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4073A -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4073A
KR20060094073A KR1020060074838A KR20060074838A KR20060094073A KR 20060094073 A KR20060094073 A KR 20060094073A KR 1020060074838 A KR1020060074838 A KR 1020060074838A KR 20060074838 A KR20060074838 A KR 20060074838A KR 20060094073 A KR20060094073 A KR 20060094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gloves
air
mounting
discharge rubber
clamping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9423B1 (ko
Inventor
김용규
Original Assignee
김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규 filed Critical 김용규
Priority to KR102006007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423B1/ko
Publication of KR20060094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4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01M3/2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vibr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3/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 G01B13/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uid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27Details with respect to the testing of elastic elements, e.g. gloves, condo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 G01N3/1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generated by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 G01N3/12Pressure testing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22Environment of the test
    • G01N2203/023Press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2Details not specific for a particular testing method
    • G01N2203/06Indicating or recording means; Sens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방전고무장갑의 내부 압력 변화의 유무에 따라 양불판정을 함으로써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를 저가로 공급 가능하며, 시험방법이 간편하여 별도의 전문인력의 고용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시험과정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어 방전고무장갑 시험장치로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제2분기호스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받침대와 볼트로서 체결되는 베이스의 끝단부에는 내향절곡부가 형성된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장착외부링과, 상기 수직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상기 장착외부링과 함께 방전고무장갑을 고정 밀폐시키는 클램핑튜브가 감싸도록 설치된 장착내부링과, 상기 장착내부링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받침대와 볼트로서 고정 체결되어 상기 클램핑튜브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클램핑튜브 및 유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분기호스를 통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로 이루어진 장갑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의 타측에는 제2분기호스를 통해 클램핑튜브와 유로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와 컴프레셔 사이에는 상 기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를 상기 장갑장착부에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분기호스를 포함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에는 상기 컴프레셔와 에어공급 및 해제부를 제어하며 상기 장갑장착부에 장착된 방전고무장갑의 양불판정을 결정하는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고압선로, 활선, 안전장구, 방전고무장갑, 공기, 에어, 압력, 열화현상

Description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Apparatus for testing anti-electric rubber gloves for live wire working of high voltage cable}
도 1은 종래 비파괴절연진단장치를 이용한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내전압시험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시험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있어 장갑장착부의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있어 장갑장착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있어 제어장치의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있어 자동모드시 동작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받침대 3 : 베이스 4 : 수직부
5 : 내향절곡부 6 : 장착외부링 7 : 장착내부링
8 : 클램핑튜브 9 : 제1공간부 10 : 제2공간부
11 : 장착용공기주입구 12 : 가압부재 13 : 유로
14 : 팽창용공기주입구 20 : 장갑장착부 30 : 컴프레셔
40 : 제어장치 41 : 컨트롤부 42 : 디스플레이부
43 : 양불판정부 44 : 압력표시부 45 : 조작부
46 : 모드선택부 47 : 밸브개폐부 48 : 압력조절부
49a, 49b : 제1, 제2압력감지센서 50 : 방전고무장갑
60 : 에어공급 및 해제부 61~64 :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
71 : 메인호스 72, 73 : 제1분기호스 74, 75 : 제2분기호스
본 발명은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방전고무장갑의 내부 압력 변화의 유무에 따라 양불판정을 함으로써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를 저가로 공급 가능하며, 시험방법이 간편하여 별도의 전문인력의 고용이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시험과정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어 방전고무장갑 시험장치로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이용의 고도화 및 다양화로 전기의 의도존가 높아지면서 한 순간의 정전도 용납되지 않으며, 산업사회 및 정보화 사회에서 없어서 않될 에너지원으로 이러한 전기공급에 있어 정전을 일으키는 요인은 사고로 인한 정전과 작업 정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전사고의 복구 또는 사고예방을 위한 작업이나 수요증가에 따른 시설 확충 작업이 끊임없이 진행되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배전선로에서의 모든 작업이 무정전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배전선로 활선작업의 경우 활선작업 초창기에는 핫 스틱(hot Stick)을 를 이용한 간접활선공법이 주를 이루어 작업자가 직접 활선을 만지는 경우가 거의없었으나, 공법의 발달과 작업효율이 높고 경제적인 직접 활선공법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직접 활선작업은 각종 방호장구를 활용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 작업을 이끌어 내고 있는 반면, 안전장구의 높은 신뢰도가 요구되는 것이다.
