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728A -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 Google Patents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728A
KR20060095728A KR1020050016898A KR20050016898A KR20060095728A KR 20060095728 A KR20060095728 A KR 20060095728A KR 1020050016898 A KR1020050016898 A KR 1020050016898A KR 20050016898 A KR20050016898 A KR 20050016898A KR 20060095728 A KR20060095728 A KR 200600957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 emission
emission source
composition
group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지
조성희
박종환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728A/ko
Publication of KR200600957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7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ld Cathode And The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본계 물질, 비이클 및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물질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콜계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화학식 2>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1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2
상기 화학식 중, A1, A2, A3, B1, Q1, Q2, Q3, Q4, Q5 및 Q6, D1 및 D2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바와 같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우수한 인쇄성 및 현상 용이성을 갖는 바, 이를 이용하면 우수한 전계 방출 특성 및 장수명을 갖는 전자 방출원을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A composition for preparing an electron emission source, a method for preparing an electron emission source using the same and an electron emiss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방출 소자의 일구현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110 : 하면기판 120 : 캐소드 전극
130 : 절연체층 140 : 게이트 전극
160 : 전자 방출원 170 : 형광체층
180 : 애노드 전극 190 : 상면기판
본 발명은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알콜계 화합물 및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형 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자 방출 소자 (Electron Emission Device)는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캐소드 전극의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전자를 방출시키고, 이 전자를 애노드 전극 측의 형광 물질에 충돌시켜 발광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이다.
전자 전도성이 탁월한 탄소 나노 튜브 (Carbon Nano Tube: CNT)를 포함한 카본계 물질은 전도성 및 전계 집중 효과가 우수하고, 일함수가 낮고 전계 방출 특성이 우수하여 저전압 구동이 용이하고, 대면적화가 가능하므로 전자 방출 소자의 이상적인 전자 방출원으로 기대되고 있다.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은 예를 들면, CVD법 등을 이용하는 카본나노튜브 성장법,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는 페이스트법 등을 포함한다. 상기 페이스트법을 이용하면 제조 단가가 낮고, 대면적으로 전자 방출원 형성이 가능하다. 카본나노튜브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제6,436,221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로는 만족스러운 수준의 인쇄성 및 현상 용이성을 얻을 수 없는 바,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알콜계 화합물 및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태양은,
카본계 물질, 비이클 및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물질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콜계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3
상기 화학식 1 중, A1, A2 및 A3는 독립적으로, H, C2-10알케닐기 또는 -Z1-O-C(O)-Z2기이고, B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상기 Z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Z2는 C2-10알케닐기이며, 상기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Z1-O-C(O)-Z2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4
상기 화학식 2 중, Q1, Q2, Q3, Q4, Q5 및 Q6은 독립적으로, H, C2-10알케닐기 또는 -Z1-O-C(O)-Z2기이고, D1 및 D2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상기 Z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Z2는 C2-10알케닐기이며, 상기 Q1, Q2, Q3, Q4, Q5 및 Q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Z1-O-C(O)-Z2기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태양은,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에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태양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인쇄성이 우수하고, 현상이 용이하여,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는 우수한 전계 방출 특성 및 장수명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카본계 물질, 비이클 및 감광성 물질을 포함한다.
상기 카본계 물질은 전도성 및 전자 방출 특성이 우수하여 전자 방출 소자 작동시 애노드 전극의 형광층으로 전자를 방출시켜 형광체를 여기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카본계 물질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카본나노튜브, 그라파이트, 다이아몬드 및 SiC, 플러렌 등이 포함된다. 이 중, 카본나노튜브가 바람직하다.
상기 비이클은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의 인쇄성 및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비이클은 수지 성분 및 용매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지 성분은 예를 들면, 에틸 셀룰로오스, 니트로 셀룰로오스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및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계 수지;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폴리비닐 부티랄, 폴리비닐 에테르 등과 같은 비닐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수지 성분 중 일부는 감광성 수지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다.
