수 있는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이하 OFDM) 시스템이다. OFDM은 직렬로 입력되는 데이터 심볼을 N개의 병렬 데이터 심볼로 변환하여, 각각 분리된 N개의 부반송파(subcarrier)에 실어 송신한다. 부반송파는 주파수 차원에서 직교성을 유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직교 채널은 상호 독립적인 주파수 선택적 페이딩(frequency selective fading)을 경험하게 되고, 전송되는 심볼의 간격이 길어져 심볼간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다.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OFDMA)은 OFDM을 변조 방식으로 사용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이용가능한 부반송파의 일부를 각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하여 다중 접속을 실현하는 다중 접속 방법을 말한다. OFDMA는 부반송파라는 주파수 자원을 각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각각의 주파수 자원은 다수의 사용자에게 독립적으로 제공되어 서로 중첩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결국 주파수 자원은 사용자마다 상호 배타적으로 할당된다.
OFDMA 시스템에서 주파수 선택적 스케줄링(frequency selective scheduling)을 통하여 다중 사용자에 대한 주파수 다이버시티(frequency diversity)를 얻을 수 있으며, 부반송파에 대한 순열(permutation) 방식에 따라 부반송파를 다양한 형태로 할당할 수 있다. 그리고 다중 안테나(multiple antenna)를 이용한 공간 다중화 기법으로 공간 영역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기법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단말과 기지국 간에 제어신호의 전송이 반드시 필요하다. 제어신호에는 단말이 기지국으로 채널상태를 보고하는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데이터 전송에 대한 응답의 ACK/NACK(Acknowledgement/Not-acknowledgement) 신호,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프리코딩(precoding) 정보, 안테나 정보 등이 있다.
시스템의 기능이 다양해짐에 따라 전송되어야 하는 제어신호의 종류도 많아진다. 한정된 무선자원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가 많아지면 그 만큼 사용자 데이터를 위한 무선자원이 줄어든다.
한정된 무선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제어신호를 효과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제어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시간 영역으로 복수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부반송파로 이루어지는 타일(tile)을 복수 개 포함하는 제어채널 영역을 통해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채널 영역을 통해 제2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시간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타일이 분산될 수 있는 범위인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 내에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이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른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주파수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할당 블록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 블록에 제1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 중에서 일부의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할당 블록에 제2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 중에서 일부의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할당 블록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블록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채널환경에서 적응적으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음성, 패킷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배치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통신 시스템은 단말(10; User Equipment, UE) 및 기지국(20; Base Station, BS)을 포함한다. 단말(10)은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MS(Mobile Station),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무선기기(wireless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기지국(20)은 일반적으로 단말(10)과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노드-B(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기지국(20)에는 하나 이상의 셀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에서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20)에서 단말(10)로의 통신을 의미하며, 상향링크(uplink; UL)는 단말(10)에서 기지국(20)으로의 통신을 의미한다. 하향링크에서, 송신기는 기지국(2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다. 상향링크에서, 송신기는 단말(10)의 일부일 수 있고 수신기는 기지국(20) 의 일부일 수 있다.
무선통신 시스템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시스템일 수 있다. OFDM은 다수의 직교 부반송파를 이용한다. OFDM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과 FFT(fast Fourier Transform) 사이의 직교성 특성을 이용한다. 송신기에서 데이터는 IFFT를 수행하여 전송된다. 수신기에서 수신신호에 FFT를 수행하여 원래 데이터를 복원한다. 송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결합하기 위해 IFFT를 사용하고, 수신기는 다중 부반송파들을 분리하기 위해 대응하는 FFT를 사용한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프레임은 물리적 사양에 의해 사용되는 고정된 시간 동안의 데이터 시퀀스이다. 이는 IEEE 표준 802.16-2004 "Part 16: Air Interface for Fixed Broadband Wireless Access Systems" (이하, 참조문헌 1)의 8.4.4.2절을 참조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은 하향링크(DL) 프레임과 상향링크(UL) 프레임을 포함한다. 시간 분할 이중(Time Division Duplex)은 상향링크와 하향링크 전송이 동일 주파수를 공유하지만 서로 다른 시간에 일어나는 방식이다. 하향링크 프레임은 상향링크 프레임보다 시간적으로 앞선다. 하향링크 프레임은 프리앰블(preamble), FCH(Frame Control Header), DL(Downlink)-MAP, UL(Uplink)-MAP, 버스트 영역의 순서로 시작된다. 상향링크 프레임과 하향링크 프레임을 구분하기 위한 보호시간(guard time)이 프레임의 중간 부분(하향링크 프레임과 상향링크 프레임 사이)과 마지막 부분(상향링크 프레임 다음)에 삽입된다. TTG(transmit/receive transition gap)는 다운링크 버스트와 계속되는(subsequent) 상향링크 버스트 사이의 갭이다. RTG(receive/transmit transition gap)는 상향링크 버스트와 계속되는 하향링크 버스트 사이의 갭이다.
프리앰블은 기지국과 단말 간의 초기 동기, 셀 탐색, 주파수 오프셋 및 채널추정에 사용된다. FCH는 DL-MAP 메시지의 길이와 DL-MAP의 코딩 방식(coding scheme) 정보를 포함한다.
DL-MAP은 DL-MAP 메시지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DL-MAP 메시지는 하향링크 채널의 접속을 정의한다. DL-MAP 메시지는 DCD(Downlink Channel Descriptor)의 구성 변화 카운트 및 기지국 ID(identifier)를 포함한다. DCD는 현재 맵에 적용되는 하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downlink burst profile)을 기술한다. 하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은 하향링크 물리채널의 특성을 말하며, DCD는 DCD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UL-MAP은 UL-MAP 메시지가 전송되는 영역이다. UL-MAP 메시지는 상향링크 채널의 접속을 정의한다. UL-MAP 메시지는 UCD(Uplink Channel Descriptor)의 구성 변화 카운트, UL-MAP에 의해 정의되는 상향링크 할당의 유효 시작 시각을 포함한다. UCD는 상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uplink burst profile)을 기술한다. 상향링크 버스트 프로파일은 상향링크 물리채널의 특성을 말하며, UCD는 UCD 메시지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지국에 의해 전송된다.
