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943A -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무선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기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자기조직화 통신망 - Google Patents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무선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기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자기조직화 통신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943A
KR20060095943A KR1020067004308A KR20067004308A KR20060095943A KR 20060095943 A KR20060095943 A KR 20060095943A KR 1020067004308 A KR1020067004308 A KR 1020067004308A KR 20067004308 A KR20067004308 A KR 20067004308A KR 20060095943 A KR20060095943 A KR 20060095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tting
seg
receiving device
network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4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837B1 (ko
Inventor
폴커 뫼스커
안드레아스 빙클러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60095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9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0Master-slave selection or change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04W84/22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with access to wired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veloping Agents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자동 구성(auto configuration)에 의한 다이내믹한 통신망 형태를 갖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KNW)에서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해, 통신망(KNW)의 기능적인 확장(알고리즘/방법의 구현)에 의하여, 통신망이 자체적으로(자동으로) 현재의 통신망 형태 그리고 통신망(KNW)에 가입된 송·수신 장치(SEG)의 상호 접근 가능성을 측정에 의해서 검출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HWI, HWI1 ... HWI4)로부터 주국 또는 기지국(BS, SEG1)의 최적의 위치를 언제나 결정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통신망(KNW)이 설정된다.

Description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기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AUTONOMOUS COMMUNICATIONS NETWORK, TRANSCEIVER AND BASE STATION OF A WIRELESS, AUTONOMOUS COMMUNICATIONS NETWORK AND CORRESPONDING WIRELESS, AUTONOMOUS COMMUNICATIONS NETWORK}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1 및 2의 전제부에 따른,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특허 청구항 33의 전제부에 따른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 장치, 특허 청구항 35의 전제부에 따른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그리고 특허 청구항 17 및 18의 전제부에 따른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망의 경우 - 예컨대 IEEE 표준 802.11a/b/g (WLAN-표준)에 따라 기능하고, 자신의 측에서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도 중계할 수 있는 기지국에 의하여 셋업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의 경우, 통신망에 참여한 모든 송·수신 장치(예를 들어 무선 원격 통신하기 위한 고정국 또는 이동국) - 달리 말해서: 가입자 - 의 접근 가능성(accessibility)은 바람직하게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로서 형성된 주국(master station) 또는 기지국과 관련된, 이동식 또는 고정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관련 장치의 개별 위치에 의존한다.
주국 또는 기지국까지의 시계(視界) 안에 있지 않은 장치들은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도 가입할 수 없다. 주국 또는 기지국이 - 전술한 바와 같이 - 데이터 트래픽을 중계할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직접적으로 볼 수 없는 2개의 장치들은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을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최적의 배치는 하나의 통신망의 성능 및 조명을 최상화할 수 있다.
단지 제한적이기도 하지만, 최적화는 통신망의 형태에 수동적으로 간섭함으로써 제공된다. 그러나, 통신망이 고정망에 액세스하고 이와 같은 액세스가 일반적으로 주국 또는 기지국을 통해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수동적인 간섭에 의한 최적화가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구성(auto configuration)에 의한 다이내믹한 통신망 형태에서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이 성취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구성하기 위한 방법,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 장치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규정된 방법으로부터 출발하여,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밖에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2의 전제부에 규정된 방법으로부터 출발하여, 특허 청구항 2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17의 전제부에 규정된 통신망으로부터 출발하여, 특허 청구항 17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그밖에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18의 전제부에 규정된 통신망으로부터 출발하여, 특허 청구항 18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33의 전제부에 규정된 송·수신 장치로부터 출발하여, 특허 청구항 33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더 나아가 상기 목적은 특허 청구항 35의 전제부에 규정된 기지국으로부터 출발하여, 특허 청구항 35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본 사상은, 통신망의 기능적인 확장(알고리즘/방법의 구현)에 의하여, 통신망이 자체적으로(자동으로) 현재의 통신망 형태 그리고 통신망에 가입되고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WLAN- 및/또는 DECT-장치로서 기능하는 이동식 및 고정식 송·수신 장치의 상호 접근 가능성을 측정에 의해서 검출하고, 그로부터 얻어진 데이터로부터 다른 송·수신 장치에 비하여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만큼 확장된 기본 기능을 갖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최적의 위치를 언제나 결정할 수 있는 상태로 상기 통신망을 설정하는 것이다.
또한, 통신망이 특허 청구항 5, 21 및 36에 따른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경우, 주국 또는 기지국을 통하여 동시에 필연적으로 고정망에 대한 액세스가 구현되지 않음으로써, 상기와 같은 무선 통신망의 고정망에 대한 액세스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으로부터 분리되면, 최상의 통신망 형태를 얻기 위하여 국의 위치를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달성된 주국 또는 기지국의 다이내믹한 배치(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통신망의 다른 송수신 장치로 전달된다는 의미에서의 배치)에 의하여, 네트워크는 자동으로 그리고 수동의 간섭없이 각각 현재 의 최상의 구성을 결정하고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의 자동 구성 가능성에 의해서는, 나머지 송·수신 장치들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가 자동으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주국 또는 기지국의 고장도 처음으로 자동으로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하기 위한 나머지 송·수신 장치들이 기본 기능 외에도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만큼 확장된 기능도 갖는다는 것이다.
독립 청구항들에 제시된 해결책의 큰 장점은, 상기 해결책이 다만 소프트웨어-변경에 의해서만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적으로 기술된 기술적인 이론과 연관된 선행 기술의 이점은 한편으로는 자동 네트워크 구성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자동 네트워크 구성을 성취하는 방식에 있다(참조: 독립 청구항 1, 2, 17, 18, 33 및/또는 35).
통신망 - 예컨대 특히 IEEE 표준 802.11a/b/g (WLAN-표준)에 따라 기능하는 무선 컴퓨터 네트워크 - 이 작동되고, 주국 또는 기지국의 차선의(suboptimal) 배치로 인해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의 모든 장치들이 상기 네트워크에 가입할 수 없다면, 상기 네트워크는 독자적으로 그리고 수동적인 간섭없이 이와 같은 상황을 인식할 수 있으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다른 장치로 전달됨으로써, 개별 장치들의 상호 위치가 허락되는 한 모든 장치들이 상기 네트워크의 유효 범위 안에 들어오게 되는 결과에 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18에서와 같이 5개의 무선 송·수신 장치 - 그 중에서 하나의 장치는 특허 청구항 5, 21 및 36 그리고 도 11 및 도 18에 따라, 고정망 국(fixed-network station)을 갖는 유선 네트워크(고정망)에 액세스함 - 가 존재하면, 상기 장치들이 특허 청구항 8, 24 및 36에 따라서는 바람직하게 통신망의 기지국일 수 있기 때문에, 당연히 모든 송·수신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항상 출발할 수는 없다. 그렇다면, 도 11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망 연결부를 갖는 송·수신 장치와 관련하여 직접적인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지 않은 장치들이 항상 존재하게 된다. 독립 특허 청구항 1, 17 및/또는 35에 포함된 알고리즘/방법에 의하여, 송·수신 장치는 언제나 이 목적을 위해 최상으로 적합한 통신망의 기지국 기능을 갖게 된다.
최상의 적합성에 대한 선택 기준은 자유롭게 선택 가능하거나 또는 관련 통신망 내부에서의 조건들에 적응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자면, 상기 기준들을 예컨대 특허 청구항 9 내지 12, 25 내지 28 및 39 내지 42의 참고 정보의 유형(type of advisory information)을 통해 선택함으로써, 한편으로는 대다수의 송·수신 장치와 관련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특정 송·수신 장치와 관련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마지막 조건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관련 송·수신 장치가 고정망에도 액세스하는 경우에도 충족된다. 그러나 상기 통신망이 고정망에 액세스하지 않는다면, 상기 마지막 조건은 필요 없다.
전술한 알고리즘 또는 전술한 방법은 개별적으로 아래와 같이 기능한다:
처음에는, 즉 통신망의 스타트시에는, 모든 송·수신 장치들이 기존에 구성 된 네트워크를 위한 환경을 모니터링 한다. 이와 같은 모니터링은 네트워크 존재 신호의 수신 여부가 확인됨으로써 이루어진다. 네트워크 존재 신호가 수신된다면,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를 발송하는 송·수신 장치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장치, 즉 주국 또는 기지국이 된다. 네트워크들이 전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가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네트워크들 자체가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하기 시작한다. 이 경우에는, 상호 직접적으로 볼 수 없는, 즉 상호 직접적인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지 않은 장치들이 동시에 하나의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동시에 다수의 네트워크를 볼 수 있는 송·수신 장치가 존재한다면, 상기 송·수신 장치는 모든 송·수신 장치로 또는 단 하나의 송·수신 장치를 제외한 모든 송·수신 장치로 자신들의 네트워크를 종료하라는 지시를 전송해야만 한다. 이 경우에는, 상기 지시를 전송하는 송·수신 장치 또는 상기 지시를 수신하지 않는 송·수신 장치가 주국 또는 기지국이 된다. 통신망의 스타트를 위한 알고리즘/방법과 관련하여 앞에 제시된 부분은 특허 청구항 2, 3, 18, 19 및 33에 기술되어 있다.
후속하는 한 측정 단계에서는, 모든 송·수신 장치들이 또한 다른 송·수신 장치들의 신호 트래픽(signal traffic)을 위한 환경을 모니터링 한다. 이와 같은 신호 트래픽은 관련 송·수신 장치에 어드레스 된 프레임 또는 다른 송·수신 장치들로 전송되는 프레임 또는 다만 측정의 목적으로만 의도되었고 전송 장치의 명확한 확인을 포함해야만 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프레임(Broadcast-Fram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특별한 브로드캐스트-프레임은 규칙적인 간격으로 전송된다.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는 수신 가능한 송·수신 장치들을 하나의 표로 기록해야만 하는데, 상기 표에는 또한 상기 송·수신 장치들에 대한 연결부의 품질에 대한 정보들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측정 단계 후에는 주국 또는 기지국이 추가의 브로드캐스트-프레임을 전송해야만 하는데, 상기 추가의 브로드캐스트-프레임은 이 브로드캐스트-프레임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든 송·수신 장치들에 대하여 자신들의 수집된 데이터를 상기 수신 가능한 송·수신 장치들을 통해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하게 된다.
