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107A -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 Google Patents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107A
KR20060094107A KR1020050014599A KR20050014599A KR20060094107A KR 20060094107 A KR20060094107 A KR 20060094107A KR 1020050014599 A KR1020050014599 A KR 1020050014599A KR 20050014599 A KR20050014599 A KR 20050014599A KR 20060094107 A KR20060094107 A KR 2006009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profile
server
controlled
hom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6784B1 (ko
Inventor
박인호
이상호
김카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4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784B1/ko
Priority to EP06003177A priority patent/EP1693990B1/en
Priority to JP2006044203A priority patent/JP4663547B2/ja
Priority to CN200910126490.9A priority patent/CN101510885B/zh
Priority to CNA2006100576558A priority patent/CN1825825A/zh
Priority to US11/358,003 priority patent/US8396918B2/en
Publication of KR2006009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07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1Exchang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n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indicating a format for calling an appliance service function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04L12/2832Interconnection of the control functionalities between home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디바이스/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해당 피제어기기들을 제어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복잡한 구조의 미들웨어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홈 디바이스를 제어할 수가 있는 것이다.
프레임워크, 프로파일, 미들웨어, 홈네트워크

Description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도 1은 종래의 미들웨어를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서비스 프레임워크의 상세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각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 프로파일의 상세 구조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각 디바이스 및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등록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6은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 Server 112 : Profile Manager
114 : Device Profile List 116 : Service Logic
118,128 : Net I/O 120 : Service Client
122 : Controller 124 : Device Profile
126 : Service I/O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디바이스/서비스 프로파일로 구서된 프레임워크의 구조 및 그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정에서 PC, 주변기기, 휴대폰, 가전제품 등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통제하는 시스템으로서, 홈네트워크 시스템 구성 방법으로는 분산되어 있는 가정내의 기기들에 미들웨어(middleware)라 불리우는 공통의 가상 컴퓨팅환경을 구축하고 그 위에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는데,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는 홈네트워크에 연결되는 다양한 디바이스들을 일반 사용자들이 별다른 지식의 습득없이 기존 기기들을 이용하는 것과 유사하게 제어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며 다양한 홈네트워크 응용 서비스의 개발 및 실행 플랫폼을 제공한다.
즉, 미들웨어란 홈네트워크내에서 여러 기기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현재까지 제안된 홈네트워크 미들웨어로는 HAVi(Home AV Interoperability), UPnP(Universal Plug and Play), PLC(Power Line Communication), Jini, HWW(Home Wide Web) 등이 있다.
도 1에 이러한 종래의 미들웨어를 사용한 네트워크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각각의 미들웨어로 구성된 Home Devices를 도시한 도면으로, UPnP 네트워크(10)는 기존의 PC와 주변기기를 연결하던 플러그-앤-플레이의 개념을 확장시 켜, PC 주변기기 뿐만 아니라 댁내의 모든 장치들을 설치와 동시에 별도의 설정 없이 하나의 네트워크로 구성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기술로서, 통신 제품(IT Devices)을 위한 Middleware이며, Peer to Peer Architecture이다.
PLC 네트워크(20)는 현재 모든 가구에 전력선이 보급돼 있어 현존하는 인프라 중 가장 광범위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고 네트워크 구성에 필요한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고 있는 기술로서, 전기코드만 꼽으면 가전기기들과 간단히 네트워크를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HAVi 네트워크(30)는 1394를 이용한 AV Devices만 을 대상으로 한 AV Network Solution으로 통신 미디어로 IEEE1394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위에서 동작하는 API 함수들을 이용하여, 영상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의 제어를 위한 홈 네트워킹 미들웨어로 동작하며 peer to peer Architecture이다.
Jini는 Java를 이용한 Client/Server Architecture의 Middleware이다.
그러나, Jini Device는 Jini 네트워 크에 통합되기 위해서는 구성원들 모두가 JVM(Java Virtual Machine)을 탑재하여야만 하는 제약조건이 있어 Home 보다는 Office환경에 적합하다.
