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968A - 나노입자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나노입자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968A
KR20060094968A KR1020067007736A KR20067007736A KR20060094968A KR 20060094968 A KR20060094968 A KR 20060094968A KR 1020067007736 A KR1020067007736 A KR 1020067007736A KR 20067007736 A KR20067007736 A KR 20067007736A KR 20060094968 A KR20060094968 A KR 200600949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primer
substrate
major surface
nanopartic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듀앤 에이. 런스포드
지미 알. 주니어. 배런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0/668,748 external-priority patent/US20050064182A1/en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0600949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9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BNANOSTRUCTURES FORMED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 B82B3/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by manipulation of individual atoms or molecules, or limited collections of atoms or molecules as discrete uni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from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balloons, e.g. syntactic fo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4/00Adhesive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adhesive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J183/00 - C09J183/1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6Porous or cellular plas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5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a primer layer between the carrier and th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3/00Foams characterized by the expanding agent
    • C08J2203/22Expandable microspheres, e.g. Expance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23/00Presence of polyolefin
    • C09J2423/006Presence of polyolefin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1/00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 C09J2431/006Presence of polyvinyl acetate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33/00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 C09J2433/006Presence of (meth)acrylic polymer in the substr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75/00Presence of polyuret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483/00Presence of polysilox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3As outermost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10T428/249953Composite having voids in a component [e.g., porous, cellular, etc.]
    • Y10T428/249982With component specified as adhesive or bonding agent
    • Y10T428/249985Composition of adhesive or bonding component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3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including a primer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48Three or more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 Y10T428/2852Adhesive compositions
    • Y10T428/2878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 Y10T428/2891Adhesive compositions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unsaturated monomer including addition polymer from alpha-beta unsaturated carboxylic acid [e.g., 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etc.] Or derivative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 Tap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접착 물품은 중합체성 발포체 기판 및(또는) 5 중량% 미만의 아크릴산 단위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착제, 접착층, 프라이머, 나노입자, 접착 물품

Description

나노입자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ADHESIVE ARTICLES INCLUDING A NANOPARTICLE PRIM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본 발명은 기판과 접착층 사이에 삽입된 나노입자 프라이머 층을 갖는 접착 물품 및 그러한 물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접착 물품은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도포된, 접착제를 갖는 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착 물품의 예는 발포 테이프를 비롯한, 단일-코팅 및 이중-코팅 접착 테이프 등이 있다.
열가소성 중합체는 접착 물품용 기판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부류의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열가소성 기판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이미드 및 폴리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발포되는 물질은 접착 물품용 기판의 또 다른 다양한 부류의 물질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발포되는 물질은 열가소성 중합체, 아크릴 및 고무를 포함한다.
기판 표면을 처리하여 접착제의 접착성을 개선하는 많은 방법이 있는데, 예컨대 화학적 에칭, 전자-빔 조사,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에칭, 접착 촉진층의 공압출 및 접착 촉진 프라이머 코팅을 수반하는 코팅 기판이 있으며, 이들 중 일부는 후속적으로 가교될 수 있다. 이러한 접착-촉진 방법의 바람직한 결과는 기판이 접 착제를 더 잘 받아들이도록 하고, 기판과 접착제 사이에 강한 계면 접합을 촉진하는 데 있다.
기판에의 접착성을 개선하는 또 다른 방법은, 프라이머 코팅의 도포, 또는 예를 들면 코로나 처리, 즉 기판의 표면을 공기 또는 질소 중에서 전기 방전에 노출시켜 히드록실 또는 카르복실 등의 극성 관능기가 산화 반응에 의해 표면상에 융합되는 방법에 의해, 기판 표면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처리가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와 같은 대부분의 열가소성 물질의 표면 에너지를 증가시키기는 하나, 이러한 표면 에너지의 증가는 접착제, 특히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갖는 접착제의 접합 또는 접착성 강화를 위한 충분한 조건은 아니다.
기판과 접착제 사이의 접착성의 증가를 위한 개선된 물질 및 방법을 확인할 지속적인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간단히 말해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판, 접착제 및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을 제공한다. 프라이머는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며 기판과 접착제 사이에 삽입된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접착제를 기판에 접합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프라이머를 기판의 제1 주표면과 접착층의 제1 주표면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발포체(foam)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프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 및,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프 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하나 이상의 구체적인 실시태양이 하기 기재내용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목적 및 장점은 하기 기재내용 및 청구항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태양에 따른 접착 물품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접착 물품은 기판의 적어도 한쪽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도포된 접착제를 갖는 기판과, 기판 표면과 접착제 사이에 삽입된 프라이머이다. 프라이머는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된다. 나노입자는 개별 입자일 수도 있고, 입자 덩어리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나노입자는 최대 단면 치수 20 나노미터(nm) 미만 (예를 들면 10 nm 미만 또는 8 nm 미만)을 가진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입자는 덩어리를 형성하지 않는다. 만일 입자가 덩어리를 형성한다면, 덩어리의 최대 단면 치수는 20 nm 미만(예를 들면 10 nm 미만 또는 8 nm 미만)이어야 한다. 본원에 인용되는 나노입자의 치수는 그들이 표면에 도포되어 프라이머를 형성하기 이전에의 나노입자의 치수(예를 들면, 프라이머 용액 중 나노입자 또는 나노입자 덩어리의 치수)이다. 나노입자가 표면에 도포된 뒤 (예를 들면 기판상에 프라이머 용액을 코팅하여), 그들은 응집하여 더 큰 구조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은 접착 물품 (10)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접착 물품 (10)은 제1 표면 (24)를 갖는 기판 (14), 제1 표면 (22)을 갖는 접착층 (12)를 포함한다. 접착층 (12)의 제1 표면 (22)은 기판 (14)의 제1 표면 (24)에 접합되고 프라이머 (16)이 접착층 (12)과 기판 (14) 사이에 삽입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제2 접착층(도시되지 않음)이 기판 (14)의 제2 표면 (34)에 접합될 수도 있다. 제2 프라이머층(도시되지 않음)이 제2 접착층 및 기판 (14)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실질적으로 기판 (14)의 제1 표면 (24) 전체에 도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제1 표면 (24)의 일부에만 도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제1 표면 (24)의 임의로 선택된 부분에 도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도포된 제1 표면 (24)의 일부가 정해진 패턴을 형성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실질적으로 접착층 (12)의 제1 표면 (22) 전체에 도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제1 표면 (22)의 일부에만 도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제1 표면 (22)의 임의로 선택된 부분에 도포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이 도포된 제1 표면 (22)의 일부가 정해진 패턴을 형성한다.
도 1에서, 프라이머 (16)은 나노입자의 단일 층으로 도시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는, 프라이머 (16)은 2 이상의 나노입자층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물품은 사실상 임의의 중합체성 물질일 수 있는 기판을 포함한다. 기판은 투명, 반투명, 또는 불투명할 수 있으며, 발포되거나 발포되지 않을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중합체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필름은 예를 들면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의 이오노머 및 그들의 혼합물), 폴리에스테르 (예를 들면, 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및(또는) 나프탈레이트 공단량체 단위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나프탈레이트(PBN), 폴리프로필렌 나프탈레이트(PPN) 및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술폰,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필름은 예를 들면 윤활제 및 다른 용융 가공 보조제, 안료, 염료 및 다른 착색제, 자외선 광흡수제 (즉, UVA), 추가의 자외선 광안정제, (예를 들면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 (즉, HALS)), 산화방지제, 핵제, 충전제, 섬유, 가소제, 증백제, 방염제, 정전기 방지 및 활제, 열전도 입자, 전기전도 입자, 연속 미세섬유 등, 및 그들의 조합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중합체성 필름은 주형 또는 용융 압출을 비롯한 임의의 공지된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중합체성 필름은 임의의 공지된 기법에 의해 양각화될 수 있다.
기판은 발포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발포체는 개방 셀(cell) 발포체, 폐쇄 셀 발포체, 또는 그들의 조합일 수 있다. 발포체는 예를 들면, 아크릴,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의 이오노머 및 그들의 혼합물), 폴리우레탄, 고무, 실리콘, 또는 그들의 블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 발포체의 예로는 미국특허번호 제4,415,615호 (이즈메이(Esmay) 등) 및 미국특허번호 제6,103,152호 (게헬센(Gehlsen) 등)가 있다. 발포체는 점착 부여제(tackifier), 가소제, 안료, 염료, 팽창-가능 및 팽창-불가능 미세구체, 물리적 발포제, 화학적 발포제, 발포 안정제, 계면활성제, 강화제, 소수성 또는 친수성 금속 산화물, 탄산칼슘, 강인화제, 열전도 입자, 전기 전도 입자, 방염제, 산화방지제, 미세하게 분쇄된 중합체성 입자, 안정제, 연속 미세섬유 및 그들의 조합 등을 첨가제로 함유할 수 있다.