상기의 안전장구 중에서도 작업자가 착용하고 직접 22,900볼트의 충전부와 접촉하고 있는 방전고무장갑의 철저한 유지관리가 요구되고 있고, 공사발주 부서인 한국전력공사에서는 무정전배전공사 시공업체 관리기준에 따라 활선장비와 활선장구 불량으로 인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하여 업체에게 장비취급 요령을 준수하도록 하여 일상 점검을 통해 항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정기점검 활선장비와 활선장구의 시험은 특정 시험대행업체를 선정하여 매년 1회 이상 정기적인 시험검사를 받도록 제도화하여 부적절한 제품을 가려내고 폐기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의 방전고무장갑은 직접 활선작업시 가장 중요시 되고 가장 크게 의존하 는 것으로 경년열화로 인한 성능 저하와 작업의 성격상 예리한 물체와의 접촉으로 손상이 많은데 비해 육안으로 식별 가능한 손상 외에는 가려낼 수가 없다.
이와 같이 매년 1회 씩 실시되는 내전압 시험과정에서 가장 많은 부적합 판정을 받는 것은 고무장갑과 고무브랑켓트이며, 이들 중 고무브랑켓트는 방호가 주된 목적이지만 방전고무장갑의 경우 작업자가 이것에 의존해서 22,900볼트의 활선부위와 직접 접촉하게 되므로 불량품을 모르고 사용 할 경우 심각한 감전사고의 위험에 노출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1년을 주기로 내전압시험을 통해서 적합하지 않는 제품을 가려내기 때문에 시험 직전까지는 불안전한 상태의 보호장구로 작업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1은 종래 입력전압 AC 110~220V, 출력전압 및 전류 AC 100,000V, 100mA의 비파괴절연진단장치를 이용한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내전압시험장치의 개요도로서, 방전고무장갑 내부의 상부 7cm까지 물을 넣은 다음, 물탱크에 담그고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미국규격협회(ANSI)에서 지정하는 30,000볼트를 3분간 인가하여 시험전압에 견디는지를 측정하게 된다.
즉, 불량품들은 육안으로 양호하게 보이는 것도 시험전압을 서서히 증가시켜 나가면 거의 5,000~20,000V 사이에서 절연파괴가 되는데, 그 원인은 갱년 열화현상과 작업과정에서 예리한 물체와의 접촉과정에서 손상을 입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부적합품은 시공업체의 일상점검에서는 거의 식별되지 못하고 매년 1 회씩 실시되는 시험과정에서도 육안으로는 식별되지 않고 내전압 시험을 통해서 만 가려지고 있으므로 현장의 작업자들은 수개월~1년간 불량한 상태의 방전고무장갑을 착용하는 경우가 생긴다.
