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178A -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178A
KR20060094178A KR1020050014894A KR20050014894A KR20060094178A KR 20060094178 A KR20060094178 A KR 20060094178A KR 1020050014894 A KR1020050014894 A KR 1020050014894A KR 20050014894 A KR20050014894 A KR 20050014894A KR 20060094178 A KR20060094178 A KR 200600941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text data
call signal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화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14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4178A/ko
Publication of KR2006009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7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number of the calling subscriber at the called subscriber's set
    • H04M1/575Means for retrieving and displaying personal data about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25Calling or Called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34Calling party identification service
    • H04M3/42042Notifying the called party of information on the calling par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6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logging of communication history, e.g. outgoing or incoming calls, missed calls, messages or UR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신측 전화번호 및 문자 데이터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통화 기록에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안테나를 통해 호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분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 여부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신자, 정보, 통화기록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Method for storing information of sending terminal}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210 : 기지국 211 : 기지국 제어기
212 : 기지국 전송 시스템 220 : 교환기
230 : 홈 위치 등록기 301 : 단말 제어부
302 : 무선 송수신부 303 : 발신측 정보 분류모듈
304 : 데이터 메모리부 305 : 키 입력부
306 : 표시창 307 : 안테나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신측 전화번호 및 문자 데이터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통화 기록에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산업의 발달 및 이동통신 서비스의 급속한 신장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이동통신단말기를 휴대하고 있으며 사용자들의 다양한 기능 향상 요구에 부응하여 이동 무선 전화통신 기능 이외에 음악 파일의 재생, 무선 인터넷 등의 기능이 이동통신단말기에 부가되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벨소리를 구현할 수 있는 기능과 이에 더불어, 통화 연결음을 음악으로 대체하여 수신자의 개성을 나타내는 이른바, 컬러링 서비스도 보편화되고 있다. 이와 함께, 호(call) 신호를 수신하면 발신측 단말기의 전화번호가 수신측 단말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표시 서비스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종래의 통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호 신호가 발생되면 기지국 및 교환기를 거쳐 수신측 단 말기로 호 신호가 전달된다. 수신측 단말기의 안테나를 통해 호 신호가 수신되면 수신측 단말기의 단말 제어부는 소정의 연동 프로그램을 통해 단말기로 하여금 진동 또는 벨소리를 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수신측 단말기의 사용자가 수신 버튼 등을 누르게 되면 본격적인 통화가 진행된다. 이 때,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진동, 벨소리 이외에 표시창에 발신측 전화번호가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상기 발신자 표시 서비스를 통해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는 별도의 통화 기록에 저장된다. 상기 발신자 정보의 통화기록으로의 저장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측 단말기가 상기 기지국 및 교환기를 거쳐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생된 호 신호를 수신하면(S101) 해당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2). 전화번호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 데이터 예를 들어, 성명 등의 정보가 기지국에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파악하여(S103) 기지국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성명 등의 문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해당 문자 데이터를 수신하여 단말기에 저장한다(S104). 반면, 기지국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 데이터가 없는 경우에는 단말기 내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S105) 존재하는 경우 해당 문자 데이터를 추출하여 통화 기록에 저장하고(S106), 단말기 내에 문자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전화번호 정보만을 통화 기록에 저장한다(S107).
한편, 상기 교환기로부터 수신한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기지국에 해당 호 신호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108). 문자 데이터가 기지국에 존재하는 경우, 해당 문자 데이터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받아 통화 기록에 저장하고(S109), 문자 데이터가 기지국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수신한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 정보 예를 들어, 발신번호 표시제한, 발신번호 없음 등등으로 통화 기록에 저장한다(S110).
이상의 과정을 통해 수신측 단말기의 통화 기록에 발신측 단말기에 대한 제반 정보가 저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통화 기록 저장 과정은 수신된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 여부, 기지국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 수신측 단말기에 해당 전화번호에 대한 문자 데이터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각각의 알고리즘이 요구됨에 따라 통화 기록의 저장 과정이 매우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발신측 전화번호 및 문자 데이터 정보 등을 효과적으로 통화 기록에 저장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은 이동통신단말기를 안테나를 통해 호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 는 단계와, 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분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 여부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는 교환기로부터 전송된 발신측 문자 데이터,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문자 데이터 없음, 발신번호 표시제한, 발신번호 불가, 발신번호 없음 등으로 분류되어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된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발신자 표시 서비스 등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수신된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각 종류별로 분류하고 해당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 통화 기록에 저장하는 두 단계의 과정을 통해 발신측 정보를 복잡한 알고리즘의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구 현하기 위한 무선 네트워크는 크게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이동통신단말기(200) 간의 무선 통신을 매개하는 기지국(210) 및 교환기(220)와, 홈 위치 등록기(230)(Home Location Resister)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다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전화 통화를 수행할 뿐만 아니라,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유선 전화기와도 전화 통화를 수행한다. 상기 기지국(210)(Base Station)은 이동통신단말기 간의 무선 접속을 수행하는 기지국 전송 시스템(212)(BTS, Base Transmission System)과, 복수개의 기지국 전송 시스템(212)을 제어하며 호 처리와 관련된 호 이동성 제어(call mobility management) 등을 수행하는 기지국 제어기(211)(BSC, Base Station Controller)로 구성된다. 