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145A -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145A
KR20060094145A KR1020050014821A KR20050014821A KR20060094145A KR 20060094145 A KR20060094145 A KR 20060094145A KR 1020050014821 A KR1020050014821 A KR 1020050014821A KR 20050014821 A KR20050014821 A KR 20050014821A KR 20060094145 A KR20060094145 A KR 200600941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fer
width
chuck
transfer arm
transf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82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교형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4145A/en
Publication of KR200600941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4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9/00Hoop exercising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이퍼 이송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설비에서 오버레이 마크를 측정할 시 웨이퍼 스테이지로 웨이퍼를 이송할 때 이송아암의 너비가 웨이퍼 척보다 크게 형성하는 반도체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the width of the transfer arm is larger than the wafer chuck when the wafer is transferred to the wafer stage when the overlay mark is measure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the wafer transfer device.

로봇의 이송암을 이용하여 웨이퍼 척으로 웨이퍼를 이송할 때 웨이퍼 척의 안착상태 불량으로 인해 오버레이 마크 측정 시 Aquisition Fail이나 Flying Data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반도체 제조설비는, 웨이퍼를 이송하여 설비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웨이퍼 이송유니트와, 상기 웨이퍼 이송유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웨이퍼를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웨이퍼 거치대와,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웨이퍼를 안착 고정하는 웨이퍼 척을 구비하고, When transferring wafers to the wafer chuck using the transfer arm of the robot,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that does not generate Aquisition Fail or Flying Data during overlay mark measurement due to the poor seating state of the wafer chuck is transferred and loaded on the equipment. It is provided with a wafer transfer unit for loading, a wafer holder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fer transfer unit, and a wafer holder for temporarily waiting a wafer for loading and unloading, and a wafer chuck for seating and fixing a wafer for processing. ,

상기 이송유니트에 형성된 이송암의 포크부는 너비(d)가 가변되고, 상기 너비(d)의 최대길이는 웨이퍼(W)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The fork portion of the transfer arm formed in the transfer unit is variable in width (d),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wafer (W),

상기 웨이퍼 척은 상기 포크부의 너비(d)의 최대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있으며, 웨이퍼(W)를 흡착하기 위해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된다.The wafer chuck is manufactured with a size small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of the fork portion, and a plurality of vacuum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dsorb the wafer W.

웨이퍼 무빙, 웨이퍼 이송암, 로봇암, 암팁 Wafer moving, wafer transfer arm, robot arm, arm tip

Description

웨이퍼 이송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설비{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with Wafer Transfer Device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도 1은 종래의 웨이퍼를 베이크하기 위한 반도체 제조설비의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aking a conventional wafer

도 2는 도 1의 이송유니트(10)가 웨이퍼 척에 안착된 상태의 예시도2 is an illustration of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unit 10 of FIG. 1 is seated on a wafer chuck.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암이 웨이퍼를 웨이퍼 척상에 안착시킨 상태의 반도체 제조설비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in a state in which a transfer arm seats a wafer on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이송암(56)에 웨이퍼(W)가 올려져 웨이퍼 척(70)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wafer W is placed on the transfer arm 56 of FIG. 3 and transferred to the wafer chuck 70.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50: 이송유니트 11, 52: 지지몸체10, 50: transfer unit 11, 52: support body

12, 54: 회전축 13, 56: 이송암12, 54: axis of rotation 13, 56: feed arm

15: 포크진공홀 17, 58: 포크부15: fork vacuum hole 17, 58: fork part

20: 베이크 유니트 21: 공정챔버 20: Bake Unit 21: Process Chamber

22: 베이크 플레이트 23: 리프트핀22: Bake Plate 23: Lift Pin

24: 도어 25: 포크홈24: door 25: fork groove

26: 다수의 진공홀 27: 웨이퍼 척26: multiple vacuum holes 27: wafer chuck

60: 거치대60: holder

본 발명은 웨이퍼 이송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계측설비에서 오버레이 마크를 측정할 시 웨이퍼 스테이지로 웨이퍼를 이송할 때 이송아암의 너비가 웨이퍼 척보다 크게 형성하는 반도체 제조설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a wafer transfe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a transfer arm has a width larger than that of a wafer chuck when transferring a wafer to a wafer stage when measuring an overlay mark in a measurement facility. .

도 1은 종래의 웨이퍼를 베이크하기 위한 반도체 제조설비의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for baking a conventional wafer.

