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539A -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 Google Patents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539A
KR20060095539A KR1020060071116A KR20060071116A KR20060095539A KR 20060095539 A KR20060095539 A KR 20060095539A KR 1020060071116 A KR1020060071116 A KR 1020060071116A KR 20060071116 A KR20060071116 A KR 20060071116A KR 20060095539 A KR20060095539 A KR 200600955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ountain
main body
riv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1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89284B1 (ko
Inventor
김우진
Original Assignee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러스파운틴(주) filed Critical 플러스파운틴(주)
Priority to KR1020060071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92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95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92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92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8Foun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은 수중에 마련되며, 소정크기의 공간부에 분수장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분수장치를 유지보수 할 경우 공간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 및, 상기 공간부에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막을 형성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한다.
차단, 차수, 분수대, 분수장치, 하천분수, 수중구조물

Description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Under water structure for river fount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을 보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의 차단장치를 확대하여 차수막이 접힌 상태와 펼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수중구조물 10: 본체
11: 공간부 12: 측벽
13: 출입 홀 14: 설치 홀
15: 수납실
20: 분수장치 21: 펌프
22: 배관 23: 노즐
24: 제1밸브 25: 제2밸브
30: 차단장치 31: 지지대
32: 차수막 40: 배출펌프
본 발명은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분수 기능을 수행할 있도록 수중에 설치되는 펌프 및 배관 등의 수중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해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은 물의 정화 및 공기정화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힘찬 물줄기를 품어냄으로서 이것을 보는 사람에게 시각적 및 청각적인 시원함을 제고함으로서 현대인들의 정신적인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일종의 조경시설이다.
이러한 분수는 주로 야외 공원의 호수, 연못 및 하천(이하 "하천"이라 칭함)등에 설치되어 주간 또는 야간에 주변 경치가 아름답게 연출되도록 함으로써 관람자들의 시야를 즐겁게 한다.
종래의 하천 분수는 노즐을 하천의 수중에 설치하고, 노즐로 물을 분사하기 위하여 별도의 기계실을 하천 주변의 고수부지나 제방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계실에는 주로 펌프와 각종 전기장치 등으로 되는 분수장치의 일부가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하천 분수는 하천으로부터 물을 기계실로 끌어오기 위한 배관과 함께 기계실의 펌프로부터 펌핑된 물을 다시 노즐로 안내하기 위한 배관이 별도로 소요되기 때문에 배관설치를 위한 작업이 장기간 소요되고, 또한 작업이 번거로우며, 이에 따른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배관이 길어지므로 대용량의 펌프를 사용하여야 하며, 그에 따른 운용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여기서 설치비용 및 운용비용 측면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공개번호 제10-2005-7222호 "하천 분수용 수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이 제시되었고 이는 펌프 및 각종 전기장치 등을 노즐이 위치하는 수중에 함께 설치함으로서 시공에 따른 비용과 운용에 따른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내부의 수중에 위치한 분수장치의 노즐 및 펌프 그리고 배관 등의 이상이 발생되면 유지보수를 하여야 하고, 유지보수를 위한 설치 및 해체 그리고 교체의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수중에 잠긴 상태로 작업하여야 함으로 작업이 매우 어려워지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유지보수 작업 중에 풀어놓은 볼트, 나사 등의 체결부재가 물에 휩쓸려 유실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분수에 필요한 펌프, 노즐, 배관 등의 유지 보수할 경우 내부의 물을 배출함과 동시에 외부의 물의 유입을 차단하도록 하여 유지보수작업이 용이하도록 한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은 수중에 마련되며, 소정크기의 공간부에 분수장치가 구비되는 본체와, 상기 분수장치를 유지보수 할 경우 상기 공간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 및, 상기 공간부에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막을 형성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본체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격벽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차수막을 포함하여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차수막은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차수막이 접힐 경우 수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수납실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차수막이 수납될 경우 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설치 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차수막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수막은 상기 고정돌기가 끼움고정 될 수 있도록 고정 홀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부로 물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출입공에는 필요시 물의 출입을 폐쇄할 수 있도록 밸브가 각각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본체에는 상기 차단장치에 구비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막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차수막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플레이트와 상기 제1플레이트와 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1패킹부재와,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차수막을 고정시키는 제2플레이트와, 상기 차수막과 제2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을 보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1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100)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는 분수장치(20)와, 상기 본체(10)에 설치되어 분수장치(20)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본체(10) 외부에서 유입되는 물을 차단하는 차단장치(30)로 구성된다.
본체(10)는 수중에 담수되도록 마련되며, 내부에 공간부(11)를 형성하여 공 간부(11)내부에 분수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본체는 하천의 지면을 다져 시공된다.
