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5359A - 프론트 엔드 모듈 - Google Patents

프론트 엔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5359A
KR20060095359A KR1020050016989A KR20050016989A KR20060095359A KR 20060095359 A KR20060095359 A KR 20060095359A KR 1020050016989 A KR1020050016989 A KR 1020050016989A KR 20050016989 A KR20050016989 A KR 20050016989A KR 20060095359 A KR20060095359 A KR 20060095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band
filter
stripline
phase shifter
end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5359A/ko
Publication of KR20060095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3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있어서, 특히 캐패시터와 인덕터 등으로 구성된 저역통과필터(LPF) 대신, 기판의 그라운드(Ground)면에 슬럿(slot)이 형성된 스트립라인필터(Stripline Filter)를 사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FEM)을 소형화 시키는 동시에 고조파 성분을 제거시키고, 공정비용을 낮출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은, 안테나단과 제 1 주파수대 수신단 사이에 구비된 제 1 스트립라인필터; 상기 안테나단과 제 2 주파수대 수신단 사이에 구비된 제 2 스트립라인필터; 상기 안테나단과 제 1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스트립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제 1 위상변환기; 상기 안테나단과 제 2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스트립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제 2 위상변환기; 상기 제 1 위상변환기와 상기 제 1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 1필터; 상기 제 2 위상변환기와 상기 제 2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론트 엔드 모듈(FEM,front end module), 스트립라인필터(Stripline Filter), 고조파(harmonic) 성분