상기 교환기(220)(MSC, Mobile Switching Manager)는 PSTN, 인터넷망 등과 같은 다른 통신 네트워크 간이나 또는 동일한 사업자의 기지국(210)의 하부 네트워크끼리의 데이터와 제어 신호의 송수신 경로를 담당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230)는 발신 및 수신 단말기의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프로파일 정보란 이동통신단말기의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ESN(Electronic Serial Number) 및/또는 가입된 단말기의 이동통신서비스 정보 등을 일컫는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단말 제어부(301), 데이터 메모리부(304), 무선 송수신부(302) 및 발신측 정보 분류모듈(303)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말 제어부(301)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제반 구성 요소와 소정의 통신연 결관계를 맺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 수행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는 기본적으로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요구되는 프로그램 및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에 의해 발생되는 각종 데이터 등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 통화 기록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 송수신부(302)는 안테나(307)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단말 제어부(301)로 전송하거나 상기 단말 제어부(301)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상기 안테나(307)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발신측 정보 분류모듈(303)은 기지국(210) 및 교환기(220)를 통해 수신되는 발신측 단말기의 호 신호를 분석하여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분류되는 문자 데이터의 종류는 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된 발신측 문자 데이터,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문자 데이터 없음, 발신번호 표시제한, 발신번호 불가, 발신번호 없음 등이다. 또한, 상기 발신측 정보 분류모듈(303)은 상기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전송받은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에 선택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 요소 이외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에는 키 입력부(305)와 표시창(306)으로 구성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비된다. 상기 키 입력부(305)는 다수의 숫자키 및 다양한 기능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창(306)은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수행 상태 및 호 수신시 발신측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통상의 이동통신단말기에 구비되는 무선 통신에 요구되는 필수 구성요소 즉, 듀플렉스, 주파수 변환부 등을 구비하나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동작 즉,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은 크게 두 단계의 과정 즉, 수신된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의 분류 과정과, 수신된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단말 제어부(301)는 상기 무선 송수신부(302)를 통해 호 신호의 수신 여부를 지속적으로 체크한다. 상기 호 신호는 예를 들어, 소정의 발신측 단말기로부터 발생되어 상기 기지국(210) 및 교환기(220)를 거쳐 수신측 단말기에 전송된다.
호 신호가 수신측 단말기에 수신되면 상기 수신측 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분류모듈(303)은 단말 제어부(301)의 제어 하에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에 저장한다. 이 때,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는 내용에 따라 1)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된 발신측 문자 데이터, 2)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3)문자 데이터 없음, 4)발신번호 표시제한, 5)발신번호 불가, 6)발신번호 없음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교환기(220)로부터 전송된 발신측 문자 데이터는 정확히는, 상기 홈 위치 등록기(230)에 저장되어 있는 MIN, ESN, 가입시 이 동통신서비스 정보 등과 같은 프로파일 정보가 추출된 정보를 말한다.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분류하여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에 선택적으로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발신측 정보 분류모듈(303)은 상기 단말 제어부(301)의 제어 하에 상기 수신된 호 신호를 분석하여 상기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전화번호 정보를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에 저장하고,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없음' 등으로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304)에 각각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발신자 표시 서비스 등을 통해 이동통신단말기의 표시창에 디스플레이되는 발신자 정보를 저장함에 있어서, 수신된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각 종류별로 분류하고 해당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각각 통화 기록에 저장하는 두 단계의 과정을 통해 발신측 정보를 복잡한 알고리즘의 필요 없이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이동통신단말기를 안테나를 통해 호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호 신호가 수신되면 해당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를 분류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호 신호에 전화번호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존재 여부에 따라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문자 데이터는 교환기로부터 전송된 발신측 문자 데이터, 수신측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전화번호에 상응하는 문자 데이터, 문자 데이터 없음, 발신번호 표시제한, 발신번호 불가, 발신번호 없음 등으로 분류되어 상기 데이터 메모리부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KR1020050014894A 2005-02-23 2005-02-23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KR200600941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894A KR20060094178A (ko) 2005-02-23 2005-02-23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894A KR20060094178A (ko) 2005-02-23 2005-02-23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78A true KR20060094178A (ko) 2006-08-29

Family

ID=3760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894A KR20060094178A (ko) 2005-02-23 2005-02-23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417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95B1 (ko) * 2006-10-24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통화기록 저장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7595B1 (ko) * 2006-10-24 2008-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단말기의 통화기록 저장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358384C (zh) 移动终端通知用户业务区和业务类型的方法和设备
KR19990085981A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US7123903B2 (en) Wireless telephone and wireless telephone system
KR1004263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캐릭터 이미지 송수신 방법
KR100575926B1 (ko) 휴대 단말기의 통화수신알림 제어 방법
KR20060094178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측 정보 저장 방법
KR100619891B1 (ko) 착신모드 지정이 가능한 통화 시스템 및 그 방법
US7852804B2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apparatus switching method thereof
KR101085669B1 (ko) 통화 방식 전환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JP3605751B2 (ja) 電話機
KR10038984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착신호 표시 방식 전환 방법
KR100713338B1 (ko) 다자간 통신을 서비스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실제통화자의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KR10067735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알람 및 모닝콜 원격 제어 방법
KR20060104634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수신 제한 설정시 수신기록 저장방법
KR10106380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메시지 정보 표시 방법
JPH09200303A (ja) 電話機
KR100976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언어 선택시 키톤 음 자동 선택방법
WO2007055990A2 (en) Real time caller information retrieval and display in dispatch calls
KR20020069987A (ko) 단문 메시지 서비스를 이용하여 개인 비서 기능을 갖는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 구현 방법
KR100506257B1 (ko) 키폰시스템에서 착신 국선 호 구별 착신음 발생 방법
KR100490117B1 (ko) 휴대 단말기 및 휴대 단말기의 중요 메시지 표시방법
JP3698922B2 (ja)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装置の自動応答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の自動応答制御方法
JP2001285514A (ja) 通信装置
KR100605956B1 (ko) 휴대 단말기의 메시지 전송방법
KR20030081584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