이송유니트(10)와 베이크유니트(20)로 구성되어 있다. Consisting of the transfer unit 10 and the baking unit 20.

상기 이송유니트(1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몸체(11)와, 상기 지지몸체(11)에 연결되는 회전축(12)과, 상기 회전축(12)에 연결되어 웨이퍼를 이송하는 이송암(13)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transfer unit 10 includes a support body 11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rotary shaft 12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11, and a transfer arm 13 connected to the rotary shaft 12 to transfer wafers. )

베이크 유니트(20)는 밀폐된 공간을 형성하는 공정챔버(21)와, 상기 공정챔버(21)의 내부에 설치되어 웨이퍼(W)를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여 베이크하는 베이크 플레이트(22)와, 상기 베이크 플레이트(22) 상에 놓여진 웨이퍼(W)를 승강 시키는 리프트핀(23)과, 상기 공정챔버(21)의 측벽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암(13)에 의해 웨이퍼(W)를 로딩 또는 언로딩할 시 오픈시키고 웨이퍼의 베이크 진행 시 클로즈시키는 도어(24)로 구성되어 있다. The baking unit 20 includes a process chamber 21 forming a closed space, a baking plate 22 installed inside the process chamber 21 to bake the wafer W by heating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nd A lift pin 23 for elevating the wafer W placed on the bake plate 22 and a sidewall of the process chamber 21 to load or unload the wafer W by the transfer arm 13. The door 24 is opened at the time and closed at the time of baking of the wafer.

도 1을 참조하면, 베이크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공정챔버(21)의 도어(24)가 오픈되고 이송암(13)에 의해 선행공정이 완료된 웨이퍼(W)가 리프트핀(23) 상에 언로딩된다. 이때 리프트핀(23)은 하강하여 베이크 플레이트(22)에 얹혀진다. 그리고 공정챔버(21)의 도어(24)가 클로즈된 후 베이크 플레이트(22)를 가열하여 웨이퍼(W)를 베이크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afer 24 of the process chamber 21 is opened and the wafer W, which has been completed by the transfer arm 13, is unloaded on the lift pin 23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baking process. do. At this time, the lift pin 23 is lowered and placed on the baking plate 22. After the door 24 of the process chamber 21 is closed, the baking plate 22 is heated to bake the wafer W.

이러한 반도체 제조설비에서 웨이퍼를 이송하여 설비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웨이퍼 이송유니트(10)는, 웨이퍼의 후면에 웨이퍼 이송암을 밀착시켜서 진공압을 형성한 후에 흡착된 웨이퍼를 로봇에 의해 이동하고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진공을 해제하고, 웨이퍼를 이송암과 분리시키는 방식으로 웨이퍼를 이송하게 된다.The wafer transfer unit 10, which transfers wafers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loads and unloads the equipment, adheres the wafer transfer arm to the back of the wafer to form a vacuum pressure, and then moves the adsorbed wafer by a robot. When the position is reached, the wafer is transported by releasing the vacuum and separating the wafer from the transfer arm.

도 2는 도 1의 이송유니트(10)가 웨이퍼 척에 안착된 상태의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transfer unit 10 of FIG. 1 is seated on a wafer chuck.

그 중에서 얇은 막대판형상의 이송암(13)은, 카셋트에 슬롯(Slot)의 간격으로 보관되어 있는 웨이퍼를 진공압을 이용하여 차례로 로딩 및 언로딩하는 웨이퍼 이송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송암(13)은 오버레이 계측설비에서 카세트로부터 적재된 웨이퍼를 프리얼라인한 후 웨이퍼 스테이지로 이송하여 오버레이 얼라인 마크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Among them, the thin rod-shaped transfer arm 13 is widely used in a wafer transfer device for sequentially loading and unloading wafers stored in a cassette at intervals of slots using vacuum pressure. The transfer arm 13 prealigns the wafer loaded from the cassette in the overlay metrology facility, and then transfers the wafer to the wafer stage to measure the overlay alignment mark.

이러한 반도체장치는 이송암(13)과 웨이퍼 척(27)이 구비되어있다.Such a semiconductor device is provided with a transfer arm 13 and a wafer chuck 27.

