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010A - 일렬로 배열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가 제공된 스포츠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 - Google Patents

일렬로 배열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가 제공된 스포츠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010A
KR20060096010A KR1020067006503A KR20067006503A KR20060096010A KR 20060096010 A KR20060096010 A KR 20060096010A KR 1020067006503 A KR1020067006503 A KR 1020067006503A KR 20067006503 A KR20067006503 A KR 20067006503A KR 20060096010 A KR20060096010 A KR 200600960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ssis
steering device
wheels
sliding elem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6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드레 바토코히오
Original Assignee
엠.쥐.엠.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쥐.엠.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엠.쥐.엠.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60096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0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1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 A63C17/0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with a pivotal frame or cradle around transversal axis for relative movements of the whee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of different size or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93Mechanisms transforming leaning into steering through an inclined geometrical axis, e.g. tru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1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 A63C17/06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comprising steered wheels, i.e. wheels supported on a vertical axi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3)에의하여 지지 표면(2)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스포츠 용품(1)을 위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며, 조향 장치는 상기 새시(5)의 종방향 정중면(4) 상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표면(2)에 대해 각도 α로 기울어진 축(7)에서 탄성 요소(17, 18)의 힘에 대하여 상기 새시(5)에 대해 스윙하기에 적합한 캐리지에 관한 것이다. 캐리지(6)는 각각의 지지 축(25, 26)이 상기 새시(5)에 대해 상기 캐리지(6a)의 피벗, 즉 스윙 중심(27)에 대한 마주보는 측부상에서 상기 지지 표면(2)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방법으로 적어도 2개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3)를 지지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일렬로 배열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가 제공된 스포츠 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STEERING DEVICE FOR SPORTS ARTICLES PROVIDED WITH SUPPORTING AND SLIDING ELEMENTS IN AN IN-LINE ARRANGEMENT}
본 발명은 일렬 배열로 제공된, 즉 동일한 종방향 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에 의하여 지지 표면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스포츠 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인라인 롤러스케이트, 스키-롤, 스쿠터, 썰매, 스키-스쿠터 및 이와 비슷한 것으로 구성되는 상기 스포츠 용품은 얼음 또는 눈 위에서 미끄러지거나 지면 상에서 롤링에 의하여 미끄럼을 위한 목적을 가진다.
중요한 요구 사항에 있어서, 상기 스포츠 용품은 코스의 방향을 변경할 때, 즉 스케이팅 또는 미끄럼 방향이 바뀔 때 리딩(lead) 및 주행의 정확도를 보장하도록 요구된다. 예를 들어 길거리 하키 또는 아이스 하키 또는 피겨 스케이팅과 같은 스포츠 활동은 미끄럼 코스의 지속적이고 갑작스러운 변경이 요구된다. 상기 용품, 특히 인라인 롤러 스케이트와 아이스 스케이트를 이용할 때, 가능한 작은 곡선 반 경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을 하기 위한 능력에 따르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1937년 8월 17일 스위스 우선권으로 제출된 미국 특허 제 2,204,280호에 공개된 기술적인 해결 방안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설명된 기술적인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목적을 둔다. 상기 특허는 2개의 인라인 휠을 가진 스케이트에 관하여 언급하며, 2개의 휠 중 각각의 하나는 새시에 대해 기울어진 배열로 제공된 지지 부재에 휠의 축을 통하여 통과하는 수직 평면의 외부와 하부에 대하여 피벗 회전하게 연결된 각각의 포크에 의하여 지지되며, 이로 인하여 동일한 포크는 탄성 요소의 작용에 역으로 스윙할 수 있으며, 2개의 포크의 피벗 회전 중심은 각각의 휠의 축에 대해 외부적으로 마주보는 측면에 위치되어 지며, 직선 코스를 따라 이동할 때 서로 일렬로 배열된 상기 휠은 커빙 작용(curving action)이 행해질 때 편향된 위치로 자동적으로 편향된다.