발포체는 예를 들면 기계적 메커니즘, 화학적 메커니즘 및 그들의 조합을 비롯한 다양한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조성물 내의 기체 공동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유용한 기계적 발포체 형성 메커니즘은 예를 들면 교란(예를 들면, 조성물을 흔들기, 교반 또는 휘젓기 또는 그들의 조합), 조성물 내로의 기체 주입(예를 들면, 조성물 표면 아래에 취구를 삽입하고 조성물 내로 기체를 불어 넣기),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화학적 발포체 형성 메커니즘은 예를 들면 화학 반응 및, 예컨대 열적 분해시 기체를 방출하는 성분을 비롯한 조성물의 성분의 분해를 통해 현장 내에서 기체를 생성하는 것, 예를 들면 액체 기체(liquid gas)를 비롯한 조성물의 성분을 증발하는 것, 조성물을 가열하거나 조성물 상의 압력을 감소시켜 조성물 내의 기체를 기화하는 것,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원칙적으로, 화학적 발포제 및, 예를 들어 무기 및 유기 발포제를 비롯한 물리적 발포제를 비롯한 임의의 발포제가 조성물을 발포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화학적 발포제의 예로는, 예를 들면 4,4'-옥시비스(벤젠술포닐)히드라지드, 4,4'-옥시벤젠술포닐 세미카르바지드, 아조디카르본아미드, p-톨루엔술포닐 세미카르바지드, 바륨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 아조디이소부티로니트릴, 벤젠술폰히드라지드, 트리히드라지노트리아진, 아조디카르복실산의 금속 염, 옥살산 히드라지드, 히드라조카르복실레이트, 디페닐옥사이드-4,4'-디술포히드라지드, 테트라졸 화합물,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암모늄, 탄산 화합물 및 폴리카르본산의 제조, 및 시트르산, 탄산수소나트륨의 혼합물, N,N'-디메틸-N,N'-디니트로소-테레프탈아미드, N,N'-디니트로소펜타메틸렌테트라아민, 및 그들의 조합을 비롯한, 물 및 아조-, 카르보네이트- 및 히드라지드-계 분자를 포함한다.
적합한 무기 물리적 발포제는 예를 들면 질소, 아르곤, 산소, 물, 공기, 헬륨, 육플루오르화황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유기 물리적 발포제는 예를 들면, 이산화탄소, 지방족 탄화수소, 지방족 알콜, 예를 들면 염화메틸렌을 비롯한 완전 및 부분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지방족 탄화수소 발포제는 예를 들면 알칸 계통의 탄화수소, 예컨대 메탄, 에탄, 프로판, n-부탄, 이소부탄, n-펜탄, 이소펜탄 및 그들의 블렌드를 포함한다. 유용한 지방족 알콜은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적합한 완전 및 부분 할로겐화된 지방족 탄화수소는 예를 들면 플루오르화탄소, 염화탄소, 염화플루오르화탄소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플루오르화탄소 발포제의 예로는, 플루오르화메틸, 퍼플루오로메탄, 플루오르화에틸, 1,1-디플루오로에탄(HFC-152a), 플루오로에탄(HFC-161), 1,1,1-트리플루오로에탄(HFC-143a), 1,1,1,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C-134a), 1,1,2,2-테트라플루오로에탄(HFC-134), 1,1,1,3,3-펜타플루오로프로판, 펜타플루오로에탄(HFC-125), 디플루오로메탄(HFC-32), 퍼플루오로에탄, 2,2-디플루오로프로판, 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프로판, 디클로로프로판, 디플루오로프로판, 퍼플루오로부탄, 퍼플루오로시클로부탄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부분 할로겐화된 염화탄소 및 염화플루오로화탄소 발포제는 예를 들면 염화메틸, 염화메틸렌, 엠화에틸, 1,1,1-트리클로로에탄,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HCFC-141b), 1-클로로-1,1-디플루오로에탄(HCFC-142b),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HCFC-22), 1,1-디클로로-2,2,2-트리플루오로에탄(HCFC-123) 및 1-클로로-1,2,2,2-테트라플루오로에탄(HCFC-124)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완전 할로겐화된 염화플루오로화탄소의 예로는, 예를 들면 트리클로로모노플루오로메탄(CFC-11),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CFC-12),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CFC-113),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CFC-114), 클로로헵타플루오로프로판 및 디클로로헥사플루오로프로판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발포제는 단일 성분, 혼합물 및 그들의 조합으로, 또는 다른 공-발포제와의 혼합물로 사용될 수 있다. 발포제는 원하는 발포체 밀도를 달성하는 데 충분한 양으로 조성물에 첨가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핵제 또한 존재할 수 있다. 핵제는 임의의 통상적인 핵제일 수 있다. 첨가되는 핵제의 양은 원하는 셀의 크기, 선택되는 발포제 및 발포되는 조성물의 밀도에 의존한다. 작은 미립자 형태의 무기 핵제의 예는 점토, 활석, 실리카 및 규조토이다. 유기 핵제는 주어진 온도에서 분해 또는 반응할 수 있다.
유기 핵제의 예는 폴리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과 카르보네이트 또는 비카르보네이트의 조합이다. 유용한 폴리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의 예는 2,3-디히드록시-부탄디오익산의 일나트륨염(즉, 소듐 히드로겐 타르트레이트), 부탄디오익산의 일칼륨염(즉, 포타슘 히드로겐 숙시네이트), 2-히드록시-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의 삼나트륨염 및 삼칼륨염(즉, 각각 소듐 및 포타슘 시트레이트), 및 에탄디오익산의 이나트륨염(즉, 소듐 옥살레이트) 및 폴리카르복실산, 예컨대 2-히드록시-1,2,3-프로판트리카르복실산,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카르보네이트 및 비카르보네이트의 예는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탄산칼륨 및 탄산칼슘,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상되는 한 조합은 폴리카르복실산의 모노알칼리 금속염, 예컨대 모노소듐 시트레이트 또는 모노소튬 타르트레이트와, 카르보네이트 또는 비카르보네이트와의 조합이다. 상이한 핵제의 혼합물이 첨가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른 유용한 핵제는 시트르산과 탄산수소나트륨의 화학양론적 혼합물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발포체는 팽창된 미세구체를 조성물 내로 블렌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발포체는 팽창 가능한 미세구체를 조성물 내로 블렌딩하고 상기 미소구체를 팽창시켜 형성될 수 있다.
팽창 가능한 중합체성 미세구체는 기체, 액체 또는 그들의 조합의 형태를 한 중합체 쉘(shell) 및 코어 물질을 포함한다. 중합체성 쉘의 용융 또는 유동 온도 또는 그 이하의 온도로 가열하면, 중합체 쉘은 팽창한다. 적합한 코어 물질의 예는 프로판, 부탄, 펜탄, 이소부탄, 네오펜탄, 이소펜탄 또는 유사한 물질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중합체 미세구체 쉘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의 정체는 발포체의 기계적 성질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발포체의 성질은 미세구체의 선택, 또는 상이한 유형의 미세구체의 혼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높은 인장 강도 및 응집 강도가 저밀도 발포체 물품에 요구되는 경우, 아크릴로니트릴-함유 수지가 유용하다. 이것은 아크릴로니트릴 함량이 중합체 쉘에 사용되는 수지의 적어도 50 중량%, 일반적으로 적어도 60 중량%, 및 전형적으로 적어도 70 중량%인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팽창 가능 미세구체 쉘로 사용될 수 있는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의 예는 아크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예컨대 폴리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비닐리덴 클로라이드-함유 중합체, 예컨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비닐리덴 클로라이드-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비닐리덴 클로라이드-메타크릴로니트릴-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아크릴로니트릴-비닐리덴 클로라이드-메타크릴로니트릴-메틸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가 또한 사용될 수 있으나, 고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고강도가 요구되는 경우, 미세구체 쉘은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20 중량% 이하, 전형적으로는 15 중량% 이하를 함유한다. 고강도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미소구체는 비닐리덴 클로라이드가 전혀 없을 것을 요구할 수도 있다. 할로겐이 없는 미세구체가 본 발명의 발포체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팽창 가능 미세구체의 예는 미국 뉴욕주 버팔로에 위치한 피어스 스티븐스사(Pierce Stevens)의 상표명 F30D, F80SD 및 F100, 및 미국 조지아주 둘루스에 위치한 엑스팬셀사(Expancel, Inc.)의 상표명 EXPANCEL 551, EXPANCEL 461, 및 EXPANCEL 091 등으로 시판되는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접착 물품은 접착층을 포함한다. 다양한 상이한 중합체 수지 및 그들의 블렌드가 접착층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접착층은 압력 민감성 접착제(PSA, pressure sensitive adhesive)일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접착층은 비-PSA, 예컨대 가열 활성 접착제일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상이한 화학적 조성을 갖는 2 이상의 아크릴레이트 중합체를 블렌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양한 범위의 물리적 성질이 상기 블렌드 성분의 유형 및 농도를 조절하여 얻어질 수 있다.
접착층으로 유용한 부류의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약 20(예를 들면, 탄소수 3 내지 18)의 알킬기를 수반하는 하나 이상의 비-3차 알킬알콜의 단량체성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에스테르를 중합하여 형성된다. 적합한 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예를 들면,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부틸 아크릴레이트, 라우릴 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아크릴레이트, 옥타데실 아크릴레이트, 노닐 아크릴레이트, 데실 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실 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상응하는 메타크릴레이트 역시 유용하다. 방향족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면 벤질 아크릴레이트 및 시클로벤질 아크릴레이트 또한 유용하다.