상기 용매 성분은 예를 들면, 터피네올(terpineol), 부틸 카르비톨(butyl carbitol:BC), 부틸 카르비톨 아세테이트(butyl carbitol acetate:BCA), 톨루엔(toluene) 및 텍사놀(texanol)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 터피네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성분의 함량은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0 내지 500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300중량부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용매 성분의 함량은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500 내지 15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120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수지 성분과 용매 성분으로 이루어진 비이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의 인쇄성 및 흐름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특히, 비이클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건조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감광성 물질은 전자 방출원 형성시 패터닝에 사용되는 물질이다. 본 발명을 따르는 감광성 물질은 아크릴레이트기를 가지며, 고리형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않는 사슬(chain)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을 따르는 감광성 물질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콜계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5
상기 화학식 1 중, A1, A2 및 A3는 독립적으로, H, C2-10알케닐기 또는 -Z1-O-C(O)-Z2기이고, B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상기 Z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Z2는 C2-10알케닐기이며, 상기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Z1-O-C(O)-Z2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6
상기 화학식 2 중, Q1, Q2, Q3, Q4, Q5 및 Q6은 독립적으로, H, C2-10알케닐기 또는 -Z1-O-C(O)-Z2기이고, D1 및 D2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상기 Z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Z2는 C2-10알케닐기이며, 상기 Q1, Q2, Q3, Q4, Q5 및 Q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Z1-O-C(O)-Z2기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콜계 화합물 중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및/또는 Q1, Q2, Q3, Q4, Q5 및 Q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갖는 이중 결합들로 인하여, 노광 공정시 효과적으로 고분자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사용된 C1-10알킬기의 구체적인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부틸, sec-부틸, 펜틸, iso-아밀, 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및 2에서 사용된 비치환된 C2-10 알케닐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의 중간이나 맨 끝단에 탄소 이중결합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부틸렌, 헥실렌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화학식 1 및 2 중, 알킬렌기 및 알케닐렌기란 상술한 알킬기, 알케닐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2가 라디칼을 가리키는 것이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콜계 화합물 중, 바람직하게, A1, A2 및 A3가 모두 -Z1-O-C(O)-Z2기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알콜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7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테르계 화합물 중, 바람직하게, Q1, Q2, Q3, Q4, Q5 및 Q6는 모두 -Z1-O-C(O)-Z2기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에테르계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를 가질 수 있다:
<화학식 4>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8
본 발명을 따르는 감광성 물질은 상기 알콜계 화합물 및 에테르계 화합물 외에 예를 들면, 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아세토페논계 모노머, 또는 티오크산톤계 모노머 등을 감광성 수지로서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 2,4-디에틸옥산톤(2,4-diethyloxanthone), 또는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광성 물질의 함량은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0 내지 1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00중량부일 수 있다. 감광성 수지의 함량이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30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노광 감도가 떨어지 고,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현상이 잘 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광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상기 감광성 물질이 노광될 때 감광성 물질의 가교결합을 개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광개시제는 2,4,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 TPO), 2-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2-isopropyl thioxanthone), 2,4-디에틸 티오크산톤(2,4-diethyl thioxanthone), 벤조페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4-페녹시-2,2'-디클로로 아세토페논, 메틸 벤조일 포르메이트 메틸 페닐글리옥실레이트 및 4-(4'-메틸페닐티오)-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이 중, 2,4,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TPO)가 바람직하다.
상기 광개시제의 함량은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0 내지 10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800중량부일 수 있다. 광개시제의 함량이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30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효율적인 가교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패턴 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고,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1000중량부를 초과하면 제조비용 상승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접착 성분 또는 필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성분은 전자 방출원을 기판에 부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무기 바인더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무기 바인더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프리트, 실란, 물유리 등이 포함되며, 이들 중 2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프리트는 예를 들면, 산화납-산화아연-보론옥사이드(PbO-ZnO-B2O3) 성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무기 바인더 중 프리트가 바람직하다.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중 접착 성분의 함량은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5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중량부 일 수 있다. 무기 바인더의 함량이 카본계 물질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10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만족할 만한 접착력을 얻을 수 없고, 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인쇄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필러는 기판과 충분히 접착하지 못한 카본계 물질의 전도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물질로서 이의 비제한적인 예에는 Ag, Al, Pd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물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3,000 내지 50,000cps, 바람직하게는 5,000 내지 30,000cps의 점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점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작업성이 불량해 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은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의 제공 단계;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의 인쇄 단계; 및 상기 인쇄된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의 소성 단계로 이루어 진다.