종래 기술에 따르는 주요한 문제점에 있어서, 전방 휠로부터 후방 휠까지 존재하는 거리로 인하여 지속적이고 원활한 커빙 효과를 형성하기에 어려울 뿐만 아니라 스케이트의 안정성에 있어서 취약하다. 이러한 모든 것이 조향 장치에 제공될 지라고 2개의 휠은 스케이터가 원활하고 지속적인 방법으로 커브를 형성할 수 있게하는 굴곡의 이상적인 아크를 따라 배열되어지기에 서로 너무 이격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결과 스케이터는 불연속적인 방법으로 완성되고, 실시되는 전체 커브에 걸쳐 이동할 수 있기 위하여 곡선의 다수의 조절부를 형성하도록 노력해왔다. 부가적 으로 휠들 사이의 상기 거리로 인하여 커빙 조작을 할 때, 포크는 각각의 휠에 작용하는 상당히 큰 스트레스로 인하여 진동이 발생되고, 이러한 진동은 스케이트의 불안정성을 야기하며, 커브를 의미하는 크리티컬 상태(critical phase), 즉 방향을 바꾸는 동안 정확한 정확도를 가지고 스케이트를 작동하고 안내하는 어려움이 발생된다.
부가적인 문제점에 있어서, 상기 언급된 종래 기술의 조향장치는 오직 평평한 트레드를 가진 휠에 관하여 작동될 수 있다. 사실, 새시의 측면으로 기울임에 의하여 방향이 변화되고, 이로 인하여 휠 상의 지지 표면의 작용을 결정하며, 핀은 포크를 지지 부재로 피벗 회전하도록 연결하고, 이로 인하여 해당 지지 부재에 대하여 포크는 회전한다.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사용 시 안전하고 신뢰할 만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부재를 제공함에 의하여 지지 표면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스포츠 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상기 언급된 문제점을 극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방향의 변경, 즉 원활하고 지속적인 방법으로 수행되는 커브를 변경할 수 있는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있으며, 동시에 상기 조작을 하는 동안 용품의 제어와 안정성을 유지시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지 및 미끄럼 부재의 개수와 특징과 형상에 있어서 특정의 제한이 없이 현재 판매되는 스포츠 용품에 있어서 최적의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는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향 장치는 예를 들어 스케이트 및 스쿠터와 같은 굽은 트레드를 가진 지지 및 미끄럼 부재로써 제공된 용품에 있어서 최적을 방법으로 작동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주요한 목적은 기술과 설비의 이용으로 제조되어지는경쟁력있는 비용으로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추가적인 목적뿐만 아니라 상기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청구항 1 항에 언급된 바와 같이 특징으로 구성되며, 본 발명의 목적은 일렬의 배열, 즉 동일한 종방향 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에 의하여 지지 표면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스포츠 장비용 조향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인라인 롤러스케이트에 적용되고, 본 발명에 따르는 조향장치의 횡단 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향 장치의 도 1의 일부분을 도시한 전개도.
도 3은 절단면 III-III을 따라 도시한 도 1에 도시된 조향 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3의 횡단면의 전개도.
도 5는 제 1 작동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롤러스케이트의 하면도.
도 6은 제 2 작동 위치에서 도 1에 도시된 롤러스케이트의 하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조향 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조향 장치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조향 장치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조향 장치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
도 11은 도 10의 조향 장치를 위한 휠 배열을 도시한 하면도.
*부호 설명*
1, 101, 201, 301, 401: 스포츠 용품
2, 102, 202, 302, 402: 지지 표면
3, 103, 203, 303, 403: 지지 및 미끄럼 요소
5, 105, 205, 305, 405: 새시
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 406a, 406b: 캐리지
7, 107a, 107b, 207a, 207b, 307a, 307b, 407a, 407b: 축
17, 18, 417: 탄성 요소
상기 도면과 관련하여, 참조 번호(1)는 동일한 종방향 축(4)을 따라 배열되거나 일렬의 배열로 제공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3)에 의하여 지지 표면(2)상에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스포츠 장비를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스포츠 정비는 적어도 3개, 바람직하게 4개의 휠(3)이 제공된 스케이트(1)로 구성되며, 상기 휠은 지면(2)에 의하여 형성된 지지 표면상에서 스케이트를 지지하고 미끄러지게 하는 요소로서 기능을 하며, 휠(3)은 굴곡을 형성하는 트레드(tread)를 가지며, 인라인 장치에 제공된다.