웨이퍼 이송암(13)은, 웨이퍼에 밀착되어 진공압에 의한 흡착이 가능하도록 진공홀(15)과, 진공라인이 형성된 얇은 막대판형상의 포크부(17)와, 상기 포크부(17)에 일체형으로 연결되어 상기 포크부(17)를 지지하고, 진공라인이 형성된 본체(19)로 구성되고, 웨이퍼 스테이지(27)는 상기 포크부(17)가 웨이퍼 스테이지(27)로 인입될 때 표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포크부 형상을 갖는 포크홈(25)과, 웨이퍼를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진공홀(26)이 형성되어 있다. The wafer transfer arm 13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vacuum hole 15, the thin rod-shaped fork 17 having a vacuum line, and the fork 17 so that the wafer transfer arm 1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afer to allow suction by vacuum pressure. The fork part 17 is connected to the fork part 17, and the main body 19 is formed with a vacuum line, and the wafer stage 27 contacts the surface when the fork part 17 is drawn into the wafer stage 27. The fork groove 25 having a fork portion shape and a plurality of vacuum holes 26 for adsorbing the wafer are formed so as not to be.

웨이퍼 이송암(13)은 웨이퍼의 후면에 접촉되어 진공압에 의한 흡착이 가능하도록 진공홀(15) 및 진공라인이 형성된 얇은 막대판 형상의 2개 포크를 구비한 포크부(17)와 상기 포크부(17)를 지지하고 내부에 진공라인이 형성된 본체(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wafer transfer arm 13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wafer and has a fork portion 17 having two forks in the shape of a thin plate having a vacuum hole 15 and a vacuum line formed thereon so as to be adsorbed by vacuum pressure. It includes a main body 19 for supporting the portion 17 and a vacuum line formed therein.

상기 본체(19)와 상기 포크부(17)는 일체형으로 조립,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포크부(17)는 2개의 포크가 일정한 포크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상기 포크에 형성된 진공홀(15)을 이용하여 상기 웨이퍼를 흡착시킨다.The main body 19 and the fork portion 17 are integrally assembled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fork portion 17 is formed by using a vacuum hole 15 formed in the fork with two forks having a predetermined fork spacing. The wafer is adsorbed.

상기 본체(19) 및 상기 포크부(17)의 재질은 알루미늄을 사용하고, 알루미늄이 부식되지 않도록 표면에는 산화막을 도포한다.The material of the main body 19 and the fork 17 is made of aluminum, and an oxide film is coated on the surface so that aluminum is not corroded.

따라서, 상기 포크부(17)가 도시하지 않은 카셋트에 적재된 웨이퍼와 웨이퍼 사이로 삽입되어 웨이퍼와 밀착되면 상기 포크부(17)에 형성된 진공홀(15)에 진공압을 형성하여 웨이퍼를 흡착, 고정하고, 상기 포크부(17)에 흡착된 웨이퍼를 이송하여 설비의 웨이퍼 척(27)에 안착시킨 후 포크부(17)의 형상대로 함몰된 포크홈(25)을 통해 빠져나오게 된다.Therefore, when the fork 17 is inserted between the wafer and the wafer loaded in the cassette (not shown) and closely adheres to the wafer, a vacuum pressure is formed in the vacuum hole 15 formed in the fork 17 to adsorb and fix the wafer. Then, the wafer adsorbed on the fork 17 is transferred to the wafer chuck 27 of the facility, and then exits through the fork groove 25 recessed in the shape of the fork 17.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반도체 제조설비는 웨이퍼 척(27)의 표면에 웨이퍼를 안착시킨 후 빠져나올 수 있도록 포크홈(25)이 형성되어 있어 웨이퍼를 흡착하기위한 진공홀(26)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 흡착력이 떨어져 웨이퍼가 웨이퍼 척(27)의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이 발생되어 Aquisition Fail이나 Flying Data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여기서 Aquisition Fail이란 웨이퍼가 웨이퍼 척(27)의 표면으로부터 들뜨는 현상에 의해 웨이퍼가 수평상태로 놓여지지 않고 기울어져 오버레이 마크 측정 시 오버레이 마크를 체크하지 못하는 현상을 말한다. 그리고 Flying Data는 오버레이 마크 측정 시 정상적인 경우 예를 들어 30ns가 측정되어야 하나 포커싱불량으로 인해 100ns가 측정되는 데이터를 나타낸다. In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the fork groove 25 is formed so that the wafer is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27 so as to be ejected, and thus the vacuum hole 26 for adsorbing the wafer is not formed.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adsorption force was lowered and the wafer was lifted off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27 to generate an Aquisition Fail or Flying Data. Here, the Aquisition Fail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wafer is not placed in a horizontal state and tilted because the wafer is lifted from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27 so that the overlay mark cannot be checked when measuring the overlay mark. In addition, Flying Data represents data in which 100 ns is measured due to poor focusing, for example, when 30 ns should be measured when the overlay mark is measured.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봇의 이송암을 이용하여 웨이퍼 척으로 웨이퍼를 이송할 때 웨이퍼 척의 안착상태 불량으로 인해 오버레이 마크 측정 시 Aquisition Fail이나 Flying Data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반도체 제조설비를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that does not generate Aquisition Fail or Flying Data during overlay mark measurement due to a poor seating state of a wafer chuck when transferring a wafer to a wafer chuck using a transfer arm of a robo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반도체 제조설비는, 웨이퍼를 이송하여 설비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웨이퍼 이송유니트와, 상기 웨이퍼 이송유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웨이퍼를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웨이퍼 거치대와,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웨이퍼를 안착 고정하는 웨이퍼 척을 구비하고,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wafer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and loading and unloading the wafer, and the wafer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the wafer transfer unit, the wafer for loading and unloading A wafer holder for temporarily waiting, and a wafer chuck for seating and fixing the wafer to proceed with the process,