임의로, 하나 이상의 단일에틸렌 불포화 공단량체가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함께 중합될 수 있다. 공단량체의 특정 유형 및 양은 중합체의 원하는 성질에 기반하여 선택된다. 유용한 공단량체의 한 군은 (메트)아크릴레이트(즉,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의 유리전이온도보다 큰 단일중합체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군에 해당하는 적합한 공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산,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치환된 아크릴아미드(예컨대 N,N-디메틸 아크릴아미드), 이타콘산, 메타크릴산,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비닐 아세테이트, N-비닐 피롤리돈,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시아노 에틸 아크릴레이트, N-비닐카프로락탐, 말레산 무수물,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트)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베타-카르복시에틸 아크릴레이트, 네오데카노익, 네오노나노익, 네오펜타노익, 2-에틸헥사노익, 또는 프로피오닉산의 비닐 에스테르(예를 들면, 상표명 VYNATES로 미국 코넥티컷주 댄버리의 유니온 카바이드사(Union Carbide Corp.)로부터 시판되는 것들),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스티렌, 비닐 톨루엔 및 알킬 비닐 에테르를 포함한다.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크릴레이트 단량체와 함께 중합될 수 있는 단일에틸렌 불포화 공단량체의 두번째 군은 아크릴레이트 단일중합체의 유리전이온도보다 낮은 단일중합체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군에 해당하는 적합한 공단량체의 예는 에톡시에톡시에틸 아크릴레이트(Tg=-71℃) 및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400 아크릴레이트(Tg=-65℃; 상표명 "NK Ester AM-90G"으로 일본의 신 나카무라 케미칼사(Shin Nakamura Chemical Co., Ltd.)로부터 시판)를 포함한다.
접착층에 유용한 중합체의 두번째 부류는 반결정형 중합체 수지, 예컨대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예를 들면, 탄소수 약 2 내지 약 8의 단량체에 기반한 중합체 수지, 예컨대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 폴리에스테르 및 코-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플루오르화 단일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알킬렌 옥사이드(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및 폴리프로필렌 옥사이드), 폴리비닐 알콜, 이오노머(예를 들면, 염기로 중화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류의 중합체의 다른 예로는 무정형 중합체, 예컨대 폴리아크릴로니트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방향족 에폭사이드, 폴리카르보네이트, 무정형 폴리에스테르, 무정형 폴리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블럭 공중합체, 폴리페닐렌 옥사이드 합금, 이오노머(예를 들면, 염기로 중화된 에틸렌-메타크릴산 공중합체), 플루오르화된 엘라스토머, 및 폴리디메틸 실록산을 포함한다.
접착층에 유용한 중합체의 세번째 부류는 자외선 조사-활성가능 군을 함유하는 엘라스토머를 포함한다. 이러한 예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이소프렌, 폴리클로로프렌, 스티렌 및 디엔의 랜덤 및 블럭 공중합체(예를 들면, SBR),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단량체 고무를 포함한다. 이러한 부류의 중합체가 전형적으로 점착 부여 수지에 접합된다.
접착층에 유용한 중합체의 네번째 부류는 광중합이 가능하지 않은 단량체로부터 제조되는, 압력에 민감하고 고 용융에 적용되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합체는 접착성 중합체(즉, 원래부터 접착성인 중합체)이거나, 또는 원래부터 접착성은 아니나 가소제 또는 점착 부여제 등의 성분과 함께 배합되었을 때 접착제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는 중합체이다. 특정 예로서는 폴리-알파-올레핀(예를 들면, 폴리옥텐, 폴리헥센, 및 아탁틱 폴리프로필렌), 블럭 공중합체, 천연 및 합성 고무, 실리콘,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및 에폭시-함유 구조 중합체 블렌드(예를 들면, 에폭시-아크릴레이트 및 에폭시-폴리에스테르 블렌드)를 포함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실리콘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유용한 실리콘 압력 민감성 접착제 물질은 문헌 [Handbook of Pressure Sensitive Adhesive Technology, 2nd Ed., 1989, Chapter 18, pages 508-517]에 기재된 것을 포함한다. 실리콘 접착제는 일반적인 용어로, (i)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전형적으로는 수평균 분자량 약 5000 내지 약 10,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00 내지 약 1,000,000의 실리콘 검으로도 알려진) 및 (ii) 트리오르가노실록시 단위 및 SiO4 /2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성 실리콘 수지(전형적으로는 수평균 분자량 약 100 내지 약 1,000,000, 바람직하게는 약 500 내지 약 50,000의 MQ 수지로도 알려진)의 블렌드이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접착제는 약 20 내지 약 60 중량부의 실리콘 검 및 이에 따라 약 40 내지 약 80 중량부의 MQ 수지를 포함한다. 접착 성질 개선에 관하여, 공중합체성 실리콘 수지를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과 반응시키는 화학적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이롭다. 이러한 반응을 달성하기 위하여, 축합 화학 및 첨가-경화 화학이 모두 사용되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 폴리우레아 공중합체 및, 미국특허번호 제6,730,397호에 기재된 실라놀(Si-OH) 관능기가 거의 또는 전혀 없는 실리콘 점착 부여제를 포함하는, 실리콘 압력 민감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다른 실시태양에서, 미극특허번호 제5,708,110호에 개시된 접착제와 같이, 낮은 에너지의 표면(예를 들면, 폴리올레핀)에 양호한 접착성을 보이는 접착제가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접착제는 약 5 중량% 미만(예를 들면, 약 3 중량% 미만, 또는 약 1 중량% 미만, 또는 본질적으로는 0 중량%)의 극성 에틸렌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블렌드를 중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극성 단량체의 예는 아크릴산, 이타콘산, 특정의 치환된 아크릴아미드, 예컨대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비닐-2-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아크릴로니트릴, 테트라히드로퍼퓨릴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및 벤질아크릴레이트, 또는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약 5 중량% 이하(예를 들면 약 3 중량% 이하, 또는 약 1 중량% 이하, 또는 본질적으로 0 중량%)의 아크릴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접착층은 또한, 임의로 다른 성분을 그 안에 가질 수 있다. 일반적인 첨가제, 예컨대 충전제, 산화방지제, 점도 개질제, 안료, 점착 부여 수지, 섬유, 방염제, 정전기 방지 및 활제, 열전도성 입자, 전기전도성 입자, 연속 미세섬유, 면포(scrim), 직포(web), 섬사(filament) 등이, 최종 제품의 원하는 성질을 변형시키지 않는 정도까지 접착층에 첨가될 수 있다.
접착층의 두께는 제품의 용도에 따라 다양하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접착층의 두께는 약 250 미크론 보다 크다(예를 들면 약 500 미크론보다 크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는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된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용어 "본질적으로.. 구성된다"는 접착제 또는 기판과 반응하는 성분(즉, 양관능성 실란), 및(또는) 접착제의 기판에의 접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작용하는 임의의 중합체성 결합제의 효과량이 없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는 최대 단면 치수 20 nm 미만(예를 들면 10 nm 미만 또는 8 nm 미만)을 갖는 사실상 임의의 무기 입자일 수 있다. 입자 크기는 주어진 직경의 입자 수를 세는 투과 전자 현미경 또는 광 산란 기법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입자는 응집되지 않는다. 만일 일차 입자가 덩어리를 형성한다면, 덩어리의 최대 단면 치수를 20 nm 미만(예를 들면 10 nm 미만 또는 8 nm 미만)으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분말보다는 졸로부터 프라이머의 무기 입자를 도출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분말은 프라이머 용으로 부적합한 가공이 어려운 덩어리를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졸은 실질적으로 응집하지 않는, 액체 매질 중의 무기 입자의 콜로이드성 분산물이다.
예시적인 나노입자 졸은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세리아, 실리카, 철 및 산화안티몬 졸 및 황화철 졸을 포함한다.
프라이머 조성물의 제조에 유용한 실리카 졸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수용액 중에 졸로서 분산되는 콜로이드성 실리카는 상표명 LUDOX(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의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엔드 컴퍼니(E.I.DuPont de nemours and Co.)), NYACOL(미국 매사추세츠주 애쉬랜드의 니야콜 컴퍼니(Nyacol Co.), 및 NALCO 2326 및 2327(미국 일리노이주 오우크 브룩의 온데오 날코 케미칼 컴퍼니(Ondeo Nalco Chemical Co.))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비수성 실리카 졸(실리카 오르가노졸로도 지칭되는) 또한 상표명 NALCO 1057(2-프로폭시에탄올 중의 실리카 졸, 온데오 날코 케미칼 컴퍼니), MAST, IP-ST, 및 EG-ST(일본 도쿄의 니산 케미칼 인더스트리(Nissan Chemical Ind.)) 및 하이링크 OG 실리카 오르가노졸(HIGHLINK OG Silica Organosols)(미국 노스 캐롤라이나주 샤를롯의 클라리앙 코퍼레이션(Clariant Corporation))로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적합한 콜로이드성 실리카의 추가적인 예는 미국특허번호 제5,126,394호(빌카디(Bilkadi))에 기재되어 있다.
알루미나, 티타니아, 지르코니아, 세리아, 실리카 및 산화안티몬 졸은 모두 공급자인 니야콜 컴퍼니 및 온데오 날코 케미칼 컴퍼니에서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나노입자는 산, 나트륨 또는 암모니아로 안정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졸의 pH를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나노입자는 표면-개질될 수 있다. 표면-개질된 나노입자는 입자의 표면에 부착된 표면 기를 포함하는 입자이다. 표면 기는 입자의 특징을 개질시킨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표면 기는 나노입자를 소수성이 되게 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표면 기는 나노입자를 친수성이 되게 할 수 있다. 표면 기는 통계적으로 평균된, 랜덤하게 표면-개질된 입자를 제공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표면 기는 입자 표면상에 단일층, 바람직하게는 연속 단일층을 형성하는 데 충분한 양으로 존재한다.
표면 개질기는 표면 개질제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개략적으로, 표면 개질제는 식 A-B에 의해 대표되며, 여기서 A 기는 입자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고 B 기는 시스템(예를 들면, 접착제 및(또는) 기판) 내의 다른 성분과 반응하지 않는 양립화 기이다. 양립화 기는 입자를 비교적 더 극성, 비교적 덜 극성, 또는 비교적 비극성이 되게 하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표면-개질제의 적합한 부류는 예를 들면, 실란, 유기산, 유기염기 및 알콜을 포함한다.