개별 송·수신 장치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참조하면, 주국 또는 기지국은 자신들과 비교할 때 주국 또는 기지국보다 더 적합한 송·수신 장치가 수신 영역 안에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송·수신 장치가 수신 영역 안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된다. 그렇지 않고 상기와 같은 송·수신 장치가 수신 영역 안에 존재하면,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송·수신 장치가 자신의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의 기능을 더 적합한 송·수신 장치로 전달한다. 이 목적을 위해,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송·수신 장치는, 더 적합한 송·수신 장치가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주고 어드레스 된 송·수신 장치가 그 기능을 담당한다는 사실을 신호로 만들어 더 적합한 장치로 전송하는 프레임을 전송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네트워크(예컨대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장치)와 관련된 구성 데이터도 또 한 새로운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 전달될 수 있다(참조: 도 3, 도 7, 도 15 및 도 16).
도 4, 도 8 내지 도 10, 도 17 및 도 18에서는, 기지국의 기능이 전송된 후의 네트워크를 각각 볼 수 있다.
통신망이 고정망에 액세스하면, 이와 같은 상태는 아래와 같은 알고리즘/방법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송·수신 장치가 고정망 액세스를 제공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지 않으면, 상기 송·수신 장치는 언제나 무선 네트워크의 가입자와 관련된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현재의 정보들을 수신해야만 한다. 그렇지 않으면, 어느 데이터 패킷이 고정망으로부터 무선 네트워크로 전달되어야 하는지가 결정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알고리즘/방법을 토대로 하여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전송되면, 새로운 기지국은 언제나 고정망에 대한 액세스를 중계하는 송·수신 장치의 가시 거리 안에 있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새로운) 주국 또는 기지국은 볼 수 있으나 고정망에 대한 액세스를 갖는 송·수신 장치는 볼 수 없는 무선 네트워크의 가입 장치는 고정망으로부터 끊어지게 된다.
상기 알고리즘/방법은 또한, 상기 알고리즘/방법이 송·수신 장치들간에 이루어지는 선택적인 직접 연결의 경우에도 통신망 내에서 기능하도록 보장해준다.
2개 송·수신 장치들간에 직접 연결의 가능성이 존재하면, 즉 데이터 트래픽이 반드시 주국 또는 기지국을 통해 실행될 필요가 없다면, 각각의 송·수신 장치 는 직접적으로 가능한 대화 파트너를 식별해야만 하고, 유효 범위 안에 있다면,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송·수신 장치도 식별해야만 한다. 이와 같은 식별은 예를 들어 전술한 특별한 브로드캐스트-프레임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특별한 브로드캐스트-프레임 내에서는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송·수신 장치가 특별한 식별 비트(identification bit)를 세팅한다. 상기 프레임이 측정의 목적으로 주기적으로 전송되기 때문에, 각각의 송·수신 장치는 어떤 잠재적인 송·수신 장치가 직접적인 연결을 위해 적합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오로지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송·수신 장치만이 하나의 식별 비트를 세팅하면, 주국 또는 기지국도 또한 분명하게 식별될 수 있다.
그밖에 상기 알고리즘/방법은 기지국의 파손 가능성도 고려한다.
주국 또는 기지국이 다른 이유에서 스위치-오프 되거나 또는 파손되면, 원칙적으로는 전술한 네트워크 스타트의 경우가 나타난다. 상기 무선 네트워크에 가입하는 송·수신 장치들이 기지국의 손실을 인식한 후에는, 상기 송·수신 장치들이 자동으로 하나의 새로운 네트워크를 구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의 개선예들은 나머지 종속항들 그리고 아래의 도면 설명부에서 기술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는 아래에서 도 1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 내지 도 4는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고 고정망 연결부가 없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이며,
도 5 내지 도 10은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2개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고 고정망 연결부가 없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제 2 자동 구성 시나리오이고,
도 11, 도 13, 도 15 및 도 17은 고정망 연결부 및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로서,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은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하지 않으며,
도 12, 도 14, 도 16 및 도 18은 고정망 연결부 및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로서,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은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하고,
도 19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통신하는 고정망 연결부 및 주국 또는 기지국을 구비한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통신하는 송·수신 장치 그리고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21은 도 12, 도 14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통신하는 송·수신 장치 그리고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며,
도 22는 도 18에 따라 상호 통신하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주고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한 송·수신 장치 그리고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 은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4는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고 고정망 연결부가 없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KNW)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네 가지 자동 구성 단계들로 이루어진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통신망(KNW)은 5개의 송·수신 장치(SEG)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는 각각 하나의 이상화된 무선 영역(radio area), 소위 무선 셀(FZ)을 커버 하면서, 개별 무선 셀들이 상기 통신망(KNW)의 관련 무선 통신 가능 구역(radio coverage area)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별 무선 셀(FZ)의 중심부에 상호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신망(KNW)에 속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의 송·수신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통신(신호의 전송)에 의하여 상호 통신한다. 따라서, 신호 트래픽(SV)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신호 트래픽은 다른 무엇보다도 사전 설정된 타임 프레임(time frame)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한다.
통신망(KNW)은 바람직하게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한편, 송·수신 장치(SEG)는 예를 들어 고정 방식 및/또는 이동 방식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은 도 1의 도시에 따라 5개의 무선 셀(FZ1 ... FZ5)로부터 형성되며, 그 중에서 제 1 무선 셀(FZ1)에는 5개 중에 4개의 송·수신 장치(SEG)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 1 무선 셀(FZ1) 내에는 또한 상기 제 1 무선 셀(FZ1)에 이웃하는 3개의 무선 셀 -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및 제 4 무선 셀(FZ4) - 의 제 1 교차 영역(UESB1)이 존재하고, 상기 교차 영역에는 상기 4개 송·수신 장치(SEG)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제 1 무선 셀(FZ1)은 제 5 무선 셀(FZ5)과 함께,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제 2 교차 영역(UESB2)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교차 영역(UESB2) 내에는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따른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에서는, 통신망(KNW)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확장된 기능, 즉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되는 한편,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도 언급되는 나머지 송·수신 장치(SEG)는, 이 장치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지라도, 장치 고유의 기본 기능을 갖는다. 상기 할당된 기능에 상응하게,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한다. 주국 또는 기지국(BS)의 시점에서 볼 때,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BS)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이다.
도 1에 따라,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언급되고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 4 무선 셀(FZ4)의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통신망(KNW) 조 작자(operator)에 의하여 할당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통신망(KNW)으로부터 특별한 할당 절차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특별한 할당 절차는 아래에서 도 1에 도시된 통신망(KNW)을 위하여 설명된다:
상기 통신망(KNW) 내에서는, 가입된 어떤 송·수신 장치(SEG)도 각각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 또는 다른 송·수신 장치(SEG)의 존재에 대하여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는 우선 자신의 주변에 송·수신 장치(SEG)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심지어는 이미 통신망(KNW)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한 번 결정할 것이다. 이때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자발적으로 하나의 통신망을 셋업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관련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브로드캐스트-신호로서 발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발송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상기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스스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수신하면 - 이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송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확장된 기능, 다시 말해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도 1에서 제 4 무선 셀(FZ4) 및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도시되었다.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방송한다(broadcast)".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는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다수의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수신하는 한편,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그리고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이미 언급된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결국, 상기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어느 정도까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되는지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1차-송·수신 장치(P-SEG)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마찬가지로 수신한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와 관련하여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달려있다.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 즉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들, 즉 2차-송·수 신 장치(S-SEG)들 대신에 각각 하나의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 도 1에 따르면 이와 같은 송·수신 장치(SEG)는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및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이다 -, 다양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또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를 제외한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instruction signal)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는다.
첫 번째로 언급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그러나 그와 달리 마지막으로 언급한 경우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도 1에 따르면, 명령 신호(AS)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2 무선 셀(FZ2) 및 제 3 무선 셀(FZ3)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되는 한편,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동시에 1차 송·수신 장치(P-SEG)(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및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가 되며, 그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할당 절차에 따라서도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또한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에서는, 측정 기능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도 규칙적인 시간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된다. 상기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을 참조하여, 송·수신 장치(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고,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각각 4개의 참고 정보(HWI)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발생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privileged)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 및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된다.
대안적으로는, 4개보다 많거나 적은 참고 정보(HWI)들이 발생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만 제 1 참고 정보(HWI1)에만 한정될 수 있다.
도 1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및 제 4 무선 셀 (FZ4)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2에 따른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2 단계에서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분배 메시지(VN)가 발송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하여 이 분배 메시지(VN)를 수신할 수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각각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는다. 이와 관련한 요구를 받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도 1에 도시된 제 1 무선 셀(FZ1) 및 제 5 무선 셀(FZ5)에 상응하고 마찬가지로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2개의 송·수신 장치(SEG)이다. 분배 메시지(VN)의 수신 후에는, 요구를 받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발생된 자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자체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 전송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한다.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차 도 1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및 제 4 무선 셀(FZ4)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3에 따른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3 단계에서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도 2에 따라 수신된 고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평가 하여 기능 담당을 위해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결정한 후에, 제어 정보(STI)가 발생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즉 도 1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으며, 그 때문에 제어 정보(STI)는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STI)에 의하여,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상기 장치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게 된다.
이 자리에서 형식 때문에 언급해야 할 내용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송·수신 장치(SEG2)도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한 제어 정보(STI)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1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및 제 1 무선 셀(FZ1)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4에 따른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4 단계에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의 교체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은 지금까지 제 1 송·수신 장치(SEG1)(도 1 내지 도 3 참조)였던 제 4 무선 셀(FZ4)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새로운 제 1 송·수신 장치(SEG1)인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고 기술된 자동 구성 단계들은 언제라도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가입된 송·수신 장치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통신망의 변동에 대하여 다이내믹 적응의 의미에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고, 언제나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이 성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10은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2개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고 고정망 연결부가 없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제 1 시나리오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차 네 가지 자동 구성 단계들로 이루어진 제 2 자동 구성 시나리오를 보여준다.