UPnP 네트워크(10)는 HTTP Server와 XML을 이용한 Solution으로 모든 Home에 적용하지 못하고, HAVi 네트워크(30)는 PC와 주변기기에는 적용되지 않으며, 가정기기 상위의 OSI계층에 대해서만 표준안이 규정되기 때문에 제한적인 성격으로,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에만 중점적으로 맞추어져 있고 하부 네트워크가 IEEE 1394에 국한되어 인터넷 연동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PLC 네트워크(20)를 기반으로 한 홈 네트워크를 주택 내에 구축하기 위해서는, 같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기에 있어 공급하는 메이커 간의 공통 사양의 확립이 요구되고 있다
HAVi 네트워크(30)는 1394를 이용한 AV Devices만을 대상으로 한 AV Network Solution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미들웨어들은 홈네트워크내에서 여러 기기들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매우 복잡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즉, HAVi를 제외한 대부분의 미들웨어들은 기기간의 통신과 인터넷과의 연동을 위하여 TCP/IP 프로토콜을 하부에 사용하고 있으며, 각각의 프로토콜을 운용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능형 서비스를 위한 메타 데이터 형식의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간단하게 통상의 미들웨어처럼 동작할 수 있는 서비스 프레임 워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피제어기기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는 상기 각각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다수의 피제어기기로 구성된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서버는 환경센서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집안상황을 감시하여 각종 환경 데이터들을 축적하고 실시간으로 분석 및 진단하여 해당 피제어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여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구성하여 등록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서버는 상기 피제어기기들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이 등록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프로파일의 생성, 수정, 삭제, 검색 기능 등을 처리하는 프로파일 매니저 및 상기 서버에서 정의한 메타 데이터 형식의 프로파일 구조와 실제 서비스와의 연결을 위한 메세지를 구성하고 상기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 프로파일부, 해당 피제어기기의 각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부에 저장하고 해당 피제어기기의 동작이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로직 요소로 구성된 제어기 및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부 디바이스 로직이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동작되는 서비스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 입출력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피제어기기 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에 해당 피제어기기들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등록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로직부가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부로부터 해당 피제어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입출력부를 통하여 해당 피제어기기가 상기 서비스 내용대로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본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수의 피제어기기로 구성된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의 제어방법은, 상기 각각의 피제어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서버에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전송된 메세지에 따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는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네트웍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는 전송 메세지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서버는 해당 메세지를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는 상기 서버에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전송 메세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 메세지를 네트웍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메세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해당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하여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로 해당 서비스의 실행유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여 서버에서 해당 서비스의 실행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능형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홈네트워크는 종래의 프레임워크와 동일 기능을 수행하는 서버(Server;110)와 홈네트워크내의 각 디바이스로 기 능을 수행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Service Client;120)가 네트워크(130)을 통하여 상호 전송 메세지가 송수신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전송되는 파일 포멧을 전송 메세지로 통합하여 설명한다.
Server(110)는 홈네트워크내의 각 디바이스가 제공 가능한 서비스를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각 Home Device들을 직접 관리할 뿐만 아니라 각 Home Device들의 상태와 이벤트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Server(110)는 홈네트워크내의 모든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Device Profile List;114)와 각 Device들과 제어가능한 서비스와 기능들을 제공하도록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주로 프로파일의 생성, 수정, 삭제, 검색 기능등을 처리하고 홈네트워크에서 접속 가능한 다수의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동작되는 프로파일 매니저(Profile Manager;112)와 각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가능한 서비스 로직(logic)이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되는 서비스 로직부(Service Logic;116) 그리고 네트워크(130)을 통하여 상기 프로파일을 하기의 Service Client(120)로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Net I/O(1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Service Logic부(116)는 각 디바이스로 구성된 서비스 내용을 복합적으로 설정하여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지정된 시간에 DVD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여 필요한 경우 DVD 시청에 필요한 해당 디바이스 즉, DVD, TV, 커텐, 조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VD를 시청하기 위한 첫 단계로 커텐을 닫게 하고 조명을 DVD 시청에 필요한 적당한 밝기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TV를 온하도록 서비스를 요청하여 일련의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는 것이다.