상향링크 프레임의 일부에는 패스트 피드백 영역(fast feedback region)이 포함된다. 패스트 피드백 영역은 일반적인 상향링크 데이터에 비해 보다 신속한 상 향링크 전송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으로,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나 ACK/NACK 신호, 프리코딩 코드북(precoding code book) 정보, 안테나 정보 등 다양한 정보들이 실릴 수 있다. 패스트 피드백 영역은 상향링크 프레임 어디에도 위치할 수 있으며, 반드시 도시된 위치나 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 슬롯(slot)은 최소한의 가능한 데이터 할당 유닛으로, 시간과 서브채널(subchannel)로 정의된다. 서브채널의 수는 FFT 크기와 시간-주파수 맵핑에 종속한다. 서브채널은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서브채널 당 부반송파의 수는 순열(permutation) 방식에 따라 따르다. 순열은 논리적인 서브채널을 물리적인 부반송파로의 맵핑을 의미한다. FUSC(Full Usage of Subchannels)에서 서브채널은 48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PUSC(Partial Usage of Subchannels)에서 서브채널은 24개 또는 16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세그먼트(segment)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채널 집합을 말한다.
물리계층에서 데이터를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2단계를 거친다. 첫번째 단계에서, 데이터가 적어도 하나의 논리적인 서브채널 상에서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슬롯으로 맵핑된다. 두번째 단계에서, 각 논리적인 서브채널은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된다. 이를 순열이라 한다. 참조문헌 1은 FUSC, PUSC, O-FUSC(Optinal-FUSC), O-PUSC(Optional-PUSC), AMC(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등의 순열 방식을 개시한다. 동일한 순열 방식이 사용되는 OFDM 심볼의 집합을 순열 영역(permutation zone)이라고 하고, 하나의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순열 영역을 포함한다.
FUSC와 O-FUSC는 하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된다. FUSC는 모든 서브채널 그룹을 포함하는 하나의 세그먼트로 구성된다. 각 서브채널은 전체 물리채널을 통해 분포되는 물리적인 부반송파로 맵핑된다. 이 맵핑은 각 OFDM 심볼마다 바뀐다. 슬롯은 하나의 OFDM 심볼상에서 하나의 서브채널로 구성된다. O-FUSC는 FUSC와 파일럿이 할당되는 방식이 다르다.
PUSC는 하향링크 전송과 상향링크 전송 모두에 사용된다. 하향링크에서, 각 물리적인 채널은 2개의 OFDM 심볼 상에서 14개의 인접하는(contiguous)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클러스터(cluster)로 나누어진다. 물리채널은 6개의 그룹으로 맵핑된다. 각 그룹 내에서, 파일럿은 고정된 위치로 각 클러스터에 할당된다. 상향링크에서, 부반송파들은 3 OFDM 심볼상에서 4 인접하는 물리적 부반송파로 구성된 타일(tile)로 나누어진다. 서브채널은 6 타일을 포함한다. O-PUSC는 상향링크 전송에만 사용되고, 타일은 3 OFDM 심볼 상에서 3 인접하는 물리적 부반송파로 구성된다. 타일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이 할당될 수 있다.
도 3은 패스트 피드백 영역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패스트 피드백 영역에는 패스트 피드백 메시지가 맵핑된다. 하나의 패스트 피드백 메시지는 하나의 패스트 피드백 슬롯을 점유할 수 있다. 여기서는, 하나의 패스트 피드백 영역에 3 OFDMA 심볼 크기의 4개의 패스트 피드백 슬롯이 할당되는 것을 나타낸다. 패스트 피드백 슬롯은 하나의 서브채널에 대응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채널에는 다수의 타일(tile)이 포함될 수 있다. 설명을 명확히 하기 위해, 하나의 서브채널에 6개의 타일이 포함된다고 하자. 하나의 타일이 PUSC 순열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할 때, 하나의 서브채널에는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와 2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가 포함된다. 하나의 타일이 선택적 PUSC 순열 방식으로 구성된다고 할 때, 하나의 서브채널에는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와 6개의 파일럿 부반송파가 포함된다. 6개의 타일은 전체 대역에 분산되어 위치할 수 있다.
이제, 패스트 피드백 영역을 통하여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6비트의 제어신호를 하나의 패스트 피드백 슬롯, 즉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하여 전송한다고 하자. 제어신호는 CQI, ACK/NACK 신호,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 등이 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표 1은 하나의 타일에 포함되는 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리는 변조심벌들을 나타낸다. 변조심벌은 하나의 부반송파에 변조되고, 하나의 타일에 실리는 8개의 변조심벌은 하나의 벡터를 구성한다. 모두 8가지 종류의 벡터를 구성하고, 그 인덱스는 0~7 사이의 값을 가진다.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1
여기서, 각 벡터를 구성하는 변조심벌은 다음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2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3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4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5
이 때, 서로 다른 인덱스를 가지는 벡터는 서로 직교한다.
6 비트의 페이로드(payload)를 가지는 제어신호에 대해 하나의 서브채널에 할당되는 벡터는 표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6
하나의 타일을 실리는 8개의 변조심볼이 하나의 벡터를 나타내고, 6개의 타일에 할당된 6개의 벡터가 하나의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서브채널에 맵핑되어 벡터 형태로 표현된 제어신호를 제어신호의 부호어(codeword)라 한다. 표 2는 각 페이로드 당 벡터의 조합의 일예를 나타내며, 벡터의 조합에는 제한이 없으며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채널 측정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6비트의 CQI를 전송한다고 하자. CQI의 값이 5라고 할 때, 5는 2진수로 '000101'이 되고, 표 2에서 벡터 인덱스는 {5,5,5,5,5,5}가 된다. 단말은 표 1의 인덱스 5의 벡터를 하나의 서브채널을 구성하는 6개의 타일의 각 데이터 부반송파에 변조시키고 이를 패스트 피드백 영역을 통하여 전송한다. 기지국은 패스트 피드백 영역으로부터 벡터를 추출하고, 벡터 인덱스를 얻는다. 기지국은 얻어진 벡터 인덱스로부터 역으로 이에 해당하는 CQI의 비트 표현 '000101'을 구할 수 있다. 타일에 포함되는 파일럿 부반송파에는 파일럿이 실리거나 널(null)이 실리거나 다른 데이터 심볼이 실릴 수 있다.