즉, 본체(10)의 시공공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먼저 하천의 물의 이동경로를 변경시키거나 하천의 물을 배출한다. 그리고 하천의 지면을 소정의 깊이(30~80cm)로 굴착하여 설치영역에 잡석(1)을 30cm정도의 높이로 다진 후 그 잡석(1)층 위에 버림 콘트리트(2)를 10~15cm로 타설한다.
이후, 버림 콘크리트(2)의 상부에 본체(10)를 형성하되 공간부(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철근 콘크리트(3)를 25~35cm정도로 타설 하고 그 내부에 몰타르(4)를 방수액을 희석하여 내부 표면을 형성한다. 이때 본체(10)를 외부에서 별도로 형성하여 버림 콘크리트(2)를 타설 된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래서 본체(10)에 형성된 공간부(11)에 분수장치(20)가 설치된다. 여기서 분수장치(20)는 물을 펌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펌프(21)와, 펌핑된 물이 이송되는 다수의 배관(22)과, 배관(22)의 단부 또는 일측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물을 분출시키는 다수의 노즐(23)과, 노즐(23)에서 물의 분출을 제어할 수 있도록 배관(22)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밸브(24) 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펌프(21)는 수중에서 사용이 적합하도록 마련되는 수중펌프이며, 본체(10) 공간부(11)의 물을 흡입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본체(10)의 가장자리에는 펌프(21)에서 충분한 양의 물이 펌핑될 수 있도록 충분한 양의 물이 공간부(11)로 출입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때 본체(10)의 가장자리를 따라 측벽(12)을 형성한 후 상기 측벽(12)을 관통하는 다수의 출입 홀(13)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체(10)는 물이 흐르는 하천의 경우 물의 저항이 발생되지 않도록 전방을 삼각형태의 경사면을 양측에 형성하며, 측벽(12)에 형성된 출입 홀(13)은 물이 흐르는 쪽을 향하도록 형성하여 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한다. 이때 후방에는 유입된 물의 배출이 용이하게 형성된다.
또한 출입 홀(13)은 다수의 홀에 관을 설치하여서 마련되며, 공간부(11)로 유입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거나, 개폐의 방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제2밸브(25)가 더 마련되며, 제2밸브(25)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할 수 있고 필요에 다라 본체(10)의 외부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펌프(21)와 제1밸브(24) 및 제2밸브(25)는 수동의 의해 개폐되거나 미도시한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체(10) 측벽(12)에 형성한 차단장치(30)는 본체(10)의 측벽(12)에 설치되는 지지대(31)와, 내부의 분수장치(20)를 유지보수 할 경우 공간부(11)의 물을 펌프(21)에 의해 배출하면서 외부의 물이 지지대(31)에 의해 지지되어 차단하는 차수막(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공간부(11)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별도의 배출펌프(4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배출펌프(40)는 본체(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별도로 휴대할 수 있도록 마련하여 공간부(11)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경우에 임시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대(31)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봉 또는 막대 형태로 마련되며, 일정한 간격으로 본체(10)의 측벽(12)에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31)는 40~60cm의 간 격으로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지지대(31)가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측벽(12)의 평면에는 수직하는 다수의 설치 홀(14)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 홀(14)에는 별도의 관이 수직하게 인서트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지지대(31)를 미관상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손쉽게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 설치할 경우에는 손쉽게 삽입 설치할 수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 지지대(31)는 설치 홀(14)을 형성하지 않고 직접 측벽(12)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차수막(32)은 합성수지 또는 가죽 등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마련되며, 지지대(31)에 인접하게 하단이 측벽(12)에 고정된다. 여기서 차수막(31)은 측벽(12)을 따라 길게 형성되며, 폐곡선을 이루도록 하여 일단이 타단과 중첩되게 설치되거나 일단이 타단과 결합된다. 또한, 차수막(31)은 방수천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차수막(32)은 지지대(31)에 인접하게 설치하되 지지대(31)를 중심으로 본체(11)의 외측에 설치되며, 접힐 수 있도록 연질의 재질로 마련된다. 또한, 물에 의해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 내식성 및 내구성이 우수하며 방수 가능한 재질을 사용한다.
여기서 차수막(32)이 접힐 경우 접힌 상태의 차수막(32)을 수납할 수 있도록 본체(10)의 측벽(12)에는 수납실(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수납실(15)은 측벽(12)의 상부 평면에 형성된다. 또한 측벽(12)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수납실(15)에는 수납된 차수막(32)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커버부재(15a)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커버부재(15a)는 수납실(15)을 덮 을 수 있도록 마련된다. 따라서 커버부재(15a)로 커버하게 되면, 차수막(32)이 풀려 이탈되지 않아 미관이 미려해진다.