통신망(KNW)은 5개의 송·수신 장치(SEG)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는 각각 하나의 이상화된 무선 영역(radio area), 소위 무선 셀(FZ)을 커버 하면서, 개별 무선 셀들이 상기 통신망(KNW)의 관련 무선 통신 가능 구역(radio coverage area)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별 무선 셀(FZ)의 중심부에 상호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신망(KNW)에 속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재차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의 송·수신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통신(신호의 전송)에 의하여 상호 통신한다. 따라서, 재차 신호 트래픽(SV)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신호 트래픽은 재차 다른 무엇보다도 사전 설정된 타임 프레임(time frame)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한다.
통신망(KNW)은 재차 바람직하게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l; Wireless Local Area Network)"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한편, 송·수신 장치(SEG)는 예를 들어 고정 방식 및/또는 이동 방식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은 도 5의 도시에 따라 재차 5개의 무선 셀(FZ1 ... FZ5)로부터 형성되며, 그 중에서 재차 제 1 무선 셀(FZ1)에는 5개 중에 4개의 송·수신 장치(SEG)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 1 무선 셀(FZ1) 내에는 또한 재차 상기 제 1 무선 셀(FZ1)에 이웃하는 3개의 무선 셀 -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및 제 4 무선 셀(FZ4) - 의 제 1 교차 영역(UESB1)이 존재하고, 상기 교차 영역에는 상기 4개 송·수신 장치(SEG)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제 1 무선 셀(FZ1)은 재차 제 5 무선 셀(FZ5)과 함께,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제 2 교차 영역(UESB2)을 형성한다. 상기 제 2 교차 영역(UESB2) 내에는 재차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도 5에 따른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에서는, 통신망(KNW)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2개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확장된 기능, 즉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되는 한편,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도 언급되는 나머지 송·수신 장치(SEG)는, 이 장치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지라도, 장치 고유의 기본 기능을 갖는다. 상기 할당된 기능에 상응하게,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한다. 주국 또는 기지국(BS)의 시점에서 볼 때,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BS)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이다.
도 5에 따라,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언급되고 제 2 무선 셀(FZ2) 및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 2 및 제 5 무선 셀(FZ2, FZ5)의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재차 통신망(KNW) 조작자(operator)에 의하여 할당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통신망(KNW)으로부터 특별한 할당 절차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특별한 할당 절차는 아래에서 도 5에 도시된 통신망(KNW)을 위하여 설명된다:
상기 통신망(KNW) 내에서는, 재차 가입된 어떤 송·수신 장치(SEG)도 각각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 또는 다른 송·수신 장치(SEG)의 존재에 대하여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는 재차 우선 자신의 주변에 송·수신 장치(SEG)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심지어는 이미 통신망(KNW)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한 번 결정할 것이다. 이때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재차 자발적으로 하나의 통신망을 셋업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관련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브로드캐스트-신호로서 발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발송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상기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스스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 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수신하면 - 이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송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할당 절차에 따라서 확장된 기능, 다시 말해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도 5에서 제 4 무선 셀(FZ4) 및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도시되었다.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방송한다(broadcast)".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는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에 따라, 다만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만 수신될 수 있다.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수신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마찬가지로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혀 수신하지 않고,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지 한 번만 그리고 특히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수신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이미 언급된 1차-송·수신 장치(P-SEG)가 되고,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는 또한 이미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되는데, 그 이유는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 가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이웃하지도 않고,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 발송하지도 않았기 때문이다.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 도 5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SEG)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1)이다 -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 즉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들, 즉 2차-송·수신 장치(S-SEG)들 대신에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 도 5에 따르면 이와 같은 송·수신 장치(SEG)는 제 2 무선 셀(FZ2) 및 제 3 무선 셀(FZ3)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이다 -, 다양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재차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또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를 제외한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instruction signal)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는다.
첫 번째로 언급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그러나 그와 달리 마지막으로 언급한 경우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도 5에 따르면, 명령 신호(AS)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3 무선 셀(FZ3)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되는 한편, 제 2 무선 셀(FZ2)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무선 셀(FZ2)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 외에 할당 절차에 따라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가 된다.
또한 제 2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에서는, 재차 측정 기능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도 규칙적인 시간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된다. 상기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을 참조하여, 재차 송·수신 장치(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고, 재차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각각 4개의 참고 정보(HWI)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발생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재차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privileged)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 및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된다.
대안적으로는, 재차 4개보다 많거나 적은 참고 정보(HWI)들이 발생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만 제 1 참고 정보(HWI1)에만 한정될 수 있다.
도 5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제 2 무선 셀(FZ2) 및 제 5 무선 셀(FZ5)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6에 따른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2 단계에서는, 제 2 및 제 5 무선 셀(FZ2, FZ5)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각각 하나의 분배 메시지(VN)가 발송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하여 이 분배 메시지(VN)를 수신할 수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각각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각각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는다. 이와 관련한 요구를 받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제 2 무선 셀(FZ2)과 관련해서는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셀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며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이고, 제 5 무선 셀(FZ5)과 관련해서는 마찬가지로 상기 무선 셀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며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이다. 분배 메시지(VN)의 수신 후에는, 각각 요청을 받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발생된 자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제 2 및 제 5 무선 셀(FZ2, FZ5) 내에 있는 각각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상기 2개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각각 자 체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 각각 전송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참조하여, 각각 관련이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각각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상기 각각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더 적합한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도 6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차 도 5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제 2 무선 셀(FZ2) 및 제 5 무선 셀(FZ5)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7에 따른 제 2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3 단계에서는, 제 2 및 제 5 무선 셀(FZ2, FZ5)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도 6에 따라 수신된 고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평가하여 각각 기능 담당을 위해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결정한 후에, 각각 하나의 제어 정보(STI)가 발생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각각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즉 도 5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로 또는 도 5에 따라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제 2 무선 셀(FZ2) 내에 있는 한편,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음으로써, 제어 정보(STI)는 각각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STI)에 의하여,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 및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각각 상기 장치들이 주국 또는 기지 국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게 된다.
이 자리에서 형식 때문에 언급해야 할 내용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송·수신 장치(SEG2)도 각각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각각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한 제어 정보(STI)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5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제 1 무선 셀(FZ1) 및 제 4 무선 셀(FZ4)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8에 따른 제 2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4 단계에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들의 이중-교체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은 지금까지 제 1 송·수신 장치(SEG1)(도 5 내지 도 7 참조)였던 제 2 무선 셀(FZ2)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새로운 제 1 송·수신 장치(SEG1)인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될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 제 1 송·수신 장치(SEG1)(도 5 내지 도 7 참조)였던 제 5 무선 셀(FZ5)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새로운 제 1 송·수신 장치(SEG1)인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고 기술된 자동 구성 단계들은 언제라도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가입된 송·수신 장치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통신망의 변동에 대하여 다이내믹 적응의 의미에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고, 언제나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이 성취될 수 있다.
더 나아가, 2개의 주국 또는 기지국(BS)을 구비한 통신망(KNW)의 도 8에 도 시된 구성은, 전체 통신망을 위하여 다만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BS)이 제공될 정도로 더욱 단순화되거나 또는 최적화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경우 I에서는)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고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방금 수신된 자신의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마찬가지로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고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달하거나, 또는 (경우 II에서는)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고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방금 수신된 자신의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마찬가지로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고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달한다.
경우 1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망(KNW) 구성이 존재하는 한편, 경우 2에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통신망(KNW) 구성이 존재한다. 도 9에 도시된 통신망(KNW)은 상기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4 단계를 보여주는 도 4에 도시된 네트워크에 정확하게 대응된다. 그에 비해 도 10에 도시된 통신망(KNW)은, 도 2에 도시된 분배 메시지(VN) 및 참고 정보(HWI1 ... HWI4)의 전송을 제외하고는,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2 단계를 보여주는 도 2에 도시된 네트워크의 기본 상태에 대응된다.
달리 말해서: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10에서 그곳에 도시된 분배 메시지(VN) 및 참고 정보(HWI1 ... HWI4)의 전송이 이루어지면, 경우 II에서도 상기 2개 도면 간에는 정확한 일치가 존재한다.
따라서, 두 가지 경우에는, 전술한 단순화가 진행됨에 따라 제 2 자동 구성 시나리오는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로 되돌아갔다.
도 11, 도 13, 도 15 및 도 17은 재차 고정망 연결부 및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네 가지 자동 구성 단계들로 이루어진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를 보여주며,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은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통신망(KNW)은 재차 5개의 송·수신 장치(SEG)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는 재차 각각 하나의 이상화된 무선 영역(radio area), 소위 무선 셀(FZ)을 커버 하면서, 개별 무선 셀들이 상기 통신망(KNW)의 관련 무선 통신 가능 구역(radio coverage area)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별 무선 셀(FZ)의 중심부에 상호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신망(KNW)에 속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의 송·수신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통신(신호의 전송)에 의하여 상호 통신한다. 따라서, 재차 신호 트래픽(SV)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신호 트래픽은 재차 다른 무엇보다도 사전 설정된 타임 프레임(time frame)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한다.
통신망(KNW)은 바람직하게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l; Wireless Local Area Network)"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한편, 송·수신 장치(SEG)는 예를 들어 고정 방식 및/또는 이동 방식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은 도 11의 도시에 따라 재차 5개의 무선 셀(FZ1 ... FZ5)로부터 형성되며, 그 중에서 재차 제 1 무선 셀(FZ1)에는 모든 5개의 송·수신 장치(SEG)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 1 무선 셀(FZ1) 내에는 또한 상기 제 1 무선 셀(FZ1)에 이웃하는 4개의 무선 셀 -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제 4 무선 셀(FZ4) 및 제 5 무선 셀(FZ5) - 의 제 3 교차 영역(UESB1)이 존재하고, 상기 교차 영역에는 상기 4개 송·수신 장치(SEG)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제 1 무선 셀(FZ1)은 제 4 및 제 5 무선 셀(FZ4, FZ5)과 함께, 마찬가지로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제 4 교차 영역(UESB4)을 형성한다. 상기 제 4 교차 영역(UESB2) 내에는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 및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도 11에 따른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에서는, 통신망(KNW)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재차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확장된 기능, 즉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되는 한편,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도 언급되는 나머지 송·수신 장치(SEG)는, 이 장치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재차 일반적으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지라도, 장치 고유의 기본 기능을 갖는다. 상기 할당된 기능에 상응하게,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재차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한다. 주국 또는 기지국(BS)의 시점에서 볼 때,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 (BS)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재차 최초-송·수신 장치(E-SEG)이다.