스케이트(1)는 종래의 방법에 따라 신발을 지지하는 새시(5)를 포함하며, 한 쌍 이상의 휠(wheel, 3)을 지지하기 위하여 제공된 적어도 캐리지(6a)는 상기 새시에 연결되어진다. 상기 캐리지(carriage, 6a)는 종방향 축(4)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과 같이 새시의 종방향 정중면상에 위치되고, 지면에 대해 각 α로 굽은 축(7)에 대하여 스윙을 하도록 종래 방법으로 새시(5)에 연결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적어도 단부 부분(8a)에 해당하는 새시(5)는 제 1 스루-홀(through-hole, 10)이 제공된 지지 부재(9)를 가지며, 바람직하게 각 α에 보각을 형성하는 각 β에 의하여 지면에 대해 경사를 형 성하는 표면(9a)을 가진다.
캐리지(6a)는 지지 부재(9)를 연결하기 위한 암(11)을 가지며, 상기 암은 제 2 스루-홀이 제공되고, 상반된 형상 즉 표면(9a)에 대해 상보적인 형상의 표면(11a)을 가진다. 1 및 제 2 포크는 상기 암(11)으로부터 각각 공통으로 마주보는 측부 상에서 연장되고, 각각의 포크는 지지 축(25, 26)에 대하여 대응하게 휠(3)을 피벗 회전하게 지지한다.
나사산 핀(15) 또는 이와 비슷한 것과 같은 제 1 구멍(10)과 제 2 구멍(12)을 통하여 연장된 연결 수단은 캐리지(6a)를 지지 부재(9)에 피벗 회전하게 연결하고, 핀(15)은 로크-너트 또는 볼트(16)와 같은 알맞은 잠금 수단의 도움으로 잠겨진다.
연관된 연결부의 장치를 따라 지지 부재(9)와 캐리지(6a)의 형상은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지지 및 미끄럼 요소 즉 2개의 휠(3)이 지지 표면(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방법으로 캐리지(6a)에 의하여 지지되고, 상기 지지 표면(2)은 핀(15)과 제 2 구멍(12)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과 새시(5)에 대해 캐리지(6a)의 피벗 회전 중앙(27)에 관한 마주보는 측면에서 상기 케이스 내에서 지면에 의하여 형성된다.
암(11)과 상호 연결된 알맞은 탄성 수단(17, 18)은 새시(5)에 관한 캐리지(6a)의 스윙 모션에 탄성이 있게 대조적으로 제공되어 진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선호되는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언급된 탄성 요소(17, 18)는 지지 부재(9)에 제공된 각각의 수용부(accommodation, 19, 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암(11)으로부터 연장된 각각의 돌출부(23, 24)를 삽입하기 위한 각각의 개구부(21, 22)가 부가적으로 제공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 콘트라스팅 수단(elastic contrasting means, 17, 18)의 수용부는 캐리지(6a) 내부에 완전히 수용되고, 상당히 조밀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입증된다. 선호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17, 18)의 탄성도는 요구되는 다양한 탄성비를 가진 그 외의 수단과 상기 탄성 수단(17, 18)을 간단히 대체하거나 알맞은 조절 수단의 도움으로 변화될 수 있다.
스윙 축(7)은 새시(5)의 중간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3)의 지지 축(25) 위로 또는 대응하게 대략 연장된다.
상기 주어진 설명에 따라, 조향 장치는 단일의 캐리지(6a)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 및 5 및 6에 도시된 상기 장치의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에 2개의 캐리지(6a, 6b)의 이용이 요구되며, 상기 캐리지는 새시(5)의 단부 부분(8a, 8b)에 대응하며, 서로 대칭을 이루며 마주보게 형성되고, 각각의 캐리지는 한 쌍의 휠(3)을 지지한다.