다른 예로, 단말이 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응답으로 1비트의 ACK/NACK 신호를 전송한다고 하자. 하나의 ACK/NACK 신호를 위하여 패스트 피드백 영역에서 1/2 서브채널, 즉 3개의 타일이 할당될 수 있다. ACK/NACK 신호에 대한 페이로드를 1비트(예를 들어, 0이면 ACK, 1이면 NACK)라 할 때, 1/2 서브채널에 할당되는 벡터는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7
3개의 타일에 할당된 3개의 벡터가 하나의 ACK/NACK 신호를 나타낸다. 하나의 벡터를 나타내는 변조심볼들은 표 1과 같을 수 있고, 각 변조심볼은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기지국은 하향링크 데이터에 대한 응답으로 ACK 신호를 받으면 다음 하향링크 데이터를 전송하고, NACK 신호를 받으면 재전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재전송 데이터는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방식에 따라 원래의 하향링크 데이터와 동일할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기지국은 설정된 횟수 동안 재전송을 시도할 수 있다.
표 1의 인덱스별 벡터 및 표 2, 3의 벡터들의 조합은 예시에 불과하고 제한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벡터 인덱스의 개수나 페이로드의 크기를 달리 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패스트 피드백 영역을 통한 제어신호의 전송방법은 후술하는 제어채널에 하나의 제어신호를 싣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서브채널을 통하여 하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거나(예; CQI) 두 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예; ACK/NACK 신호)는 무선자원의 낭비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상향링크 프레임을 통하여 CQI를 전송할 단말이 10개이고 각 단말 당 2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한다고 할 때, 상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20개의 서브채널이 사용된다. 1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상향링크 프레임 내에는 210개의 서브채널이 포함될 수 있는데, 20개의 서브채널을 제어신호를 위해 사용하는 것은 무선자원의 낭비가 된다. 또한, 제어신호가 k 비트라고 할 때 48개의 부반송파에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방식으로 전송된다고 하면 부호율이 k/96 이 된다. k=6 이라고 하면 제어신호는 1/16 부호율로 전송되는데, 이는 지나치게 낮은 부호율의 사용으로 인한 불필요한 오버헤드이다.
이하,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통하여 다수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 및 제어신호를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제어채널 영역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복수의 제어신호를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control channel region)에 다중화하기 위하여 코드 다중화(code multiplexing) 방식을 적용한다. 각 제어신호에 서로 직교하는 직교 부호(orthogonal code)를 곱하여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복수의 제어채널을 다중화할 수 있다. 제어채널은 하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채널을 의미하며, 제어신호의 종류에 따라 CQI 채널, ACK/NACK 채널 등 다양하게 불릴 수 있다. 제어채널 영역은 복수의 타일을 포함한다. 타일은 복수의 OFDM 심볼 상에서 인접한 복수의 부반송파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타일의 크기는 시간*주파수 = 3*4, 3*3, 4*3, 6*4, 6*6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의 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간×주파수 = 3×4인 크기의 타일 6개가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한다면, 이 제어채널 영역은 상술한 상향링크 프레임의 서브채널과 같은 구조가 된다.
여기서는 제어채널 영역이 6개의 타일(i, j, k, l, m, n)을 포함하고, 각 타일은 시간영역으로 3 OFDM 심볼 및 주파수 영역으로 4 부반송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타일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제한이 없다. 타일에는 적어도 하나의 파일럿 부반송파 및 복수의 데이터 부반송파가 포함된다. 파일럿 부반송파에는 파일럿이 할당되고, 파일럿은 코히런트 검출(coherent detection)을 위하여 정의될 수 있다. 코히런트 검출은 파일럿을 이용한 채널 추정을 수행한 후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 데이터를 구하는 방법이다.
제어채널 영역의 각 타일에는 확산 부호(spreading code)가 적용된 제어신호가 할당된다. 확산 부호는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할당되는 복수의 제어신호를 구분한다. 확산 부호는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다중화되는 복수의 제어채널을 구분한다. 먼저, k 비트의 제어신호는 p 개의 변조심볼로 심볼 기반 부호화된다. 또는 k 비트의 제어신호는 비트 기반 부호화된 후 QPSK와 같은 변조 방식으로 변조될 수 있다. p 개의 변조심볼은 길이 c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p×c 개의 심볼로 만들어져 제어채널 영역에 실린다. p×c 개의 심볼 각각은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각 타일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다. 이때,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다중화되는 제어신호들에는 서로 직교하는 확산 부호가 적용된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각각의 제어채널에는 서로 다른 확산 부호가 적용된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는 타일에 포함되는 파일럿 부반송파의 수만큼의 확산 부호를 사용될 수 있으며, 파일럿 부반송파의 수만큼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제어채널을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다중화하는 경우, k 비트의 제1 제어신호를 12개의 변조심볼로 부호화한 후 길이 4인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48개의 심볼로 만들어 제1 제어채널에 포함된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싣는다. 그리고 같은 방법으로 제2, 제3, 제4 제어신호도 제2, 제3, 제4 제어채널에 실을 수 있다. 이때, 각 제어채널에는 서로 직교하는 확산 부호가 적용된다. 확산 부호의 직교성은 인접하는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 또는 시간 영역(time domain)에서 유지될 수 있다. 확산 부호의 직교성이 유지되면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통하여 복수의 제어신호를 다중화하여 전송하는 경우의 검출 성능은 하나의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다.
확산 부호는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제어신호를 확산시킨다. 확산 부호로는 잘 알려진 하다마드(Hadamard) 부호, DFT 시퀀스, 왈쉬(Walsh) 부호, Zadoff-Chu(ZC) CAZAC(Constant Amplitude Zero Auto-Correlation) 시퀀스 등의 직교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CAZAC 시퀀스 중 하나인 ZC 시퀀스는 수학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8
Figure 112008040508245-PAT00009
여기서, c(k)는 인덱스 M인 ZC 시퀀스의 k번째 요소(element)로, N은 ZC 시퀀스의 길이이고, 인덱스 M은 N이하의 자연수이며, M과 N은 서로(relatively) 소수(prime)이다.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circular shift) 값을 갖는 ZC 시퀀스를 적용하여 각 단말을 구분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제어신호는 서로 다른 순환 쉬프트 값으로 구분될 수 있다. 채널의 지연 확산(delay spread)에 따라 사용가능한 순환 쉬프트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상관 특성이 우수한 기타 다른 시퀀스를 적용할 수 있다.