상기 이송유니트에 형성된 이송암의 포크부는 너비(d)가 가변되고, 상기 너비(d)의 최대길이는 웨이퍼(W)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The fork portion of the transfer arm formed in the transfer unit is variable in width (d),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wafer (W),

상기 웨이퍼 척은 상기 포크부의 너비(d)의 최대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있으며, 웨이퍼(W)를 흡착하기 위해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fer chuck is manufactur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of the fork, and a plurality of vacuum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dsorb the wafer W.

상기 이송암의 포크부는, 상기 웨이퍼 척으로 웨이퍼를 로딩할 시 너비(d)의 최대길이로 신장되도록 하고, 상기 웨이퍼를 카세트로 언로딩할 시 너비(d)의 최소길이로 신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fork portion of the transfer arm is extended so as to extend to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when loading the wafer into the wafer chuck and stretched to the minimum length of the width d when the wafer is unloaded into the cassette. Do.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송암이 웨이퍼를 웨이퍼 척상에 안착시킨 상태의 반도체 제조설비의 구성도이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in which a transfer arm is seated on a wafer chu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웨이퍼를 이송하여 설비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웨이퍼 이송유니트(50)와, A wafer transfer unit 50 for transferring and loading and unloading wafers into a facility;

상기 웨이퍼 이송유니트(50)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웨이퍼를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웨이퍼 거치대(60)와, A wafer holder 60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fer transfer unit 50 and temporarily waiting a wafer for loading and unloading;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웨이퍼를 안착 고정하는 웨이퍼 척(70)으로 구성되어 있다. It consists of the wafer chuck 70 which mounts and fixes a wafer in order to advance a process.

상기 이송유니트(50)는, 바닥면에 지지되는 지지몸체(52)와, 상기 지지몸체(52)에 연결되는 회전축(54)과, 상기 회전축(56)에 연결되어 웨이퍼를 이송하는 이송암(56)으로 구성되어 있다. The transfer unit 50 includes a support body 52 supported on the bottom surface, a rotation shaft 54 connected to the support body 52, and a transfer arm connected to the rotation shaft 56 to transfer the wafer ( 56).

웨이퍼 이송암(56)은, 막대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웨이퍼를 지지하기 위한 포크부(58)를 포함하며, 상기 포크부(58)의 너비를 가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The wafer transfer arm 56 has a bar plate shape and includes a fork portion 58 for supporting the wafer, and is formed to vary the width of the fork portion 58.

도 4는 도 3의 이송암(56)에 웨이퍼(W)가 올려져 웨이퍼 척(70)으로 이송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4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the wafer W is mounted on the transfer arm 56 of FIG. 3 and transferred to the wafer chuck 70.

상기 이송암(56)의 포크부(58)는 그 너비(d)가 가변되고 그 너비(d)의 최대길이는 웨이퍼(W)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웨이퍼(W)는 로딩 또는 언로딩 시 포크부(58)에 올려진다. 웨이퍼 척(70)은 상기 포크부(58)의 너비(d)의 최대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있으며, 웨이퍼(W)를 흡착하기 위해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진공홀(72)이 형성되어 있다. The fork 58 of the transfer arm 56 has a width d of which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wafer W. The wafer W is mounted on the fork 58 when loading or unloading. The wafer chuck 70 is manufactur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of the fork 58, and a plurality of vacuum holes 7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dsorb the wafer W. .