Description

프론트 엔드 모듈{Front end module}
도 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라인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스트립라인필터를 거친 주파수대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0 : 다이플렉서 202 : 제 1스트립라인필터
204 : 제 2스트립라인필터 206 : 제 1위상변환기
208 : 제 2위상변환기 210 : 제 1 쏘(SAW)필터
212 : 제 2 쏘(SAW)필터 214 : 다이오드
216 : 캐패시터
본 발명은 프론트 엔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에 따라 휴대 전화, 휴대형 정보 단말기등의 이 동통신 기기가 급속히 보급되고, 이들 이동 통신 시스템에 사용되는 주파수도 800㎒∼1㎓, 1.5㎓∼2㎓대로 다방면에 걸쳐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시스템이 제공되고 있다.
이들 기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의 요구로부터 이들에 사용되는 부품도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요구되고, 상기 이동 통신기기의 소형화와 비용절감을 위한 노력이 가속화되면서 필연적으로 상기 통신기기를 구성하는 여러 소자들의 소형화 및 집적화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다이플렉서(100), 제 1 저역통과필터(102), 제 2 저역통과필터(104), 제 1 위상 변환기(106), 제 2 위상 변환기(108), 제 1 쏘(SAW)필터(110), 제 2 쏘(SAW)필터(112), 다이오드(114), 캐패시터(1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이플렉서(100)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제 1 주파수 대역(GSM)신호와 제 2 주파수 대역(DCS)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102)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GSM)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 2 저역통과필터(104)는 제 2 주파수 대역(DCS)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한다.
이때, 상기 제 1 저역통과필터(102)와 제 2 저역통과필터(104)가 파이(π)형이면, 상호 병렬로 연결되는 캐패시터와 인덕터의 조합에 의해 저역통과필터(LPF)의 성능이 결정되는데, 상기 캐패시터와 인덕터를 조합시키는 방법은 복수개일 수 있다.
한편, 제 1 위상 변환기(106)는 상기 다이플렉서(100)에서 수신되는 제 1 주파수 대역(GSM)수신 신호와 함께 제 1 주파수 대역(GSM)송신 대역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주파수의 위상을 변환시킨다.
또한, 제 2 위상 변환기(108)는 상기 다이플렉서(100)에서 수신되는 제 2 주파수 대역(DCS) 송신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주파수의 위상을 변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과 제 1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 신호는 상기 다이플렉서(100)에 의해서 분리되지만, 상기 제 2 위상 변환기(108)와 제 1 위상 변환기(106)에 의해서 각각 수신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 1 쏘필터(110)는 상기 제 1 위상 변환기(106)를 통과한 신호에 대해 제 1 주파수 대역(GSM) 수신단에서 원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대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이 범위를 벗어난 신호는 제거시킨다.
또한, 제 2 쏘필터(112)는 제 2 위상 변환기(108)를 통과한 신호에 대해 제 2 주파수 대역(DCS) 수신단에서 원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대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이 범위를 벗어난 신호를 제거시킨다.
또한, 다이오드(114)는 제 1 다이오드(D1), 제 2 다이오드(D2), 제 3 다이오드(D3),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다이오드(D1)와 제 2 다이오드(D2)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를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3 다이오드(D3)와 제 4 다이오드(D4)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송신 모드시는 전원단 V1에 전압이 인가되어(V2는 오프 상태)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제 2 다이오드가 온(ON)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송신 모드시는 전원단 V2에 전압이 인가되어(V1은 오프 상태), 제 3 다이오드와 제 4 다이오드가 온 상태가 된다.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수신 모드시는 전원단 V1이 오프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제 2 다이오드 가 오프가 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수신 모드시는 전원단 V2가 오프 상태가 되어 수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캐패시터(116)는 제 1 캐패시터와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원단 V1, V2의 DC신호가 안테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직류 차단 캐패시터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의 프론트 엔드 모듈의 제 1 또는 제 2 저역통과필터(LPF)는 통상 판상으로 캐패시터와 인덕터가 기판위에 소정의 면적을 차지하여 위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프론트 엔드 모듈의 모듈크기를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캐패시터와 인덕터 등으로 구성된 저역통과필터(LPF) 대신 기판의 그라운드(Ground)면에 슬럿(slot)이 형성된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micro stripline)을 사용하여, 모듈을 소형화 시키는 동시에 고조파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는 프론트 엔드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은, 안테나단과 제 1 주파수대 수신단 사이에 구비된 제 1 스트립라인필터; 상기 안테나단과 제 2 주파수대 수신단 사이에 구비된 제 2 스트립라인필터; 상기 안테나단과 제 1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스트립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제 1 위상변환기; 상기 안테나단과 제 2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스트립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제 2 위상변환기; 상기 제 1 위상변환기와 상기 제 1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 1필터; 상기 제 2 위상변환기와 상기 제 2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라인필터는, LTCC 기판; 상기 LTCC 기판위에 형성된 절연체; 상기 절연체 위에 형성된 도체띠; 상기 LTCC 기판 밑면에 위치된 복수개의 슬럿(slo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슬럿은 제거하고자 하는 고조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상기 슬럿의 수와 간격 등이 조절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프론트 엔드 모듈은 다이플렉서(200), 제 1 스트립라인필터(202), 제 2 스트립라인필터(204), 제 1 위상 변환기(206), 제 2 위상 변환기(208), 제 1 쏘(SAW)필터(210), 제 2 쏘(SAW)필터(212), 다이오드(214), 캐패시 터(2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다이플렉서(200)는 안테나와 연결되어 제 1 주파수 대역(GSM)신호와 제 2 주파수 대역(DCS) 신호를 분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 1 스트립라인필터(202)와 제 2 스트립라인필터(204)는 종래의 제 1 저역통과필터(102)와 제 2 저역통과필터(204)를 대신한 필터이다.
상기 제 1 스트립라인필터(202)와 제 2 스트립라인필터(204)에서 스트립라인은 통상 인쇄로 만들어지는 급전선을 의미하며, 기판위에 1mm 정도의 얇은 절연체가 있고, 그 위에 도체의 띠(스트립)가 있는 구조이다. 상기 띠(스트립)는 인쇄에 의해 만들어지고 미세(마이크로)한 형상의 선로가 만들어지기 때문에 마이크로 스트립 라인이라 한다.
상기 스트립 라인이 형성된 기판은 상기 기판위에 도포된 절연체 위에 도체띠가 형성되면, 상기 기판을 복수개의 슬럿이 형성된 전극위에 올린다. 상기 복수개의 슬럿이 형성된 전극면은 그라운드(Ground)된다.
제 1 스트립라인필터(202)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GSM)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하고, 상기 제 2 스트립라인필터(204)는 제 2 주파수 대역(DCS) 송신단에서 전송되는 신호의 고주파 잡음을 제거한다.
한편, 제 1 위상 변환기(206)는 상기 다이플렉서(200)에서 수신되는 제 1 주파수 대역(GSM)수신 신호와 함께 제 1 주파수 대역(GSM)송신 대역의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주파수의 위상을 변환시킨다.
또한, 제 2 위상 변환기(208)는 상기 다이플렉서(200)에서 수신되는 제 2 주 파수 대역(DCS) 송신 신호가 수신되지 않도록 주파수의 위상을 변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과 제 1 주파수 대역의 송수신 신호는 상기 다이플렉서(200)에 의해서 분리되지만, 상기 제 2 위상 변환기(208)와 제 1 위상 변환기(206)에 의해서 각각 수신되는 신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제 1 쏘필터(210)는 상기 제 1 위상 변환기(206)를 통과한 신호에 대해 제 1 주파수 대역(GSM) 수신단에서 원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대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이 범위를 벗어난 신호는 제거시킨다.
또한, 제 2 쏘필터(212)는 제 2 위상 변환기(208)를 통과한 신호에 대해 제 2 주파수 대역(DCS) 수신단에서 원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대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이 범위를 벗어난 신호를 제거시킨다.
또한, 다이오드(214)는 제 1 다이오드(D1), 제 2 다이오드(D2), 제 3 다이오드(D3), 제 4 다이오드(D4)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다이오드(D1)와 제 2 다이오드(D2)는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신 경로와 수신 경로를 바꾸어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제 3 다이오드(D3)와 제 4 다이오드(D4)는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신호의 송신경로와 수신경로를 바꾸어주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송신 모드시는 전원단 V1에 전압이 인가되어(V2는 오프 상태)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제 2 다이오드가 온(ON)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송신 모드시는 전원단 V2에 전압이 인가되어(V1은 오프 상태), 제 3 다이오드와 제 4 다이오드가 온 상태가 된다.
상기 제 1 주파수 대역 수신 모드시는 전원단 V1이 오프 상태가 되어, 상기 제 1 다이오드와 제 2 다이오드 가 오프가 되고, 상기 제 2 주파수 대역 수신 모드시는 전원단 V2가 오프 상태가 되어 수신이 이루어진다.
또한, 캐패시터(216)는 제 1 캐패시터와 제 2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전원단 V1, V2의 DC신호가 안테나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직류 차단 캐패시터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라인필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트립라인필터는 LTCC 기판(300), 상기 LTCC 기판위에 1mm 정도로 형성된 얇은 절연체(302), 상기 절연체 위의 도체띠(304), 그라운드 되는 상기 LTCC 기판 밑면에 위치된 복수개의 슬럿(30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도체띠(304)는 통상 은(Au)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슬럿(306)은 제거하고자 하는 고조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상기 슬럿(306)의 수와 간격 등을 조절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론트 엔드 모듈의 스트립라인필터를 거친 주파수대 출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스트립라인필터는 낮은 주파수에서는 신호를 잘 통과시키다가, 이미 슬럿(306)으로 맞추어진 제거하고자 하는 주파수(f0)가 들어오면 신호를 통과시키지 않음을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트립라인필터는 원하는 소정 범위의 주파수대의 신호만 통과시키고, 이 범위를 벗어난 신호는 제거하는 밴드 리젝트(Band Reject)특성을 보여 고조파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스트립라인필터는 도체띠(304)가 인덕터 역할을 수행하고, 슬럿(306)이 캐패시터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저역통과필터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캐패시터와 인덕터가 불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프론트 엔드 모듈의 크기를 소형화시킬 수 있으며, 공정 비용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캐패시터와 인덕터 등으로 구성된 저역통과필터(LPF) 대신, 기판의 그라운드(Ground)면에 슬럿(slot)이 형성된 스트립라인필터(Stripline Filter)를 사용하여, 프론트 엔드 모듈(FEM)을 소형화 시키는 동시에 고조파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고, 공정비용을 낮출 수 있다.