Service Client(120)는 서비스가 제공되거나 수행되는 디바이스나 노드(Node)를 말하며, 해당 디바이스/서비스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 프로파일부(Device Profile;124)과 해당 디바이스의 각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Device Profile부(124)에 저장하고 해당 디바이스의 동작이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로직 요소로 구성된 제어기(Controller;122),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부 디바이스 로직이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동작되는 서비스 입출력부(Service I/O;126) 그리고 Server(110)와 상기 프로파일을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인 Net I/O(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Server(110)의 Device Profile List부(114)나 Service Client(120)의 Device Profile부(124)에 저장되는 Device/Service Profile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vice/service Profile(200)은 해당 디바이스의 이름(Name), 모델명(Model), 제조회사(Manufacture) 등이 기록되는 Device Description(210)과 해당 디바이스가 제공할 서비스의 리스트가 기록되는 Service Description(220)으로 구성된다.
Service Description(220)는 해당 디바이스가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하여 상세히 기록되는 것으로, 프로파일 ID나 Version, 기능등이 기록될 수 있다.
또한, Service Description(220)은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의 이름이 기록되는 Service Name(221)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설명되고 서비스에 대한 상세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는 Description(222), 서비스를 제공할 때 기준 값으로 이용되는 해당 디바이스의 현재 상태나 값이 기록되는 Current Value(223), 해당 디바이스의 디폴트(default) 값이나 상태가 기록되는 Default Value(224) 그리고 필요한 경우 해당 디바이스의 프로파일을 기록할 수 있는 기타(Etc;225)부분으로 구성된다.
즉, FAN의 경우를 예로 들어 상기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설명하면 Service Name(221)에는 "POWER", "Speed" 그리고 "Rotate"등이 기록될 수 있다. 따라서 Description(222)에서는 POWER는 FAN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것으로, Speed는 Fan의 회전 속도를, 그리고 Rotate는 rotor head의 회전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Current Value(223)에는 상기 전원의 오프상태와 Speed는 정지를 Rotate는 오프상태를 표시할 수가 있으며, Default Value(224)는 각 디바이스의 기능에 따라 Power는 오프를 Speed는 1의 상태를 Rotate는 오프상태로 설정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Speed의 경우는 그 단계를 4단계로 표시할 수 있는 경우에는 Etc(225)에 그 내용을 기록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해당 디바이스를 편리하게 사용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각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등록하고 서비스를 요청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홈네트워크의 디바이스 및 그에 따른 서비스 프로파일을 등록하는 과 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도로서, 각 디바이스(120)의 Controller(122)는 해당 디바이스의 디바이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Device Profile(124)에서 판독하여 소정의 전송 포멧으로 구성한 전송 메세지형태로 Net I/O(128)와 Network(130)을 통하여 Server(110)로 전송한다(1단계). 물론 이때의 디바이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은 도 3과 같은 구성으로 전송된다.
상기 1단계에서 메세지를 전송받은 Server(110)는 서비스 로직(Service Logic;116)에서 해당 디바이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 로직(logic)이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하여 Profile Manager(112)로 전송하면 Profile Manager(112)는 상기 전송된 디바이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Device Profile List(114)에 등록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해당 홈네트워크의 각 디바이스 및 서비스 프로파일을 등록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등록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플리케이션이나 Server(110)의 Service Logic(116)에 의하여 소정 서비스가 요청되면 Profile Manager(112)는 Device Profile List(114)에서 해당 서비스가 유효한지를 탐색한다(1단계). 상기 1단계에서 해당 서비스가 유효한 것으로 탐색되면 상기 서비스 내용에 맞는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전송 메세지 형태로 Device(120)로 전송한다(2단계).
Device(120)의 Controller(122)는 전송받은 상기 전송 메세지를 상기 디바이스와 서비스의 프로파일로 변환하고 Device Profile(124)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프 로파일과 비교하여 검증하고(3단계) 검증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Device(120)를 구동함과 동시에 해당 서비스에 대한 Ack를 Server(110)로 전송하도록 동작한다(5단계).
상기와 같은 소정 서비스 처리 과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소정 서비스를 요청하여 처리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어플리케이션이나 Server(110)의 Service Logic(116)에 의하여 소정 서비스가 요청되면(S310) Profile Manager(112)는 Device Profile List(114)에서 해당 서비스가 유효한지를 탐색한다(S312). 물론 이때는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Service Logic(116)에서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도 있다. 즉, DVD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 서비스 환경을 설정한 경우는 DVD 시청에 필요한 해당 디바이스 즉, DVD, TV, 커텐, 조명 장치들을 제어할 수 있도록 Device Profile Description을 구성하여 해당 서비스를 요청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DVD를 시청하기 위한 첫 단계로 커텐을 닫게 하고 조명을 DVD 시청에 필요한 적당한 밝기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TV를 온하도록 서비스를 요청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 Device Profile Description을 참조하여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Device가 검색되면(S314) Profile Manager(112)는 상기 Device Profile Description(200)으로 구성된 디바이스/서비스 프로파일을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도록 전송 메세지로 포멧화하여(S316) Net I/O(118)로 전송하면(S318) Net I/O(118)는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해당 디바이스(120)로 상기 전송 메세지를 전송한다(S320).