특히 유용한 표면-개질제는 실란을 포함한다. 유용한 실란의 예는 예를 들면 알킬클로로실란; 알콕시실란, 예를 들면, 메틸트리메톡시실란, 메틸트리에톡시실란, 에틸트리메톡시실란, 에틸트리에톡시실란, n-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i-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i-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부틸트리메톡시실란, 부틸트리에톡시실란, 헥실트리메톡시실란, 옥틸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옥틸트리에톡시실란, 페닐트리에톡시실란, 폴리트리에톡시실란; 트리알콕시아릴실란; 이소옥틸트리메톡시-실란; 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톡시에톡시에톡시 에틸 카르바메이트; N-(3-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메톡시에톡시에톡시에틸 카르바메이트; 예를 들면 폴리디메틸실록산을 비롯한 폴리디알킬실록산; 예를 들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아릴실란을 비롯한 아릴실란; 예를 들면 치환 또는 비치환된 알킬실란, 예컨대 메톡시 및 히드록시 치환 알킬 실란을 비롯한 알킬실란; 및 그들의 조합을 비롯한 오르가노실란을 포함한다.
유용한 유기산 표면-개질제는 예를 들면, 탄소(예를 들면 카르복실산), 황, 인의 옥시산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극성 표면-개질제의 대표적인 예는 CH3O(CH2CH2O)2CH2COOH(이하, MEEAA라 함) 및 구조식 CH3OCH2CH2OCH2COOH(이하, MEAA라 함)을 갖는 2-(2-메톡시에톡시)아세트산, 및 모노(폴리에틸렌 글리콜) 숙시네이트를 포함한다.
카르복실산 관능기를 갖는 비극성 표면-개질제의 대표적인 예는 옥타노익산, 도데카노익산 및 스테아르산을 포함한다.
적합한 인 함유 산의 예는 예를 들면, 옥틸포스폰산, 라우릴포스폰산, 데실포스폰산, 도데실포스폰산 및 옥타데실포스폰산을 비롯한 포스폰산을 포함한다.
유용한 유기염기 표면-개질제의 예는 예를 들면, 옥틸아민, 데실아민, 도데실아민 및 옥타데실아민을 비롯한 알킬아민을 포함한다.
적합한 표면-개질 알콜의 예는, 예를 들면 옥타데실, 도데실, 라우릴 및 푸르퓨릴 알콜을 비롯한 지방족 알콜, 예를 들면 시클로헥산올을 비롯한 알리시클릭 알콜, 예를 들면 페놀 및 벤질 알콜을 비롯한 방향족 알콜 및 그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유용한 표면-개질기는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5,648,407호(고에츠(Goetz) 등)에 개시된 표면-개질기 등의 방향족 고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표면 개질제를 나노입자에 첨가하고(예를 들면 분말 또는 콜로이드성 분산물의 형태로) 표면 개질제가 나노입자와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비롯한, 나노입자의 표면을 개질하는 다양한 방법이 이용 가능하다. 다른 유용한 표면 개질 과정이 예를 들면 미국특허번호 제2,801,185호(아일러(Iler)) 및 제4,522,958호(다스(Das) 등))에 기재되어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프라이머는 최대 단면 치수 20 nm 미만(예를 들면 15 nm 미만, 또는 10 nm 미만, 또는 8 nm 미만)의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용액으로 제공될 수 있다. 나노입자는 예를 들면, 물, 알콜(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유기용매(예를 들면, 톨루엔), 또는 그들의 조합을 비롯한 임의의 적합한 용매 중에 분산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프라이머 용액은 적어도 0.1 중량%(예를 들면, 적어도 0.5 중량%)의 나노입자를 함유한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프라이머 용액은 5 중량% 미만(예를 들면 2 중량% 미만, 또는 1.5 중량% 미만)의 나노입자를 함유한다. 프라이머 용액은 하나 이상의 나노입자 종을 함유할 수 있다.
프라이머 용액은 임의로, 접착제 또는 기판과 실질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프라이머는 접착제 또는 기판과 반응하는 임의의 중합체성 결합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프라이머 용액은 용액의 기판상의 습윤성을 개선하기 위해, 임의로 계면활성제를 함유할 수 있으나, 계면활성제를 과량으로 포함시키면 프라이머의 접착 성질을 감소시킬 수 있다. 유용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면, TERGITOL TMN-6(미국 미쉬간주 미드랜드에 위치한 다우 케미칼사(Dow Chemical)에서 시판) 및 FLUORAD FC-4430 및 FC-4432(미국 미네소타주 세인트 폴에 위치한 3M사(3M Company)에서 시판)을 포함한다.
용액은 바 코팅, 롤 코팅, 커튼 코팅, 로토그래뷰어(rotogravure) 코팅, 패턴 코팅, 스크린 인쇄법, 분무법(spraying), 분사법(jetting), 붓칠법 및 적하법 등의 표준 기법을 통해 도포될 수 있다. 기판은 프라이머 용액으로 도포되기 이전 처리될 수 있다. 다양한 공지된 처리 기법은 예를 들면 코로나 방전, 방염 처리 및 전자빔 등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전처리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은 접착제와 접촉할 기판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용액은 기판과 접촉할 접착제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용액은 적당히 낮은 온도, 일반적으로 약 90℃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80℃에서 건조되어 물, 유기용매, 희석제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코팅 또한 상온에서 건조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건조 온도는 90℃보다 높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건조되는 시간에서의 건조 온도는 프라이머 용액이 도포되는 표면이 실질적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도포되는 프라이머 용액의 습윤 두께는 나노입자의 농도 및 원하는 프라이머층의 건조 두께에 의존적이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프라이머층은 나노입자의 단일층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라이머층은 가능한 한 얇아야 하며, 더 두꺼운 나노입자층은 충분한 접착력이 부족하여 갈라질 수 있어, 접착 물품이 제거될 때 기판으로 접착제가 이동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낳는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나노입자층이 접착 물품이 제거될 때 기판으로 접착제가 실질적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충분한 접착력을 가진다면, 더 두꺼운 나노입자층(예를 들면, 2층 또는 3층 또는 3층 초과)이 사용될 수도 있다.
기판상에 프라이머층이 한번 형성되면, 접착층은 임의의 적용 가능한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바 코팅, 롤 코팅, 커튼 코팅, 로토그래뷰어 코팅, 패턴 코팅, 스크린 인쇄법, 분무법, 분사법, 붓칠법, 적층법 및 압출법에 의해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만일 건조 프라이머층이 접착층에 형성되면, 접착층은 임의의 적용 가능한 통상적인 방법, 예컨대 적층법에 의해 기판에 도포될 수 있다. 몇몇 실시태양에서, 기판은 예를 들면 바 코팅, 롤 코팅, 커튼 코팅, 로토그래뷰어 코팅, 패턴 코팅, 스크린 인쇄법, 분무법, 붓칠법 및 압출법에 의해 프라이머가 도포된 접착층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물품은 예를 들면 기판에 분산되거나, 기판을 수반하는 적층된 구조에 예를 들면 교차층, 상호침투층 및 그들의 조합의 형태로 배치되는 면포, 필름, 직물(tissue) 및 그들의 조합을 비롯한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유용한 구조는 발포체 또는 필름 또는 접착제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포함하며, 여기서 층들은 예를 들면 밀도 및 조성을 비롯한 적어도 하나의 성질이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접착 물품은 또한 예를 들면 다이 절단(die cutting), 가교 및 멸균을 비롯한 후과정을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 물품은 예를 들면 두 기판을 함께 접합하는 것, 예를 들면 후크, 행거, 재밀폐 가능 결속구, 장식 물품(예를 들면 정돈 물품) 및 홀더, 결속 용도(예를 들면 둘 이상의 용기, 예컨대 상자를 나중에 분리하기 위해 고정시키고, 예를 들면 벽, 바닥, 천정 및 책상을 비롯한 표면에 물품을 접합하고, 기계적 결속구, 매스틱(mastic) 또는 액체 풀을 대체하는 것을 비롯한)를 비롯한 다양한 유용한 용도를 갖는다. 본 발명의 물품은 또한 자동차, 전자기기 및(또는) 건축용 용도, 예컨대 도료, 개스킷, 스페이서, 진동 제동기, 소음 제동기 및 충격 제동기에 유용하다.
하기 특정 및 비-제한적 실시예가 본 발명을 도시할 것이다. 이들 실시예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모든 퍼센트는 중량부이다.
시험 방법
90도 벗김( Peel )
51 mm(2 인치) 폭 및 약 127 mm(5 인치) 길이의 폴리프로필렌 패널(미국 미네소타주 번스빌에 위치한 에어로맷 플라스틱스(Aeromat Plastics)로부터 시판)을 이소프로필 알콜:물의 부피비 50:50 용액으로 용매 세정하고 건조하였다. 0.025mm(0.001 인치) 두께 및 31.8 mm(1.25 인치) 폭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폴리프로필렌 패널 위에 놓고, 시편의 시작하는 끝지점에서 표지를 형성하도록, 필름이 패널 한쪽 끝의 약 12.7 mm(0.5 인치)를 덮도록 하였다.