이러한 비파괴절연진단장치를 이용한 내전압 시험기를 업체 마다 보유하게 하여 수시로 시험하게 하는 방법은 장비가 고가일 뿐만 아니라, 30,000볼트의 고전압을 사용함에 따라 운영자의 안전에 매우 위협적이므로 조작자의 안전을 위하여 장비를 취급하는 별도의 기술인력(국가기술 자격증보유)을 보유하여야 하므로 사실상 현실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는 가격은 저렴하여야 하고, 시험방법이 간편해야 하며, 시험과정에서 조작자의 위험성이 없어야 하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에어 공급에 의해 시험 대상의 방전고무장갑을 고정 및 밀폐시키는 장갑장착부와, 이 장갑장착부와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공급 및 해제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와,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를 제어하여 시험 대상의 방전고무장갑을 양불 판정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장갑장착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로 구성된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시험장치를 제공하여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방전고무장갑의 내부 압력 변화의 유무에 따라 양불판정을 함으로써 저가로 공급이 가능하며, 시험방법이 간편함에 따라 별도의 전문인력이 필요 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험과정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어 방전고무장갑 시험 장비로서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제2분기호스가 유입되는 통공이 형성되고 받침대와 볼트로서 체결되는 베이스의 끝단부에는 내향절곡부가 형성된 수직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장착외부링과, 상기 수직부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상기 장착외부링과 함께 방전고무장갑을 고정 밀폐시키는 클램핑튜브가 감싸도록 설치된 장착내부링과, 상기 장착내부링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유로가 형성되고 받침대와 볼트로서 고정 체결되어 상기 클램핑튜브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클램핑튜브 및 유로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분기호스를 통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로 이루어진 장갑장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의 타측에는 제2분기호스를 통해 클램핑튜브와 유로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와 컴프레셔 사이에는 상기 컴프레셔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를 상기 장갑장착부에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분기호스를 포함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에는 상기 컴프레셔와 에어공급 및 해제부를 제어하며 상기 장갑장착부에 장착된 방전고무장갑의 양불판정을 결정하는 제어장치가 연결되는 것에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를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에 있어 장갑장착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에 있어 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크게는 방전고무장갑(50)이 장착 및 고정되어 측정이 이루어지는 장갑장착부(20)와, 상기 장갑장착부(20)에 공기를 유입시키는 컴프레셔(30)와, 상기 장갑장착부(20)에 장착된 방전고무장갑(50)의 양불판정을 결정하는 제어장치(40)와, 상기 제어장치(40)에 의해 제어되며 컴프레셔(30)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를 장갑장착부(20)에 에어를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유로를 형성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60)로 이루어진다.
상기 장갑장착부(20)는 바닥면 중앙부에 통공(3a)이 형성되며 소정의 직경을 갖는 베이스(3)와, 이 베이스(3)의 끝단부에는 상측이 원의 중심 방향으로 경사진 내향절곡부(5)가 형성된 수직부(4)가 설치된 장착외부링(6)이 구비된다.
상기 장착외부링(6)의 베이스(3) 상측에는 수직부(4) 보다 직경이 적은 원통형의 장착내부링(7)이 설치되고, 이 장착내부링(7)의 상하측과 외측면에는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장착내부링(7)과 함께 방전고무장갑(50)을 고정시키는 클램핑튜브(8)가 설치되며, 상기 장착외부링(6)의 수직부(4)와 클램핑튜브(8) 사이에는 방전고무장갑(50)의 손목부가 유입되는 제1공간부(9)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내부링(7) 상측에 설치된 클램핑튜브(8) 상부에는 상기 클램핑튜 브(8)를 가압 고정하며 방전고무장갑(50)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해 중앙부에 유로(13)가 형성된 가압부재(12)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내부링(7)과 가압부재(12) 사이에는 에어호스(11a)(14a)가 유입되는 제2공간부(10)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내부링(7)의 베이스(3) 하측에는 장갑장착부(20)가 안치 및 고정되고 중앙부에는 통공(1a)이 형성된 받침대(1)가 설치되며, 상기 제2분기호스(74)의 일측 끝단부에는 클램핑튜브(8)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장착용공기주입구(11)가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호스(75)의 일측 끝단부에는 유로(13)를 통해 방전고무장갑(50) 내부에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팽창용공기주입구(14)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장착외부링(6)의 베이스(3)와 받침대(1), 그리고 가압부재(12)와 받침대(1)는 볼트(4a)(5a)에 의해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2분기호스(74)(75)에는 제어장치(40)에 의해 장갑장착부(20)로 에어를 공급하고 압력을 해제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60)를 통해 컴프레셔(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어장치(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또는 수동모드를 선택하고, 수동모드 선택시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60)를 수동으로 제어하며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조작부(45)와, 압력을 표시하고 양불판정을 램프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2)와, 상기 조작부(45)의 조작신호에 의해 에어공급 및 해제부(60)를 제어함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42)에 정보를 전송하는 컨트롤부(41)로 이루어진다.