이때 전송되는 메세지의 포멧(Format)은 프로파일 형태로 전송된다. 상기 프로파일의 형태는 ascii, binary, XML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파일의 내용은 Client의 주소, 위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Client address의 경우 Client에서 사용된 네트웍(IP, PLC 등)의 address 표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해당하는 네트웍 기술의 address, 위치를 포함하여 서버에 전송하고 서버에서는 이를 프로파일 형태로 관리하고 추후 Client Device에 접근시에 프로파일 매니저를 통해 이 Device의 네트웍 Protocol, address를 획득하여 접근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 S314에서 해당 서비스를 진행할 디바이스가 탐색되지 않으면 해당 서비스를 무효로 처리하고 종료한다(S334).
Device(120)의 Net I/O(128)에서 상기 메세지를 수신하면(S322) Controller(122)는 상기 메세지를 전송받아(S324) 해당 서비스가 유효한지를 Device Profile(124)에서 확인하여(S326) 유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메세지를 처리하여(S328)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해당 Device를 구동한다(S330).
또한, 단계 S326에서 해당 메세지가 무효한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서비스 요청을 무효화하고 종료한다(S332).
바람직하게는 해당 서비스 실행 후 상기 메세지를 전송한 Server(110)에 서비스 실행 유무에 대한 Ack를 전송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DVD를 시청하기 위한 첫 단계로 커텐을 닫는 과정이 완료되면 지능형 서비스는 이후 동작인 조명을 조절하기 위하여 DVD 시청에 필요한 적당한 밝기로 서비스를 요청하고, 그 동작이 완료되면 다시 TV를 온하도록 서비스 를 요청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DVD를 시청하는데 필요한 주변 환경의 설정이 완료되면 마지막으로 DVD를 온하여 시청하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DVD시청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홈 Network에 소속되어 있는 Home Device들도 복합적인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를 이용하면 복잡한 Middleware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홈네트워크내의 여러 디바이스들을 효과적으로 간단하게 관리할 수 있다.

Claims (14)

  1. 다수의 피제어기기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피제어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정된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서버의 디바이스 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하여 동작하도록 제어되는 다수의 피제어기기로 구성된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환경센서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집안상황을 감시하여 각종 환경 데이터들을 축적하고 실시간으로 분석 및 진단하여 해당 피제어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여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구성하여 등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피제어기기들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이 등록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관리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각 프로파일의 생성, 수정, 삭제, 검색 기능 등을 처리하는 프로파일 매니저; 및
    상기 서버에서 정의한 메타 데이터 형식의 프로파일 구조와 실제 서비스와의 연결을 위한 메세지를 구성하고 상기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비스 로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디바이스 프로파일부;
    해당 피제어기기의 각 프로파일을 생성하여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부에 저장하고 해당 피제어기기의 동작이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이나 로직 요소로 구성된 제어기; 및
    서비스를 실행하는 내부 디바이스 로직이나 서비스를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동작되는 서비스 입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어기에 의하여 상기 서비스 입출력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부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 리스트부에 해당 피제어기기들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의 프로파일을 등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로직부가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의한 메세지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기는 상기 디바이스 프로파일부로부터 해당 피제어기기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서비스 입출력부를 통하여 해당 피제어기기가 상기 서비스 내용대로 수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8. 다수의 피제어기기로 구성된 서비스 클라이언트와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를 제어하기 위한 서버로 구성된 홈네트워크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피제어기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
    상기 서버에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른 전송된 메세지에 따라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가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제어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환경센서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집안상황을 감시하여 각종 환경 데이터들을 축적하고 실시간으로 분석 및 진단하여 해당 피제어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하여 지능형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구성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을 상기 서버에 등록하는 등록단계는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피제어기기의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네트웍을 통하여 전송될 수 있는 전송 메세지로 변환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전송 메세지를 수신한 상기 서버는 해당 메세지를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변환하여 등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제어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단계는
    상기 서버에 등록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전송 메세지를 작성하는 단계;
    상기 전송 메세지를 네트웍을 통하여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전송된 메세지를 이용하여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에 따라 해당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제어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생성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들을 메모리에 저장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제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클라이언트는
    상기 서버에서 전송된 상기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디바이스 및/또는 서비스 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해당 피제어기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제어방법.