도 11의 통신망(KNW)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지금까지의 통신망(KNW)과 비교할 때,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3 송·수신 장치(SEG)로서 종래의 고정망국(FNS1 ... FNS3) 이외에 하나의 고정망 연결부를 통해 고정망(FN)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의 고정망국(FNS1 ... FNS3) 중에서 제 1 고정망국(FNS1)은 제 5 무선 셀(FZ5) 내에 포함되어 있고, 제 2 및 제 3 고정망국(FNS2, FNS3)은 제 4 무선 셀(FZ4) 내에 뿐만 아니라 제 5 무선 셀(FZ5) 내에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도 11에 따라,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언급되고 제 4 무선 셀(FZ4)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 4 무선 셀(FZ4)의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통신망(KNW) 조작자(operator)에 의하여 할당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통신망(KNW)으로부터 특별한 할당 절차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특별한 할당 절차는 아래에서 도 11에 도시된 통신망(KNW)을 위하여 설명된다:
상기 통신망(KNW) 내에서는, 재차 가입된 어떤 송·수신 장치(SEG)도 각각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 또는 다른 송·수신 장치(SEG)의 존재에 대하여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는 재차 우선 자신의 주변에 송·수신 장치(SEG)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심지어는 이미 통신망(KNW)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한 번 결정할 것이다. 이때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재차 자발적으로 하나의 통신망을 셋업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관련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브로드캐스트-신호로서 발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발송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상기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재차 스스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수신하면 - 이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송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재차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확장된 기능, 다시 말해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도 11에서 제 4 무선 셀(FZ4) 및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도시되었다.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방송한다(broadcast)".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는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다수의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수신하는 한편,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그리고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이미 언급된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결국,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어느 정도까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되는지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1차-송·수신 장치(P-SEG)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마찬가지로 수신한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와 관련하여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달려있다.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 즉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들, 즉 2차-송·수신 장치(S-SEG)들 대신에 각각 하나의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 도 11에 따르면 이와 같은 송·수신 장치(SEG)는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및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이다 -, 다양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재차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또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를 제외한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instruction signal)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 ·수신 장치(S-SEG)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는다.
첫 번째로 언급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그러나 그와 달리 마지막으로 언급한 경우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도 11에 따르면, 명령 신호(AS)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2 무선 셀(FZ2) 및 제 3 무선 셀(FZ3)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되는 한편,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동시에 1차 송·수신 장치(P-SEG)(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및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가 되며, 그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할당 절차에 따라서도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또한 제 1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에서는, 측정 기능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도 규칙적인 시간 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된다. 상기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을 참조하여, 재차 송·수신 장치(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고,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재차 각각 4개의 참고 정보(HWI)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발생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privileged)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 및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된다.
대안적으로는, 재차 4개보다 많거나 적은 참고 정보(HWI)들이 발생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만 제 1 참고 정보(HWI1)에만 한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따른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고 고정망(FN)과 연결된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 제 2 및 그와 동시에 제 3 송·수신 장치(SEG2, SEG3)로부터 - 특별한 식별 정보(IDI)가 발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며 - 도 11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송·수신 장치(SEG), 다시 말해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 (SEG1)이기도 하다.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역동작(countermove)으로,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 의해서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통신망(KNW) 및 상기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게 된다.
도 11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고정망(FN)에 대한 고정망 연결부를 포함한 고정망국(FNS1 ... FNS3) 및 제 4 무선 셀(FZ4)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3에 따른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2 단계에서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재차 분배 메시지(VN)가 발송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하여 이 분배 메시지(VN)를 수신할 수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각각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는다. 이와 관련한 요구를 받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도 11에 도시된 제 1 무선 셀(FZ1) 및 제 5 무선 셀(FZ5)에 상응하고 마찬가지로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2개의 송·수신 장치(SEG)이다. 분배 메시지(VN)의 수신 후에는, 요청을 받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발생된 자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재차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자체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 전송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참조 하여, 재차 전술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한다.
도 13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차 도 11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고정망(FN)에 대한 고정망 연결부를 포함한 고정망국(FNS1 ... FNS3) 및 제 4 무선 셀(FZ4)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5에 따른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3 단계에서는, 재차 제 4 무선 셀(FZ4)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도 13에 따라 수신된 고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평가하여 기능 담당을 위해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결정한 후에, 제어 정보(STI)가 발생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즉 도 11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으며, 그 때문에 제어 정보(STI)는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STI)에 의하여,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상기 장치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게 된다.
이 자리에서 형식 때문에 언급해야 할 내용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송·수신 장치(SEG2)도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한 제어 정보(STI)의 발송이 이루어 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11의 통신망(KNW) 중에서 재차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고정망(FN)에 대한 고정망 연결부를 포함한 고정망국(FNS1 ... FNS3) 및 제 1 무선 셀(FZ1)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7에 따른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4 단계에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의 교체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은 재차 지금까지 제 1 송·수신 장치(SEG1)(도 11, 도 13 및 도 15 참조)였던 제 4 무선 셀(FZ4)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새로운 제 1 송·수신 장치(SEG1)인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도 17에 따른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상기 제 4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재차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고 고정망(FN)과 연결된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 제 2 및 그와 동시에 제 3 송·수신 장치(SEG2, SEG3)로부터 - 특별한 식별 정보(IDI)가 발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며 - 도 11 및 도 17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송·수신 장치(SEG), 다시 말해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이기도 하다.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는 재차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역동작(countermove)으로,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 의 해서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통신망(KNW) 및 상기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게 된다.
도 11, 도 13, 도 15 및 도 17에 도시되고 기술된 자동 구성 단계들은 언제라도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가입된 송·수신 장치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통신망의 변동에 대하여 다이내믹 적응의 의미에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고, 언제나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이 성취될 수 있다.
도 12, 도 14, 도 16 및 도 18은 재차 고정망 연결부 및 단 하나의 주국 또는 기지국을 갖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위하여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을 성취하기 위한 네 가지 자동 구성 단계로 이루어진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를 보여주며,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은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시에 고정망 연결부를 구비한다.
통신망(KNW)은 재차 5개의 송·수신 장치(SEG)를 포함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는 재차 각각 하나의 이상화된 무선 영역(radio area), 소위 무선 셀(FZ)을 커버 하면서, 개별 무선 셀들이 상기 통신망(KNW)의 관련 무선 통신 가능 구역(radio coverage area)을 형성하도록 상기 개별 무선 셀(FZ)의 중심부에 상호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통신망(KNW)에 속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의 송·수신 장치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 기술적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고, 무선 통신(신호의 전송)에 의하여 상호 통신한다. 따라서, 신호 트래픽(SV)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신호 트래픽은 재차 다른 무엇보다도 사전 설정된 타임 프레임(time frame)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한다.
통신망(KNW)은 바람직하게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l; Wireless Local Area Network)"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한편, 송·수신 장치(SEG)는 예를 들어 고정 방식 및/또는 이동 방식 장치로서 형성될 수 있다.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은 도 12의 도시에 따라 재차 5개의 무선 셀(FZ1 ... FZ5)로부터 형성되며, 그 중에서 제 1 무선 셀(FZ1)에는 5개 중에 4개의 송·수신 장치(SEG)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제 1 무선 셀(FZ1) 내에는 또한 상기 제 1 무선 셀(FZ1)에 이웃하는 3개의 무선 셀 -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및 제 5 무선 셀(FZ5) - 의 제 5 교차 영역(UESB5)이 존재하고, 상기 교차 영역에는 상기 4개 송·수신 장치(SEG)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더 나아가 제 1 무선 셀(FZ1)은 제 5 무선 셀(FZ5)과 함께, 마찬가지로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제 6 교차 영역(UESB6)을 형성한다. 상기 제 6 교차 영역(UESB6) 내에는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 및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배치되어 있다.
도 12에 따른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스타트)에서는, 통신망(KNW)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재차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확장된 기능, 즉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되는 한편,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도 언급되는 나머지 송·수신 장치(SEG)는, 이 장치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마찬가지로 재차 일반적으로는 주국 또는 기지 국의 기능을 담당할 수 있을지라도, 장치 고유의 기본 기능을 갖는다. 상기 할당된 기능에 상응하게,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재차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한다. 주국 또는 기지국(BS)의 시점에서 볼 때,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BS)에 대하여 직접 또는 간접으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재차 최초-송·수신 장치(E-SEG)이다.
도 12의 통신망(KNW)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통신망(KNW)과 비교할 때,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3 송·수신 장치(SEG)로서 종래의 고정망국(FNS1 ... FNS3) 이외에 하나의 고정망 연결부를 통해 고정망(FN)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종래의 고정망국(FNS1 ... FNS3) 중에서 제 1 고정망국(FNS1) 및 제 2 고정망국(FNS2)은 제 5 무선 셀(FZ5) 내에 포함되어 있고, 제 3 고정망국(FNS3)은 제 4 무선 셀(FZ4) 내에 뿐만 아니라 제 5 무선 셀(FZ5) 내에도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상이하다.
더 나아가 도 12에 따라서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언급되고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제 4 무선 셀(FZ4)의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통신망(KNW) 조작자(operator)에 의하여 할당되는 방식으로 받을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통신망(KNW)으로부터 특별한 할당 절차에 의해서 얻을 수 있다.