장치의 조작은 다음을 따른다. 장치 즉 케이스 내의 스케이트가 직사각형 통로를 따라 위치에 유지될 때, 지지 및 미끄럼 요소는 종방향 축(4)(도 5)을 따라 일렬로 배열되고, 방향 사용자가 장치에 부여하는 측면 기울기(sidewise inclination)의 효과에 의하여 변경되며, 이러한 운동을 인하여 캐리지(6a, 6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요소(17, 18)의 작용에 대하여 스윙 축(7)에 대해 역방향의 새시(5)에 대해 회전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있어서, 지지 및 미끄럼 요소(5)는 기울어진 2개의 축을 따라 스스로 배열되어 질 수 있으며, 상기 기울어진 축은 동일한 지지 밑 미끄럼 요소(3)에 인접하기 때문에 원의 아크에 일치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로 인하여 방향은 매끄럽고 연속적인 방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방향의 변경과 같은 조작을 하는 동안 전체 단계에서 장치의 제어와 안전성을 유시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바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르는 인라인 롤러스케이트의 성능은 이하에서 언급된 청구항과 장점에 다다르는데 효과적이며, 본 발명에 따르는 조향 장치는 사용 시 안정성이 있고, 신뢰할 만하며, 동시에 사용자는 원활하고 연속적인 방법으로 갑작스럽고 돌발적인 방향의 변경을 할 수 있으며, 방향의 변경과 같은 조작을 하는 동안 전체 단계에서 장치의 완벽한 제어와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장점은 사용자가 바꾸기를 원하는 방향에서 장치의 단순한 기울임을 통해 사용자에 의하여 달성되며, 이는 캐리지(6a, 6b)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캐리지 위에서 힘의 상호작용 즉 탄성 수단의 작용에 대응하는 축(7)에 대한 공통의 상반 된 방법으로 스윙을 초래하며, 전방 캐리지(6a)는 굴곡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후방 캐리지(6b)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원의 아크를 형성하는 방법에 따라 상반된 방향으로 회전하여, 굴곡부의 아크에 대응하게 실시되어질 것이다. 게다가 굴곡이 형성된 트레드(28)가 제공된 휠(3)의 구조로 인하여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르는 조향 장치가 알맞게 작동되는 관점에서 요구되는 바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이동하고, 동일한 조향 장치가 이하에서 설명된 특징이 구비되어 판매되는 모든 스포츠 장치에 실질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조향 장치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분야에 있어서 수많은 변경과 변형이 되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롤러 스케이트(101, 201, 301)와 같은 스포츠 장치에 적용된 조향 장치는 다양한 크기의 휠(103, 203, 303) 뿐만 아니라 다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를 가진다. 이하에서는 인라인 롤러스케이트에 이용된 본 발명에 따르는 조향 장치가 언급될 것이며, 조향 장치는 직선을 따라 배열된 다양한 크기로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를 가진 스포츠 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및 미끄럼 요소를 위한 장치는 4개의 휠(103)을 포함하며, 전방 휠(103a)과 제 3 휠(103c)은 제 2 휠(103b)과 후방 휠(103d)보다 직경이 작으며, 휠(103a, 103b)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제 1 축(107a)에 대하여 스윙 가능한 방법으로 새시(105)에 연결된 제 1 캐리지(106a)에 의하여 각각의 제 1 지지 축(125a, 126a) 상에 지지되며, 이와 유사하게 휠(103c, 103d)은 제 1 축(107a)의 기울기에 상반된 지지 표면(102)에 대한 기울기를 가진 제 2 축(107b)에 대하여 스윙이 가능하도록 새시(105)에 연결된 제 2 캐리지(106b)에 의하여 각각의 지지 축(125b, 126b) 상에 지지된다. 휠(103c, 103d) 뿐만 아니라 휠(103a, 103b)을 동일한 평면을 따라 지지 표면(102)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제 1 지지 축(125a, 126a)에 연결된 라인(130a)은 지지 표면(102)에 대해 약간 기울어지고, 상기 실시예의 특정 휠 장치로 인하여, 제 2 지지 축(125b, 126b)에 연결된 라인(130b)은 라인(130a)의 동일한 방향을 따라 기울어진다. 상기 특정의 휠 장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관성을 가지며, 상대적으로 높은 회전 속도로 회전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전방 휠(103a)이 제공됨에 따라 특히 출발 시 스케이트의 가속도가 증가된다.
도 8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휠을 위한 다양한 장치가 언급되며, 중앙 휠(203b, 203c)은 전방 휠(203a)과 후방 휠(203d)의 직경보다 작으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 1 지지 축(225a, 226a)과 제 2 지지 축(225b, 226b)에 각각 연결된 라인(230a, 230b)은 모든 휠이 동일한 평면을 따라 지지 표면(202)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지지 표면(202)에 대해 상반되게 기울어진다. 이러한 장치로 인하여 스케이터는 지면에 대한 신발의 볼 높이에 의하여 결정되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균형, 즉 균형 중심이 제공되며, 신발의 볼 하부에 위치된 상대적으로 작은 제 2 휠(203b)이 새시(205)의 높이, 특히 신발의 신바닥을 지지하는 솔 플레이트의 높이를 낮출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는 낮춰질 수 있으며, 발은 점점 더 지면에 가까워진다.