  14.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피제어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서버로 해당 서비스의 실행유무를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홈네트워크의 프레임워크 제어방법.
KR1020050014599A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KR100636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99A KR100636784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EP06003177A EP1693990B1 (en) 2005-02-22 2006-02-16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JP2006044203A JP4663547B2 (ja) 2005-02-22 2006-02-21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サービスフレームワーク
CN200910126490.9A CN101510885B (zh) 2005-02-22 2006-02-22 家庭网络的服务器和设备及其控制方法
CNA2006100576558A CN1825825A (zh) 2005-02-22 2006-02-22 用于家庭网络的业务框架
US11/358,003 US8396918B2 (en) 2005-02-22 2006-02-22 Service framework for a home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599A KR100636784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107A true KR20060094107A (ko) 2006-08-29
KR100636784B1 KR100636784B1 (ko) 2006-10-20

Family

ID=36000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599A KR100636784B1 (ko) 2005-02-22 2005-02-22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96918B2 (ko)
EP (1) EP1693990B1 (ko)
JP (1) JP4663547B2 (ko)
KR (1) KR100636784B1 (ko)
CN (2) CN101510885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068A1 (en) * 2006-10-31 2008-05-08 Samsung Electronics Co, .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uplicate saving of resource between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s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KR20220045391A (ko) 2020-10-05 2022-04-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네트워크에서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 및 이의 운영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8336B2 (ja) * 2002-12-12 2009-02-04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装置および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N101304350B (zh) * 2007-05-11 2013-02-13 华为技术有限公司 访问家庭网络设备的方法、系统和家庭网络接入设备
US8769525B2 (en) * 2011-01-31 2014-07-01 Digi International Inc. Remote firmware upgrade device mapping
US20130329140A1 (en) * 2012-06-06 2013-12-12 Silverberg Line Canada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multimedia activities on multiple output devices
CN105743987B (zh) * 2016-03-30 2020-09-25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多媒体数据处理方法、系统及电子设备
KR102045556B1 (ko) 2018-02-28 2019-11-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시스템에서 네트워크 서비스에 기초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86548B2 (ja) * 1997-01-10 2004-11-10 シャープ株式会社 通信方法、通信システム、通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で読取可能な記録媒体および通信機器
US6175860B1 (en) * 1997-11-26 2001-01-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automatic multi-rate wireless/wired computer network
US6349352B1 (en) * 1998-01-06 2002-02-19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video network with both generic and parameterized device control
US6434447B1 (en) * 1998-10-02 2002-08-1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ntrol property is mapped modally compatible GUI element
US6363434B1 (en) * 1999-03-30 2002-03-26 Sony Corporation Of Japan Method of managing resources within a network of consumer electronic devices
US6542754B1 (en) * 1999-05-12 2003-04-01 Cisco Systems, Inc. Synchronizing clock signals in wireless networks
US6910068B2 (en) * 1999-06-11 2005-06-21 Microsoft Corporation XML-based template language for devices and services
JP2001060972A (ja) * 1999-08-19 2001-03-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ネットワーク接続装置
US20020086706A1 (en) * 2000-11-15 2002-07-04 Ming-Feng Chen Mobile device server
US20030054810A1 (en) * 2000-11-15 2003-03-20 Chen Yih-Farn Robin Enterprise mobile server platform
US20020177453A1 (en) * 2000-11-15 2002-11-28 Ming-Feng Chen Mobile device server
WO2002052798A2 (en) * 2000-12-22 2002-07-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Wireless router system and method
US6968334B2 (en) * 2001-05-15 2005-11-22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business process to maintain privacy in distributed recommendation systems
US7340438B2 (en) * 2001-05-21 2008-03-04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nd enforcing user privacy
