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3474A - 고인돌형 화분 - Google Patents

고인돌형 화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3474A
KR20060093474A KR1020050014320A KR20050014320A KR20060093474A KR 20060093474 A KR20060093474 A KR 20060093474A KR 1020050014320 A KR1020050014320 A KR 1020050014320A KR 20050014320 A KR20050014320 A KR 20050014320A KR 20060093474 A KR20060093474 A KR 200600934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lmen
space
ceiling
pandol
flower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4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경환
Original Assignee
나경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경환 filed Critical 나경환
Priority to KR1020050014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3474A/ko
Publication of KR200600934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34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02Space saving incorporated in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돌(1)과 천장석(2)으로 이루어지는 고인돌에서,
천장석(2)의 테두리에 댐벽(3)을 형성하여 화분용 공간부(4)를 만들고,
공간부(4) 바닥에 물 배출공(5)을 뚫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돌형 화분이다.
화분,고인돌

Description

고인돌형 화분{Flowerpot of dolmen design}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판돌; 2;천장석 3;댐벽 4;공간부 5;물배출공 6;용기
본 발명은 고인돌형 화분에 관한 것으로, 고인돌 형상의 천장석에 화분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공간부를 형성한 고인돌형 화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분은 꽃을 심도록 하는 토양을 수용하는 공간과, 공간의 바닥에 물이 쉽게 빠질 수 있도록 하는 물배출공을 형성한다. 따라서 화분은 주로 일정한 형상의 용기 형태로 이루어지고, 필요시 받침대를 겸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구조는 일반적으로 거의 정형화된 형상을 이루는 것이어서, 관광상품으로는 경쟁력이 약하여 부적절하다.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인돌을 관광상품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인돌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원발명은 고인돌의 형태를 유지하도록 판돌로 천장석을 지지토록 하되, 천장석의 테두리를 댐벽으로 쌓아 공간부를 만들고, 바닥에는 물배출공을 형성하여 천장석의 공간이 화분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즉, 본 발명은 판돌과 천장석으로 이루어지는 고인돌에서, 천장석의 테두리에 댐벽을 형성하여 화분용 공간부를 만들고, 공간부 바닥에 물 배출공을 뚫은 고인돌형 화분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 는 그 단면도로, 판돌(1)과 천장석(2)으로 이루어지는 고인돌에서, 천장석(2)의 테두리에 댐벽(3)을 형성하여 화분용 공간부(4)를 만들고, 공간부(4) 바닥에 물 배출공(5)을 형성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 판돌(1)과 천장석(2)으로 이루어지는 고인돌 천장석(2)의 테두리에 댐벽(3)을 형성하여 화분용 공간부(4)를 만들고, 공간부(4) 바닥에 물 배출공(5)을 형성하며, 판돌(1)의 바닥면은 수생식물용 용기(6)의 내부 바닥면에 일체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원발명은 첫인상에 고인돌의 형상을 한 것임을 알 수 있어 고인돌이 나오는 관광지에서 고인돌 관광 상품으로 적합하다. 아울러 단순한 보 는 상품에서 벗어나 고인돌을 이루는 천장석(2)의 테두리에 댐벽(3)을 두고 댐벽(3) 내부가 화분용 공간부(4)를 이루어 분재 등으로 사용한다면, 고전적인 고인돌의 형상에 인체에 좋은 산소를 생성하는 화분 기능을 겸하므로 사용자의 구매 욕구를 충족시킨다.
이 경우 도 2 와 같이 판돌(1)의 바닥에 수생식물용 용기(6)를 일체로 성형한 경우, 위의 천장석(2) 부분에는 일반 화분으로, 아래의 판돌(1) 바닥에는 수생식물용 용기(6)(받침대겸 보조화분)를 이루어 수생식물을 심기도 하고, 필요시 물만을 넣어 가습기로도 사용할 수 있고, 이러한 형상을 도자기 등의 형태로 만든다면, 더욱 돌 같은 질감으로 인하여 고인돌의 친근감을 느낄 수 있다.
한편 도 3 과 같이 판돌(1)이 바닥면에 직접닫도록 할 경우, 판돌(1)은 화분의 받침대 역활을 할 수 있어 독특한 고인돌 형상의 화분 기능을 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단지 천장석(2)의 테두리에 댐벽(3)을 두는 구조의 변경만으로 세계에 유례를 찾을 수 없는 고인돌 형상을한 화분을 완성하여 관광상품의 아이템을 제공하게 되고,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은 단순한 고인돌의 형상을 기초로 천장석에 댐벽을 쌓아 만든 공간이 화분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여, 고인돌의 형상을 갖춘 화분으로, 구매하려는 자에게는 고인돌의 형상을 집에 가져다 놓고 싶도록 하는 관광상품으로 구매욕을 높일 수 있고, 구매자에게는 집에서 자연의 고인돌 기분을 줌과 동시에 화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가능토록 하여, 인체에 유익하고 필요한 물건으로 항상 인간과 같이 있도록 하는 관광상품으로 이용 가능토록 한다.
아울러 본원 발명은 고인돌의 기본 형상을 기초로 화분으로 사용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고인돌을 이루는 판돌의 바닥에 물을 담을 수 있는 용기를 결합한다면 수생식물이나 물을 담아 가습기능을 할 수 있어 구매자에게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웰빙형 관광상품으로서 기여하고 농가 수익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원발명을 이루는 재질을 도자기로 만든다면 더욱 현실감 있는 고인돌형 화분으로 기능하여, 더욱 더 관광상품으로서의 가치를 높여준다.