도 9는 후방 휠(303c, 303d)보다 작은 직경의 전방 휠(303a, 303b)이 제공된 휠(303)을 위한 추가적인 장치가 도시되며, 후방 휠(303c, 303d)의 제 2 지지 축(325b, 326b)과 전방 휠(303a, 303b)의 제 1 지지 축(325a, 326a)에 각각 연결된 하인(330a, 330b)은 상기 지지 표면(302)에 대한 다양한 높이에 공통으로 위치되지만 지지 표면(302)에 대해 평행하게 배열된다. 상기 휠 장치는 스케이터의 균형 중심을 낮추기 위한 발의 볼 하부에 위치된 상대적으로 작은 제 2 휠(303b)로 인한 안정성뿐만 아니라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이 스케이트의 전방에 상대적으로 작은 휠(303a)을 제공함으로 인하여 스케이트의 가속도의 특징이 강화되며, 추가적으로 후방에서 상대적으로 큰 휠(303c, 303d)은 스케이터로부터 제공된 상대적으로 낮은 힘의 일정한 값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가속도를 통하여 얻어진 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스케이트의 성능에 영향을 준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추가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스케이트(401)는 적어도 한 쌍의 휠(403)을 각각 지지하는 제 1 캐리지(406a)와 제 2 캐리지(406b)를 포함하며, 제 1 캐리지(406a)와 제 2 캐리지(406b)는 종방향 축(404)에 의하여 형성 되는 것과 같이 새시(405)의 종방향 정중면에 위치되고 지면(402)에 대해 90°의 각도로 배열된 각각의 축(407a, 407b)에 대해 스윙되어지는 방법으로 단부 부분(408a, 408b)에 대응하도록 새시(405)에 연결되어 진다.
도 10a에 관하여, 이하의 설명은 제 2 캐리지(406b)에 관하여 언급되지만 제 1 캐리지(406a)에도 동등하게 적용된다. 제 2 캐리지(406b)는 새시(405)에 연결하기위한 스루-홀(412)이 제공된 암(411)을 가지며, 제 1 캐리지(406a)는 대응하는 스루-홀(405)이 제공되며, 나사산 핀(415) 또는 이와 비슷한 것과 같은 연결 수단은 캐리지(406b)를 새시(405)에 피벗 회전하게 연결하기 위하여 구멍(410, 412)을 통하여 연장되며, 핀(415)은 로크-너트 또는 볼트(416)와 같은 알맞은 잠금 수단의 보조로 잠겨진다.
상기 암(411)으로부터 각각 공통으로 마주보는 측부로 구성되는 제 1 및 제 2 포크(413, 414)로 연장되고, 각각의 포크는 지지 축(425, 426)에 대하여 대응하게 휠(3)을 피벗 회전하게 지지한다.
휠(403)은 다양한 크기를 가지며, 즉 스케이트(401)의 전방 및 후방에 배열된 휠(403a)은 새시(405)의 중앙 부분에 배열된 휠(403b)보다 작은 폭을 가진다.
암(411)과 상호 연결된 알맞은 탄성 수단(417)은 새시(5)에 대하여 제 2 캐 리지(406b)와 제 1 캐리지(406a)의 스윙 모션에 탄성이 있게 대조적으로 제공된다.
도 10 내지 도 11의 휠 장치는 중앙 휠(403b)의 상대적으로 큰 폭으로 인하여 방향을 변경할 수 있으며, 즉 스케이터가 지면을 향하여 측면으로 스케이트를 기울일 때 상대적으로 큰 중앙 휠(403b)은 지면에 접촉하는 유일한 휠로 위치되어 상반된 방향을 따라 수직 축(407a, 407b)에 대해 스윙 가능한 캐리지(406a, 406b)를 스윙하도록 하여 굴곡의 이상적인 라인이 달성된다.