상기 특별한 할당 절차는 아래에서 도 12에 도시된 통신망(KNW)을 위하여 설명된다:
상기 통신망(KNW) 내에서는, 재차 가입된 어떤 송·수신 장치(SEG)도 각각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 또는 다른 송·수신 장치(SEG)의 존재에 대하여 인식하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는 재차 우선 자신의 주변에 송·수신 장치(SEG)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또는 심지어는 이미 통신망(KNW)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한 번 결정할 것이다. 이때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확인되면, 재차 자발적으로 하나의 통신망을 셋업하는 작업이 시작된다. 이와 같은 작업은 재차, 관련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브로드캐스트-신호로서 발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발송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상기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재차 스스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하는 것을 중단시킨다.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수신하면 - 이 경우에는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송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재차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는 상기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확장된 기능, 다시 말해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고, 그에 따라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는 도 12에서 제 4 무선 셀(FZ4) 및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하여 도시되었다.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방송한다(broadcast)".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는 통신망(KNW)의 무선 통신 가능 구역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도 수신될 수 있다.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다수의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수신하는 한편,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단 한 번만 그리고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한다. 따라서, 상기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이미 언급된 1차-송·수신 장치(P-SEG)이다. 결국,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어느 정도까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되는지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1차-송·수신 장치(P-SEG)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마찬가지로 수신한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와 관련하여 어떻게 반응하는가에 달려있다.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와 마찬가지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 즉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들, 즉 2차-송·수신 장치(S-SEG)들 대신에 각각 하나의 상기와 같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면 - 도 12에 따르면 이와 같은 송·수신 장치(SEG)는 제 2 무선 셀(FZ2), 제 3 무선 셀(FZ3) 및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이다 -, 다양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 치(SEG)는 재차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또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를 제외한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instruction signal)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는다.
첫 번째로 언급한 경우에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그러나 그와 달리 마지막으로 언급한 경우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일 것이다.
도 12에 따르면, 명령 신호(AS)는 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2 무선 셀(FZ2) 및 제 3 무선 셀(FZ3)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되는 한편,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는 동시에 1차 송·수신 장치(P-SEG)(제 4 무선 셀(FZ4)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 및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제 1 무선 셀(FZ1) 내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시점에서 볼 때)가 되며, 그에 따라 궁극적으로는 할당 절차에 따라서도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동시에 또한 고정망(FN)에 대하여 액세스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된다.
또한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1 단계에서는, 측정 기능하는 송·수신 장치(SEG)의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즉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도 규칙적인 시간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된다. 상기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을 참조하여, 재차 송·수신 장치(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고, 재차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각각 4개의 참고 정보(HWI)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발생되어 저장된다.
따라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privileged)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 및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된다.
대안적으로는, 4개보다 많거나 적은 참고 정보(HWI)들이 발생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다만 제 1 참고 정보(HWI1)에만 한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따른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상기 제 1 단계에서는,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고 고정망(FN)과 연결된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 제 1 및 그와 동시에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부터 - 특별한 식별 정보(IDI)가 발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 (SEG)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며 - 도 12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송·수신 장치(SEG)이다.
제 1 송·수신 장치(SEG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동일한 장치이기 때문에, 제 3 자동 구성 시나리오와 달리 이제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가 전혀 발송되지 않는다.
도 12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고정망(FN)에 대한 고정망 연결부를 포함한 고정망국(FNS1 ... FNS3) 및 제 5 무선 셀(FZ5)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4에 따른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2 단계에서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부터 재차 분배 메시지(VN)가 발송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하여 이 분배 메시지(VN)를 수신할 수 있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각각 상기 장치들로부터 발생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는다. 이와 관련한 요구를 받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도 12에 도시된 제 1 무선 셀(FZ1) 및 제 4 무선 셀(FZ4)에 상응하고 마찬가지로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2개의 송·수신 장치(SEG)이다. 분배 메시지(VN)의 수신 후에는, 요청을 받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발생된 자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재차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 전송한다. 그 다음에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는 자체적으로 발생되고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의해서 전송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참조하여, 재차 전술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비해 상기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부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한다.
도 14에서와 마찬가지로 재차 도 12의 통신망(KNW) 중에서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고정망(FN)에 대한 고정망 연결부를 포함한 고정망국(FNS1 ... FNS3) 및 제 5 무선 셀(FZ5)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6에 따른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3 단계에서는, 재차 제 5 무선 셀(FZ5) 내에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 즉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부터, 상기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가 도 14에 따라 수신된 고유의 참고 정보(HWI1 ... HWI4)를 평가하여 기능 담당을 위해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결정한 후에, 제어 정보(STI)가 발생되고, 상기 제어 정보는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즉 도 12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와 마찬가지로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으며, 그 때문에 제어 정보(STI)는 직접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STI)에 의하여,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상기 장치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는 지시를 받게 된다.
이 자리에서 재차 형식 때문에 언급해야 할 내용은,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송·수신 장치(SEG2)도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에 비해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에 의한 제어 정보(STI)의 발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12의 통신망(KNW) 중에서 재차 다만 5개의 송·수신 장치(SEG), 고정망(FN)에 대한 고정망 연결부를 포함한 고정망국(FNS1 ... FNS3) 및 제 1 무선 셀(FZ1)만이 도시되어 있는 도 18에 따른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제 4 단계에서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송·수신 장치(SEG)의 교체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은 재차 지금까지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도 12, 도 14 및 도 16 참조)였던 제 5 무선 셀(FZ5)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 1 무선 셀(FZ1)에 대응하는 새로운 제 1 송·수신 장치(SEG1)인 송·수신 장치(SEG)로 전송된다.
도 18에 따른 제 4 자동 구성 시나리오의 상기 제 4 단계에서는, 예를 들어 재차 제 5 무선 셀(FZ5)에 대응하고 고정망(FN)과 연결된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 이번에는 제 2 및 그와 동시에 제 3 송·수신 장치(SEG2, SEG3)로부터 - 특별한 식별 정보(IDI)가 발송되며,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얻게 되며 - 도 12 및 도 18에 따라 상기 송·수신 장치(SEG)는 제 5 무선 셀(FZ5) 내에 있거나 또는 계속적으로 존재하는 송·수신 장치(SEG), 다시 말해 이번에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이기도 하다.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는 재차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역동작(countermove)으로, 제 1 송·수신 장치 (SEG1)로부터 전송되는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를 수신하며, 상기 상태 정보에 의해서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통신망(KNW) 및 상기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게 된다.
도 12, 도 14, 도 16 및 도 18에 도시되고 기술된 자동 구성 단계들은 언제라도 반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 의해서는, 예를 들어 가입된 송·수신 장치들의 개수와 관련이 있는 통신망의 변동에 대하여 다이내믹 적응의 의미에서 유연하게 반응할 수 있고, 언제나 최상의 네트워크 성능 및 네트워크 조명이 성취될 수 있다.
도 19 내지 도 22는 각각 도 1 내지 도 18의 통신망(KNW)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송·수신 장치 그리고 주국 또는 기지국의 구성을 보여준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주국 또는 기지국 그리고 송·수신 장치는 각각 하나의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을 포함하며,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과 송·수신 수단(SEM) 사이에는 제 1 물리적 연결부(PV1)가 존재한다. 더 나아가,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전력 공급 회로(SVGS) 사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 2 물리적 연결부(PV2)가 제공되고,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과 고정망(LAS)을 위한 라인 접속부 사이에서 고정망에 대한 능동적인(active) 또는 비능동적인(inactive) 접속을 위하여 제 3 물리적 연결부(PV3)가 제공되며, 이 경우 고정망에 대한 상기 비능동적 접속은 파선으로 표시된 라인 접속부(LAS)에 의해서 표현된다.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는, 바람직하게 하드웨어로서 형성된 저장 수단(SPM) 그리고 전술한 도면들에 도시되지 않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및 마이크로컨트 롤러를 제외하고, 특히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로서 형성된 프로그램 가능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및/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 할당된 모듈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모듈은:
제 1 평가 수단(AWM1), 제 2 평가 수단(AWM2), 제 1 정보 발생 수단(IEM1), 제 2 정보 발생 수단(IEM2), 제 3 정보 발생 수단(IEM3), 메시지 발생 수단(NEM),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발생 수단(NZIEM), 테스트 수단(PM) 및 신호 발생 수단(SIEM)을 포함한다.
도 19 내지 도 22에 도시된 송·수신 장치 그리고 주국 또는 기지국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신호 트래픽(SV)이 전개된다. 그러나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LSS)는 송·수신 장치와 상기 주국 또는 기지국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호 트래픽(SV)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아주 일반적으로는 다양한 송·수신 장치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신호 트래픽(SAV)을 위해서도 제공된다.
도 19에는, 통신이 종료된 후에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서 제 3 송·수신 장치(SEG3)의 시점에서 볼 때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 하도록(할당 절차), 도 11에 따라 고정망(FN)에 대한 연결부를 갖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로서 형성되고 제 5 무선 셀(FZ5)에 상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하여,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개되는 신호 트래픽(SV)에 의해서, 도 11에 따라 제 4 무선 셀(FZ4)에 상응하는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와 통신하는 방식이 도시 되어 있다.
이미 도 11의 설명부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상기 할당 절차가 진행되면서,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1 송·수신 장치(SEG1)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1 논리 연결(LV1)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1 논리 연결(LV1)에 따라서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신호 발생 수단(SIEM)에 의해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발생되며,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송·수신 장치(SEG3)에 제공되며,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테스트 수단(PM)으로 계속 전달된다.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수신되었는지 그리고 그에 따라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도록, 테스트 수단(PM) 및 신호 발생 수단(SIEM)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그리고 송·수신 수단(SEM)이 형성되며, 이 경우,
(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다만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부터만 제공된다면,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는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1차-송·수신 장치(P-SEG)이며,
(ⅱ)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전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 3 송·수신 장치(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신호 발생 수단(SIEM)에 의해 네트워크 존 재 신호(NES)가 발생되고,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됨으로써,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는 스스로 고유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더 나아가 도 11에 따라서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를 통해 정보를 얻고,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도록 하기 위하여,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1 송·수신 장치(SEG1)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2 논리 연결(LV2)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2 논리 연결(LV2)에 따라서는, 우선 제 3 송·수신 장치(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제 3 정보 발생 수단(IEM3)에 의해 식별 정보(IDI)가 발생되며, 상기 식별 정보(IDI)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식별 정보(IDI)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저장 수단(SPM)으로 계속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식별 정보의 전송이 진행되면서, 제 2 논리 연결(LV2)에 따라 제 1 송·수신 장치(SEG1)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네트워크 상태 발생 수단(NZIEM)에 의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가 발생되며,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송·수신 장치(SEG3)에 제공되며,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저장 수단(SPM)으로 계속 전달된다.