12.7 mm(0.5 인치) 폭 및 약 115 mm(4.5 인치) 길이의 시편을 시험할 물품으로부터 잘라 내어 시험 패널의 한쪽 편의 길이를 따라 놓았다. 시료를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약 12.7 mm(0.5 인치)만큼 겹치게 하고 패널 연부 위로 연장하지 않았다. 유사하게, 동일 물품의 두번째 시편을 시험 패널의 다른 편을 따라, 그리고 첫번째 시편에 평행하게 시험 패널 위로 적층하였다. 0.051 mm(0.002 인치) 두께 및 15.9 mm(0.625 인치) 폴리에스테르 필름, 또는 0.13 mm(0.005 인치) 두께 및 28.6 mm(1.125 인치) 폭, 및 200 mm(8 인치) 길이의 알루미늄 포일 조각의 광택이 없는 면을 각 시편의 노출면 위에 놓았다. 적층물을 6.8 kg(15 lb)의 강철 롤러로 패널 위에서 롤링하고, 이때 각 방향으로 한번씩 밀었다. 패널과 적층물 사이에 기포가 포집되지 않도록 주의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접합된 시험 패널을 실온(약 22℃)에서 약 72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뒤 각 시료를 인스트론 모델 4465 시험기(Instron Model 4465 tester)(미국 매사추세츠주 캔튼에 위치한 인스트론(Instron)에서 시판하는)를 이 용하여, 실온(약 22℃)에서 크로스헤드 속력이 305 mm/분(12 인치/분)으로 90도 벗김 접착(90 Degree Peel Adhesion) 시험을 행하였다. 각 시료에서, 평균 벗김 수치를 기록하고 처음 및 마지막 25.4 mm(1 인치) 길이의 벗겨진 부분에서 얻어진 벗김 수치는 무시하였다. 본원에 보고되는 수치는 두 젖혀진 부분에서의 평균 벗김 접착 수치이다.
180도 T-벗김
12.7 mm(0.5 인치) 폭 및 약 51 mm(2 인치) 길이의 시편을 약 15.9 mm(0.625 인치) 폭 및 127 mm(5 인치) 길이, 및 0.051 mm(0.002 인치) 두께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폴리에스테르(PET) 필름의 두 스트립 사이에 놓고, PET 스트립의 한쪽 끝에 접착제가 없는 76 mm(3 인치)의 표지를 남겨 놓았다. 이 조립체를 6.8 kg(15 lb)의 강철 롤러로 패널 위에서 롤링하고, 이때 앞으로 한번, 뒤로 한번 밀었다. 조립체를 실온(약 22℃)에서 24시간 동안 두었다. 표지를 다른 방향으로 90o 구부러뜨리고, 한쪽 표지는 인스트론 모델 4465 신장력 시험 기기의 위쪽 턱(jaw)으로 죄고 다른 쪽 표지는 아래쪽 턱으로 죄었다. 턱을 2.54 mm/분(0.1 인치/분)으로 분리하였다. 표지를 분리해 내는데 필요한 힘을 인치 폭당 파운드 단위로 기록하고, 센티미터 폭당 뉴튼(N/cm) 단위로 변환하였다. 각 시료에서, 평균 벗김 수치를 기록하고 처음 및 마지막 25.4 mm(1 인치) 길이의 벗겨진 부분에서 얻어진 벗김 수치는 무시하였다. 본원에 보고되는 수치는 두 젖혀진 부분에서의 평균 벗김 접착 수치이다.
70℃ 전단 응력
51 mm(2 인치) 폭 및 약 76 mm(3 인치) 길이의 유형 302 또는 304 스테인레스 스틸(SS) 패널 및, 13 mm(0.5 인치) 폭 및 약 51 mm(2 인치) 길이, 및 1.6 mm(0.0625 인치) 두께의 유형 302 또는 304 SS 스트랩을 용매 세정하고(메틸 에틸 케톤으로 1차례 및 이소프로필 알콜:물 50:50으로 1차례, 및 아세톤으로 3차례) 건조하였다. 스트랩은 한쪽 끝 중앙에 구멍을 가지고 있었다.
시료를 시험할 물품으로부터 잘라 내어 SS 스트랩의 끝에 구멍을 갖는 쪽의 반대쪽 끝 위에 놓았다. 시료를 스트랩 길이의 25 mm(1 인치)와 겹치도록 놓았다. 시료를 측면 연부 및 스트랩 끝으로 정돈하여 13 mm(0.5 인치) x 25 mm(1 인치)의 도포 면적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시료를 적당한 엄지손가락 압력으로 문질러 시료외 스트랩 사이의 양호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그 뒤 라이너를 제거하였다.
시료가 부착된 스트랩을 그 뒤 SS 패널에 도포하여, 시료가 스트랩과 패널 사이에 샌드위치되도록 하고, 구멍을 포함하는 끝이 패널 위로 연장되도록 하며, 스트랩의 길이를 따르는 연부가 패널의 끝의 길이를 따르는 연부와 평행이 되도록 하였다. 스트랩의 폭을 따르는, 구멍을 포함하지 않는 연부와, 가장 가까운 패널 폭 연부 사이의 거리는 31.8 mm(1.25 인치)였다.
제조된 시편을 수평면 위에 놓고, 1000 그램 중량을 접합된 영역 위에 놓아 접합된 영역에 압력을 가하여, 시료에 의한 패널과 스트랩의 적심(wet-out)이 최대가 되도록 하였다. 이 조건 하에서, 시편을 실온(약 22℃)에서 대략 15분 동안 방치하였다. 중량을 제거하고, 시료를 실온에서 추가로 24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시편을 그 뒤 스태틱 쉬어 스탠드(Static Shear stand)(모델 DL 433L, 미국 미네소타주 마토메디의 크렉스 리서치 시스템즈(Crex research Systems)에서 시판)에 놓았다. 그 뒤, 고정구(fixture) 및 시편을 공기 오븐 세트에 70℃(158℉)에서 10분간 두고, 스트랩 상의 구멍에 500 그램 중량을 부착하였다. 시험을 시편이 끊어지거나 약 10,000분이 경과할 때까지 70℃에서 계속하였다. 절단 시간 및 절단 방식을 기록하였다.
재료
성분 기재내용 출처
CeO2 대략 8-10 nm 산-안정된 세리아 입자 미국 코넥티컷주 쉘턴의 로디아 인코포레이티드(Rhodia Inc)
F-50D 열적으로 팽창가능한 미세구체 미국 뉴욕주 버팔로의 피어스 엔드 스티븐스(Pierce and Stevens)
FC-4430 플루오르화 약품 계면활성제 3M 사
FC-4432 플루오르화 약품 계면활성제 3M 사
Fe2O3 대략 5 nm 산-안정된 산화제2철 입자 기재내용대로 제조
HDD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미국 뉴저지주 릿지필드 파크의 사르토머(Sartomer)
IBOA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미국 뉴욕주 뉴욕의 산 에스터스 코포레이션(San Esters Corporation)
IOA 이소옥틸아크릴레이트
IPA 이소프로필 알콜
NALCO 2326 5 nm 암모늄-안정된 콜로이드성 실리카, 소수성 입자, 15% 고체 미국 일리노이주 베드포드 파크의 온데오 날코 케미칼 컴퍼니
NALCO 2327 20 nm 암모늄-안정된 콜로이드성 실리카, 소수성 입자, 40% 고체 온데오 날코 케미칼 컴퍼니
NALCO 2329 75 nm 암모늄-안정된 콜로이드성 실리카, 소수성 입자, 40% 고체 온데오 날코 케미칼 컴퍼니
산화제2철 입자
1.875 M 탄산수소암모늄 1000 ml 용액을 질산철 9수화물 0.375 M의 2000 ml 용액에 빠르게 교반하면서 적가하였다. 질산철 용액이 비카르보네이트 이온을 가 수분해함에 따라 기체가 발생하였다. 첨가 도중 용액이 황색을 띠는 주황색으로부터 매우 진한 버건디 색으로 변하였다. 첨가가 끝나고, 탈염수를 가수분해된 질산철의 교반중인 용액에 가라앉힌 투석 튜브(약 길이 1 미터, 1000 MWCO 스펙트라/포어(미국 조지아주 사반나의 스펙트럼 래버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Spectrum Laboratories, Inc.))로 천천히 흐르게 하여, 용액을 탈염수로 투석하였다. 약 5 당량 부피의 탈염수로 투석한 뒤, 나머지를 투석하는 동안 가수분해된 산화철 나노입자 용액을 약 65℃로 가열하였다. 투석을 추가 7 당량 부피의 탈염수를 사용하여 계속하였다. 이 시점에서의 pH는 약 2.5 내지 3.0이었다.
실리카 나노입자의 표면 개질
실리카-1
입자 표면이 트리알콕시실란 커플링제를 사용하여 소수성으로 개질된, 표면 개질된 실리카 나노입자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기계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한 500 mL 둥근바닥 3구 플라스크 내에서 NALCO 2326 75 g을 칭량하였다. 이소옥틸트리메톡시실란 4.61 g 및 1-메톡시-2-프로판올 50 g을 비이커 내에서 따로 준비하였다.
NALCO 2326 졸을 교반하는 동안, 개방된 입구를 통해 이소옥틸트리메톡시실란/메톡시프로판 용액을 플라스크 내로 첨가하였다. 비이커를 추가 1-메톡시-2-프로판올 34.4 g으로 헹구고, 이를 교반중인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플라스크 내의 개방된 입구를 스토퍼로 막고 플라스크를 오일 배쓰 안에 놓았다. 오일 배쓰를 80℃로 가열하고 반응을 약 20 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그 뒤 졸 을 150℃에서 오븐을 통한 통풍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13.14 g의 분말성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실리카-2
트리스(2-메톡시에톡시)비닐실란 143.86 g 및 펜타메틸디실록산 76.14 g을 헵탄 145 g 중에 혼합하였다. 촉매 (백금(0)디비닐테트라메틸디실록산(미국특허번호 제3,814,730호의 실시예 1대로 제조)을 헵탄 0.3 g에 첨가하고, 이 용액 0.1 g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첨가한 뒤 가열하지 않고 밤새 교반하였다. 1H NMR로 측정하여 Si-H 피크가 사라질 때까지 반응을 계속하였다. 헵탄을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실란 커플링제(SILANE COUPLING AGENT) A를 얻었다.
