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2707A - 이어폰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어폰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2707A
KR20060092707A KR1020050013786A KR20050013786A KR20060092707A KR 20060092707 A KR20060092707 A KR 20060092707A KR 1020050013786 A KR1020050013786 A KR 1020050013786A KR 20050013786 A KR20050013786 A KR 20050013786A KR 20060092707 A KR20060092707 A KR 20060092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plug
magnet
connector
j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3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3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2707A/ko
Publication of KR20060092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27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70Spinal positioners or stabilisers ; Bone stabilisers comprising fluid filler in an implant
    • A61B17/7001Screws or hooks combined with longitudinal elements which do not contact vertebrae
    • A61B17/7032Screws or hooks with U-shaped head or back through which longitudinal rods pas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이폰 플러그가 이어폰 잭에 체결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이어폰; 상기 이어폰과 와이어로 연결된 플러그 몸체, 적어도 1개의 플러그 단자 및 제 1 마그네트를 구비한 이어폰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 단자에 대응되고, 홀더와 적어도 1개의 커넥터와 제 2 마그네트를 구비한 이어폰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플러그 단자와 커넥터가 체결될 때,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커넥터는 동일한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어폰 플러그와 이어폰 잭을 자기력에 의해서 체결함으로써, 체결력을 강화시킨 효과가 있다.
이어폰 어셈블리, 이어폰 잭, 플러그, 마그네트, 커넥터

Description

이어폰 어셈블리{EARPHONE ASSEMBL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를 음향기기에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및 이어폰 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및 이어폰 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어폰 플러그 101: 와이어
102: 연결부 103: 몸체
107: 제 1 마그네트 108: 제 2 마그네트
111: 플러그 단자 130: 이어폰 잭
133: 커넥터 135: 홀더
본 발명은 이이폰 플러그가 이어폰 잭에 체결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폰 플러그와 이어폰 잭은 전자기기 분야중 음향 또는 통신장치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개인휴대단말기 및 휴대폰에 접속시켜 음향을 수신하기 위하여 또는 컴퓨터에서 오디오 및 비디오를 재생할 때, 음향을 듣기 위하여 이어폰 어셈블리(헤드폰을 포함하는 개념)를 사용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를 음향기기에 체결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향기기(50: 예를들어 CD 플레이어, MP3등)와 이어폰 어셈블리(10)가 체결되는 모습을 나타내었다.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10)는 크게 이어폰 플러그(20), 와이어(3), 이어폰(1) 및 이어폰 잭(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어폰 잭(30)은 상기 음향기기(50)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어서,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10)의 이어폰 플러그(20)를 체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음향기기(50)에서 음성 또는 음향 파일이 재생되면, 상기 이어폰 잭(30)을 통하여 재생신호가 상기 이어폰 플러그(20)에 전달된다. 그런 다음, 상기 이어폰 플러그(20)로 전송되는 재생 신호는 와이어(3)를 통하여 상기 이어폰(1)에서 증폭되어 소리로 복원되는 과정을 거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및 이어폰 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플러그(20)는 3단자로 구분되어 있는 플러그 단자(21)와, 상기 플러그 단자(21)를 지지하는 플러그 몸체(23)와, 상기 플러그 몸체(23)와 와이어(3)를 연결하는 연결부(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20)에 대응되는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잭(30)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음향기기에 고정되는 홀더(35)와, 상기 홀더(35) 내측에 음향기기의 회로들과 연결되어 있는 커넥터(3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33)는 상기 이어폰 잭(30)의 체결홀(36)을 따라 배치되어 있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20)의 플러그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어폰 어셈블리는 체결성이 좋지 않아 외부 충격이나, 진동에 쉽게 이어폰 플러그(20)와 잭(30)이 분리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상기 이어폰 플러그(20)와 잭(30)을 빈번히 체결 하다보면, 상기 이어폰 잭(30)의 커넥터(33) 마모로 인하여 체결력이 현저히 떨어지고, 이로 인하여 플러그 단자와 커넥터(33)가 분리된다.
본 발명은, 이어폰 어셈블리에 마그네트를 부착함으로써, 이어폰 플러그와 이어폰 잭이 용이하게 분리 및 이탈되지 않도록 한 이어폰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어셈블리는,
이어폰;
상기 이어폰과 와이어로 연결된 플러그 몸체, 적어도 1개의 플러그 단자 및 제 1 마그네트를 구비한 이어폰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 단자에 대응되고, 홀더와 적어도 1개의 커넥터와 제 2 마그네트를 구비한 이어폰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플러그 단자와 커넥터가 체결될 때,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고,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커넥터는 동일한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어폰 어셈블리에 마그네트를 부착함으로써, 이어폰 플러그와 이어폰 잭이 용이하게 분리 및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 플러그 및 이어폰 잭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플러그(100)는 플러그 몸체(103)와, 상기 플러그 몸체(103)와 체결되어 있는 플러그 단자(111)와, 상기 플러그 몸체(103)와 와이어(101)를 연결하는 연결부(102)와, 상기 와이어(101)의 일측에 배치된 이어폰(미도시)과, 상기 플러그 몸체(103)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마그네트(10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마그네트(107)는 상기 플러그 몸체(103)중 상기 플러그 단자(111) 가 체결되어 있는 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100)와 체결되는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잭(130)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는 홀더(135)와, 상기 홀더(135) 내측에 배치된 커넥터(133)와, 상기 홀더(135) 상에 배치된 제 2 마그네트(108)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마그네트(108)는 체결홀(106)이 형성되어 있는 상기 홀더(135)의 일측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홀더(135)에 형성된 체결홀(106)의 내측에는 플러그 단자(111)와 전기적 체결을 위한 커넥터(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플러그(100)와 이어폰 잭(130)은 다음과 같이 체결된다.
먼저, 상기 이어폰 플러그(100)의 플러그 단자(111)가 상기 이어폰 잭(130)의 체결홀(106)에 삽입되어, 내부에 설치된 커넥터(133)와 전기적으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플러그 단자(111)와 커넥터(133)가 체결되면, 상기 플러그 몸체(103)에 부착되어 있는 제 1 마그네트(107)와, 상기 홀더(135)에 부착되어 있는 제 2 마그네트(108)가 자기력에 의해서 체결된다.
즉, 상기 이어폰 플러그(100)와 이어폰 잭(130)은 상기 플러그 단자(111)와 상기 이어폰 잭(130)의 커넥터(133)가 1차적으로 체결된 다음, 상기 제 1 마그네트(107)와 제 2 마그네트(108)에 의해서 2차적으로 체결되어 체결력이 강화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 플러그(100)와 이어폰 잭(130)의 체결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마그네트에 의한 자력힘을 추가시켜, 상기 플러그 단자(111)와 커넥터(133)의 분리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플러그(200)는 플러그 몸체(203)와, 상기 플러그 몸체(203)와 체결되어 있는 제 1 플러그 단자(211a) 및 제 2 플러그 단자(211b)와, 상기 플러그 몸체(203)와 와이어(201)를 연결하는 연결부(202)와, 상기 와이어(201)의 일측에 배치된 이어폰(미도시)과, 상기 제 1 플러그 단자(211a) 및 제 2 플러그 단자(211b)가 체결되어 있는 상기 플러그 몸체(203) 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마그네트(207)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어폰 플러그(200)에 대응하는 상기 이어폰 어셈블리의 이어폰 잭(230)은 절연체로 구성되어 있는 홀더(235)와, 상기 홀더(235)에 배치된 제 1 커넥터(233a) 및 제 2 커넥터(233b)와, 상기 홀더(235)의 일측에 배치된 제 2 마그네트(208)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플러그 단자 및 커넥터가 두 개인 경우 또는 그 이상인 경우에도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마그네트에 의한 체결력 강화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이어폰 플러그(200)의 제 1 플러그 단자(211a) 및 제 2 플러그 단자(211b)는 상기 홀더(235)에 형성된 제 1 커넥터(233a) 및 제 2 커넥터(233b)에 1차적으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몸체(203)에 설치된 제 1 마그네트(207)와 홀더(235)에 설치된 제 2 마그네트(208)의 자기력에 의하여 2차적으로 체결력 된다.
상기와 같이 플러그 단자의 수가 여러개인 경우에도 플러그 단자가 고정되어 있는 플러그 몸체와 이와 대응하는 홀더 면에 각각 마그네트를 배치함으로써, 이어폰 플러그와 이어폰 잭의 체결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어폰 어셈블리에 마그네트를 부착함으로써, 이어폰 플러그와 이어폰 잭이 용이하게 분리 및 이탈되지 않도록 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3)