도 20에는, 통신이 종료된 후에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추가로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서 제 2 송·수신 장치(SEG2)의 시점에서 볼 때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 하도록(할당 절차), 도 12에 따라 고정망(FN)에 대한 연결부를 갖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로서 형성되고 제 5 무선 셀(FZ5)에 상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하여,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개되는 신호 트래픽(SV)에 의해서, 도 12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상응하고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서 표기된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와 통신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미 도 12의 설명부에서 상세하게 논의된 상기 할당 절차가 진행되면서, 재차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1 논리 연결(LV1)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1 논리 연결(LV1)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신호 발생 수단(SIEM)에 의해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발생되며,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테스트 수단(PM)으로 계속 전달된다.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서는,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수신되었는지 그리고 그에 따라 존재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도록, 테스트 수단(PM) 및 신호 발생 수단(SIEM)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그리고 송·수신 수단(SEM)이 형성되며, 이 경우,
(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2차-송·수신 장치(S-SEG)로서 표기된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공된다면,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를 제외한 2차-송·수신 장치(S-SEG)로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는 주국 또는 기지국(BS)이 되며,
(ⅱ)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2차-송·수신 장치(S-SEG)로서 표기된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제공된다면,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모든 2차-송·수신 장치(S-SEG)로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게 되고,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는 각각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주국 또는 기지국(BS)이 될 것이며,
(ⅲ)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전혀 수신되지 않았다면, 제 2 송·수신 장치(SEG2)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신호 발생 수단(SIEM)에 의해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발생되고,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발송됨으로써,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스스로 고유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게 될 것이다.
도 20에 도시된 전술한 경우 (ⅰ)에 따라,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2차-송·수신 장치(S-SEG) 사이에 제 3 논리 연결(LV3)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3 논리 연결(LV3)에 따라서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신호 발생 수단(SIEM)에 의해 명령 신호(AS)가 발생되며, 상기 명령 신호(AS)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2차-송·수신 장치(S-SEG)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 도 12에 따라서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를 통해 정보를 얻도록 하기 위하여,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1 송·수신 장치(SEG1)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4 논리 연결(LV4)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4 논리 연결(LV4)에 따라서는, 제 1 및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제 3 정보 발생 수단(IEM3)에 의해 식별 정보(IDI)가 발생되며, 상기 식별 정보(IDI)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식별 정보(IDI)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저장 수단(SPM)으로 계속 전달된다.
도 21에는, 통신이 종료된 후에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가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넘겨줄 수 있도록, 도 12, 도 14 및 도 16에 따라 고정망(FN)에 대한 연결부를 갖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로서 형성되고,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된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5 무선 셀(FZ5)에 상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하여,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개되는 신호 트래픽(SV)에 의해서, 도 12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상응하고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서 표기된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와 통신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일 먼저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그리고 제 2 송·수신 장치(SEG2)와 추가의 제 2 송·수신 장치(SEG2), 즉 2차-송·수신 장치(S-SEG) 사이에 제 5 논리 연결(LV5)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5 논리 연결(LV5)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뿐만 아니라 각각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말하자면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들의 제 2 송·수신 장치(SEG2)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도 -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경우에는 상기 이웃 하는 송·수신 장치가 예를 들어 제 2 송·수신 장치(SEG2)이고, 제 2 송·수신 장치(SEG2)의 경우에는 상기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가 2차-송·수신 장치(S-SEG)이다 -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 트래픽(SV)이 제 1 평가 수단(AWM1)에 제공된다.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제 1 평가 수단(AWM1)은,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규칙적인 간격을 두고 하나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또는 이웃하는 송·수신 장치들에 의해서 기록되는 동시에 상기 송·수신 장치들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된다.
더 나아가 상기 제 1 평가 수단(AWM1)은, 측정 단계에서 송·수신 장치들에 의해 각각 수신된 신호 트래픽(SV)의 신호 품질 변동에 대한 평가 정보(AWI)가 발생되고, 상기 측정 단계를 위한 시간격의 규칙성이 상기 평가 정보(AWI)에 따라 측정된다.
각각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는 제 1 평가 수단(AWM1), 제 1 정보 발생 수단(IEM1) 및 저장 수단(SPM)이 함께 작용한다 - 다시 말해 상기 제 1 평가 수단(AWM1), 제 1 정보 발생 수단(IEM1) 및 저장 수단(SPM)은 적어도 하나의 참고 정보(HWI),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4개의 참고 정보(HWI1 ... HWI4)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들을 통해 발생되고 저장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공통 기능 유닛을 형성한다.
그 다음에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6 논리 연결(LV6)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6 논리 연결(LV6)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제 1 메시지 발생 수단(NEM)에 의해 분배 메시지(VN)가 발생되며, 상기 분배 메시지(VN)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분배 메시지(VN)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저장 수단(SPM)으로 계속 전달된다.
상기 분배 메시지(VN)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하여 자신이 또한 전체적으로 각각의 송·수신 장치에 의해 수신된 송·수신 장치들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발생시키고 저장한 송·수신 장치들은 - 도 21의 도시에 따르면 상기 송·수신 장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이다 - 상기 발생되고 저장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는다.
그 다음에, 상기 분배 메시지의 전송이 진행되면서, 제 6 논리 연결(LV6)에 따라 제 2 송·수신 장치(SEG2)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상기 저장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가 저장 수단(SPM)으로부터 판독 출력되며, 상기 판독 출력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는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송·수신 장치(SEG3)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및 3 송·수신 장치(SEG1, SEG3)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제 2 평가 수단(AWM2)으로 계속 전달된다.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는 제 2 평가 수단(AWM2) 및 저장 수단(SPM)이 함께 작용한다 - 다시 말해 상기 제 2 평가 수단(AWM2) 및 저장 수단(SPM)은, 상기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로 전송되고 상기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 자체에 의해서 발생된 참고 정보(HWI1 ... HWI4)를 참조하여,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에 비해 주국 또는 기지국으로서 더 적합한지 그리고 그런 이유로 해서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해야 하는지의 여부가 결정되도록 형성되어 하나의 공통 기능 유닛을 형성한다.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더 적합하다는 사실을 결과로서 나타낸 평가를 토대로 하여,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7 논리 연결(LV7)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7 논리 연결(LV7)에 따라서는, 제 1 및 제 3 송·수신 장치(SEG1, 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제 2 정보 발생 수단(IEM2)에 의해 제어 정보(STI)가 발생되며, 상기 제어 정보(STI)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제어 정보(STI)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으로 계속 전달된다. 상기 제어 정보(STI)에 의하여,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담당할 것을 요청받는다.
도 22에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를 통해 정보를 얻고,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통신망 및 상기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들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도록, 도 18에 따라 고정망(FN)에 대한 연결부를 갖는 제 3 송·수신 장치(SEG3)로서 형성되고 제 5 무선 셀(FZ5)에 상응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하여, 상기 공중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개되는 신호 트래픽(SV)에 의해서, 도 18에 따라 제 1 무선 셀(FZ1)에 상응하고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음으로써 주국 또는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와 통신하는 방식이 도시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 3 송·수신 장치(SEG3)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과 제 1 송·수신 장치(SEG1) 내에 있는 중앙 제어 유닛(ZST) 사이에 제 8 논리 연결(LV8)이 만들어진다.
상기 제 8 논리 연결(LV8)에 따라서는, 제일 먼저 제 3 송·수신 장치(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제 3 정보 발생 수단(IEM3)에 의해 식별 정보(IDI)가 발생되며, 상기 식별 정보(IDI)는 상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식별 정보(IDI)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 있는 저장 수단(SPM)으로 계속 전달된다.
그 다음에, 상기 식별 정보의 전송이 진행되면서, 제 8 논리 연결(LV8)에 따라 제 1 송·수신 장치(SEG1)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 네트워크 상태 발생 수단(NZIEM)에 의해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가 발생되며,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는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송·수신 수단(SEM)에 제공되고, 그곳으로부터 공중 인터페이스(LSS)를 통해 제 3 송·수신 장치(SEG3)에 제공되며,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의 중앙 제어 유닛(ZST) 내에서는 상기 제공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가 송·수신 수단(SEM)으로부터 제 1 물리적 연결부(PV1)를 통해 저장 수단(SPM)으로 계속 전달된다.