기계 교반기 및 환류 응축기를 장착한 500 mL 둥근바닥 3구 플라스크 내에서 NALCO 2326 75 g을 칭량하였다. 이소옥틸트리메톡시실란 3.26 g, 실란 커플링제 A 5.98 g 및 1-메톡시-2-프로판올 100 g을 비이커 내에서 따로 준비하였다. NALCO 2326 졸을 교반하는 동안, 개방된 입구를 통해 실란/메톡시프로판 용액을 플라스크 내로 첨가하였다. 비이커를 추가 1-메톡시-2-프로판올 45.5 g으로 헹구고, 이를 교반중인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된 후, 플라스크 내의 개방된 입구를 스토퍼로 막고 플라스크를 오일 배쓰 안에 놓았다. 오일 배쓰를 80℃로 가열하고 반응을 약 20 시간 동안 진행하였다. 그 뒤 졸을 150℃에서 오븐을 통한 통풍을 이용하여 건조시켰다. 14.24 g의 분말성 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프라이머 요약
나노입자
프라이머 입자 크기(nm) % 용액 계면활성제
P-I NALCO 2326 5 1.5 NALCO 2326 1부 + 에탄올 9부 없음
P-II NALCO 2327 20 1.5 NALCO 2326 1부 + 에탄올 9부 없음
P-III NALCO 2329 75 1.5 NALCO 2326 1부 + 에탄올 9부 없음
P-IV 없음 에탄올 중 1% NH4OH 없음
P-V Ce2O3 8 1.5 Ce2O3 2부 + 에탄올 25부 없음
P-VI Fe2O3 5 0.75 에탄올 없음
P-VII Fe2O3 5 0.5 에탄올 없음
P-VIII Fe2O3 5 1.5 에탄올 없음
P-IX NALCO 2326 5 1.5 NALCO 2326 1부 + 에탄올 9부 0.5% FC-4430
P-X Fe2O3 5 1.5 1.0% FC-4431
P-XI Fe2O3 5 1.5 에탄올 1.0% FC-4432
P-XII Fe2O3 5 0.4 에탄올 없음
P-XIII SILICA-1 5 1.75 80/20 톨루엔/IPA 없음
P-XIV SILICA-2 5 1.75 80/20 톨루엔/IPA 없음
P-XV SILICA-1 5 2 80/20 톨루엔/IPA 없음
P-XVI SILICA-2 5 2 80/20 톨루엔/IPA 없음
접착제
접착제 I(A-I)
기계적 교반기, 가열 맨틀, 온도계, 환류 응축기 및 질소 분위기로 채워진 수평균 분자량 약 32,300의 폴리디메틸실록산 디아민(미국특허번호 제5,461,134호의 실시예 2의 기재내용대로 제조) 98 부, 2-메틸-1,5-펜탄디아민(미국 델라웨어주 윌밍톤에 위치한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엔드 컴퍼니에서 상표명 DYTEK A로 시판) 0.35 부, 톨루엔 209.7 부 및 2-프로판올 89.9부를 반응 용기에 채워, 실리콘 폴리우레아 중합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반응 용기를 밀폐하고 110℃에서 30분간 가열한 뒤, 80℃로 냉각하고, 용기 온도가 50℃에 달할 때까지 반응 용기의 상부 공간을 질소 기체 스트림으로 쓸어 내어 탈기하고, 그 때 반응기를 다시 밀폐하였 다.
반응 용기를 50℃로 유지한 채, 메틸렌 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미국 펜실바니아주 피츠버그에 위치한 바이엘(Bayer)에서 상표명 DESMODUR W로 시판) 1.48 부를 용기에 채우고 2 시간 동안 반응하였다. 메틸렌 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0.039 부를 더 첨가하여 반응을 완료하고, 25 중량%의 고체로서 실리콘 폴리우레아 중합체 용액을 얻었다.
톨루엔 80부 및 2-프로판올(IPA) 20부의 혼합물 중에서 25% 고체로 희석시킨, 상기 제조한 실리콘 폴리우레아 중합체 61 부, MQ 수지 F 용액(미국특허번호 제6,730,397호 기재내용대로 제조) 39.1 부, 및 광유(미국 펜실바니아주 페트롤리아에 위치한 CK 위트코 사(CK Witoco Corp.)에서 상표명 BRITOL 20으로 시판) 1.5 부를 혼합하여 압력 민감성 접착제(PSA)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용액을 상온(약 25℃)에서 잘 혼합하여 접착제 용액을 얻었다. 접착제 용액을 칼날 도포하고, 강제통풍형 오븐 안에서 3분에 걸쳐 70℃에서 건조하였다. 마감된 접착제 이동 테이프는 51 미크론(2 밀) 두께이며, 접착제 "A-I"로 명명되었다.
접착제 II(A-II)
접착제 II는 0.051 mm(2 밀 두께)의 아크릴 접착제 이동 테이프이며, 3M사에서 상표명 9671LE로 시판된다.
발포체
발포체 I(F-I)
IOA 60 부, IBOA 40 부, 및 IRGACURE 651 0.24%(미국 뉴욕주 태리타운에 위 치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Ciba Specialty Chemicals)에서 시판)을 유리 용기에 첨가하였다. 용기를 약 1시간 동안 흔들어 IRGACURE 651을 용해하였다.
용액 내로 질소를 30분간 격렬하게 버블링하여 용액을 탈기하였다. 천천히 버블링하여 질소 유동을 낮추고, UV 광원(실바니아(Sylvania) 350 흑광, F15T8/350BL, 15와트 전구)을 켰다. 전구로부터 약 10-20 cm(4-8 인치)에서 수 초 동안, 용액의 점도가 180 내지 2600 cps가 될 때까지, 용기를 천천히 소용돌이시켰다.
질소 공급을 차단하고, 용기의 뚜껑을 제거하였다. 용기를 10-15초 동안 방치하여 공기가 용액 위 공간에 다시 채워지도록 하였다. 뚜껑을 다시 용기 위에 막고, 용기를 10-15초 동안 격렬하게 흔들어 용액에 산소를 재공급하였다. 그 뒤 30분간 용액을 식도록 하였다.
용액이 식은 뒤, HDDA 0.13%을 첨가하고 용기를 30분간 흔들었다. 총 2 중량%의 AEROSIL 972(미국 뉴저지주 릿지필드에 위치한 데구사 코포레이션(Degussa Corporation)에서 시판)을 용액에 3차례에 나누어 첨가하였으며, 각 첨가 후 용액을 교반하였다. 총 8 중량%의 유리 버블(glass bubble)(3M사에서 상표명 SCOTCHLITE K15로 시판)을 용액에 3차례에 나누어 첨가하였으며, 각 첨가 후 용액을 교반하였다. 용액을 밤새 교반하여 AEROSIL 972와 유리 버블이 용액 내에서 철저히 배합되도록 하였다.
이 용액에 1.3 중량%의 F-50D 미세구체를 첨가하였다. 용액을 공기 믹서로 혼합하고 탈기하였다.
0.038 mm(1.5 밀)의 UV 투명성 PET 라이너 위에 이 용액을 칼날 코팅하고, 또 다른 0.038 mm(1.5 밀)의 UV 투명성 PET 라이너 위에 발랐다. 칼날 코팅의 간격은 0.86 mm(34 밀)이었다. 이 이중 라이너 시스템을, 면당 3.72 mW/cm2의 평균 강도 및 면당 625 nJ/cm2의 총 평균 에너지를 갖는 UV광에 동시에 양쪽을 노출시켜 경화하였다. UV광은 300 내지 400 nm에서 90%의 발산 스펙트럼을 가지며, 최대 피크 강도는 351 nm이다.
발포체 II(F-II)
0.787 mm(0.031 인치)의 두께 및 0.1 g/cm3(입방피트당 6 파운드(pcf))의 밀도를 갖는 백색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미국 일리노이주 엘크 그로브 빌리지에 위치한 로저스 코퍼레이션(Rogers Corporation)에서 상표명 T-CELL로 시판된다.
발포체 III(F-III)
0.787 mm(0.031 인치)의 두께 및 0.1 g/cm3(6 pcf)의 밀도를 갖는 백색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발포체는 로저스 코퍼레이션에서 상표명 T-CELL로 시판된다.
발포체 IV(F-IV)
787 mm(0.031 인치)의 두께 및 0.1 g/cm3(6 pcf)의 밀도를 갖는 흑색 폴리에틸렌 발포체는 로저스 코퍼레이션에서 상표명 T-CELL로 시판된다.
발포체 V(F-V)
0.787 mm(0.031 인치)의 두께 및 0.1 g/cm3(6 pcf)의 밀도를 갖는 흑색 폴리에틸렌/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발포체는 로저스 코퍼레이션에서 상표명 T-CELL로 시판된다.
시료 제조 절차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에 사용되는 기판, 접착제 및 프라이머는 하기 표에 명기되어 있다.
프라이머 용액을 브러쉬로 기판 표면에 도포하였다. 캐리어 용매를 통기성 오븐에서 70℃에서 3분 동안 증발시켰다. 프라이머의 습윤 코팅 중량은 대략 평방미터당 21 g이었다.
