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800A -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 Google Patents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800A
KR20060095800A KR1020050016914A KR20050016914A KR20060095800A KR 20060095800 A KR20060095800 A KR 20060095800A KR 1020050016914 A KR1020050016914 A KR 1020050016914A KR 20050016914 A KR20050016914 A KR 20050016914A KR 20060095800 A KR20060095800 A KR 20060095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server
us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9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인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800A/ko
Publication of KR20060095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95Replication or mirroring of data, e.g. scheduling or transport for data synchronisation between network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이터 동기화에 있어서, 특히 싱크엠엘(SyncML) 게이트웨이를 통한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와 서버간 전송 환경이나 전송 자원의 영향 없이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싱크엠엘(SyncML), 데이터 동기화, 개인정보관리(PIM), 싱크엠엘(SyncML) 게이트웨이

Description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system and method for data synchronization between terminal and serv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 단말기 200 : SyncML 게이트웨이
300 : PIM 서버
본 발명은 데이터 동기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싱크엠엘(SyncML) 게이트웨이를 통한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이터 동기화란 망에 존재하는 두 논리적 장치간에 특정 데이터(원시 데이터와 목적 데이터)를 일치시켜주는 것이다.
그 동기화의 대상 중 하나로써 개인정보관리(Personal Information Management ; 이하, PIM) 정보가 있다. PIM 정보로는 단말기의 개인 정보로 대표되는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 등이 있다.
한편 싱크엠엘(이하, SyncML)은 단말기에 위치한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 등)를 망에 위치한 데이터베이스에 동기화하는데 사용되는 기능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SyncML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데이터 동기화 구조는 단말기(10)와 PIM 서버(2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는 이동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사용자는 단말기(10)에서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 등의 개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한다. 이후에 그 사용자가 그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망에 위치한 PIM 서버(20)에 반영하고자 요구하면, 단말기(10)는 SyncML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PIM 서버(20)로 전송한다.
이 때 PIM 서버(20)는 단말기(10)로부터 SyncML 기능을 사용하여 수신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즉, PIM 서버(20)는 단말기(1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에 PIM 서버(20)는 그 갱신 결과를 단말기(10)로 통보한다.
한편 사용자가 PIM 서버(20)에서 개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하고, 그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단말기(10)에 반영하고자 요구하면, PIM 서버(20)는 SyncML 기능을 사용하여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이 때 단말기(10)는 PIM 서버(20)로부터 SyncML 기능을 사용하여 수신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즉, 단말기(10)는 PIM 서버(20)로부터 수신 한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에서 설명된 SyncML 기능을 사용하여 단말기(10)와 PIM 서버(20)간에 데이터를 교환하는 데는 무선 데이터 채널(30)을 사용한다.
상기한 무선 데이터 채널(30)의 상용이 가능하여 단말기(10)와 PIM 서버(20)간의 데이터 통신이 양호할 때는 단말기(10)와 PIM 서버(20)간 데이터 동기화가 원활하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무선 데이터 채널(30)의 상태가 불량하거나 무선 데이터 채널(30)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일 때는 데이터 동기화를 이룰 수 없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장소에서 실시하는 경우에도 단말기(10)와 PIM 서버(20)간의 데이터 동기화를 이룰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점들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단말기와 서버간 전송 환경이나 전송 자원의 영향 없이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주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의 특징은,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A)를 송신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A)를 중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가 포함된 상기 사 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중계에 의해 상기 데이터(A)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A)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의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인정보관리(PIM) 정보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며, 상기 서버는 개인정보관리(PIM) 서버이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간 데이터 전송은 유선 통신과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단말기와 게이트웨이간 데이터 전송은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Bluetooth)와 유니버션 시리얼 버스(US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와 게이트웨이간 데이터 전송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CP/IP)을 사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는 상기 데이터 동기화를 통한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이후에 상기 갱신 결과를 상기 단말기에 통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서버가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또다른 데이터(B)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함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데이터(B)를 상기 단말기로 중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B)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한다. 여기서, 상기 데이터(B)는 사용자의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인정보관리(PIM) 정보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 방법의 제1 특징은,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관리(PIM)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개인정보관리(PI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와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보유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갱신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등록된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 방법의 제2 특징은, 개인정보관리(PIM) 서버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관리(PIM)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함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내부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보유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 말기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동기화 구조는 단말기(100)와 SyncML 게이트웨이(200)와 PIM 서버(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이동성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이다. 또한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개인용 컴퓨터(PC)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개인용 컴퓨터(PC)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단말기(100)와 SyncML 게이트웨이(200)간의 데이터 통신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한다. 무선 통신 방식으로부터 근거리 무선 통신이 보다 유리하며, 그 예로는 적외선(IrDA) 통신이나 블루투스(Bluetooth) 등이 있다. 또한 유선 통신의 예로는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 ; 이하, USB)가 있다.