도 5는 제어채널 영역을 다수의 단말에게 할당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제어채널 영역이 CQICH을 위한 패스트 피드백 영역인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CQI 채널을 위한 패스트 피드백 영역에는 다수의 CQI 채널 영역이 포함된다. 하나의 CQI 채널 영역에는 하나의 서브채널, 즉 6개 타일이 할당될 수 있다. 하나의 CQI 채널 영역에는 코드 다중화에 의해 복수의 CQI 채널이 다중화될 수 있다. 각 CQI 채널을 통하여 특정 직교 코드가 적용된 제어 신호 및 파일럿 신호가 전송된다. 제어 신호는 데이터 부반송파에 할당되고, 파일럿 신호는 파일럿 부반송파에 할당되어 전송된다.
하나의 CQI 채널 영역의 CQI 채널들은 다수의 단말에게 할당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단말에게 하나의 CQI 채널이 할당될 수도 있고, 하나의 단말에게 다수의 CQI 채널이 할당될 수도 있다. 하나의 CQI 채널 영역의 CQI 채널들이 서로 다른 단말들에게 할당되면, 각 단말은 각자의 CQI 채널을 통하여 자신에게 주어지는 코드 인덱스를 제어신호 및 파일럿 신호에 적용하여 전송한다.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한 CQI 채널 영역에서 다수의 CQI 채널이 할당된 경우, 단말은 CQI 채널마다 할당된 코드 인덱스들을 각 CQI 채널의 제어신호 각각에 적용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은 다수의 CQI 채널의 파일럿 신호를 모두 전송하지 않고, 다수의 CQI 채널 중 어느 하나의 CQI 채널의 파일럿 신호에 해당 코드 인덱스를 적용하여 전송한다. 파일럿 신호는 채널 추정을 위한 것으로, 하나의 단말로부터 동일한 CQI 채널 영역을 통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들은 동일한 채널 상태를 가질 것이기 때문에 다수의 파일럿을 중복하여 전송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CQI 채널 영역 #1이 3개의 단말에게 할당될 때, 제1 단말(UE 1)에게는 2개의 CQI 채널이 할당되고, 제2 단말(UE 2) 및 제3 단말(UE 3)에게는 각각 하나씩의 CQI 채널이 할당된다고 하자.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CQI 채널을 할당하면서 각 CQI 채널에 적용될 특정 직교 코드를 지시하는 코드 인덱스를 단말들에게 부여할 수 있다. 제1 단말은 2개의 데이터 신호를 자신의 코드 인덱스를 사용하여 확산시켜 전송하고, 2개의 파일럿 신호 중 하나만을 자신의 코드 인덱스를 사용하여 확산시켜 전송한다. 기지국은 단말들에게 부여된 코드 인덱스를 알고 있으므로 파일럿 신호로부터 채널 상태를 추정할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추정된 채널을 바탕으로 제1 단말이 전송한 2개의 데이터 신호를 디코딩할 수 있다. 제2 단말 및 제3 단말은 각자에게 할당된 코드 인덱스를 데이터 신호 및 파일럿 신호에 적용하여 전송한다. 제2 단말 및 제3 단말이 전송한 데이터 신호는 각자의 파일럿 신호를 통 하여 추정되는 채널을 바탕으로 디코딩된다.
하나의 단말에게 동일한 CQI 채널 영역의 다수의 CQI 채널이 할당될 때, 하나의 파일럿 신호만을 코드 인덱스를 적용하여 전송함으로써 불필요한 신호의 전송으로 인한 간섭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다수의 CQI 채널 중에서 파일럿이 전송되지 않는 CQI 채널에서는 파일럿 부반송파를 이용하여 다른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QI 함께 ACK/NACK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는 경우, CQI 채널의 데이터 부반송파에는 CQI를 실어서 전송하고 파일럿 부반송파에는 ACK/NACK 신호를 실어서 전송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하나의 단말에게 할당된 동일한 CQI 채널 영역의 다수의 CQI 채널에서 사용되지 않는 파일럿 부반송파를 활용하여 무선자원 할당요청과 같이 작은 비트 크기를 가지는 다양한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제, 제어채널 영역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제어채널은 상술한 코드 다중화 방식으로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다중화될 수 있음을 전제로 한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
도 6은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나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개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하는 4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되고, 6개의 타일이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타일은 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와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는 타일의 모서리에 위치한 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가 3 OFDM 심볼이라고 하면, 각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는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복수의 타일이 시간 영역에서 분산될 수 있는 범위를 의미한다.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는 타일의 구성에 따라 3 OFDM 심볼의 배수로 확장될 수 있다. 만일,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6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지는 경우에는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는 6 OFDM 심볼의 배수로 확장될 수 있다.