  1. 이어폰;
    상기 이어폰과 와이어로 연결된 플러그 몸체, 적어도 1개의 플러그 단자 및 제 1 마그네트를 구비한 이어폰 플러그; 및
    상기 플러그 단자에 대응되고, 홀더와 적어도 1개의 커넥터와 제 2 마그네트를 구비한 이어폰 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마그네트와 제 2 마그네트는 상기 플러그 단자와 커넥터가 체결될 때,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자와 상기 커넥터는 동일한 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 어셈블리.
KR1020050013786A 2005-02-18 2005-02-18 이어폰 어셈블리 KR200600927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86A KR20060092707A (ko) 2005-02-18 2005-02-18 이어폰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3786A KR20060092707A (ko) 2005-02-18 2005-02-18 이어폰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2707A true KR20060092707A (ko) 2006-08-23

Family

ID=37594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3786A KR20060092707A (ko) 2005-02-18 2005-02-18 이어폰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270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09B1 (ko) * 2006-05-17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잭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5209B1 (ko) * 2006-05-17 2007-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잭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3066B2 (en) Earphone jack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JP4406612B2 (ja) 汎用型オーディオ用ジャックおよびプラグ
US8243945B2 (en) Earphone jack
US818229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KR101113592B1 (ko) 이어폰 잭
WO2016165297A1 (zh) 耳机插座及检测耳机是否插入到位的方法
US20080242147A1 (en) Headset with data connector
US9774152B2 (en) Forward and backward compatible 5 pole audio plug and jack system
US8369559B2 (en) Speaker assembly
KR100772985B1 (ko) 휴대폰 및 휴대용 음향기기의 이어폰 세트
US20050036644A1 (en) Adapter for connecting a mobile phone stereoearphone-microphone set to a stereo system
KR20060092707A (ko) 이어폰 어셈블리
KR20060092684A (ko) 이어폰 어셈블리
CN100483865C (zh) 通用音频插孔与插头、音频装置
US20160164234A1 (en) Earphone socket, earphone plug, earphone and electronic device
KR101800228B1 (ko) 음향출력장치
GB2406972A (en) Stereo earphone-microphone adapter
KR100919419B1 (ko) 접촉식 플러그 및 잭
CN113285308B (zh) 一种耳机连接器
US20080069369A1 (en) Microphone and stereo audio monitor combination with four contact plug connector
KR200340360Y1 (ko) 전자제품용 잭 어댑터
KR200342728Y1 (ko) 4극이어폰
KR200397341Y1 (ko) 이동 전화기용 이어폰 커넥터
KR100662185B1 (ko)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20040107056A (ko) 이어폰 플러그의 접속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