접착제, 프라이머 및 발포체의 적층물은, 발포체의 한쪽 면에 접착층을 놓고, 접착층을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손으로 롤링한 뒤, 복합재를 온도 110℃(230℉) 및 0.138 MPa(평방인치당 20 파운드(psi))로 세팅된 적층기(laminator)(미국 오하이오주 멘터에 위치한 켐설턴츠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Chemsultants International, Inc.)에서 시판되는 핫 롤 라미네이터 (Hot Roll Laminator) 모델 HL-1000)에 분당 1미터의 속력으로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비교예 C1은 접착제 A-I을 발포체 F-I의 프라이머가 도포되지 않은 표면상에 놓고 접착층을 고무 롤러를 이용하여 손으로 롤링한 뒤, 복합재를 온도 110℃(230℉) 및 0.138 MPa(20 psi)로 세팅된 적층기에 분당 1미터의 속력으로 통과시켜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C2-C4를 하기 시료 제조 절차를 따라, 접착제 A-I, 발포체 F-I 및 표 1에 수록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C1-C4를 90도 벗김 접착, 180도 T-벗김 및 70℃ 전단 응력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1에 수록하였다. 90도 벗김 접착 시험에 있어, 비교예 C1 및 실시예 1의 받침(backing) 물질은 알루미늄 포일이며, 비교예 C1-C4의 받침 물질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다.
90도 벗김 180도 T-벗김 70 전단 응력
실시예 접착제 발포체 프라이머 N/cm N/cm
C1 A-I F-I 없음 39.2 6.1 45
1 A-I F-I P-I 51.5 14.5 10080
C2 A-I F-I P-II 28.9 4.4 15
C3 A-I F-I P-III 22.9 3.9 23
C4 A-I F-I P-IV 11.6 3.9 19
비교예 C5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2-9는 시료 제조 절차를 따라, 접착제 A-I, 발포체 F-I 및 표 2에 수록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C5 및 실시예 2-9를 90도 벗김 접착(받침 물질로 폴리에스테르 사용), 180도 T-벗김 및 70℃ 전단 응력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수록하였다.
90도 벗김 180도 T-벗김 70 전단 응력
실시예 접착제 발포체 프라이머 N/cm N/cm
C5 A-I F-I 없음 53.9 9.8 24
2 A-I F-I P-I 42.4 13.5 10060
3 A-I F-I P-I 16.1 17.0 9911
4 A-I F-I P-I 11.9 15.8 20030
5 A-I F-I P-V 12.6 8.2 2617
6 A-I F-I P-V 20.0 16.1 13192
7 A-I F-I P-VI 30.5 10.3 15
8 A-I F-I P-VII 37.1 12.3 211
9 A-I F-I P-VIII 19.6 12.4 1524
비교예 C6는 발포체 F-II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C7은 발포체 F-III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및 11은 시료 제조 절차를 따라, 접착제 A-I, 발포체 F-I 및 표 3에 수록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C6 및 C7 및 실시예 10 및 11을 90도 벗김 접착(받침 물질로 폴리에스테르 사용), 180도 T-벗김 및 70℃ 전단 응력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3에 수록하였다.
90도 벗김 180도 T-벗김 70 전단 응력
실시예 접착제 발포체 프라이머 N/cm N/cm
C6 A-I F-II 없음 13.5 0.4 6
10 A-I F-II P-I 10.5 3.5 10060
C7 A-I F-III 없음 11.4 0.4 6711
11 A-I F-III P-I 19.3 6.7 10060
실시예 12-15는 시료 제조 절차를 따라, 접착제 A-I, 및 표 4에 수록된 프라이머 및 발포체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12-15를 90도 벗김 접착(받침 물질로 폴리에스테르 사용), 180도 T-벗김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또한 실시예 14 및 15는 70℃ 전단 응력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4에 수록하였다.
90도 벗김 180도 T-벗김 70 전단 응력
실시예 접착제 발포체 프라이머 N/cm N/cm
12 A-I F-IV P-IX 1.1 1.6 *
13 A-I F-V P-IX 8.8 3.7 *
14 A-I F-I P-X 33.8 8.1 171
15 A-I F-I P-XI 28.9 8.1 117
* 시험하지 않은 시료
비교예 C8 및 C9는 접착제 A-II를 사용하였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C1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조하였다.
실시예 16-21은 시료 제조 절차를 따라, 접착제 A-II, 발포체 F-I 및 표 5에 수록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비교예 C8 및 C9 및 실시예 16-21을 90도 벗김 접착(받침 물질로 폴리에스테르 사용), 180도 T-벗김 및 70℃ 전단 응력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5에 수록하였다.
90도 벗김 180도 T-벗김 70 전단 응력
실시예 접착제 발포체 프라이머 N/cm N/cm
C8 A-II F-I 없음 19.3 5.6 14
C9 A-II F-I 없음 20.5 6.3 16
16 A-II F-I P-I 17.0 12.3 40625
17 A-II F-I P-I 26.8 11.9 10116
18 A-II F-I P-V 28.4 11.6 40625
19 A-II F-I P-V 22.2 10.9 10163
20 A-II F-I P-VI 35.5 7.4 11
21 A-II F-I P-XII 42.0 8.6 22
실시예 22-25은 시료 제조 절차를 따라, 접착제 A-I, 발포체 F-I 및 표 6에 수록된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시예 22-25를 90도 벗김 접착(받침 물질로 폴리에스테르 사용), 180도 T-벗김 및 70℃ 전단 응력 시험을 사용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6에 수록하였다.
90도 벗김 180도 T-벗김 70 전단 응력
실시예 접착제 발포체 프라이머 N/cm N/cm
22 A-I F-I P-XIII 32.0 11.7 6377
23 A-I F-I P-XIV 32.4 10.7 3612
24 A-I F-I P-XV 41.8 10.3 4348
25 A-I F-I P-XVI 44.1 10.0 3196
본 발명의 범위 및 취지를 벗어나지 않은,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Claims (37)

  1. (a) 제1 주표면을 포함하는 제1 기판;
    (b) 5 중량% 이하의 아크릴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제1 접착제; 및
    (c) 상기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삽입된,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제1 프라이머
    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이 미처리된 접착 물품.
  3.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이 중합체성 필름을 포함하는 접착 물품.
  4.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이 발포체(foam)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체가 아크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6. 제1항에 있어서, 제1 접착제가 실리콘 폴리우레아 및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7.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20 나노미터 이하의 최대 단면 치수를 갖는 접착 물품.
  8.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실리카, 세리아, 산화철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접착 물품.
  9. 제1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표면 개질된 접착 물품.
  10. 제1항에 있어서, 제1 기판의 제2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삽입된 제2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물품.
  11. 제1항에 있어서, 제2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1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삽입된 제2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물품.
  12. (a) 발포체 기판;
    (b) 제1 접착제; 및
    (c) 상기 발포체 기판과 상기 제1 접착제 사이에 삽입된,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제1 프라이머
    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13. 제12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판이 아크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14. 제12항에 있어서, 제1 접착제가 실리콘 폴리우레아 및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15. 제12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20 나노미터 이하의 최대 단면 치수를 갖는 접착 물품.
  16. 제12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실리카, 세리아, 산화철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접착 물품.
  17. 제12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표면 개질된 접착 물품.
  18. 제12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판의 제2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삽입된 제2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물품.
  19. 제12항에 있어서,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1 접착제의 적어도 일부 사이에 삽입된 제2 프라이머를 더 포함하는 접착 물품.
  20. (a)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프라이머를 발포체 기판의 제1 주표면과 접착층의 제1 주표면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b) 발포체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프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 및
    (c)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프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포체 기판에의 접착층의 접합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발포체 기판이 아크릴,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5 중량% 이하의 아크릴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실리콘 폴리우레아 및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20 나노미터 이하의 최대 단면 치수를 갖는 것 인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실리카, 세리아, 산화철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26. 제20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표면 개질된 것인 방법.
  27. 제20항에 있어서,
    (b)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용액을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머 용액을 발포체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c) 발포체 기판의 제1 주표면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8. 제20항에 있어서,
    (c)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용액을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머 용액을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b)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발포체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a) 본질적으로 나노입자로 구성되는 프라이머를 기판의 제1 주표면과, 5 중 량% 이하의 아크릴산 반복 단위를 포함하는 접착층의 제1 주표면 사이에 삽입하는 단계;
    (b) 상기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 및
    (c) 상기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프라이머에 접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판에의 접착층의 접합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기판이 중합체성 필름인 방법.
  31. 제31항에 있어서, 기판이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스티렌, 아크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메타크릴레이트,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우레탄,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술폰,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부티레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2. 제29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실리콘 폴리우레아 및 아크릴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33. 제29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20 나노미터 이하의 최대 단면 치수를 갖는 것인 방법.
  34. 제29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실리카, 세리아, 산화철 및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방법.
  35. 제29항에 있어서, 나노입자가 표면 개질된 것인 방법.
