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185B1 -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 Google Patents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185B1
KR100662185B1 KR1020050043203A KR20050043203A KR100662185B1 KR 100662185 B1 KR100662185 B1 KR 100662185B1 KR 1020050043203 A KR1020050043203 A KR 1020050043203A KR 20050043203 A KR20050043203 A KR 20050043203A KR 100662185 B1 KR100662185 B1 KR 100662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ear
ear jack
terminals
earphone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3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0948A (ko
Inventor
이용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3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185B1/ko
Priority to CNA2006100722130A priority patent/CN1870834A/zh
Publication of KR20060120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0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5Detection of connection of loudspeakers or headphones to ampl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시된다. 이 이어잭은 이어단자들이 설치된 이어잭 본체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이어잭 본체에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 스피커 커넥터가 설치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에 별개의 스피커 커넥터를 탑재할 필요가 없어, 인쇄회로기판의 유효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별개의 스피커 커넥터를 탑재하는 공정이 생략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된다.
이동통신 단말기, 이어잭, 스피커 커넥터

Description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EAR JACK WITH A SPEAKER CONNECTOR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JACK}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된 종래의 스피커 커넥터와 이어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한 이어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한 이어잭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한 이어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략한 설명>
1, 2: 이어단자들, 1a, 2a: 이어핀들,
3, 4: 센싱단자, 3a, 4a: 센싱핀들,
5: 마이크 단자, 5a: 마이크 핀,
6: 그라운드 단자, 6a: 그라운드 핀,
7, 8: 스피커 연결단자들, 7a, 8a: 스피커 접속핀,
10: 이동통신 단말기, 21: 제어부,
23: 입출력부, 25: 무선부,
27: 스위칭부, 29: 스피커,
30, 50: 이어잭, 31, 51: 스피커 커넥터,
33: 이어잭 본체
본 발명은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유효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스피커 커넥터를 통합한 이어잭 및 상기 이어잭을 채택하여 조립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전자장치들, 예컨대, 오디오, 컴퓨터, 라디오, 텔레비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 등은 스피커를 갖는다. 스피커는 일반적으로 전자장치들 내부 또는 외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스피커를 연결하기 위한 스피커 커넥터가 설치된다.
또한, 이러한 전자장치들은, 주위에 소음을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이어폰을 구비하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상기 이어폰을 삽입 할 수 있도록 탑재된 이어잭을 갖는다.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는 핸즈프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어폰과 마이크폰이 결합된 이어마이크폰을 구비하며, 상기 이어마이크폰을 삽입할 수 있는 이어마이크잭을 갖는다. 이하, "이어폰"은 이어마이크폰을 포함하며, "이어잭"은 이어마이크잭을 포함한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은 블록도이고, 도 2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탑재된 종래의 스피커 커넥터와 이어잭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101)를 포함한다. 무선부(105)는 제어부(101)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입출력부(103)는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화면을 보여주는 표시화면을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는 스피커(111)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스피커 커넥터(109)에 접속된다. 스피커 커넥터(109)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어 스위칭부(1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이어잭(113)이 장착되어 상기 스위칭부(10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어폰이 이어잭(113)에 연결되기 전, 음성 신호는 스위칭부(107)를 통해 스피커 커넥터(109)로 전달되며, 스피커(111)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스위칭부(107)를 통해 제어부(101)를 거쳐 무선부(105)에 전달된다.
이어폰이 이어잭(113)에 연결되면, 상기 스위칭부(107)는 스피커 커넥터 (109)로 전달되는 신호를 차단하고, 이어잭(113)으로 신호를 전달한다. 이어폰의 연결 여부는 비교기 등의 내부회로를 이용하여 검출된다. 상기 스위칭부(107)는 마이크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쇄회로기판(115) 상에 탑재된 이어잭(113)을 갖는다. 한편, 스피커 커넥터(109)가 상기 이어잭(113)과 분리되어 인쇄회로기판(115) 상에 장착된다. 상기 스피커 커넥터(109)는 일반적으로 두개의 연결단자들을 구비하며, 스피커(111)의 신호선들이 상기 연결단자들에 접속된다.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인쇄회로기판(115) 상에 분리된 스피커 커넥터(109)와 이어잭(113)을 구비하여, 이어폰 연결여부에 따라 스위칭부(도 1의 107)를 통해 신호전달 방향을 스위칭하므로써 이어폰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 스피커 커넥터(109)는 스피커를 접속하기 위한 연결단자들을 구비하며, 인쇄회로기판(1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접속핀들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커넥터(109)는 인쇄회로기판(115)의 유효면적을 감소시키며, 인쇄회로기판 상의 일정 공간을 점유한다. 상기 스피커 커넥터(109)가 점유하는 공간은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케이스 형상을 복잡하게 만든다.