Claims (46)

  1.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송·수신 장치(SEG)들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통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통신망(KNW)에 할당되며,
    a1)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기지국(BS)으로서 작동하기 위한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되고,
    a2)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직접적으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대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서 작동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b)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규칙적인 시간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되고,
    c) 상기 신호 트래픽(SV)을 참조하여, 송·수신 장치(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고,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참고 정보(HWI, HWI1 ... HWI4)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발생되어 저장되며,
    d) 상기 측정 단계 후에는,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의하여 분배 메 시지(VN)가 발송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해서는 이 분배 메시지를 수신하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각각 상기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고,
    e)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 내에서, 자체적으로 발생되어 전송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비해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로부터 주국 또는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지가 결정되며,
    f) 기지국의 기능을 전송하기 위하여, 제 1 제어 정보(STI)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의해 발생되어 이 제어 정보가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발송되는 한편, 상기 제 2 송·수신 장치(SEG2) 중에서 어떤 것도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비해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정보(STI)의 발생 및 발송이 중단됨으로써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2.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송·수신 장치(SEG)들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통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장 치(SEG)가 상기 통신망(KNW)에 할당되며, 이 경우
    a1)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에 기지국(BS)으로서 작동하기 위한 기지국의 기능이 할당되고,
    a2)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직접적으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대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서 작동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b) 상기 기지국의 기능이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할당되며, 이때
    b1) 상기 통신망(KNW)에 할당된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는, 하나의 네트워크의 존재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b11)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다만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의 1차-송·수신 장치(P-SEG)에 의해서만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거나 또는
    b12)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 송·수신 장치(SEG)의 다수의 2차-송·수신 장치(S-SEG)로부터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또는 모든 2차 송·수신 장치(S-SEG)를 제외하고 상기 2차 송·수신 장치 (S-SEG)에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며,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가 각각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면,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내지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어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고, 상기 2차-송·수신 장치(S-SEG)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되거나 또는
    b13)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혀 수신하지 않고, 고유의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함으로써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고유의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면,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는 2차-송·수신 장치(S-SEG)가 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a) 통신망(KNW)에 할당된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는, 하나의 네트워크의 존재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이 경우
    a1)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다만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의 1차-송·수신 장치(P-SEG)에 의해서만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거나 또는
    a2)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 송·수신 장치(SEG)의 다수의 2차-송·수신 장치(S-SEG)로부터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또는 모든 2차 송·수신 장치(S-SEG)를 제외하고 상기 2차 송·수신 장치(S-SEG)에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며,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가 각각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면,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내지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어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고, 상기 2차-송·수신 장치(S-SEG)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되거나 또는
    a3)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혀 수신하지 않고, 고유의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함으로써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고유의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면,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는 2차-송·수신 장치(S-SEG)가 됨으로써, 기지국의 기능이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처음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 장치(SEG1, BS, SEG2)의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하나의 고정망(FN)에 할당되고, 상기 고정망은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 및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대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에 특별한 식별 정보(IDI)를 발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에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무선 통신망(KNW) 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8.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로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1. 제 1 항,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2. 제 1 항, 제 9 항,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이 사전 결정된 시간 프레임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4. 제 1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가 측정 단계에서는,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 각각 수신된 신호 트래픽(SV)의 신호 품질 변경에 대한 평가 정보(AWI)를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 단계를 위한 시간격의 규칙성을 상기 평가 정보(AWI)에 따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고정 방식 및/또는 이동 방식 장치로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KNW)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17.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으로서,
    a)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송·수신 장치(SEG)들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통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
    b) 기지국의 기능을 지정함으로써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송·수신 장치(SEG)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
    c) 직접적으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대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 배치된 상기 송·수신 장치(SEG)의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포함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에 있어서,
    d)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가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을 규칙적인 시간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하고, 이때 상기 송·수신 장치(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고,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참고 정보(HWI, HWI1 ... HWI4)가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발생되어 저장되며,
    e)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가 상기 측정 단계 후에 분배 메시지(VN)를 발송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하여 이 분배 메시지(VN)를 수신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는 상기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으며,
    f) 상기 분배 메시지(VN)를 수신하는 각각의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상기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로 전송하며,
    g)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는 자체적으로 발생되고 전송된 상기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비해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로부터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지를 결정하며,
    h)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제어 정보(STI)를 발생시키고, 상기 제어 정보를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전송함으로써, 상기 기지국의 기능이 관련 제 2 송·수신 장치(SEG2)로 전달되는 한편, 제 2 송·수신 장치(SEG2)들 중에서 어떤 송·수신 장치(SEG2)도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비해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정보(STI)의 발생 및 발송이 중단됨으로써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18.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으로서,
    a)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송·수신 장치(SEG)들 중에서 하나의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통신하는 다수의 송·수신 장치(SEG),
    b) 기지국의 기능을 지정함으로써 기지국(BS)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송·수신 장치(SEG)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송·수신 장치(SEG1),
    c) 직접적으로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에 대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 배치된 상기 송·수신 장치(SEG)의 제 2 송·수신 장치(SEG2)를 포함하는, 무선 자 기조직화 통신망에 있어서,
    d) 기지국의 기능을 할당하기 위하여, 상기 통신망(KNW)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는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의 존재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d1)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다만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의 1차-송·수신 장치(P-SEG)에 의해서만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거나 또는
    d2)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 송·수신 장치(SEG)의 다수의 2차-송·수신 장치(S-SEG)로부터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또는 모든 2차 송·수신 장치(S-SEG)를 제외하고 상기 2차 송·수신 장치(S-SEG)에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며,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가 각각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면,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내지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어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고, 상기 2차-송·수신 장치(S-SEG)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되거나 또는
    d3)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혀 수신하지 않고, 고유의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함으로써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고유의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면,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는 2차-송·수신 장치(S-SEG)가 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19. 제 17 항에 있어서,
    a) 기지국의 기능을 할당하기 위하여, 통신망(KNW)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는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의 존재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며, 이 경우
    a1)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다만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의 1차-송·수신 장치(P-SEG)에 의해서만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기지국의 기능을 가짐으로써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거나 또는
    a2)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 송·수신 장치(SEG)의 다수의 2차-송·수신 장치(S-SEG)로부터 각각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수신하고,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또는 모든 2차 송·수신 장치(S-SEG)를 제외하고 상기 2차 송·수신 장치(S-SEG)에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며,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가 각각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면,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내지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어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되고, 상기 2차-송·수신 장치(S-SEG)는 제 2 송·수신 장치(SEG2)가 되거나 또는
    a3) 상기 각각의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로부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전혀 수신하지 않고, 고유의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함으로써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고유의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면, 상기 결정하는 송·수신 장치(SEG)는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는 2차-송·수신 장치(S-SEG)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처음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송·수신 장치(SEG1, BS, SEG2)의 제 3 송·수신 장치 (SEG3)가 존재하며,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는 하나의 고정망(FN)에 할당되어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 및 제 2 송·수신 장치(SEG2)에 대하여 통신 유효 범위 안에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에 특별한 식별 정보(IDI)를 발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에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의하여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가 무선 통신망(KNW) 또는 상기 무선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4.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송·수신 장치(SEG3) 및 제 1 송·수신 장치(SEG1, BS)가 동일한 송·수신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5. 제 17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6. 제 17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7. 제 17 항,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8. 제 17 항, 제 25 항, 제 26 항 또는 제 27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29. 제 17 항에 있어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이 사전 결정된 시간 프레임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30. 제 17 항 또는 제 29 항에 있어서,
    각각의 송·수신 장치(SEG)가 측정 단계에서는,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 각각 수신된 신호 트래픽(SV)의 신호 품질 변경에 대한 평가 정보(AWI)를 발생시키고, 상기 측정 단계를 위한 시간격의 규칙성을 상기 평가 정보(AWI)에 따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31. 제 17 항 또는 제 3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 장치(SEG)가 각각 고정 방식의 및/또는 이동 방식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3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KNW)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33.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 장치로서,
    a) 송·수신 장치(SEG) 내에서 이루어지는 조작- 및 기능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을 포함하며, 상기 송·수신 장치(SEG)가 통신망(KNW)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수신 장치(SEG)와 직접적으로 또는 추가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통신하도록,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이 서로 연결되고 형성된,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 장치에 있어서,
    b)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테스트 수단(PM) 및 신호 발생 수단(SIEM)이 존재하며, 이 경우 테스트 수단(PM) 및 신호 발생 수단(SIEM)을 구비한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 그리고 상기 송·수신 수단(SEM)은,
    b1) 네트워크의 존재를 표시하는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각각 결정하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b11)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다만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의 1차-송·수신 장치(P-SEG)에 의해서만 또는 상기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만 수신되면, 상기 1차-송·수신 장치(P-SEG)가 기지국(BS)이 되거나 또는
    b12) 하나의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각각 상기 추가 송·수신 장치(SEG)의 다수의 2차-송·수신 장치(S-SEG)에 의해서 또는 상기 추가의 송·수신 장치(SEG)에 의해서 수신하고, 상기 송·수신 장치(SEG)가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 또는 모든 2차 송·수신 장치(S-SEG)를 제외하고 상기 2차 송·수신 장치(S-SEG)에 각각 하나의 명령 신호(AS)를 전송하며, 상기 명령 신호에 의하여 관련 2차-송·수신 장치(S-SEG)가 각각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의 발송을 종료할 것을 지시받으면,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기지국이 되거나 또는 상기 송·수신 장치(SEG)가 기지국(BS)이 되거나 또는
    b13)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전혀 수신되지 않고, 고유의 네트워크가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를 발송함으로써 상기 송·수신 장치(SEG)가 상기 고유의 네트워크의 셋업을 시작하면, 상기 송·수신 장치(SEG)는 1차-송·수신 장치(P-SEG)가 되거나 또는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가 되거나 또는 상기 명령 신호(AS)를 수신하는 2차-송·수신 장치(S-SEG)가 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 장치.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존재 신호(NES)가 상기 제 1의 2차-송·수신 장치(S1-SEG)에 의해서 처음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 장치.