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60)는 클램핑튜브(8)와 방전고무장갑(50)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30)의 메인호스(71)로부터 분기되는 제1분기호스(72)(73)를 통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1, 제2솔레노이드밸브(61)(62)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제2 솔레노이드밸브(61)(62)의 출력측으로부터 분기되는 제2분기호스(74)(75)의 일측 끝단부에는 클램핑튜브(8)와 방전고무장갑(50)으로 에어를 공급하는 제1, 팽창용공기주입구(11)(14)가 설치되고, 상기 제2분기호스(74)(75)의 타측에는 클램핑튜브(8)와 방전고무장갑(50)에 유입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3, 제4솔레노이드밸브(63)(64)가 설치되며, 상기 제2분기호스(74)(75)의 일측에는 압력에 비례한 전기적신호를 컨트롤부(41)에 전송하는 제1, 제2압력감지센서(49a)(49b)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45)는 자동 및 수동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자동버튼(46a), 수동버튼(46b)으로 이루어진 모드선택부(46)와, 수동 운전모드 선택시 에어공급 및 해제부(60)의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1~64)를 인위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 내지 제4개폐버튼(47a~47d)으로 이루어진 밸브개폐부(47)와,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에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 제2압력조절기(48a)(48b)로 이루어진 압력조절부(48)로 구성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2)는 컨트롤부(41)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멸되며 방전고무장갑(50)의 시험결과 정상 또는 불량 상태일 때 정등되는 제1, 제2표시등(43a)(43b)으로 이루어진 양불판정부(43)와,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에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을 표시하는 제1, 제2압력표시부(44a)(44b)로 이루어진 압력표시부(44)로 구성된다.
상기 컨트롤부(41)는 조작부(45)로부터 수신되는 구동명령에 의해 자동 또는 수동으로 시스템을 동작시키며 제1, 제2압력감지센서(49a)(49b)로부터 수신되는 정 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42)를 구동시키는 한편, 에어공급 및 해제부(60)의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1~64)의 개폐하도록 프로그램 내장되어 도 6과 같은 순서도에 의해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의 작용을 도 4a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에 있어 장갑장착부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간이 시험장치에 있어 자동모드시 동작순서도이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시험 대상의 방전고무장갑(50)의 팔목부분을 장착외부링(6)과 장착내부링(7) 사이에 형성된 제1공간부(9)에 유입시킨 후, 제어장치(4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면 컨트롤부(41)에서는 시스템을 초기화하여 조작부(45)로부터 구동명령을 수신하는 대기상태(단계 101)에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45)인 모드선택부(46)의 자동모드버튼(46a) 및 수동모드버튼(46b)을 조작하여 방전고무장갑(50)을 시험하게 되며, 컨트롤부(41)에서는 입력되는 동작모드에 따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는 동작모드 판별과정(L1)을 실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자동모드로 동작하여 방전고무장갑(50)을 시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사용자에 의해 자동모드버튼(46a)이 온(on)상태로 조작되면 컨트롤부(41)에서는 상기 동작모드 판별과정(L1)을 진행함으로써 자동모드로 판단(단계 102)하여 제1솔레노이드밸브(61)를 개방시키는 반면에, 나머지 제2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2~64)는 폐쇄상태로 유지(단계 105)하게 된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밸브(61)가 개방되면 컴프레셔(3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메인호스(71) 및 제1, 제2분기호스(72)(74)와 장착용공기주입구(11)를 통해 클램핑튜브(8)에 공급됨으로써 팽창되며, 상기 클램핑튜브(8)의 팽창으로 인해 방전고무장갑(50)의 팔목부를 장착외부링(6)의 수직부(4) 내벽에 밀착 고정되며, 이때 장착외부링(6) 상측 끝단부에 형성된 내향절곡부(5)에 의해 밀착 고정의 효과를 상승시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압력감지센서(49a)는 제2분기호스(74)의 압력 즉, 클램핑튜브(8)의 압력에 비례한 전기적 신호를 컨트롤부(41)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부(41)에서는 제1압력감지센서(49a)의 출력값을 읽어(단계 106)들여 제1압력표시부(44a)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클램핑튜브(8)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인지를 판단(단계 107)한다.