형태 및 크기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장치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재료는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남이 없이 특정의 분야에 접합하거나 특정의 요구 사항에 부합하도록 각각의 경우에 선택되어 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일렬의 배열로 제공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103, 203, 303, 403)에 의하여 지지 표면(2, 102, 202, 302, 402) 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하며, 상기 조향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103, 203, 303, 403)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어도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 406a, 406b)에 연결된 새시(5, 105, 205, 305, 405)를 포함하고, 상기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 406a, 406b)는 상기 새시(5, 105, 205, 305, 405)의 종방향 정중면(4, 404) 상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표면(2, 102, 202, 302, 402)에 대해 각도 α로 기울어진 축(7, 107a, 107b, 207a, 207b, 307a, 307b, 407a, 407b)에서 탄성 요소(17, 18, 417)의 힘에 대하여 상기 새시(5, 105, 205, 305, 405)에 대해 스윙하기에 적합한 스포츠 용품(1, 101, 201, 301, 401)을 위한 조향 장치에 있어서,
    2개 이상의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103, 203, 303, 403)는 상기 새시(5, 105, 205, 305, 405)에 대해 상기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 406a, 406b)의 스윙 중심(27, 127, 227, 327, 427)에 관한 상반된 측부상에서 상기 지지 표면(2, 102, 202, 302, 402)에 평행한 방식으로 배열된 지지 축(25, 26, 125, 126, 225, 226, 325, 326, 425, 426)에서 상기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 406a, 406b)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대략 하나 이상의 단부 부분(8a, 8b)에 대응하는 상기 새시(5, 105, 205, 305)는 상기 지지 표면(2, 102, 202, 302)에 대해 각 β로 기울어진 적어도 표면(9a)이 제공된 지지 부재(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는 상기 지지 부재(9)에 연결하기 위한 암(11)이 제공되고, 상기 암은 상기 지지 부재(9)의 표면(9a)에 상반된 형상, 즉 보충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표면을 향하는 표면(11a)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포크(13, 14)는 상기 암(11)의 마주보는 측면으로부터 연장되고, 포크들 중 각각 하나의 포크는 상기 지지 축(25, 26, 125, 126, 225, 226, 325, 326)에 대하여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103, 203, 303)들 중 각각의 하나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5. 전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이들의 조합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17, 18)은 상기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의 스윙 운동에 대해 탄성이 있게 반대로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암(11)과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수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수단(17, 18)은 상기 지지 부재(9)에 제공된 각각의 수용부(19, 20)의 내부에 수용되고, 상기 암(11)으로부터 연장된 각각의 돌출부(23, 24)와 상호 작용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7. 전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이들의 조합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축(7, 107a, 107b, 207a, 207b, 307a, 307b)은 상기 지지 표면(2, 102, 202, 302)에 대해 0˚와 90˚를 포함하지 않는 0˚ 내지 90˚를 포함하는 각도로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축(7, 107a, 107b, 207a, 207b, 307a, 307b)은 새시(5, 105, 205, 305)의 중간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 소(3, 103, 203, 303)의 지지 축(25, 125, 225, 325)의 위로 또는 대응하여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9. 전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이들의 조합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5, 105, 205, 305, 405)의 단부 부분(8a, 8b, 408a, 408b)에 대해 대략 배열된 상기 제 1 및 제 2 캐리지(6a, 6b, 106a, 106b, 206a, 206b, 306a, 306b, 406a, 406b)는 상기 새시(5, 105, 205, 305, 405)에 연결되고, 각각의 캐리지는 한 쌍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103, 203, 303, 403)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캐리지(6a, 6b, 206a, 206b)는 서로 대칭적으로 마주보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103, 203, 303, 403)는 4개 이상의 휠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휠(3, 103, 203, 303, 403)은 다양한 크기로 구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소(3, 303, 403)의 지지 축(25, 26, 325a, 326a, 325a, 326b, 425, 426)을 연결하는 라인(30, 330a, 330b, 430)은 지지 표면(2, 302, 402)에 평행하게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4. 제 12 항 및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305)의 전방에 위치된 2개 이상의 전방 휠(303a, 303b)은 상기 새시(305)의 후방에 위치된 2개 이상의 후방 휠(303c, 303d)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전방 휠(303a, 303b)의 지지 축(325a, 325b)를 연결하는 라인(330a)은 상기 후방 휠(303c, 303d)의 지지 축(325b, 326b)을 연결하는 라인(330b)보다 상기 지지 표면(302)에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휠(103, 203)의 지지 축(125a, 126a, 225a, 226b)을 연결하는 라인(130a, 130b, 230a, 230b)은 지지 표면(102, 202)에 대해 경사를 형성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6. 제 12 항 및 제 15 항에 있어서, 새시(105)의 전방으로부터의 전방 휠(103a)과 제 3 휠(103c)은 제 2 휠(103b)과 후방 휠(103d)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라인(130a, 130b)은 동일한 방향을 따라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7. 제 12 항 및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205)의 중앙 부분의 중앙에 위치된 휠(203b, 203c)은 전방 휠(203a) 및 후방 휠(203d)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 1 지지 축(225a, 226a)과 제 2 지지 축(225b, 226b)을 각각 연결하는 라인(230a, 230b)은 지지 표면(202)에 대해 상반되게 기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8.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 축(407a, 407b)은 상기 새시(405)의 종방향 정중면상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표면(402)에 대해 90˚의 각도로 기울어져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새시(405)의 전방과 후방에 배열된 휠(403a)은 상 기 새시(405)의 중앙 부분에 배열된 휠(403b)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 장치.