  35.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으로서,
    a) 기지국(BS) 내에서 이루어지는 조작- 및 기능 시퀀스를 제어하기 위한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을 포함하며, 상기 기지국(BS)이 통신망(KNW)의 적어도 하나의 추가 송·수신 장치(SEG)와 직접적으로 또는 추가 송·수신 장치(SEG)를 통해 간접적으로 무선 통신에 의하여 상호 통신하도록, 상기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이 서로 연결되고 형성되며,
    b) 적어도 하나의 최초-송·수신 장치(E-SEG)에 대하여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배치되고/배치되거나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최초-송·수신 장치(E-SEG)를 통해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 또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들에 대하여 간접적으로 통신 유효 범위 안에 배치된,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에 있어서,
    c)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제 1 평가 수단(AWM1)이 존재하며, 상기 제 1 평가 수단(AWM1)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그리고 상기 송·수신 수단(SEM)은,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의 신호 트래픽(SV)의 적어도 일부분이 규칙적인 시간격을 두고 하나의 측정 단계 동안 기록되는 동시에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의 수신 가능성이 확인되도록 형성되며,
    d)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제 1 정보 발생 수단(IEM1) 및 저장 수단(SPM)이 존재하며, 상기 제 1 평가 수단(AWM1)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상기 저장 수단(SPM) 및 제 1 정보 발생 수단(IEM1)은, 전체적으로 수신한 최초-송·수신 장치(E-SEG)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참고 정보(HWI, HWI1 ... HWI4)가 발생되어 저장되도록 형성되며,
    e)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메시지 발생 수단(NEM)이 존재하며, 상기 메시지 발생 수단(NEM)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그리고 상기 송·수신 수단(SEM)은, 측정 단계 후에 분배 메시지(VN)가 발송되고, 상기 분배 메시지에 의하여 상기 메시지를 수신한 및 개별 최초-송·수신 장치(E-SEG)에 의해서 전체적으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각각 적어도 하나의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발생시켜 저장한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가 상기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기지국(BS)으로 전송할 것을 요청받도록 형성되며,
    f)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로부터 전송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가 수신되도록, 상기 송·수신 수단(SEM)이 형성되며,
    g)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제 2 평가 수단(AWM2)이 존재하며, 상기 제 2 평가 수단(AWM2)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그리고 상기 송·수신 수단(SEM)은, 기지국(BS)에 전달되고 기지국(BS) 자체에 의해서 발생된 참고 정보(HWI, HWI1 ... HWI4)를 참조하여, 대응하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 중에서 어떤 최초-송·수신 장치(E-SEG)가 기지국(BS)에 비해 상기 기지국(BS)의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지가 결정되도록 형성되며,
    h)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제 2 정보 발생 수단(IEM2)이 존재하며, 상기 제 2 정보 발생 수단(IEM2)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은,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가장 적합한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로 전송되는 제어 정보(STI)가 발생됨으로써 기지국의 기능이 관련 최초-송·수신 장치(E-SEG)로 전달되는 한편,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들 중에서 어떤 것도 기지국(BS)에 비해 기지국의 기능을 넘겨받기에 더 적합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어 정보(STI)의 발생 및 발송이 중단됨으로써 기지국(BS)이 기지국의 기능을 갖게 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하나의 고정망(FN)에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37. 제 36 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제 3 정보 발생 수단(IEM3)이 존재하며, 상기 제 3 정보 발생 수단(IEM3)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은, 기지국(BS)이 측정 단계 동안에 특별한 식별 정보(IDI)를 발송하고, 상기 식별 정보에 의하여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가 기존의 고정망 액세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38. 제 36 항 또는 제 37 항에 있어서,
    중앙 제어 유닛(ZST)에 할당된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발생 수단(NZIEM3)이 존재하며,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 발생 수단(NZIEM3)을 구비한 중앙 제어 유닛(ZST) 및 송·수신 수단(SEM)은, 기지국(BS)이 직접 통신 유효 범위 안에 있고 고정망에 대하여 액세스하는 최초-송·수신 장치(E-SEG)에 네트워크 상태 정보(NZI)를 전송하고, 상기 네트워크 상태 정보에 의하여 고정망에 액세스하는 제 3의 최초-송·수신 장치(E-SEG)가 무선 통신망(KNW) 및 상기 통신망에 할당된 송·수신 장치(SEG)에 대한 현재의 구성 데이터를 얻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39. 제 34 항에 있어서,
    수신한 최초-송·수신 장치(E-SEG)의 개수를 지시하는 제 1 참고 정보(HWI1)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0. 제 34 항 또는 제 39 항에 있어서,
    수신한 최초-송·수신 장치(E-SEG)가 각각 수신할 때의 수신 품질을 지시하는 제 2 참고 정보(HWI2)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1. 제 34 항, 제 39 항 또는 제 40 항에 있어서,
    수신한 최초-송·수신 장치(E-SEG)들 가운데 특권이 부여된 송·수신 장치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지시하는 제 3 참고 정보(HWI3)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2. 제 34 항, 제 39 항,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수신한 송·수신 장치(SEG)의 장치 타입을 지시하는 제 4 참고 정보(HWI4)가 발생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3.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에 의해서 기록된 신호 트래픽(SV)이 사전 결정된 시간 프레임 안에서 전송되는 특별한 브로드캐스트-메시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4. 제 34 항 또는 제 43 항에 있어서,
    측정 단계에서 상기 최초-송·수신 장치(E-SEG)에 의해 각각 수신된 신호 트래픽(SV)의 신호 품질 변경에 대한 평가 정보(AWI)가 발생되고, 상기 측정 단계를 위한 시간격의 규칙성이 상기 평가 정보(AWI)에 따라 측정되도록, 상기 제 1 평가 수단(AWM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5. 제 34 항 내지 제 4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BS)이 각각 고정 방식의 및/또는 이동 방식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46.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망(KNW)이 "무선 근거리 통신망(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으로서 또는 DECT-무선 전화 시스템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기지국.
KR1020067004308A 2004-06-02 2005-06-02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기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KR1008048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26775A DE102004026775A1 (de) 2004-06-02 2004-06-02 Verfahren zum Aufbau eines drahtlosen selbstorganisierenden Kommunikationsnetzwerkes, Sendeempfangsgerät und Basisstation eines drahtlosen selbstorganisierenden Kommunikationsnetzwerkes und drahtloses selbstorganisierendes Kommunikationsnetzwerk
DE102004026775.8 2004-06-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943A true KR20060095943A (ko) 2006-09-05
KR100804837B1 KR100804837B1 (ko) 2008-02-20

Family

ID=3497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4308A KR100804837B1 (ko) 2004-06-02 2005-06-02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기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032083B2 (ko)
EP (2) EP1759537B1 (ko)
KR (1) KR100804837B1 (ko)
CN (2) CN1842999B (ko)
AT (2) ATE404020T1 (ko)
DE (3) DE102004026775A1 (ko)
ES (1) ES2308508T3 (ko)
WO (1) WO200512008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229B2 (en) 2007-01-12 2014-07-08 Wi-Lan, Inc. Multidiversity handoff in a wireless broadcast system
US7912057B2 (en) 2007-01-12 2011-03-22 Wi-Lan Inc. Convergence sublayer for use in a wireless broadcasting system
US8548520B2 (en) * 2007-01-26 2013-10-01 Wi-Lan Inc. Multiple network access system and method
WO2008131030A1 (en) 2007-04-18 2008-10-30 Nextwave Broadband Inc. Macro-diversity region rate modification
US7903604B2 (en) 2007-04-18 2011-03-08 Wi-Lan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scheduler for a macro-diversity portion of a transmission
JP5283934B2 (ja) * 2008-03-12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装置、それらの制御方法
CN101304345B (zh) * 2008-06-26 2010-09-29 北京邮电大学 用于自组织网络的介入式测量节点及其测量方法
US8897780B2 (en) * 2009-03-13 2014-11-25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anaging energy consumption of base stations
CN101860948B (zh) 2009-04-13 2014-07-30 华为技术有限公司 功耗调节的方法、设备及系统
KR20200130277A (ko) * 2018-03-14 2020-11-18 소니 주식회사 통신 장치, 통신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7011A (en) * 1996-08-30 1999-11-16 Chai-Keong Toh Routing method for Ad-Hoc mobile networks
EP0993005B1 (en) * 1998-10-06 2003-07-09 Nexans Bushing for an electrical equipment
DE19930423A1 (de) 1999-07-01 2001-01-18 Siemens Ag Schnurloses Datenübertragungsnetzwerk und Verfahren zu seiner Verwaltung
KR100677078B1 (ko) * 1999-11-26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장착 기기간 네트워크 운영 방법
GB0004919D0 (en) 2000-03-02 2000-04-1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d-hoc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4170566B2 (ja) * 2000-07-06 2008-10-22 インターナショナル・ビジネス・マシーンズ・コーポレーション 通信方法、無線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通信端末、およびブルートゥース端末
WO2002087172A1 (en) * 2001-04-20 2002-10-31 Motorola, Inc. Protocol and structure for self-organizing network
JP2002353978A (ja) 2001-05-25 2002-12-06 Pioneer Electronic Corp 主局又は従局機能を有する無線通信端末
EP1324540B1 (en) 2001-12-28 2011-08-17 Fujitsu Toshiba Mobile Communications Limited Radio communication device
CN1194566C (zh) * 2002-11-13 2005-03-23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一种组建时分双工的自组织移动通信系统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1650A1 (de) 2008-01-23
EP1759537A2 (de) 2007-03-07
DE102004026775A1 (de) 2006-01-12
KR100804837B1 (ko) 2008-02-20
DE502005007817D1 (de) 2009-09-10
EP1881650B1 (de) 2009-07-29
WO2005120089A3 (de) 2006-04-20
WO2005120089A2 (de) 2005-12-15
DE502005004952D1 (de) 2008-09-18
US8032083B2 (en) 2011-10-04
ES2308508T3 (es) 2008-12-01
CN1842999B (zh) 2011-06-15
ATE404020T1 (de) 2008-08-15
US20080316943A1 (en) 2008-12-25
ATE438241T1 (de) 2009-08-15
EP1759537B1 (de) 2008-08-06
CN101616421A (zh) 2009-12-30
CN1842999A (zh) 2006-10-04
CN101616421B (zh) 2011-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837B1 (ko)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의 송·수신기 및 기지국, 그리고 무선 자기조직화 통신망
US6967944B2 (en) Increasing link capacity via concurrent transmissions in centralized wireless LANs
US79208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P2P communication group in cellular system, and P2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2P communication group
US629805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nection handoff between connected radios
US9615354B2 (en) Device-to-device communications in cellular system
US81446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llocating multiple channels in a mesh network
US6804209B1 (en) Wireless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wireless transmission apparatus
US8345587B2 (en) Relay station, base station and method for extending a coverage area of a base station in a radio network
US86546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communication while base station is disrupte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0383866B (zh) 直连链路资源配置方法、装置、系统及可读存储介质
GB2266030A (en) Mobile communication congestion control system
JP2001251660A (ja) 複数の基地局を有するワイヤレスネットワーク内のワイヤレス端末にページングを実行する方法
CN109168172A (zh) 一种多节点自组网的无线跳频传输方法及装置
US7061895B1 (en) Reconfiguration of an ad hoc network
KR20110008193A (ko) 채널 시간을 할당하고 호환성 있는 링크를 결정하는 방법 및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장치
WO2009014278A1 (en) System and method for setting up p2p communication group in cellular system, and p2p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using p2p communication group
CN117459098A (zh) 提升以单模cco为主节点的台区中双模sta的hrf信道的方法
KR20110068751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릴레이 접속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22014092A1 (ja) 通信中継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US11237018B2 (en) Data concentr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advanced metering
JP5292082B2 (ja) 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通信方法
KR101211223B1 (ko)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무선 근거리 네트워크 시스템
JPH1150508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の送信器にフィラーデータを与える方法とシステム
EP2223468B1 (en) Managing multiple channels in single network and network management device
CN117580167A (zh) 一种基于风道全空气系统的无线频谱管理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