먼저,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전술한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제조한다.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 후, 상기 제공된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에 인쇄한다. 상기 "기판"이란 전자 방출원이 형성될 기판으로서, 형성하고자 하는 전자 방출 소자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용이하게 인식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기판"이란, 캐소드 전극과 애노드 전극 사이에 게이트 전극이 구비된 형태의 전자 방출 소자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캐소드 전극이 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 하부에 게이트 전극이 구비된 형태의 전자 방출 소자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캐소드와 게이트 전극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인쇄하는 단계는 별도의 포토레지스트 패턴이 불필요하다. 이는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이 감광성 수지를 포함하기 때문이다. 즉, 기판 상에 감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도포한 다음, 이를 원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 영역에 따라 노광 및 현상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쇄된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소성 단계를 거친다. 소성 단계를 통하여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중 카본계 물질과 기판과의 접착력이 향상될 수 있고, 일부 이상의 비이클은 휘발될 수 있다. 또한, 접착 성분 등이 포함된 경우, 용융 및 고형화되어 전자 방출원의 내구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 다. 소성 온도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에 포함된 비이클의 휘발 온도 및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통상적인 소성 온도는 40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450℃이다. 소성 온도가 400℃ 미만이면 비이클 등의 휘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소성 온도가 500℃를 초과하면 제조 비용이 상승하고, 기판이 손상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소성 단계는 산소 가스, 불활성 가스 및 이들의 혼합 가스의 존재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가스는 예를 들면, 질소 가스, 아르곤 가스, 네온 가스, 크세논 가스 및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 가스일 수 있다. 이는 카본계 물질의 열화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소성된 소성 결과물 표면의 카본계 물질은 선택적으로, 활성화 단계를 거친다. 상기 활성화 단계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필름 형태로 경화될 수 있는 용액, 예를 들면 폴리이미드계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표면 처리제를 상기 소성 결과물 상에 도포한 후, 이를 열처리한 다음, 상기 열처리로 형성된 필름을 박리한다. 활성화 단계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소정의 구동원으로 구동되는 롤러 표면에 접착력을 갖는 접착부를 형성하여 상기 소성 결과물 표면에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함으로써 활성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러한 활성화 단계를 통하여 카본계 물질은 전자 방출원 표면으로 노출되거나 수직배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자 방출 소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하는 바, 우수한 전계 방출 특성 및 장수명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 방출 소자는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제1기판 및 제2기판; 상기 제1기판 상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캐소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전자 방출원; 상기 제2기판 상에 형성된 애노드 전극; 및 상기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방출된 전자에 의하여 발광하는 형광층;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의 일 구현예는 도 1을 참조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다양한 전자 방출 소자 중에서도 3극관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전자 방출 소자(200)는 상판(201)과 하판(202)를 구비하고, 상기 상판은 상면기판(190), 상기 상면기판의 하면(190a)에 배치된 애노드 전극(180), 상기 애노드 전극의 하면(180a)에 배치된 형광체층(170)을 구비한다.
상기 하판(202)은 내부공간을 갖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상면기판(190)과 대향하여 평행하게 배치되는 하면기판(110), 상기 하면기판(110)상에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된 캐소드 전극(120), 상기 캐소드 전극(120)과 교차하도록 스트라이프 형태로 배치된 게이트 전극(140), 상기 게이트 전극(140)과 상기 캐소드 전극(120) 사이에 배치된 절연체층(130), 상기 절연체층(130)과 상기 게이트 전극(140)의 일부에 형성된 전자방출원 홀(169), 상기 전자방출원 홀(169)내에 배치되어 상기 캐소드 전극(120)과 통전되고 상기 게이트 전극(140)보다 낮은 높이로 배치되는 전자 방출원(160)을 구비한다. 상기 전자 방출원(16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상판(201)과 하판(202)은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의 진공으로 유지되며, 상기 진공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상판과 하판 간의 압력을 지지하고, 발광공간(210)을 구획하도록 스페이서(192)가 상기 상판과 하판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애노드 전극(180)은 상기 전자방출원(160)에서 방출된 전자의 가속에 필요한 고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전자가 상기 형광체층(170)에 고속으로 충돌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형광체층의 형광체는 상기 전자에 의해 여기되어 고에너지 레벨에서 저에너지 레벨로 떨어지면서 가시광 등을 방출한다.
상기 게이트 전극(140)은 상기 전자방출원(160)에서 전자가 용이하게 방출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절연체층(130)은 상기 전자방출원 홀(169)을 구획하고, 상기 전자방출원(160)과 상기 게이트 전극(140)을 절연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전자 방출 소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3극관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3극관 구조 뿐만 아니라, 2극관을 비롯한 다른 구조의 전자 방출 소자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게이트 전극이 캐소드 전극 하부에 배치되는 전자 방출 소자, 방전 현상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추정되는 아크에 의한 게이트 전극 및/또는 캐소드 전극의 손상을 방지하고, 전자 방출원으로부터 방출되는 전자의 집속을 보장하기 위한 그리드/메쉬를 구비하는 전자 방출 소자에도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자 방출 소자의 구조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응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명확히 표현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재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제조예 1
터피네올 10g에 카본나노튜브 1g(MWNT, 일진나노텍사 제품), 프리트(8000L, 신흥요업사 제품) 0.2g,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2,4,6-트리메틸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 5g을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30,000cps의 점도를 갖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를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1이라고 한다.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1을, Cr 게이트 전극, 절연막 및 ITO 전극이 구비된 기판 상의 전자 방출원 형성 영역에 인쇄한 후, 패턴 마스크를 이용하여 2000 mJ/cm2의 노광 에너지로 평행 노광기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노광 후 아세톤을 이용하여 현상하고, 450℃의 온도 및 질소 가스의 혼합 가스의 존재 하에서 소성하여 전자 방출원을 형성하였다. 이 후, 형광막과 애노드 전극으로서 ITO를 채용한 기판을 상기 전자 방출원이 형성된 기판과 배향되게 배치하고, 양 기판 사이에는 기판 간 셀 갭을 유지하는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전자 방출 소자를 완성하였다.