  36. 제29항에 있어서, (b)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용액을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머 용액을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c) 기판의 제1 주표면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제29항에 있어서, (d)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용액을 제공하고, 상기 프라이머 용액을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c) 접착층의 제1 주표면의 프라이머가 도포된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기판의 제1 주표면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067007736A 2003-09-23 2004-07-30 나노입자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600949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668,748 US20050064182A1 (en) 2003-09-23 2003-09-23 Adhesive articles including a nanoparticle prim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10/668,748 2003-09-23
US10/689,172 2003-10-20
US10/689,172 US20050064183A1 (en) 2003-09-23 2003-10-20 Adhesive articles including a nanoparticle prim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968A true KR20060094968A (ko) 2006-08-30

Family

ID=3443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736A KR20060094968A (ko) 2003-09-23 2004-07-30 나노입자 프라이머를 포함하는 접착 물품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20050064183A1 (ko)
EP (1) EP1668088B1 (ko)
JP (1) JP2007505773A (ko)
KR (1) KR20060094968A (ko)
AT (1) ATE377057T1 (ko)
AU (1) AU2004280556A1 (ko)
DE (1) DE602004009813T2 (ko)
TW (1) TW200523119A (ko)
WO (1) WO2005035680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9867B2 (ja) * 2004-01-05 2008-04-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部材の接合方法
US7888419B2 (en) * 2005-09-02 2011-02-15 Naturalnano, Inc. Polymeric composite including nanoparticle filler
WO2007126925A2 (en) * 2006-03-30 2007-11-08 Rhodia Inc. Modified surfaces and method for modifying a surface
US20080045101A1 (en) * 2006-08-18 2008-02-21 Near Shannon D Decorative dual scrim composite panel
US8124678B2 (en) * 2006-11-27 2012-02-28 Naturalnano, Inc. Nanocomposite master batch composition and method of manufacture
US8648132B2 (en) * 2007-02-07 2014-02-11 Naturalnano, Inc. Nanocomposite method of manufacture
US20080249221A1 (en) * 2007-04-06 2008-10-09 Naturalnano Research, Inc. Polymeric adhesive including nanoparticle filler
US20090326133A1 (en) * 2007-05-23 2009-12-31 Naturalnano Research, Inc. Fire and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es
CA2704483C (en) * 2007-11-06 2018-09-04 Rhodia Inc. Articles having an interface between a polymer surface and a modified glass surface
US20100112337A1 (en) * 2008-06-10 2010-05-06 Coben Ronald D Material and a method for creating a play environment
GB2461317B (en) * 2008-06-28 2013-02-06 James Halstead Plc Floor covering
EP2443185B1 (en) * 2009-06-18 2014-06-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olymer foams
WO2011137005A1 (en) * 2010-04-28 2011-11-0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rticles including nanosilica-based primers for polymer coatings and methods
JP2012001712A (ja) * 2010-05-17 2012-01-05 Nitto Denko Corp 下塗り剤組成物および粘着シート
EP2588551A4 (en) * 2010-06-30 2017-08-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urface modification of pressure-sensitive adhesives with nanoparticles
RU2613408C2 (ru) 2012-03-22 2017-03-16 З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Композиция твердого покрытия на основе полиметилметакрилата и изделие с покрытием
US20140037882A1 (en) * 2012-07-31 2014-02-06 Chem Link, Inc. Processes and structures employing silane-containing polyolefin films tenaciously adhered to substrates
WO2014031169A1 (en) * 2012-08-24 2014-02-27 The Uab Research Foundation Modular shelters comprising composite panels
US20150210896A1 (en) * 2014-01-28 2015-07-30 Ione Ryan Screen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150210895A1 (en) * 2014-01-28 2015-07-30 Ione Ryan Screen using Nanoparticle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CN104530990B (zh) * 2014-12-19 2017-01-11 广东三和化工科技有限公司 一种双组份丙烯酸酯胶粘剂及其制备方法
DE102016202396A1 (de) * 2016-02-17 2017-08-17 Tesa Se Verankerung von Silikonklebmassen auf Fluorpolymerfolien durch Coronabehandlung
KR102396894B1 (ko) * 2016-08-05 2022-05-11 미츠비시 가스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지지 기판, 지지 기판이 부착된 적층체 및 반도체 소자 탑재용 패키지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268270B1 (ko) 2018-01-23 2021-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접착제 조성물
US11031364B2 (en) 2018-03-07 2021-06-08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Nanoparticle backside die adhesion layer
TWI691636B (zh) * 2018-11-02 2020-04-21 賴瑞彬 複合式膠條貼合地壁建材結構
KR102184587B1 (ko) * 2019-02-28 2020-12-01 주식회사 케이씨씨 접착제 조성물
CN111910860A (zh) * 2020-08-14 2020-11-10 安徽山水空间装饰有限责任公司 一种墙纸铺贴方法
WO2022167953A1 (en) * 2021-02-02 2022-08-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imer layer for flexographic plate mounting tape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1185A (en) * 1952-05-16 1957-07-30 Du Pont Silica hydrosol powder
US3814730A (en) * 1970-08-06 1974-06-04 Gen Electric Platinum complexes of unsaturated siloxanes and platinum containing organopolysiloxanes
US4415615A (en) * 1982-01-15 1983-11-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 Cellular pressure-sensitive adhesive product and method of making
US4522958A (en) * 1983-09-06 1985-06-11 Ppg Industries, Inc. High-solids coating composition for improved rheology control containing chemically modified inorganic microparticles
CA1275208C (en) * 1985-01-25 1990-10-16 Roger W. Lange Silica coating
US5214119A (en) * 1986-06-20 1993-05-2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Block copolymer, method of making the same, dimaine precursors of the same, method of making such diamines and end products comprising the block copolymer
US4895745A (en) * 1987-01-02 1990-01-23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ark acrylic pressure-sensitive adhesive
US5204219A (en) * 1987-07-30 1993-04-2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hotographic element with novel subbing layer
CA2002449C (en) * 1988-12-05 2001-05-08 Mark A. Strobel Pressure-sensitive article with priming layer
EP0384689B1 (en) * 1989-02-20 1997-12-29 Fujitsu Limited A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for a data processing apparatus
US5126394A (en) * 1989-10-18 1992-06-30 Dow Corning Corporation Radiation curable abrasion resistant coatings from colloidal silica and acrylate monomer
US4960802A (en) * 1990-03-08 1990-10-02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Cellular vinyl acetate/ethylene/n-methylolacrylamide copolymer contact adhesive
US5639546A (en) * 1991-09-03 1997-06-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ated article having improved adhesion to organic coatings
JPH05230429A (ja) * 1992-02-21 1993-09-07 Dainippon Printing Co Ltd プライマー組成物
US5378535A (en) * 1992-07-29 1995-01-03 Pilkington Aerospace, Inc. Primer system for silicone elastomers
US5602221A (en) * 1993-11-10 1997-02-11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with good low energy surface adhesion
US5683798A (en) * 1993-11-10 1997-11-04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Tackified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DE19512427A1 (de) * 1995-04-03 1996-10-10 Inst Neue Mat Gemein Gmbh Kompositklebstoff für optische und optoelektronische Anwendungen
US5648407A (en) * 1995-05-16 1997-07-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urable resin sols and fiber-reinforced composites derived therefrom
US5759679A (en) * 1995-09-15 1998-06-02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sheet with foamed substrate
US6103152A (en) *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6096469A (en) * 1999-05-18 2000-08-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Ink receptor media suitable for inkjet printing
AU770696B2 (en) * 1999-07-30 2004-02-26 Ppg Industries Ohio, Inc. Cured coatings having improved scratch resistance, coated substrat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6303685B1 (en) * 2000-04-25 2001-10-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Water dispersed primers
DE10140155A1 (de) * 2001-08-16 2003-03-06 Basf Coatings Ag Thermisch sowie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 Beschichtungsstoffe und ihre Verwendung
US6730397B2 (en) * 2001-12-18 2004-05-0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icone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articles and methods
US7090922B2 (en) * 2001-12-18 2006-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ilicone priming compositions, articles, and methods
DE10206225C1 (de) * 2002-02-15 2003-09-18 Basf Coating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farb- und/oder effektgebender Mehrschichtlackierung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35680A2 (en) 2005-04-21
ATE377057T1 (de) 2007-11-15
EP1668088A2 (en) 2006-06-14
WO2005035680A3 (en) 2005-07-28
US20050064183A1 (en) 2005-03-24
JP2007505773A (ja) 2007-03-15
DE602004009813T2 (de) 2008-08-21
AU2004280556A2 (en) 2005-04-21
TW200523119A (en) 2005-07-16
EP1668088B1 (en) 2007-10-31
AU2004280556A1 (en) 2005-04-21
US20060240251A1 (en) 2006-10-26
DE602004009813D1 (de) 200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68088B1 (en) Adhesive articles comprising a nanoparticle prim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US6586483B2 (en) Foam includ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US20050064182A1 (en) Adhesive articles including a nanoparticle primer and methods for preparing same
JP6545098B2 (ja) 感圧性接着剤フォーム及びそれからなる物品
US5264278A (en) Radiation-curable acrylate/silicon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ated tapes adherable to paint coated substrates
JPH06306337A (ja) 接着シート
US20130081764A1 (en) Heat-expandable remov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tape or sheet, and method of removing the same
WO2005040296A1 (en) Method of bonding glass
EP2204426A1 (en) Thermal expansion type removable acrylic pressure-sensitive andhesive tape or sheet
CN110884745B (zh) 用于将模切件施加至表面的方法及对于其的测试方法
US20210198534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with filler
WO2003066327A1 (fr) Materiau de separation et agent de separation
JPH0445184A (ja) 粘接着フォーム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87599B2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並びに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ゴム発泡体粘着シート
JPH0761458A (ja) 接着シート
JP2002088321A (ja) 加熱剥離型粘着テープ・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WO2023233376A1 (en) Foam composition including surface-modified nanoparticles and related articles and processes
JP4814895B2 (ja) 水分散型粘着剤組成物並びに粘着シート及びこれらを用いたゴム発泡体粘着シート
JP4150784B2 (ja) 発泡シート類、発泡粘着シート類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5247413A (ja) シール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