도 7은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6의 가정 하에서,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가 6 OFDM 심볼인 경우이다. 각 타일은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6개의 타일 중에서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이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나머지 3개의 타일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의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나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개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하는 4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되고, 6개의 타일이 하나의 제어채 널 영역을 구성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타일은 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와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는 제어신호의 다중화를 편리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의 OFDM 심볼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도록 할당된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가 3 OFDM 심볼이라고 하면, 각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8의 가정 하에서,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가 6 OFDM 심볼인 경우이다. 각 타일은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거나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6개의 타일 중에서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이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나머지 3개의 타일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의 위치는 주파수 영역에서 같을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타일의 구성은 예시에 불과하며, 타일의 구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타일의 크기는 시간×주파수 = 4×3, 3×3, 6×4, 6×6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타일에 포함되는 데이터 부반송파 및 파일럿 부반송파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의 수도 달라질 수 있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의 수가 달라지거나 타일의 구성이 달라지더라도,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는 타일을 구성하는 OFDM 심볼의 배수로 정해질 수 있고, 복수의 타일은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 내에서 분산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는 사전에 미리 정해지거나, DL-MAP, FCH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 OFDM 심볼에서 타일의 배치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하나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개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하는 4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고 하자. 6 OFDM 심볼에서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i, i+1, i+2)이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i, i+1, i+2)이 배치될 수 있다.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에서 같은 방식으로 분산된다. 이러한 경우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는 3 OFDM 심볼이 된다. 이와 같은 제어채널 영역은 ACK/NACK 신호와 같이 3개의 타일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6 OFDM 심볼에서 타일의 배치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하나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개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하는 4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고 하자. 6 OFDM 심볼에서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i, i+1, i+2)이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i, i+1, i+2)이 배치될 때,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분산된다.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된 3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엇갈려서 배치될 수 있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는 3 OFDM 심볼이 되고, 제어채널 영역은 3개의 타일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6 OFDM 심볼에서 타일의 배치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나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개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하는 4개의 부반송파로 구성된다고 하자. 6개의 타일(i, i+1, i+2, i+3, i+4, i+5)이 앞선 3 OFDM 심볼과 뒤의 3 OFDM 심볼에 번갈아 가면서 배치된다.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타일(i, i+2, i+4)은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되고,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타일(i+1, i+3, i+5)은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첫 번째, 세 번째, 다섯 번째 타일(i, i+2, i+4)은 뒤의 3 OFDM 심볼에 배치되고, 두 번째, 네 번째, 여섯 번째 타일(i+1, i+3, i+5)은 앞선 3 OFDM 심볼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는 6 OFDM 심볼이 된다. 이와 같은 제어채널 영역은 CQI와 같이 6개의 타일을 이용하여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대해 할당될 수 있다.
이제,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이 상향링크 프레임 내에서 배치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타일의 구조에 제한 없이,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은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 내에서 분산 또는 인접하여 배치된다.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인접 배치>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이 6개의 타일을 포함하고,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지며, 주파수 영역으로는 제한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6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고,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도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한다. 제1 제어채널 영역과 제2 제어채널 영역은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도 13의 가정 하에서,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6 OFDM 심볼인 경우이다.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나머지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여 배치된다. 이때, 앞선 3 OFDM 심볼의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의 3개의 타일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에서 시간 영역으로 인접한다. 제1 제어채널 영역과 제2 제어채널 영역은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할 수도 있고 인접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도 14에서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여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나머지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여 배치될 때, 앞선 3 OFDM 심볼의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의 3개의 타일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배치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3 또는 6 OFDM 심볼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한이 아니다.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의 수, 타일의 시간 영역으로의 크기 및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에는 제한이 없다. 주파수 영역으로 타일이 인접 배치되는 제어채널 영역은 단말로부터 수신한 CQI를 기반으로 하는 무선자원 스케줄링에서 채널 상태가 좋은 특정 주파수 대역을 단말에게 할당할 때 이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분산 배치>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이 6개의 타일을 포함하고,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지며, 주파수 영역으로는 제한이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3 OFDM 심볼일 때, 6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치된다.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일정 간격으로 규칙적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불규칙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 과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전체 주파수 대역에서 서로 섞여서 배치된다.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과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서로 다른 규칙으로 분산될 수 있다.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과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인접할 수도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의 가정 하에서,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6 OFDM 심볼인 경우이다. 앞선 3 OFDM 심볼에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치되고 뒤의 3 OFDM 심볼에 나머지 3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치된다. 이때, 앞선 3 OFDM 심볼의 3개의 타일과 뒤의 3 OFDM 심볼의 3개의 타일은 서로 다른 규칙으로 분산될 수 있다.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과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서로 다른 규칙으로 분산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도 16의 가정 하에서,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9 OFDM 심볼인 경우이다. 첫 번째 3 OFDM 심볼에 2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치되고, 두 번째 3 OFDM 심볼에 다른 2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치되며, 세 번째 3 OFDM 심볼에 나머지 2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치된다. 이때, 첫 번째 3 OFDM 심볼, 두 번째 3 OFDM 심볼 및 세 번째 3 OFDM 심볼의 타일들은 서로 다른 규칙으로 분산될 수 있다.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과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서로 다른 규칙으로 분산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으로 타일이 분산 배치되는 제어채널 영역은 채널 상태를 알 수 없거나 채널 상태가 특별히 좋은 주파수 대역이 없는 경우에 작은 크기를 가지는 제어신호에 대해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질 때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3 또는 6 또는 9 OFDM 심볼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제한이 아니다.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의 수, 타일의 시간 영역으로의 크기 및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에는 제한이 없다.
<할당 블록을 이용한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 배치>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할당 블록을 이용한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할당 블록(allocation block)은 물리적 자원영역에서 단말에게 할당되는 최소 단위이다. 할당 블록은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타일을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이 m 개의 타일을 포함할 때, 할당 블록은 m × k 개의 타일을 포함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m, k ≥ 1 인 정수). 즉, 할당 블록의 크기는 제어채널 영역의 크기와 같거나 배수로 정해질 수 있다.
할당 블록의 크기와 제어채널 영역의 크기가 같은 경우, 하나의 제어채널 영 역에 포함되는 타일을 모두 하나의 할당 블록에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 블록이 시간 영역에서 2개, 주파수 영역에서 3개의 인접한 타일 6개로 구성될 때, 단말에게 3개의 할당 블록이 할당되었다고 하자.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6개 타일은 모두 제1 할당 블록에 배치되고,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6개 타일은 모두 제2 할당 블록에 배치되며, 제3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6개 타일은 모두 제3 할당 블록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는 단말에게 할당된 3개의 할당 블록이 인접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단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할당 블록은 인접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하나의 할당 블록에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의 모든 타일을 배치하는 것은 타일의 인접 배치가 되지만, 단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할당 블록을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당 블록을 이용한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할당 블록의 크기와 제어채널 영역의 크기가 같은 경우,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을 복수의 할당 블록에 분산하여 배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할당 블록이 시간 영역으로 2, 주파수 영역으로 3의 인접한 타일 6개로 구성될 때, 단말에게 3개의 할당 블록이 할당되었다고 하자.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6개 타일 중 2개의 타일(tile 1, 4)은 제1 할당 블록에 배치되고, 다른 2개의 타일(tile 2, 5)은 제2 할당 블록에 배치되며, 나머지 2개의 타일(tile 3, 6)은 제3 할당 블록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제어채널 및 제3 제어채널에 포함되는 타일들도 같은 방법으로 3개의 할당 블록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단말에게 할 당되는 복수의 할당 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인접하거나 분산될 수 있다.