스피커 커넥터(109)가 점유하는 면적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피커(111)의 신호선들을 인쇄회로기판(115) 상에 솔더링(soldering)하여 직접 연결할 수 있다. 그러나, 신호선들을 분리하여 개별적으로 솔더링하는 것은 솔더링 공정시간을 지연시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스피커 커넥터(109)와 이어잭(113)을 별개의 공정을 사용하여 조립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며, 조립시간이 지연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스피커 커넥터의 점유면적을 감소시켜 인쇄회로기판의 유효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이어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종래의 스피커 커넥터가 점유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어잭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인쇄회로기판의 유효면적을 확보하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한 이어잭 및 상기 이어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상기 이어잭은 이어잭 본체를 포함한다. 이어단자들이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어 위치한다. 또한, 스피커 커넥터가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어 위치한다.
상기 스피커 커넥터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다. 스피커 커넥터가 종래의 이어잭에 통합됨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상의 유효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의 스피커 커넥터 설치에 필요한 공간이 불필요하게 된다.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각각 상기 이어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이어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의 신호라인 들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위칭 수단이,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경우,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상기 이어단자들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상기 이어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상기 이어단자들과 서로 다른 신호라인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어잭이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탑재된다. 상기 이어잭은 이어잭 본체,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된 이어단자들 및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한다. 한편, 스피커가 상기 스피커 커넥터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각각 상기 이어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이어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의 신호라인들을 공유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위칭 수단이,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경우,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상기 이어단자들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상기 이어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상기 이어단자들과 서로 다른 신호라인들에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이어단자들 및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접속핀들을 각각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속핀들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10)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동통신 단말기(10)는 단말기의 전반적인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한다. 무선부(25)는 제어부(21)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입출력부(23)는 키패드와 같이 사용자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입력수단을 포함하며, 단말기의 동작 상태 및 명령 입력 항목 등을 보여주는 표시화면을 포함한다. 사용자가 표시화면에 나타난 항목에 따라 키패드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21)는 명령에 해당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각 장치들을 제어한다.
상기 단말기(10)는 스피커(29)를 포함하며, 상기 스피커는 스피커 커넥터(31)에 접속된다. 또한, 이어잭(30)이 인쇄회로기판에 장착되어 스위칭부(27)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커넥터(31)는 이어잭(30)에 통합되어 배치된다. 즉, 상기 이어잭(30)은 상기 스피커 커넥터(31)를 포함한다.
이어폰이 이어잭(30)에 연결되기 전, 음성 신호는 스위칭부(27)를 통해 이어 잭(30)에 통합된 스피커 커넥터(31)로 전달되며, 스피커(29)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한편,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는 스위칭부(27)를 통해 제어부(21)를 거쳐 무선부(25)에 전달된다.
이어폰이 이어잭(30)에 연결되면, 스피커 커넥터(31)로 전달되는 신호는 차단되고, 이어잭(30)의 이어단자들을 통해 이어폰으로 신호가 전달된다. 또한, 제어부(21)는 이어폰 플러그가 연결된 것을 검출하며, 이에 따라 스위칭부(27)에서 스위칭 동작이 발생한다. 그 결과, 마이크에서 입력되는 신호는 차단되고, 이어마이크폰에서 마이크 단자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가 제어부(27)에 전달되고, 무선부(25)를 통해 외부로 전송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스피커(29)와 이어폰으로의 신호전달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잭(30 또는 50)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여기서, 상기 이어잭(30 또는 50)은 4극 이어폰 플러그에 대응하는 단자들을 구비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어잭(30)은 1번 내지 6번 단자들을 구비한다. 예를들어, 1번 및 2번 단자들은 좌우 이어단자들이고, 3번 및 4번 단자들은 센싱단자들이고, 5번 단자는 마이크 단자이고, 6번 단자는 그라운드 단자이다.
한편, 이어잭(30)에 통합된 스피커 커넥터(31)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다. 스피커(29)는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에 접속된다.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1번 및 2번 이어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
한편,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이어단자들 사이에 스위칭 수단이 마련되어, 스위치들(sw1, sw2)이 위치한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이어폰 플러그가 이어잭(30)에 접속될 경우, 스위치들(sw1, sw2)을 개방시키고, 이어폰 플러그가 이어잭(30)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스위치들을 단락시킨다. 상기 스위칭 수단은 통상적인 기계적인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이어단자들을 각각 전도성 스프링들로 연결하고,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때, 이어폰 플러그에 의해 상기 스프링들을 밀어내는 핀들을 스프링 내부에 설치하여 스위칭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스위칭 수단은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피커 커넥터(31)의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기 전, 이어단자들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경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이어단자들은 전기적으로 개방된다.