이하 본 발명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에 유지보수에 따른 작용을 도 3a 및 도 3b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2를 함께 참고하여 설명된다. 도 3a,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의 차단장치를 확대하여 차수막이 접힌 상태와 펼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100)은 분수장치(20)가 작동되어 분수기능을 수행할 경우 차수막(32)은 본체(10)의 수납실(15)에 접힌 상태로 수납된다. 그리고 제2밸브(25)를 개방하여 본체(10)의 내외로 물이 원활하게 출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되게 한다.
여기서 지지대(31)는 설치 홀(14)에서 제거하여 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지지대(31)를 설치 홀(14)에 설치하여 물의 흐름에 따라 수면을 떠다니는 목재 또는 이물질 등의 부유물이 본체(10)의 공간부(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목재에 의해 공간부(11)에 설치된 분수장치(20)와의 충돌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낙엽 및 비닐 등의 비교적 연질의 이물질이 공간부(11)로 유입되어 펌프(21)의 흡입불량 및 배관(22) 그리고 노즐(23)의 막힘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분수장치(20)의 펌프(21), 배관(22), 노즐(23), 제1밸브(24) 중에 이상이 발생되어 교체를 요하거나 수리를 요할 경우 먼저 제2밸브(25)를 폐쇄하여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 차단한다.
이후 수납실(15)의 커버부재(15a)를 오픈하여 수납실(15)에 수납된 차수막(32)을 펼쳐 지지대(31)에 밀착시킨다.
이후 배출펌프(40)를 이용하여 공간부(11)의 물을 배출시킨다. 이때 분수장치(20)에 설치된 펌프(21)의 유로를 변경시킨 후 펌프(21)를 구동시켜, 펌프(21)의 구동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할 수 도 있다. 그리고 배출이 완료되면 도3b와 같은 형태가 된다.
여기서 공간부(11)의 물을 배출시키게 되면, 외부에서 발생되는 수압을 차수막(32)이 차단한다. 그리고 차수막(32)을 지지대(32)가 내측에서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부(11)로의 물의 유입은 차단되게 된다.
이후 내부의 분수장치(20)의 부품의 수리 및 교체 또는 추가설치가 완료되면, 내부에 마련된 제 2밸브(25)를 개방하여 외부의 물을 공간부(11)로 유입시킨다.
이후 공간부(11)의 수위가 외부와 동일 또는 유사하게 되면 차수막(32)을 접어서 수납실(15)에 수납한다. 그리고 커버부재(15a)를 이용하여 수납실(15)을 커버하여 도 3a와 같은 상태가 된다. 그리고 부품교체작업을 완료한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고정을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의 고정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수막(32)은 공간부(11)쪽으로 펼쳐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즉 차수막(32)을 접지 않고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대(31)를 설치 홀(14)에서 제거한 후 제거한 설치 홀(14)을 덮은 다음 차수막(32)을 고정한다.
이때 차수막(32)을 측벽(12)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되지 않는 자유단부에는 고정 홀(32a)이 형성되고, 측벽(12)의 측면에는 고정돌기(12a)를 형성하여 끼움 결합한다. 여기서 끼움 결합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여기에 한정하지 않고 볼트 체결 등의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지퍼 등을 설치하여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차수막(32)을 측벽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정부재(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하 고정부재(50)에 의해 차수막(32)을 고정하는 것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수막이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재(50)는 차수막(32)을 측벽(12)에 고정한다. 이때 고정위치는 측벽(12)의 평면일 수 있고 내외측 측면일 수 도 있다. 도면에서는 평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상기 고정부재(50)는 단일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밀을 유지하면서 내구성을 구비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정부재(50)는 측벽(12)의 평면에 적층되는 형태로 고정되는 제1플레이트(51)가 설치되고, 제1플레이트(51)와 콘크리트로 되는 측벽(12)의 평면 사이에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1패킹부재(52)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1플레이트(51) 상부에는 차수막(32)의 일단이 적층되고, 차수 막(32)의 상부에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플레이트(53)가 설치된다. 이때 차수막(32)과 제2플레이트(53) 사이에는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제2패킹부재(54)가 설치된다. 또한 제1플레이트(51)와 차수막(32) 사이에 미도시한 제3패킹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도한, 측벽(12)에 고정된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3)에 위치한 차수막(32)과 제2패킹부재(54)를 기밀을 유지하면서 견고한 고정이 될 수 있도록 별도의 채결부재가 마련된다. 여기서 체결부재(55)는 나사 일 수 있다.
여기서 제1플레이트(51)와 제2플레이트(53)는 내식성 및 내구성이 좋은 목재,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재로 마련되는 것이 좋다.