하나의 할당 블록에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의 모든 타일을 배치하는 방식은 데이터의 크기가 커서 여러 개의 할당 블록을 필요로 하는 제어신호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은 복수의 할당 블록에 분산하여 배치하는 방식은 데이터의 크기가 비교적 작아서 하나의 할당 블록으로 전송될 수 있는 제어신호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러 개의 할당 블록을 필요로 하는 제어신호에 대하여는 주파수 영역에서 분산된 할당 블록을 할당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으며, 하나의 할당 블록으로 전송되는 제어신호에 대하여는 타일을 복수의 할당 블록에 분산하여 주파수 다이버시티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제어채널 영역을 통한 제어신호의 전송 예>
복수의 제어신호는 확산 부호를 이용하여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실려서 전송될 수 있다. 복수의 제어신호를 싣는 제어채널 영역은 다양한 구성의 타일을 복수 개 포함하고, 타일들은 프레임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분산 또는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타일의 분산 또는 인접 배치에 대한 정보, 할당 블록에 대한 정보 등은 DL-MAP, FCH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채널 등을 통하여 단말에게 전송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은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 상에 서 주파수 영역으로 연속하는 4 부반송파로 구성되는 타일 6개를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하나의 타일은 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와 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하고, 파일럿 부반송파는 가운데 OFDM 심볼에 할당된다. 제어채널 영역은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 2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3 OFDM 심볼이고 제어채널 영역의 6개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 또는 분산 배치될 때, 제어신호는 12 개의 변조심볼(S1,...,S12)로 부호화되고,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각 타일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다. 파일럿(P)은 제어신호에 사용된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각 타일의 파일럿 부반송파에 실린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도 21의 가정 하에,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6 OFDM 심볼이고 2개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에서 번갈아 가면서 분산 배치되는 경우이다. 제1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S1,...,S12)은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1 제어채널 영역의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리며, 제2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X1,...,X12)은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2 제어채널 영역의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도 21의 가정 하에,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9 OFDM 심볼이고 3개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이 주파수 영역에서 번갈아 가면서 분산 배치되는 경우이다. 제1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S1,...,S12)은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1 제어채널 영역의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리고, 제2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X1,...,X12)은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2 제어채널 영역의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리며, 제3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 심볼(Y1,...,Y12)은 길이 4인 확산 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3 제어채널 영역의 48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실린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할당 블록이 시간 영역에서 2개, 주파수 영역에서 3개의 인접한 타일 6개로 구성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진다고 하면, 할당 블록은 시간 영역으로 6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진다.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3 또는 4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진다고 하면, 할당 블록은 주파수 영역으로 9 또는 12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진다. 타일의 크기는 시간×주파수 = 3×(할당 블록 크기/3)으로 나타낼 수 있다.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된 할당 블록에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이 분산되어 배치된다. 이때,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같은 OFDM 심볼 상의 할당 블록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첫 번째 6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된 3개의 할당 블록(#k1, #k2, #k3)에 3개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타일들이 분산되어 배치될 때, 제1 제어신호의 부호화 된 12 개의 변조심볼(S1,...,S12), 제2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X1,...,X12) 및 제3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Y1,...,Y12)은 분산된 각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에 실린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지며, 할당 블록은 시간 영역으로 6 OFDM 심볼 크기를 가지고 주파수 영역으로 3개의 타일 크기를 가지는 경우이다.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된 할당 블록에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이 분산되어 배치될 때, 타일들은 시간 영역에서 다른 OFDM 심볼 상의 할당 블록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채널 영역의 2개 타일은 첫 번째 6 OFDM 심볼 상의 할당 블록(#k1)에 배치되고, 다음 2개의 타일은 3 OFDM 심볼만큼 쉬프트되어 시간 영역으로 인접하여 2개의 할당 블록(#k2-1, #k2-2)에 하나씩 배치되며, 나머지 2개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2개의 할당 블록(#k3-1, #k3-2)에 하나씩 배치된다. 제1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S1,...,S12), 제2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X1,...,X12) 및 제3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Y1,...,Y12)은 분산된 각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에 실린다.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이 복수의 할당 블록으로 분산되는 방식은 주파수 영역으로만 분산되거나, 시간 영역으로만 분산되거나,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는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6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지며, 할당 블록은 시간 영역으로 6 OFDM 심볼 크기를 가지고 주파수 영역으로 3개의 타일 크기를 가지는 경우이다. 타일은 4개의 OFDM 심볼에 데이터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가운데 2개의 OFDM 심볼에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된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은 6개의 타일을 포함하고, 3개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들은 6개의 할당 블록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12 OFDM 심볼 범위 내에서 2개의 할당 블록이 시간 영역으로 인접하고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될 수 있다. 또는 6개의 할당 블록은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될 수도 있다.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6개의 타일은 6개의 할당 블록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하나의 할당 블록에는 3개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하나씩 배치된다. 제1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S1,...,S12), 제2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X1,...,X12) 및 제3 제어신호의 부호화된 12 개의 변조심볼(Y1,...,Y12)은 분산된 각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에 실린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4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지고, 제어채널 영역이 2개의 타일을 포함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타일의 가운데 OFDM 심볼에는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양쪽 의 OFDM 심볼에는 데이터 부반송파가 할당된다. 