  20. 동일한 종방향 축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지지 및 미끄럼 요소에 의하여 짖 표면 상에서 미끄러지기에 적합한 스포츠 용품에 있어서, 청구항 1 항에 따르는 조향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용품.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및 미끄럼 요소는 휠, 아이스 날(ice blade), 스포츠 스키 및 이와 비슷한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포츠 용품.
KR1020067006503A 2003-10-20 2004-05-06 일렬로 배열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가 제공된 스포츠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 KR200600960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PN2003A000076 2003-10-20
IT000076A ITPN20030076A1 (it) 2003-10-20 2003-10-20 Dispositivo sterzante per attrezzi sportivi provvisti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010A true KR20060096010A (ko) 2006-09-05

Family

ID=345094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503A KR20060096010A (ko) 2003-10-20 2004-05-06 일렬로 배열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가 제공된 스포츠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205569A1 (ko)
EP (1) EP1675661B1 (ko)
KR (1) KR20060096010A (ko)
CN (1) CN1871050A (ko)
AT (1) ATE434471T1 (ko)
DE (1) DE602004021710D1 (ko)
IT (1) ITPN20030076A1 (ko)
WO (1) WO2005039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46B1 (ko) * 2009-10-26 2012-03-13 지영학 부들, 조릿대, 갈대 및 줄풀을 포함하는 한방음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PI0504027B1 (pt) 2005-09-22 2016-04-19 Rollerboard Comércio De Artigos Esportivos Ltda Epp prancha sobre rodas com rodas diferenciadas centralizadas em linha
DE102007031237B4 (de) * 2007-07-05 2009-05-07 Gorisch, Wolfram, Dr. Kippwinkel-gelenktes Rollgerät mit versetzten Rollen
US9233701B2 (en) * 2012-12-15 2016-01-12 Jeffrey L. Glover Foot-powered scooters having enhanced stability, turning and control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9708A (en) * 1882-06-20 Roller-skate
US628433A (en) * 1899-03-23 1899-07-04 Stanley W Finch Skate.
US1157049A (en) * 1915-05-10 1915-10-19 Karl Schultz Skate.