상술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3 and 4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opera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오버레이 계측장비에서 오버레이 마크를 측정하기 위해 웨이퍼 척(70)으로 로딩하는 동작을 보면, 이송암(56)은 도시하지 않은 카세트로 인입되어 카세트에 적재되어 있는 웨이퍼를 포크부(58)로 얹혀지도록 한 후 카세트를 빠져 나와 웨이퍼 거치대(60)에 올려 놓는다. 이때 포크부(58)의 너비(d)는 최소길이로 위치시킨다. 그런 후 도시하지 않은 이송암 구동부는 이송암(56)의 포크부(58)의 너비(d)를 최대길이로 신장시킨 후 웨이퍼 거치대(60)에 대기하고 있는 웨이퍼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이송암(56)은 웨이퍼 척(70)으로 이송되어 웨이퍼 척(70)의 둘레로 포크부(58)를 인입시켜 웨이퍼(W)를 웨이퍼 척(70)의 표면에 올려놓은 후 웨이퍼 척(70)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이때 웨이퍼가 웨이퍼 척(70)의 표면에 올려지게 되면 웨이퍼 척(70)에 형성된 다수의 진공홀(72)의 흡착력에 의해 웨이퍼(W)가 웨이퍼 척(70)의 표면에 들뜨지 않고 흡착된다. 따라서 오버레이 마크를 측정하기 위 해 웨이퍼 척(70)으로 웨이퍼를 로딩할 시 웨이퍼 척(70)의 흡착력 부족으로 인한 Acquisition Fail 또는 Flying Data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First, the operation of loading into the wafer chuck 70 in order to measure the overlay mark in the overlay metrology equipment, the transfer arm 56 is introduced into the cassette (not shown) and the wafer loaded on the cassette is placed on the fork 58. After exiting the cassette, the cassette is placed on the wafer holder 60. At this time, the width (d) of the fork 58 is positioned to the minimum length. Then, the transfer arm driver (not shown) extends the width d of the fork portion 58 of the transfer arm 56 to the maximum length and then lifts the wafer waiting on the wafer holder 60. The transfer arm 56 is transferred to the wafer chuck 70, draws the fork portion 58 around the wafer chuck 70, places the wafer W on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70, and then the wafer chuck ( 70) At this time, when the wafer is plac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70, the wafer W is attracted to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70 by the suction force of the plurality of vacuum holes 72 formed in the wafer chuck 70. Therefore, when loading the wafer into the wafer chuck 70 to measure the overlay mark, it prevents the occurrence of Acquisition Fail or Flying Data due to the insufficient suction force of the wafer chuck 70.

또한 웨이퍼를 카세트로 언로딩하는 동작을 보면, 이송암(56)은 웨이퍼 척(70)의 둘레로 인입되어 웨이퍼 척(70)에 놓여있는 웨이퍼를 포크부(58)로 얹혀지도록 한 후 웨이퍼 척(70)으로부터 빠져 나와 웨이퍼 거치대(60)에 올려 놓는다. 그런 후 도시하지 않은 이송암 구동부는 이송암(56)의 포크부(58)의 너비(d)를 최소길이로 신축시킨 후 웨이퍼 거치대(60)에 대기하고 있는 웨이퍼를 들어올린다. 그리고 이송암(56)은 카세트로 이송되어 카세트의 슬롯에 웨이퍼(W)를 안착시킨 후 카세트를 빠져 나온다. In addition, in the operation of unloading the wafer into the cassette, the transfer arm 56 is drawn around the wafer chuck 70 so that the wafer placed on the wafer chuck 70 is placed on the fork 58 and then the wafer chuck. It exits from 70 and places on the wafer holder 60. Thereafter, the transfer arm driver (not shown) stretches the width d of the fork portion 58 of the transfer arm 56 to a minimum length and lifts the wafer waiting on the wafer holder 60. Then, the transfer arm 56 is transferred to the cassette and seats the wafer W in the slot of the cassette and then exits the cassett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반도체 제조설비에서 웨이퍼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시 웨이퍼를 이송하는 이송암의 포크부 너비를 웨이퍼 척의 크기보다 크게하고 다수의 진공홀을 웨이퍼 척의 표면 전체에 골고루 배치하도록 하여 포크부가 웨이퍼 척의 표면에 위치되어 웨이퍼를 웨이퍼 척에 안착시킬 경우 흡착력 부족으로 인한 Acquisiton Fail 또는 Flying Data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dth of the fork portion of the transfer arm that transfers the wafer when the wafer is loaded or unloaded in the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wafer chuck, and the plurality of vacuum holes are evenly dispos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wafer chuck. When the fork portion is positioned on the surface of the wafer chuck to seat the wafer on the wafer chuck,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occurrence of Acquisiton Fail or Flying Data due to insufficient adsorption force.