제어채널 영역은 16개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 8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어채널 영역은 1 비트의 ACK/NACK 신호를 전송하는 ACK/NACK 채널로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2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어신호는 4개의 변조심볼로 표현되고, 각 변조심볼은 길이 4인 확산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16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하나의 타일에는 4개의 파일럿(P)이 포함되므로 서로 직교하는 4개의 확산부호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는 4개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여기서, 타일에 표시된 숫자는 다중화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3개의 제어채널 영역, 즉 6개의 타일을 통하여 12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도 27의 가정 하에서,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를 12 OFDM 심볼로 정하고 12개의 제어채널 영역을 배치한 경우이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2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 내에서 두 번째 타일은 첫 번째 타일로부터 6 OFDM 심볼만큼 쉬프트된 위치로 배치된다. 12개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이 모두 주파수 영역으로 같은 크기로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되는 정도는 각 제어채널 영역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는 정도는 각 제어채널 영역마다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6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4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지고, 제어채널 영역이 2개의 타일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타일의 가운데 2개의 OFDM 심볼에는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4개의 OFDM 심볼에는 데이터 부반송파가 할당된다. 제어채널 영역은 3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 16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12 OFDM 심볼일 때,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2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제어신호는 8개의 변조심볼로 표현되고, 각 변조심볼은 길이 4인 확산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3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하나의 타일에는 8개의 파일럿(P)이 포함되므로 서로 직교하는 8개의 확산부호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는 8개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타일에 표시된 숫자는 다중화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3개의 제어채널 영역, 즉 6개의 타일을 통하여 24개의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는 정도는 각 제어채널 영역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0을 참조하면,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2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4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지고, 제어채널 영역이 3개의 타일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타일의 하나의 OFDM 심볼에는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다른 하나의 OFDM 심볼에는 데이터 부반송파가 할당된다. 제어채널 영역은 1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 12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6 OFDM 심볼일 때,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3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제어신호는 3개의 변조심볼로 표현되고, 각 변조심볼은 길이 4인 확산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12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하나의 타일에는 4개의 파일럿(P)이 포함되므로 서로 직교하는 4개의 확산부호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는 4개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타일에 표시된 숫자는 다중화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는 정도는 각 제어채널 영역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1을 참조하면,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4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4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지고, 제어채널 영역이 3개의 타일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타일의 2개의 OFDM 심볼에는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다른 2개의 OFDM 심볼에는 데이터 부반송파가 할당된다. 제어채널 영역은 24개의 데이터 부반 송파 및 24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12 OFDM 심볼일 때,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3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제어신호는 6개의 변조심볼로 표현되고, 각 변조심볼은 길이 4인 확산부호에 의해 확산되어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24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하나의 타일에는 8개의 파일럿(P)이 포함되므로 서로 직교하는 8개의 확산부호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는 8개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타일에 표시된 숫자는 다중화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는 정도는 각 제어채널 영역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를 참조하면,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3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4 부반송파의 크기를 가지고, 제어채널 영역이 3개의 타일을 포함하는 경우이다. 타일의 1개의 OFDM 심볼에는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되고 다른 2개의 OFDM 심볼에는 데이터 부반송파가 할당된다. 제어채널 영역은 24개의 데이터 부반송파 및 12개의 파일럿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제어채널 영역의 기본 범위가 9 OFDM 심볼일 때,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3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 및/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어 배치된다. 제어신호는 6개의 변조심볼로 표현되고, 각 변조심볼은 길이 4인 확산부호에 의해 확산 되어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된 24개의 데이터 부반송파에 할당된다. 하나의 타일에는 4개의 파일럿(P)이 포함되므로 서로 직교하는 4개의 확산부호를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는 4개의 제어신호가 다중화될 수 있다. 타일에 표시된 숫자는 다중화된 제어신호를 나타낸다.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이 주파수 영역 또는 시간 영역으로 분산되는 정도는 각 제어채널 영역마다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상, 상향링크 프레임에서 제어채널 영역을 배치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향링크 프레임에서 제어채널 영역을 배치하는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모든 기능은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코딩된 소프트웨어나 프로그램 코드 등에 따른 마이크로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코드의 설계, 개발 및 구현은 본 발명의 설명에 기초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켜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 내의 모든 실시예들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시스템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2는 프레임 구조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3은 패스트 피드백 영역의 일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신호를 다중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제어채널 영역을 다수의 단말에게 할당하는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제어채널 영역을 구성하는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6 OFDM 심볼에서 타일의 배치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6 OFDM 심볼에서 타일의 배치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6 OFDM 심볼에서 타일의 배치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에서 타일의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할당 블록을 이용한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할당 블록을 이용한 복수의 제어채널 영역의 타일 배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 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영역에 제어신호를 싣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Claims (12)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에 있어서,
    시간 영역으로 복수의 OFDM 심볼 상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부반송파로 이루어지는 타일(tile)을 복수 개 포함하는 제어채널 영역을 통해 제1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채널 영역을 통해 제2 제어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시간 영역에서 상기 복수의 타일이 분산될 수 있는 범위인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 내에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타일이 분산되어 배치되거나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타일은 주파수 영역으로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분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 법.