US1810380A (en) * 1930-05-20 1931-06-16 William V Van Etten Roller skate
BE427917A (ko) 1937-08-17
US2998260A (en) * 1960-01-26 1961-08-29 Meyer Paul Combined shoe and interchangeable skates
FR2405722A1 (fr) * 1977-10-11 1979-05-11 Daluzeau Gerard Nouvel article de sport pour utilisation sur des surfaces ou terrains glissants
US4382605A (en) * 1980-08-28 1983-05-10 Hegna Hans O Tilt steering of tandem wheeled or runner equipped vehicle
US5022668A (en) * 1990-04-23 1991-06-11 Bradley Thomas Kenny Skateboard axle mounting apparatus
US5494304A (en) * 1992-12-07 1996-02-27 Levy; Richard C. Variable geometry roller skates
US5372534A (en) * 1992-12-07 1994-12-13 Levy; Richard C. Variable geometry conveyance
US5342071A (en) * 1993-05-06 1994-08-30 Mike Soo In-line roller skate brake assembly
US5390958A (en) * 1993-09-03 1995-02-21 Soo; Mike Track/roller skate
US5685550A (en) * 1995-06-07 1997-11-11 Mayer, Ii; Bruce Allen Roller skate with brake
US5904360A (en) * 1995-06-30 1999-05-18 99 Innovations, Inc. Flexible skate frame
US5690344A (en) * 1996-01-23 1997-11-25 Playmaker-Co., Ltd. In-line roller skate with a sole plate structure
US6454280B1 (en) * 1996-09-06 2002-09-24 Sprung Suspensions Independent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skates having rocker arms and adjustable springs
US5931480A (en) * 1996-10-28 1999-08-03 Schroeder; Scott T. Footgear suspension device
DE29716733U1 (de) * 1997-09-11 1998-07-02 Kuchler Marcus Lenkbares Skateboard mit einer Spur (Carverboard)
US6098997A (en) * 1998-07-30 2000-08-08 Cheng; Tsan-Hsiung In-line roller skate with two-piece frame for wheels
US6874794B2 (en) * 1999-04-30 2005-04-05 Hemisphere Group, Inc. Safety brake using bearings for in-line skates
FR2793158B1 (fr) * 1999-05-04 2001-08-31 Francis Auguste Pierre Launay Patin a 3 roues alignees comportant un dispositif auto-directionnel sur les roues avant ainsi qu'un dispositif de freinage sur la roue arriere, le tout dans un chassis anti-vibratoire
US6227551B1 (en) * 1999-06-04 2001-05-08 9084-6593 Quebec Inc. In-line roller skate with eccentrically pivot wheel frames
US6478313B1 (en) * 1999-07-27 2002-11-12 Todd D. Gray Wheel suspension system for in-line roller skate
DE10013413C2 (de) * 2000-03-17 2003-06-05 Harry Gaus Rollsportgerät
US6478312B1 (en) * 2000-06-23 2002-11-12 Gary M. Petrucci Brake system for a wheeled article
US6435524B1 (en) * 2000-07-24 2002-08-20 Ferenc Kuncz In-line-roller-skate interchangeable independent suspension, removable boot and a chassis supporting multiple brake systems
CA2441754A1 (en) * 2003-09-19 2005-03-19 Sport Maska Inc. In-line skate wheels and wheel frame assembl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046B1 (ko) * 2009-10-26 2012-03-13 지영학 부들, 조릿대, 갈대 및 줄풀을 포함하는 한방음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5569A1 (en) 2007-09-06
ATE434471T1 (de) 2009-07-15
EP1675661B1 (en) 2009-06-24
ITPN20030076A1 (it) 2005-04-21
DE602004021710D1 (de) 2009-08-06
CN1871050A (zh) 2006-11-29
WO2005039710A1 (en) 2005-05-06
EP1675661A1 (en) 2006-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84328A (en) Two-wheeled skateboard
US8608185B2 (en) Skateboard truck
CN102665834A (zh) 滚轴滑冰鞋及其轮架
US5199727A (en) Steerable wheel assembly for a roller skate
WO1998011960A1 (en) Lateral sliding roller board
US5738360A (en) Toe pick and skate frame for in-line skates
KR20060096010A (ko) 일렬로 배열된 지지 및 미끄럼 요소가 제공된 스포츠용품을 위한 조향 장치
US6832765B1 (en) Steerable in-line skates
US6098997A (en) In-line roller skate with two-piece frame for wheels
US6105977A (en) Roller contrivance intended for at least one foot
US6019378A (en) Inline roller skate and wheel construction
KR200222763Y1 (ko) 스키드 보드
US7104549B2 (en) Steerable inline skate
KR100439745B1 (ko) 조향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
JP2909883B2 (ja) スケートボード
WO2000009223A1 (en) In-line roller skate
JP2000079190A (ja) ローラスケート靴
WO1998029168A1 (en) Brake device for a roller skate
KR200372285Y1 (ko) 스케이트 보드
CN2321493Y (zh) 旱冰雪撬
KR100718229B1 (ko) 회동각이 제한된 바퀴 조립체
KR200375753Y1 (ko) 활강운동기구
JPH04126172A (ja) グラススキー
CN1195566A (zh) 旱冰雪橇
KR20080062416A (ko) 스케이트 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