Claims (2)

  1. 판돌(1)과 천장석(2)으로 이루어지는 고인돌에서,
    천장석(2)의 테두리에 댐벽(3)을 형성하여 화분용 공간부(4)를 만들고,
    공간부(4) 바닥에 물 배출공(5)을 뚫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돌형 화분.
  2. 제 1 항에 있어서, 판돌(1)의 바닥에 수생식물용 용기(6)를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인돌형 화분.
KR1020050014320A 2005-02-22 2005-02-22 고인돌형 화분 KR200600934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20A KR20060093474A (ko) 2005-02-22 2005-02-22 고인돌형 화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4320A KR20060093474A (ko) 2005-02-22 2005-02-22 고인돌형 화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3474A true KR20060093474A (ko) 2006-08-25

Family

ID=3760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4320A KR20060093474A (ko) 2005-02-22 2005-02-22 고인돌형 화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347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58B1 (ko) * 2006-05-04 2008-01-02 신동진 고인돌을 응용한 괸돌 돌화분의 제작방법
US20210022300A1 (en) * 2016-04-18 2021-01-28 Classic Home & Garden, LLC Planter with elevated internal portion and water preservation featur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9258B1 (ko) * 2006-05-04 2008-01-02 신동진 고인돌을 응용한 괸돌 돌화분의 제작방법
US20210022300A1 (en) * 2016-04-18 2021-01-28 Classic Home & Garden, LLC Planter with elevated internal portion and water preservation featur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093474A (ko) 고인돌형 화분
KR200412714Y1 (ko) 돌출부 및 급수구가 형성된 이중 화분
KR20110023180A (ko) 조립식화분
KR200194752Y1 (ko) 도자기로 된 화분이 부설된 저금통
KR20120069857A (ko) 블럭화분을 이용하여 조립식으로 구성된 화분장식장
CN201025795Y (zh) 组合式花器
CN209983167U (zh) 一种用于室内种植的鲸鱼状陶瓷用具
JP3016406U (ja) 簡易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
KR200238295Y1 (ko) 만능화분
USD552945S1 (en) Plant support
JP3016405U (ja) 簡易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
JP2001057817A (ja) 植木鉢
JPH0317643Y2 (ko)
KR200344754Y1 (ko) 화분 구조
KR200293601Y1 (ko) 수지를 이용한 플로랄폼
JP3016407U (ja) 簡易フラワーアレンジメント
JP3055012U (ja) 植木鉢用カバー
KR100907689B1 (ko) 공중에 뜬 형상의 화분
JP3020493U (ja) プランター
JPH11289874A (ja) コンテナガーデン
JPH0453734Y2 (ko)
TWM590351U (zh) 自給水花盆
KR20040075677A (ko) 풍란재배 화병 및 그 제조방법
TWM365058U (en) Assembled flower pot for planting
JP3188750U (ja) 園芸容器、園芸容器の内部構造およびインナーポット付外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