또한 SyncML 게이트웨이(200)와 PIM 서버(300)간의 데이터 통신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 이 하, TCP/IP)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단말기(100)와 PIM 서버(300)간에 유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유무선 통신 방식을 모두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도 2의 구성에 따른 동작을 이하 설명한다.
단말기(100)는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Bluetooth)와 USB와 같은 유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SyncML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데이터를 TCP/IP를 사용하여 PIM 서버(30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자면,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PIM 서버(300)로 중계한다.
반대로 PIM서버(300)는 TCP/IP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SyncML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그에 따라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데이터를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Bluetooth)와 USB와 같은 유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다시 말하자면,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PIM 서버(300)로부터 송신된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중계한다.
전술된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는 단말기(100)에서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 등의 개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한다. 이후에 그 사용자가 그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망에 위치한 PIM 서버(300)에 반영하고자 요구하면, 단말기(100)는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Bluetooth)와 USB와 같은 유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를 사용하여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SyncML 게이트웨 이(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수신한 데이터를 TCP/IP를 사용하여 PIM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 때 PIM 서버(300)는 SyncML 게이트웨이(200)의 중계를 통해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즉, PIM 서버(300)는 SyncML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수신된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다. 이후에 PIM 서버(300)는 그 갱신 결과를 TCP/IP를 사용하여 SyncML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하며,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다시 수신된 갱신 결과를 전술된 유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기(100)로 통보한다.
한편 사용자가 PIM 서버(300)에서 개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하고, 그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단말기(100)에 반영하고자 요구하면, PIM 서버(300)는 TCP/IP를 사용하여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SyncML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그러면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전술된 유무선 통신 방식 중 하나를 사용하여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이 때 단말기(100)는 SyncML 게이트웨이(200)의 중계를 통해 PIM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자신의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한다. 즉, 단말기(100)는 SyncML 게이트웨이(200)를 거쳐 수신한 정보를 사용하여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다.
상기한 도 2의 구조에 기반하여 단말기(100)에서 PIM 서버(300)로의 데이터 상향 전송(Uplink transmission) 절차를 설명한다.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 등의 개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하고, 또한 그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망측에 반영하고자 함에 따라, 단말기(100)는 우선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SyncML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이 때 단말기(100)와 SyncML 게이트웨이(200)간 데이터 교환은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Bluetooth)와 USB와 같은 유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를 사용한다.
이어서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망측의 PIM 서버(300)로 중계한다. 이 때 SyncML 게이트웨이(200)와 PIM 서버(300)간 데이터 교환은 TCP/IP를 사용한다.
PIM 서버(300)는 수신한 데이터의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와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PIM 서버(300)는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다.
한편 PIM 서버(300)는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 후에 그 갱신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등록된 단말기(100)로 통보한다. 여기서 갱신 결과를 통보 받을 단말기는 반드시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제공한 단말기(100)와 일치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갱신 결과의 통보 경로는 유무선 통신 방식과 TCP/IP를 사용하는 도 2에서와 달리 이동통신 경로일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한 도 2의 구조에 기반하여 PIM 서버(300)에서 단말기(100)로의 데이터 하향 전송(Downlink transmission) 절차를 설명한다.
PIM 서버(300)는 사용자가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 등의 개인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하고, 또한 그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단말기(100)에 반영하고자 함에 따라, PIM 서버(300)는 우선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SyncML 게이트웨이(200)로 전송한다. 이 때 PIM 서버(300)와 SyncML 게이트웨이(200)간 데이터 교환은 TCP/IP를 사용한다.
이어서 SyncML 게이트웨이(200)는 PIM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단말기(100)로 중계한다. 이 때 SyncML 게이트웨이(200)와 단말기(100)간 데이터 교환은 적외선 통신과 블루투스(Bluetooth)와 USB와 같은 유무선 통신 방식의 하나를 사용한다.