Claims (2)

반도체 제조설비에 있어서,I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웨이퍼를 이송하여 설비에 로딩 및 언로딩시키는 웨이퍼 이송유니트와, A wafer transfer unit which transfers wafers to load and unload the equipment, 상기 웨이퍼 이송유니트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며,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웨이퍼를 일시적으로 대기시키는 웨이퍼 거치대와, A wafer holder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wafer transfer unit and temporarily waiting a wafer for loading and unloading;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웨이퍼를 안착 고정하는 웨이퍼 척을 구비하고, A wafer chuck for seating and fixing the wafer to proceed with the process, 상기 이송유니트에 형성된 이송암의 포크부는 너비(d)가 가변되고, 상기 너비(d)의 최대길이는 웨이퍼(W)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으며,The fork portion of the transfer arm formed in the transfer unit is variable in width (d),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is formed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wafer (W), 상기 웨이퍼 척은 상기 포크부의 너비(d)의 최대길이 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되어 있으며, 웨이퍼(W)를 흡착하기 위해 일정간격마다 다수의 진공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이송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설비. The wafer chuck is manufactured to have a size smaller than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of the fork, and a plurality of vacuum holes ar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to adsorb the wafer (W). Semiconductor manufacturing equipment.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이송암의 포크부는, 상기 웨이퍼 척으로 웨이퍼를 로딩할 시 너비(d)의 최대길이로 신장되고, 상기 웨이퍼를 카세트로 언로딩할 시 너비(d)의 최소길이로 신축되어 가변됨을 특징으로 하는 웨이퍼 이송장치를 갖는 반도체 제조설비. The fork portion of the transfer arm is extended to the maximum length of the width (d) when loading the wafer into the wafer chuck, and stretched and variable to the minimum length of the width (d) when unloading the wafer into the cassette A semiconductor manufacturing facility having a wafer transfer device.
KR1020050014821A 2005-02-23 2005-02-23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KR200600941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821A KR20060094145A (en) 2005-02-23 2005-02-23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821A KR20060094145A (en) 2005-02-23 2005-02-23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45A true KR20060094145A (en) 2006-08-29

Family

ID=37602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821A KR20060094145A (en) 2005-02-23 2005-02-23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4145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39B1 (en) * 2006-01-12 2007-06-21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and equipment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0739B1 (en) * 2006-01-12 2007-06-21 세메스 주식회사 Apparatus for transferring substrate and equipment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employ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251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US20150219687A1 (en) Method of contacting substrate with probe card
KR101736854B1 (en) Substrate treating apparatus
JPH05136218A (en) Inspection device
KR20160079700A (en) Substrate holding assistant member and substrate transfer apparatus
JP2012199508A (en) Wafer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heating probe card
TWI792004B (en) Substrate carrier apparatus and substrate carrying method
WO2019017050A1 (en) Inspection system
CN111916390A (en) Robot hand, wafer transfer robot, and wafer transfer apparatus
JP6254432B2 (en) Prober system
US10971385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transfer position correcting method
JP2008311475A (en) Device for processing wafer
KR20060108086A (en) Robot arm of wafer handler
KR20060094145A (en) Semiconductor production device having wafer transfer unit
KR102642683B1 (en) Substrate handling system and transport method
JP7183223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SUBSTRATE PROCESSING METHOD
JP3282787B2 (en) Wafer transfer mechanism
KR20080034725A (en) Loadlock chamber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wafers
JP4009009B2 (en) Adsorption state judgment method
KR102277547B1 (en) Apparatus for treating substrat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state of the pose of substrate
TWI507700B (en) Probe station
JP2016192484A (en) Prober
JPH053241A (en) Conveyer for plate-shaped object
JP6656441B2 (en)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SUBSTRATE TRANSPORT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bstrate Transport Program
JP2011138859A (en) Vacuum process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