여기에서 상기 클램핑튜브(8)의 압력 설정은 제1압력조절기(48a)에 의해 설정되며, 0.15Kg/cm2 정도의 압력이 되도록 설정할 경우 방전고무장갑(50)에 공기가 유입되더라도 고정 및 밀폐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램핑튜브(8)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임이 판단되면 클램핑튜브(8)와 장착외부링(6)에 의해 방전고무장갑(50)이 충분히 밀착 고정된 상태임을 인지하여 제1솔레노이드밸브(61)를 폐쇄(단계 108)함에 따라 클램핑튜브(8)에 에어 공급을 중단하는 장갑고정과정(L2)을 수행한다.
상기 장갑고정과정(L2)이 완료되면 방전고무장갑(50) 내부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컨트롤부(41)에서는 제2솔레노이드밸브(62)를 개방하는 한편, 나머지 제1, 제3, 제4솔레노이드밸브(61)(63)(64)는 폐쇄(단계 109)함에 따라 컴프레셔(30)로부터 공급되는 에어가 제1, 제2분기호스(73)(75)와 팽창용공기주입구(14)를 통해 방전고무장갑(50) 내부로 공급되고, 상기 공급되는 에어에 의해 방전고무장갑(50)이 팽창되기 시작한다.
이때, 상기 방전고무장갑(50)은 장착외부링(6)과 클램핑튜브(8)에 의해 견고히 밀착될 뿐만 아니라, 밀폐효과가 뛰어나게 되므로 방전고무장갑(50)에 압력이 증가하여도 에어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압력감지센서(49b)는 제2분기호스(75)의 압력 즉, 방전고무장갑(50)의 압력에 비례한 전기적 신호를 컨트롤부(41)로 전송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부(41)에서는 제2압력감지센서(49b)의 출력값을 읽어(단계 110)들여 제2압력표시부(44b)에 디스플레이함과 동시에 방전고무장갑(50)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인지를 판단(단계 111)한다.
이때, 상기 방전고무장갑(50)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임이 판단되면 방전고무장갑(50)이 충분히 팽창된 상태임을 인지하여 방전고무장갑(50)에 에어를 공급하는 제2솔레노이드밸브(62)를 폐쇄(단계 111)하는 장갑에어 공급과정(L3)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방전고무장갑(50)의 압력 설정은 제2압력조절기(48b)에 의해 설정되며, 0.22Kg/cm2 정도의 압력이 되도록 설정할 경우 방전고무장갑(50)의 시험규격을 만족할 수 있으며, 특히 0.22Kg/cm2 이하 또는 이상으로 설정할 경우 방전고무장갑(50)의 시험규격을 만족할 수 없게 되므로 0.22Kg/cm2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장갑에어 공급과정(L3)이 완료되면 제2압력감지센서(49b)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읽어들여 방전고무장갑(5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소정시간 동안 유지되는지를 판단(단계 113)하게 되며, 이러한 단계에서 방전고무장갑(5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소정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1표시등(43a)을 점등(단계 115) 시켜 사용상 안전한 양품임을 알리게 되고, 이와 반대로 방전고무장갑(5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상 소정시간 동안 유지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될 경우 제2표시등(43b)을 점등(단계 114)시켜 사용할 수 없는 마모된 불량제품임을 알리는 양불판정과정(L4)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10초이며, 0.22Kg/cm2 압력하에서 10초 동안 압력변화가 없어야 정상 제품임을 알리게 된다. 그 이유로서는 부분적으로 열화 및 마모되었을 경우 부분적으로 내압이 서로 다르기 때문으로 10초 동안의 대기시간은 필수적이다.