단말기(100)는 수신한 데이터의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와 자신이 보유하고 있던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여 해당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와 PIM 서버간에 데이터 동기화를 이루는데 무선 데이터 채널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전송 환경이나 전송 자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해당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장소에서도 보다 자유롭게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화를 이룰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2)

  1.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데이터(A)를 송신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와;
    상기 단말기의 데이터(A)를 중계하기 위한 게이트웨이가 포함된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와;
    상기 게이트웨이의 중계에 의해 상기 데이터(A)를 상기 개인용 컴퓨터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데이터(A)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A)는 사용자의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인정보관리(PIM)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이동통신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개인정보관리(PIM : Personal Information Server) 서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간 데이터 전송은 유니버션 시리얼 버스(USB)를 포함하는 유선 통신과, 적외선 통신 및 블루투스(Bluetooth)를 포함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중 어느 하나의 통신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가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와 개인용 컴퓨터간 데이터 전송은 전송제어프로토콜/인터넷프로토콜(TCP/IP)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의 갱신 이후에 갱신 결과를 상기 단말기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가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또다른 데이터(B)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함에 따라, 상기 게이트웨이가 상기 데이터(B)를 상기 단말기로 중계하고, 상기 단말기는 상기 데이터(B)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B)는 사용자의 일정, 주소록, 전화번호부, 메일, 쪽지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는 개인정보관리(PIM)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
  10.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관리(PIM)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함에 따라,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개인정보관리(PIM)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와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보유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데이터베이스 정보의 갱신 결과를 상기 사용자의 등록된 단말기로 통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 방법.
  12. 개인정보관리(PIM) 서버에서 사용자가 개인정보관리(PIM) 정보를 변경 또는 수정함에 따라,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개인용 컴퓨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개인용 컴퓨터가 내부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상기 개인정보관리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와 상기 단말기가 보유한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성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기가 상기 변경 또는 수정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 방법.
KR1020050016914A 2005-02-28 2005-02-28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KR200600958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914A KR20060095800A (ko) 2005-02-28 2005-02-28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914A KR20060095800A (ko) 2005-02-28 2005-02-28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800A true KR20060095800A (ko) 2006-09-04

Family

ID=37625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914A KR20060095800A (ko) 2005-02-28 2005-02-28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800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61B1 (ko) * 2006-06-20 2008-07-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료 동기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987467B1 (ko) * 2010-07-14 2010-10-13 (주)에이엠소프트 SIP 동기화 서버 및 상기 SIP 동기화 서버와 VoIP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00945A (ko)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코비젼 응답 속도 개선된 메일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4361B1 (ko) * 2006-06-20 2008-07-07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료 동기화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방법
KR100987467B1 (ko) * 2010-07-14 2010-10-13 (주)에이엠소프트 SIP 동기화 서버 및 상기 SIP 동기화 서버와 VoIP 단말기 간의 데이터 동기화 서비스 제공방법
KR20210000945A (ko) * 2019-06-26 2021-01-06 주식회사 코비젼 응답 속도 개선된 메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489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inuous PIM synchronization between a host computer and a client handheld device
US20090030999A1 (en) Contact Proximity Notification
JP4892884B2 (ja) 無線lan内蔵型携帯電話端末、携帯電話システムおよびその個人情報保護方法
US20070214209A1 (en) Platform and method for mobile servers
KR20040018367A (ko) 근거리 무선 신호를 사용하는 관리 무선망을 제공하기위한 시스템, 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CN102067560A (zh) 用于在替换传输上提供服务发现的装置和方法
KR20080026590A (ko) 방화벽 뒤에 위치하고 있는 동적 ip 주소를 지니는 장치상의 웹 서버에 액세스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8092474A (ja) 通信端末装置、サーバ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US200601010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ntinuous synchronization on a host handheld device
DE60215802D1 (de) Zweifachmodus dienstplattform in netzwerkkommunikationssystem
US201403725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KR100640401B1 (ko) 모바일 이메일 서버와 클라이언트 단말 간 동기 유지방법과 시스템 및 그 단말
JP2005078288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レゼンス情報管理方法
KR20060095800A (ko) 단말기와 서버간 데이터 동기를 위한 시스템과 방법
JP4707137B2 (ja) データ通信方法およびシステム並びに装置
CA2522477C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continuous synchronization on a host handheld device
JP2005260299A (ja) 移動通信装置及び移動通信プログラム
KR10048810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개인용 컴퓨터 및 개인 정보 관리 서버의 정보 동기화 방법
JP5925787B2 (ja) 情報の送信
JP4453818B2 (ja) 無線接続設定システムおよび無線接続設定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090013257A (ko) 유무선 통합 폰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05143100A (ja) モバイル機器からerpにアクセスする方法
JP2013081034A (ja) 電話帳情報同期システム、スマートフォン用電話帳サーバ装置、フィーチャーフォン用電話帳サーバ装置、加入者情報管理サーバ装置、電話帳情報同期方法
JP4430512B2 (ja) 中継装置および中継方法
JP3421273B2 (ja) コンピュータ・ネットワーク移動サイトを表示しそれと通信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