또한 제1패킹부재(52), 제2패킹부재(54), 제3패킹부재는 탄성 또는 쿠션을 갖는 재질로 마련되며, 바람직하게는 합성수지 또는 천연 고무재로 마련된다.
이때 차수막(32)의 타단은 내측으로 향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고 외측으로 향하게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중에 설치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의 물을 배출하고, 배출된 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본 발명의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은 분수에 필요한 펌프, 노즐, 배관 등의 유지 보수할 경우 내부의 물을 배출된 상태로 작업이 가능하여 부품교체작업 등의 유지보수작업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수중에 마련되며, 소정크기의 공간부에 분수장치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분수장치를 유지보수 할 경우 상기 공간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펌프; 및,
    상기 공간부에 외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도록 막을 형성하는 차단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장치는 상기 본체 가장자리에 마련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와 인접하게 설치되며,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격벽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차수막을 포함하여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막은 접힐 수 있도록 마련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차수막이 접힐 경우 수납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수납실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실에는 상기 차수막이 수납될 경우 이를 커버하는 커버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지부재가 설치 및 분리될 수 있도록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의 설치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차수막을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차수막은 상기 고정돌기가 끼움고정 될 수 있도록 고정 홀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공간부로 물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다수의 출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출입공에는 필요시 물의 출입을 폐쇄할 수 있도록 밸브가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차단장치에 구비되어 물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수막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본체의 측벽에 고정되며 상부에 상기 차수막이 설치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제1플레이트;
    상기 제1플레이트와 측벽 사이에 마련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1패킹부재;
    상기 제1플레이트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 차수막을 고정시키는 제2플레이트; 및,
    상기 차수막과 제2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어 기밀을 유지시키는 제2패킹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KR1020060071116A 2006-07-28 2006-07-28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KR1007892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16A KR100789284B1 (ko) 2006-07-28 2006-07-28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1116A KR100789284B1 (ko) 2006-07-28 2006-07-28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789U Division KR200428985Y1 (ko) 2006-08-02 2006-08-02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539A true KR20060095539A (ko) 2006-08-31
KR100789284B1 KR100789284B1 (ko) 2008-01-02

Family

ID=37625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1116A KR100789284B1 (ko) 2006-07-28 2006-07-28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92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39B1 (ko) * 2009-09-01 2010-05-17 플러스파운틴(주) 차수봉 자동 승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931B1 (ko) * 2009-06-23 2010-06-24 플러스파운틴(주)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 시스템
KR100972225B1 (ko) 2009-12-21 2010-07-23 플러스파운틴(주) 하천에 설치되는 수중분수대 및 시공방법
KR102242017B1 (ko) 2020-06-11 2021-04-19 박정임 유지보수가 편리한 분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9A (ja) * 1995-06-15 1997-01-07 Mamiya Op Co Ltd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KR100700631B1 (ko) * 2004-09-18 2007-03-2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펌프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분수시스템
KR100677865B1 (ko) * 2004-12-07 2007-02-02 플러스파운틴(주) 하천 분수용 수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60078745A (ko) * 2004-12-31 200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오염 차단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839B1 (ko) * 2009-09-01 2010-05-17 플러스파운틴(주) 차수봉 자동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89284B1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685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terizing a swimming pool
US628063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cleaning of a swimming pool
KR100789284B1 (ko)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KR101008354B1 (ko) 바닥분수
US10876314B1 (en) Pool skimmer mounting arrangements and installation kits having a wall insert
CN101506450B (zh) 用于水池的表面撇除装置
US6561214B2 (en) Hydrant with improved drain mechanism
US7252761B2 (en) Filtration installation for filtering the water of a water pool
KR200428985Y1 (ko) 하천분수용 수중구조물
JP2010001888A (ja) 水流噴射装置の磁力伝動構造
KR100965931B1 (ko) 부력을 이용한 차수장치와 그 차수장치를 갖는 분수대 및 분수 시스템
ES2372323T3 (es) Colector para piscinas o estanques de natación.
KR101863450B1 (ko) 관리가 용이한 바닥 분수 시스템
KR101462560B1 (ko) 이중구조의 수조를 갖는 분수대
JP6989195B1 (ja) 貯留式災害用水洗トイレシステム
KR100963260B1 (ko) 가변 연출형 분수
CN106795712A (zh) 无动力防逆流装置
US8607373B2 (en) Pool fluid control system
KR101653040B1 (ko) 사계절용 바다 풀장
CN207017354U (zh) 高寒地区超出地面消防水池的取水口系统
KR100677865B1 (ko) 하천 분수용 수중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H08135005A (ja) 排水ピット
KR200250520Y1 (ko) 인공풀
JP4611662B2 (ja) 真空弁ユニット
JP3695475B2 (ja) 防災プ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