Claims (4)

  1. 안테나단과 제 1 주파수대 수신단 사이에 구비된 제 1 스트립라인필터;
    상기 안테나단과 제 2 주파수대 수신단 사이에 구비된 제 2 스트립라인필터;
    상기 안테나단과 제 1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1 스트립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제 1 위상변환기;
    상기 안테나단과 제 2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제 2 스트립라인과 병렬로 구비되는 제 2 위상변환기;
    상기 제 1 위상변환기와 상기 제 1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 1필터;
    상기 제 2 위상변환기와 상기 제 2 주파수대 송신단 사이에 구비되는 제 2 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라인필터는,
    LTCC 기판;
    상기 LTCC 기판위에 형성된 절연체;
    상기 절연체 위에 형성된 도체띠;
    상기 LTCC 기판 밑면에 위치된 복수개의 슬럿(slot);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슬럿은 제거하고자 하는 고조파의 주파수에 따라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론트 엔드 모듈.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띠는 은(Au)을 포함한 전도성물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라인필터의 제조 방법.
KR1020050016989A 2005-02-28 2005-02-28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600953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989A KR20060095359A (ko) 2005-02-28 2005-02-28 프론트 엔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989A KR20060095359A (ko) 2005-02-28 2005-02-28 프론트 엔드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359A true KR20060095359A (ko) 2006-08-31

Family

ID=37625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989A KR20060095359A (ko) 2005-02-28 2005-02-28 프론트 엔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53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466B2 (en) 2008-05-13 2011-08-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04466B2 (en) 2008-05-13 2011-08-23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Antenn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7269B2 (en) Front-end module for multi-band and multi-mode wireless network system
US7885614B2 (en) Antenna switch with adaptive filter
EP1675270B1 (en) Noise removing apparatus for wireless transceiver
EP1505683B1 (en) High frequency switch module and multi-layer substrate for high frequency switch module
EP1508199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reless terminals
US20050037800A1 (en) Front end module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JP2007013715A (ja) アンテナスイッチシステム
US6996384B2 (en) Receiver and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EP1500161A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wireless terminals
KR20070110957A (ko) 프론트 앤드 모듈
EP1722486A1 (en) Isolation trap circuit, antenna switch module and transmission circuit
KR20020095556A (ko) 개별적 송,수신 안테나를 구비한 무선 통신단말기
KR20060134293A (ko) 원칩형 프론트앤드 복합모듈
JP2005094499A (ja) アンテナ装置、アンテナ素子製造方法及び通信装置
JP2021010078A (ja) アンテナ素子及びそれを備えた無線通信装置
KR20060095359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20170024342A (ko) 트리플렉서
KR100726593B1 (ko) 퀸트플렉서
KR100784056B1 (ko) 윈칩형 rf집적모듈
KR101395328B1 (ko) 다중 주파수 대역 통신을 위한 통합 고주파 프런트 엔드장치
KR20060096749A (ko) 프론트 엔드 모듈
KR101000207B1 (ko) 듀얼 밴드 프론트 엔드 모듈
KR20050053829A (ko) 듀얼 밴드 프론트 엔드 모듈
KR100469119B1 (ko) 전력 감지기 및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6750A (ko) 프론트 엔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