상기 양불판정과정(L4)이 완료되면 제4솔레노이드밸브(64)를 개방하는 한편, 나머지 제1 내지 제3솔레노이드밸브(61~63)는 폐쇄(단계 116)함에 따라 방전고무장 갑(50)에 유입된 에어를 방출하여 압력을 해제하게 되며, 이때 제2압력감지센서(49b)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읽어들여 방전고무장갑(5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는지를 판단(단계 117)하는 장갑압력 해제과정(L5)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장갑압력 해제과정(L5)에서 방전고무장갑(50)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단계 117)될 경우 제3솔레노이드밸브(63)를 개방하는 한편, 나머지 제1, 제2, 제4솔레노이드밸브(61)(62)(64)는 폐쇄(단계 118)함에 따라 클램핑튜브(8)에 유입된 에어를 방출하여 압력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컨트롤부(41)에서는 제1압력감지센서(49a)의 출력을 지속적으로 읽어들여 클램핑튜브(8)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는지를 판단(단계 119)하게 되며, 상기 단계에서 클램핑튜브(8) 내부의 압력이 일정치 이하로 내려가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1~64)를 모두 오프(단계 120)시켜 유로를 차단하는 튜브압력 해제과정(L6)을 수행함으로써 일련의 시험과정을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튜브압력 해제과정(L6)이 완료되면 클램핑튜브(8)에 유입된 에어가 완전히 배출된 상태가 되므로 클램핑튜브(8)와 장착외부링(6) 사이에 제1공간부(9)가 확보되어 방전고무장갑(50)을 인출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 장갑압력 해제과정(L5)과 튜브압력 해제과정(L6)에서 반드시 방전고무장갑(50)의 압력을 먼저 해제하여야 하며, 그 이유로서는 클램핑튜브(8)의 압력을 먼저 해제할 경우 방전고무장갑(50)의 내부 압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튀어오르게 되어 작업자에게 위험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방전고무장갑(50)의 압력이 먼저 해제하도록 컨트롤부(41)에서 제4, 제3솔레노이드밸브(63)(64)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도록 제어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수행함으로서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50)의 시험을 짧은 시간에 간편하고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수동모드버튼(46b)에 의해 방전고무장갑(50) 시험과정을 수동으로 진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동모드의 경우 순차적인 진행과정에 따라 조작부(45)인 밸브개폐부(47)의 제1 내지 제4개폐버튼(47a~47d)의 인위적으로 조작하여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1~64)를 개폐함으로써 시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일정한 압력이 되도록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방전고무장갑의 내부 압력 변화의 유무에 따라 양불판정을 함으로써 저가로 공급이 가능하며, 시험방법이 간편함에 따라 별도의 전문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험과정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에어 공급에 의해 시험 대상의 방전고무장갑을 고정 및 밀폐시키는 장갑장착부와, 이 장갑장착부와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에 의해 에어를 공급 및 해제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와,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를 제어하여 시험 대상의 방전고무장갑을 양불 판정하는 제어장치와, 장갑장착부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로 구성된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 시험장치를 제공하여 방전고무장갑 내부에 에어를 일정한 압력 이 되도록 공급한 후, 소정시간 동안 방전고무장갑의 내부 압력 변화의 유무에 따라 양불판정을 함으로써 저가로 공급이 가능하며, 시험방법이 간편함에 따라 별도의 전문인력이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험과정의 위험성이 전혀 없는 조건을 모두 만족하게 되어 방전고무장갑 시험 장비로서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50)의 시험장치에 있어서,