JP2002354556A (ja) * 2001-05-25 2002-12-06 Tomoo Sumi 制御装置への被制御装置の登録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7002995B2 (en) * 2001-06-14 2006-02-21 At&T Corp. Broadband network with enterpris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for residential and business environment
US20030004934A1 (en) * 2001-06-29 2003-01-02 Richard Qian Creating and managing portable user preferences for personalizion of media consumption from device to device
GB0129174D0 (en) 2001-12-06 2002-01-23 Koninl Philips Electronics Nv Havi-upnp bridging
US20040204073A1 (en) * 2002-05-15 2004-10-14 Motorola, Inc. Network technology augmented user device framework
JP2004007297A (ja) * 2002-06-03 2004-01-08 Hiroshi Sato 自動制御装置及び自動制御方法及び自動制御システム、並びに端末。
US6792323B2 (en) * 2002-06-27 2004-09-14 Openpeak Inc.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controlled residential or non-residential environments
DE60207243T2 (de) 2002-09-02 2006-07-27 Sony Deutschland Gmbh Netzanpassungsgerät zur Steuerung von Audio/Video-Geräten in einem lokalen Netz
CN1181651C (zh) 2002-09-24 2004-12-22 联想(北京)有限公司 家庭网络中终端设备的自动匹配方法
KR100493883B1 (ko) 2003-01-02 2005-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애플리케이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050015772A1 (en) * 2003-07-16 2005-01-20 Saare John E. Method and system for device specific application optimization via a portal server
US20060072525A1 (en) * 2004-09-23 2006-04-06 Jason Hillyard Method and system for role management for complex bluetooth® devices
EP1703712B1 (en) * 2005-03-08 2008-01-23 Alcatel Lucent Method and server for a push-to-talk service
US7991764B2 (en) * 2005-07-22 2011-08-02 Yogesh Chunilal Rathod Method and system for communication, publishing, searching, sharing and dynamically providing a journal feed
US8131838B2 (en) * 2006-05-31 2012-03-06 Sap Ag Modular monitor service for smart item monitoring
WO2008045370A2 (en) * 2006-10-06 2008-04-17 Paragon Wireless, Inc.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a dual mode mobile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4068A1 (en) * 2006-10-31 2008-05-08 Samsung Electronics Co, .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uplicate saving of resource between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s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US7979392B2 (en) 2006-10-31 2011-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duplicate saving of resource between universal plug and play devices providing content directory service
KR20220045391A (ko) 2020-10-05 2022-04-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통신 네트워크에서 센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레임 워크 및 이의 운영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236348A (ja) 2006-09-07
CN1825825A (zh) 2006-08-30
CN101510885A (zh) 2009-08-19
EP1693990A1 (en) 2006-08-23
EP1693990B1 (en) 2012-11-14
CN101510885B (zh) 2016-01-20
US20060190940A1 (en) 2006-08-24
KR100636784B1 (ko) 2006-10-20
US8396918B2 (en) 2013-03-12
JP4663547B2 (ja) 201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784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KR100717166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JP4721600B2 (ja) ブリッジングする多数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ソフトウェアアーキテクチャ
US2008001939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ome control network
EP1851596B1 (en) Home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control in a networked environment
KR100637080B1 (ko) 홈네트워크의 서비스 프레임워크
ES2482111T3 (es) Sistema de puerta de enlace residencial para servicio de red doméstica
US9137292B2 (en) Remote management of DLNA system
KR100261112B1 (ko) 소정의 프로토콜을 지원하지않는 디바이스의 홈 네트워크 연결시에 디바이스 페이지 생성방법
EP2273330A1 (en) Home appliance control system and methods in a networked environment
WO2001071489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web browser access and control of devices on customer premise gateways
KR20030073544A (ko) 네트워크를 통한 기기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JP2004505360A (ja) Uiベースの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ブリッジング
KR100498284B1 (ko) UPnP 기반 네트워크의 동기화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29700A1 (en) Bridging a local bus with a data network
De Lucena et al. A home automation proposal built on the Ginga digital TV middleware and the OSGi framework
KR100952280B1 (ko) 댁내에 설치되는 주거 게이트웨이의 재부팅을 원격으로제어하는 방법
KR20050121133A (ko) 댁내 디바이스에 의한 애완동물 보호관리방법
Meliones et al. Adaptive Network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