본 발명을 따르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은 인쇄성이 우수하고, 현상이 용이하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는 우수한 전계 방출 특성 및 장수명을 가질 수 있다.

Claims (8)

  1. 카본계 물질, 비이클 및 감광성 물질을 포함하고, 상기 감광성 물질이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알콜계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에테르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5010917131-PAT00009
    상기 화학식 1 중, A1, A2 및 A3는 독립적으로, H, C2-10알케닐기 또는 -Z1-O-C(O)-Z2기이고, B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상기 Z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Z2는 C2-10알케닐기이며, 상기 A1, A2 및 A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Z1-O-C(O)-Z2기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05010917131-PAT00010
    상기 화학식 2 중, Q1, Q2, Q3, Q4, Q5 및 Q6은 독립적으로, H, C2-10알케닐기 또는 -Z1-O-C(O)-Z2기이고, D1 및 D2는 독립적으로,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 기이고, 상기 Z1은 C1-10알킬렌기 또는 C2-10알케닐렌기이고, Z2는 C2-10알케닐기이며, 상기 Q1, Q2, Q3, Q4, Q5 및 Q6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Z1-O-C(O)-Z2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콜계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3>
    Figure 112005010917131-PAT00011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테르계 화합물이 하기 화학식 4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화학식 4>
    Figure 112005010917131-PAT00012
  4. 제1항에 있어서, 2,4,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2,4,6-trimethyl benzoyl diphenyl phosphine oxide : TPO), 2-이소프로필 티오크산톤(2-isopropyl thioxanthone), 2,4-디에틸 티오크산톤(2,4-diethyl thioxanthone), 벤 조페논, 2,2'-비스(2-클로로페닐)-4,4',5,5'-테트라페닐-1,2'-비이미다졸, 4-페녹시-2,2'-디클로로 아세토페논, 메틸 벤조일 포르메이트 메틸 페닐글리옥실레이트 및 4-(4'-메틸페닐티오)-벤조페논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광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광개시제가 2,4,6-트리메틸 벤조일 디페닐 포스핀 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에 인쇄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된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소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의 인쇄 단계를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을 기판에 도포한 다음 전자 방출원 형성 영역에 따라 노광 및 현상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8. 제6항의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KR1020050016898A 2005-02-28 2005-02-28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KR200600957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898A KR20060095728A (ko) 2005-02-28 2005-02-28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898A KR20060095728A (ko) 2005-02-28 2005-02-28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728A true KR20060095728A (ko) 2006-09-01

Family

ID=3762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898A KR20060095728A (ko) 2005-02-28 2005-02-28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72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5917B2 (en) Electron emission source,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electron emission device employing the electron emission source
KR101082437B1 (ko)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KR101100818B1 (ko) 전자 방출원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60095728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전자 방출 소자
KR101166014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20060117823A (ko)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KR101166015B1 (ko) 전자 방출원,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상기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방출 소자
KR101166016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로부터 제조된 전자 방출원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60019903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전자 방출원 제조 방법 및전자 방출원
KR20070010661A (ko)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70046598A (ko) 카본계 물질 및 광전소자를 포함한 전자 방출원, 상기 전자방출원의 제조 방법,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 방출디스플레이 장치
KR101100814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100683789B1 (ko)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60113258A (ko) 전자 방출원의 제조방법, 그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방출 소자
KR101100817B1 (ko) 카본계 물질 및 나노 사이즈를 갖는 금속 입자의 용융물을포함한 전자 방출원, 이를 포함한 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KR20070014748A (ko) 분지형 카본계 물질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원, 이를 포함한전자 방출 소자 및 상기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KR20060029042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제조 방법 및 전자 방출원
KR101018345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제조 방법 및 전자 방출원
KR20060095727A (ko) 전자 방출원 활성화용 필름, 상기 전자 방출원 활성화용 필름을 이용한 전자 방출 소자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이용하여 얻은 전자 방출 소자
KR20070046592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전자 방출원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 방출원을 구비한 전자방출 소자
KR101100820B1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자방출원, 및 상기 전자 방출원을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20060118723A (ko) 전자 방출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전자 방출 소자
KR20070046589A (ko) 전자 방출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60021745A (ko) 전자 방출원 형성용 조성물, 그로부터 제조되는 전자방출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방출 소자
KR20070014742A (ko) 전자 방출 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