    중앙부에 제2분기호스(74)(75)가 유입되는 통공(3a)이 형성되고 받침대(1)와 볼트(4a)로서 체결되는 베이스(3)의 끝단부에는 내향절곡부(5)가 형성된 수직부(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 장착외부링(6)과, 상기 수직부(4)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되며 공기 주입시 팽창되어 상기 장착외부링(6)과 함께 방전고무장갑(50)을 고정 밀폐시키는 클램핑튜브(8)가 감싸도록 설치된 장착내부링(7)과, 상기 장착내부링(7) 상부에 설치되며 중앙부에 유로(13)가 형성되고 받침대(1)와 볼트(5a)로서 고정 체결되어 상기 클램핑튜브(8)를 가압 고정하는 가압부재(12)와, 상기 클램핑튜브(8) 및 유로(13)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분기호스(74)(75)를 통해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하는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11)(14)로 이루어진 장갑장착부(20)가 구비되고,
    상기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11)(14)의 타측에는 제2분기호스(74)(75)를 통해 클램핑튜브(8)와 유로(13)에 에어를 공급하는 컴프레셔(30)가 설치되고,
    상기 장착 및 팽창용공기주입구(11)(14)와 컴프레셔(30) 사이에는 상기 컴프레셔(30)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를 상기 장갑장착부(20)에 공급 및 배출하기 위해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제2분기호스(74)(75)를 포함하는 에어공급 및 해제부(60)가 설치되고,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60)에는 상기 컴프레셔(30)와 에어공급 및 해제 부(60)를 제어하며 상기 장갑장착부(20)에 장착된 방전고무장갑(50)의 양불판정을 결정하는 제어장치(4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60)는,
    상기 컴프레셔(30)의 메인호스(71)로부터 분기되는 제1분기호스(72)(73)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에 에어를 공급하기 위해 유로를 개폐시키는 제1, 제2솔레노이드밸브(61)(62)와,
    상기 제1분기호스(72)(73)로부터 재차 분기되는 제2분기호스(74)(7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에 공급된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제3, 제4솔레노이드밸브(63)(64)와,
    상기 제2분기호스(74)(75)의 타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의 에어 압력에 비례한 전기적 신호를 상기 제어장치(40)로 전송하는 제1, 제2압력감지센서(49a)(49b)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는,
    자동 및 수동 운전모드를 설정하는 자동/수동버튼(46a)(46b)으로 이루어진 모드선택부(46), 상기 수동버튼(46b) 선택시 상기 에어공급 및 해제부(60)의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1~64)를 인위적으로 개폐시키는 제1 내지 제4개폐버 튼(47a~47d)으로 이루어진 밸브개폐부(47), 상기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에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하는 제1, 제2압력조절기(48a)(48b)로 이루어진 압력조절부(48)로 구성된 조작부(45)와,
    상기 방전고무장갑(50)의 시험결과 정상 또는 불량 상태일 때 점등되는 제1, 제2표시등(43a)(43b)으로 이루어진 양불판정부(43)와,
    상기 클램핑튜브(8) 및 방전고무장갑(50)에 유입되는 에어의 압력을 표시하는 제1, 제2압력표시부(44a)(44b)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부(42)와,
    상기 조작부(45)로부터 수신되는 구동명령에 의해 자동/수동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제1, 제2압력감지센서(49a)(49b)로부터 수신되는 정보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2)를 구동하며, 상기 제1 내지 제4솔레노이드밸브(61~64)의 개폐 및 컴프레셔(3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도록 프로그램이 내장된 컨트롤부(41)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선로의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KR1020060074838A 2006-08-08 2006-08-08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KR1006394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38A KR100639423B1 (ko) 2006-08-08 2006-08-08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74838A KR100639423B1 (ko) 2006-08-08 2006-08-08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4073A true KR20060094073A (ko) 2006-08-28