  4. 제1 항에 있어서, 시간 영역 또는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타일을 포함하는 할당 블록(allocation block)이 복수 개 할당되고,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타일은 상기 복수 개의 할당 블록에 분산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할당 블록의 크기는 상기 제어채널 영역의 크기의 배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에는 서로 직교하는 확산 부호가 적용되어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다중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신호 및 상기 제2 제어신호가 하나의 단말로부터 전송될 때, 상기 제1 제어신호 또는 상기 제2 제어신호 중 하나만이 상기 확 산 부호가 적용된 하나의 파일럿 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은 상향링크 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은 하향링크 프레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채널 영역에 대한 기본 범위는 MAP, FCH 또는 브로드캐스트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11. 시간 영역 및 주파수 영역으로 인접하는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하는 타일이 시간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주파수 영역으로 적어도 하나 포함되는 할당 블록을 할당하는 단계;
    상기 할당 블록에 제1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1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 중에서 일부의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할당 블록에 제2 제어신호의 전송을 위한 제2 제어채널 영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타일 중에서 일부의 타일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할당 블록에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할당 블록에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실어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은 시간 영역으로 복수의 OFDM 심볼의 크기를 가지고, 상기 복수의 OFDM 심볼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OFDM 심볼에 파일럿을 위한 파일럿 부반송파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20080053047A 2007-11-29 2008-06-0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1533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047A KR101533457B1 (ko) 2007-11-29 2008-06-0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PCT/KR2008/006966 WO2009069936A1 (en) 2007-11-29 2008-11-26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2/744,377 US8279824B2 (en) 2007-11-29 2008-11-26 Method of transmitting control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9120607P 2007-11-29 2007-11-29
US60/991,206 2007-11-29
KR1020080032805 2008-04-08
KR20080032805 2008-04-08
US4977008P 2008-05-02 2008-05-02
US61/049,770 2008-05-02
KR1020080053047A KR101533457B1 (ko) 2007-11-29 2008-06-0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6784A true KR20090056784A (ko) 2009-06-03
KR101533457B1 KR101533457B1 (ko) 2015-07-03

Family

ID=40678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047A KR101533457B1 (ko) 2007-11-29 2008-06-05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279824B2 (ko)
KR (1) KR101533457B1 (ko)
WO (1) WO20090699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705B2 (en) 2008-02-01 2013-12-03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anagement based on enhanced pilot measurement reports
US8504091B2 (en) 2008-02-01 2013-08-06 Qualcomm Incorporated Interference mitigation for control channel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514482B1 (ko) * 2008-04-21 2015-04-22 애플 인크. 업링크 구조를 제공하고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파일럿 신호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705575B2 (en) * 2008-07-03 2014-04-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multi-codeword transmission and ACK/NACK compression
EP2457354B1 (en) 2009-06-26 2020-09-09 PlusN, LLC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bined radio signals
KR20130111942A (ko) * 2010-07-12 2013-10-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 링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681660B2 (en) * 2010-10-01 2014-03-25 Clearwire Ip Holdings Llc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FDD and TDD wireless networks
US8908571B2 (en) 2010-10-01 2014-12-09 Clearwire Ip Holdings Llc Enabling coexistence between wireless networks
GB2488513B (en) 2011-02-04 2015-06-24 Sca Ipla Holdings Inc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n
US8971250B2 (en) 2011-10-29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Special subframe allocation
US11696300B2 (en) 2011-10-29 2023-07-0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figuration of reduced transmission power time intervals based on traffic load
US8937918B2 (en) 2011-10-29 2015-01-20 Ofinno Technologies, Llc Efficient special subframe allocation
US8873467B2 (en) * 2011-12-05 2014-10-28 Ofinno Technologies, Llc Control channel detection
US8971275B2 (en) 2011-12-31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Almost blank subframe indic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739995A4 (en) * 2018-01-12 2020-12-2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FOR TRANSMISSION OF CHANNEL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8208A1 (en) * 1998-02-22 1999-08-25 Sony International (Europe) GmbH Multicarrier transmission, compatible with the existing GSM system
JP4330767B2 (ja) * 2000-06-26 2009-09-1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自動再送要求を行う通信方法及び基地局装置
US7016319B2 (en) * 2003-03-24 2006-03-2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co-channel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1053610B1 (ko) * 2004-06-25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fdm/ofdma 시스템의 무선자원 할당 방법
US8831115B2 (en) * 2004-12-22 2014-09-09 Qualcomm Incorporated MC-CDMA multiplexing in an orthogonal uplink
WO2006075042A1 (en) * 2005-01-11 2006-07-20 Nokia Corporation Method for indicating and detecting transmission resource allocations in a multi-user communication system
US20070058595A1 (en) * 2005-03-30 2007-03-1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round trip latency and overhead within a communication system
KR100606099B1 (ko) 2005-06-22 2006-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주파수 분할 다중 접속 방식시스템에서의 긍정 및 부정응답 채널을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
CN101204033B (zh) * 2005-06-22 2011-06-15 三星电子株式会社 正交频分复用系统中用于给传输上行链路分组数据分配资源的方法和传输设备
EP2744255B8 (en) * 2005-08-23 2015-06-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ethods and systems to mitigate inter-cell interference
KR101139170B1 (ko) * 2005-10-04 2012-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직교주파수분할다중접속 방식의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패킷데이터 제어 채널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EP1804452B1 (en) * 2006-01-03 2011-05-11 Alcatel Lucent Scheduling of control channels in multicarrier transmission systems
US8611300B2 (en) * 2006-01-18 2013-12-17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ying control channel information in OFDMA system
KR100788897B1 (ko) 2006-02-06 2007-12-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Ofdma 시스템에서 하이브리드 arq 패킷에 대한응답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송수신 장치
BRPI0708106A2 (pt) * 2006-02-21 2011-05-17 Qualcomm Inc projeto de canal de realimentação para sistemas de comunicação de múltiplas entradas e múltiplas saìdas
US20070217362A1 (en) * 2006-03-20 2007-09-20 Nokia Corporation Amended control for resource allocation in a radio access network
JP4740778B2 (ja) * 2006-03-27 2011-08-03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Ofdm無線通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受信装置
WO2007119148A2 (en) * 2006-04-13 2007-10-25 Nokia Corporation Method providing efficient and flexible control signal for resource allocation
EP1855424B1 (en) * 2006-05-12 2013-07-10 Panasonic Corporation Reservation of radio resources for users in a mobile communications system
US7760751B2 (en) * 2006-05-19 2010-07-20 Futurewei Technologies, Inc. System for supporting consecutive and distributed subcarrier channels in OFDMA networks
US8681749B2 (en) * 2007-01-04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 resource mapping for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279824B2 (en) 2012-10-02
KR101533457B1 (ko) 2015-07-03
WO2009069936A1 (en) 2009-06-04
US20100254483A1 (en) 2010-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3345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101542378B1 (ko) 다중 안테나 시스템에서의 파일럿 부반송파 할당 방법
KR101531515B1 (ko)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US920356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pilot for multiple carrier system
US8130819B2 (en) Encoding uplink acknowledgments to downlink transmissions
KR101350134B1 (ko) 기준신호 전송 방법
KR10113208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 전송방법
RU2559039C2 (ru) Базовая станция,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связью
US20140119309A1 (en) Method for allocating pilots
US8886238B2 (en) Method of allocating radio resour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498059B1 (ko) 파일롯 서브캐리어 할당을 사용하는 복수개의 송신 안테나를 갖는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617934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541910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ack/nack 신호 전송방법
KR101181780B1 (ko) 셀간 간섭을 저감시키는 통신 자원 할당 방법
US8437413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codeword
US7940642B2 (en) Method for generating codeword based on a plurality of vector combinations and transmitting the same
KR101230759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20090024431A (ko) 무선자원 할당 방법
KR101465795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신호 전송방법
KR20090089573A (ko) 효율적인 부반송파 맵핑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