KR100639423B1 KR100639423B1 (ko) 2006-10-27

Family

ID=37601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4838A KR100639423B1 (ko) 2006-08-08 2006-08-08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42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683A (zh) * 2013-10-23 2014-02-05 国家电网公司 高压带电作业安全报警手套
CN108956019A (zh) * 2018-06-07 2018-12-07 新乡市华西卫材有限公司 一种方便放取手套的检测装置
CN112213055A (zh) * 2020-11-03 2021-01-12 青岛慧智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套气密性检测设备及检测方法
KR20210150877A (ko) * 2020-06-04 2021-12-13 (주)우성하이백 각형 이차전지 케이스의 누설감지장치
CN115575855A (zh) * 2022-10-21 2023-01-0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电网安全器具预防性试验方法
CN117907730A (zh) * 2024-03-19 2024-04-19 昆明市官渡区职业高级中学 新能源汽车维修防触电监控系统及方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49683A (zh) * 2013-10-23 2014-02-05 国家电网公司 高压带电作业安全报警手套
CN108956019A (zh) * 2018-06-07 2018-12-07 新乡市华西卫材有限公司 一种方便放取手套的检测装置
KR20210150877A (ko) * 2020-06-04 2021-12-13 (주)우성하이백 각형 이차전지 케이스의 누설감지장치
CN112213055A (zh) * 2020-11-03 2021-01-12 青岛慧智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套气密性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2213055B (zh) * 2020-11-03 2021-08-24 青岛慧智兰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手套气密性检测设备及检测方法
CN115575855A (zh) * 2022-10-21 2023-01-06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电网安全器具预防性试验方法
CN115575855B (zh) * 2022-10-21 2023-09-19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来安县供电公司 电网安全器具预防性试验方法
CN117907730A (zh) * 2024-03-19 2024-04-19 昆明市官渡区职业高级中学 新能源汽车维修防触电监控系统及方法
CN117907730B (zh) * 2024-03-19 2024-05-17 昆明市官渡区职业高级中学 新能源汽车维修防触电监控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423B1 (ko) 2006-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9423B1 (ko) 고압선로 활선작업용 방전고무장갑의 시험장치
EP0936417B1 (en) Refrigerant leakage warning device
CN101246196A (zh) 双节氧化锌避雷器绝缘状况测试方法
EP1196751A1 (en) Leak testing device
CN204128762U (zh) 一种阀门检验台
CN103808472A (zh) 一种水泵半成品自动潜水式试漏机
CN203758702U (zh) 一种水泵半成品自动潜水式试漏机
CN101655407A (zh) 采油井口设备自动试压装置及试压控制方法
CN108644988B (zh) 空调室外机检测系统
CN112857790A (zh) 一种压力释放阀高低温开启性能校验装置及校验方法
CN109230272A (zh) 一种皮带机液压张紧控制装置
CN109115484A (zh) 一种水表表前阀自动测试系统及方法
CN105651469A (zh) 比例阀自动泄漏测试方法
US272738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sting and cleaning pipe lines
CN102519682A (zh) Gps模块防水测试装置
CN108917243A (zh) 一种空调冷媒智能回收方法和系统
CN104699079A (zh) 温湿度控制器检测仪
CN210109270U (zh) 机车风压继电器检测设备
KR20050045490A (ko) 튜브의 누설시험 장비 및 이를 이용한 튜브의 누설시험 방법
CN109813359B (zh) 一种用于航空流量控制活门的试验器及其控制方法
CN210375549U (zh) 一种插入式蒸汽管道阀门内漏检测显示仪
CN211475485U (zh) 一种油侵式变压器枕式胶囊自动充气装置
CN216978682U (zh) 一种防爆性能水压测试机
CN102809468A (zh) 高炉冷却设备单体试压工装、组合及试压方法
CN102207419A (zh) 一种led路灯的防水测试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