그 결과, 이어폰 플러그가 이어잭(30)에 접속되기 전, 음성신호들은 이어단자들 및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경유하여 스피커(29)로 전달된다. 한편, 이어폰 플러그가 이어잭(30)에 접속되면, 상기 스피커(29)로 전달되는 음성신호는 스위치들(sw1, sw2)에 의해 차단되고, 이어단자들을 경유하여 이어폰으로 전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어폰 플러그 접속에 따른 스위칭 동작이 이어잭(30) 내에서 자체적으로 발생한다. 따라서, 마이크를 별도로 갖지 않는 전자장치들은 스위칭부(도 3의 27)를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커넥터(31)의 스피커 연결단자들이 이어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스피커 커넥터(31)을 인쇄회로기판 상에 탑재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종래의 스피커 커넥터(109)가 점유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스피커 커넥터(109)에 연결된 신호라인들을 생략할 수 있어, 인쇄회로기판의 유효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스프키 커넥터(31)가 이어잭(30)에 통합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이어잭(50)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1번 내지 6번 단자들을 포함한다. 다만, 이어잭(50)은, 도 4의 이어잭(30)과 달리, 1번 및 2번 이어단자들과 전기적으로 분리된 7번 8번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 스피커 커넥터(51)를 포함한다. 따라서, 7번 8번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인쇄회로기판 상의 음성 신호라인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7번 8번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이어단자들과 분리되어, 인쇄회로기판의 신호라인들에 접속된다. 따라서, 이어폰 플러그 접속 여부에 따른 스위칭 동작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같이 스위칭부(도 3의 27)를 통해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스피커 커넥터(111)와 이어잭(113)을 통합한 이어잭(50)을 탑재하므로써, 종래 스피커 커넥터(111)가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점유하는 면적 및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피커 커넥터(111)를 통합한 이어잭(113)을 채택하므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조립공정이 단순화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잭(50)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이어잭(50)은 이어잭 본체(33)를 갖는다. 상기 이어 잭 본체(33)에는 1번 내지 6번 단자들이 설치되어 위치한다. 한편, 접속핀들(1a, 2a, 3a, 4a, 5a, 6a)이 상기 단자들에서 각각 연장되어 이어잭 본체(33)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핀들은 각각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에 더하여, 스피커 커넥터(51)가 상기 이어잭 본체(33)에 설치된다. 상기 스피커 커넥터(51)는 몰딩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이어잭 본체(33)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피커 커넥터(51)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가지며, 스피커의 신호선들이 상기 스피커 커넥터(51)의 연결단자들에 접속된다. 따라서, 신호선들이 접속될 수 있도록 두개의 수용홈들을 가질 수 있다.
접속핀들(7a, 8a)이 상기 연결단자들에서 연장되어 이어잭 본체(33)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접속핀들은 인쇄회로기판의 음성 신호라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접속핀들은 솔더링 공정을 사용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솔더링 공정은 이어잭(50)을 인쇄회로기판 상에 정렬하고, 솔더링하는 것으로, 스피커 신호선들을 솔더링하는 것에 비해 공정시간 지연이 짧아 공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피커 연결단자들이 이어단자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접속핀들(7a, 8a)은 생략된다. 따라서, 공정시간을 더욱 단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스피커 커넥터(51)는 스피커 신호선들을 수용하기 위한 두개의 수용홈들을 갖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피커 커넥터는 다양한 형상으로 이어잭 본체(3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스 피커 커넥터(51)는 하나의 수용홈을 갖는 잭 타입(jack type)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스피커 신호선들은 스피커 플러그를 통해 스피커 커넥터(5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쇄회로기판 상에 스피커 커넥터 및 이어잭을 탑재하는 다른 전자장치들, 예컨대 컴퓨터, 오디오, 라디오 또는 텔레비젼 등 다양한 전자장치들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여 인쇄회로기판의 유효면적을 확보할 수 있으며, 종래 스피커 커넥터가 점유하는 공간에 의해 케이스의 형상이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어잭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유효면적을 확보하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잭에 있어서,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어잭 본체;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접속핀들을 갖는 이어단자들; 및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스피커 신호선들이 접속되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각각 스위칭 수단을 통해 상기 이어 단자들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핀들을 공유하는 이어잭.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상기 이어단자들을 개방시키는 이어잭.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상기 이어 단자들을 연결하는 전도성 스프링과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경우, 상기 이어폰 플러그에 의해 상기 전도성 스프링들을 밀어내는 핀들을 포함하는 이어잭.
  4.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되는 이어잭에 있어서,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어잭 본체;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접속핀들을 갖는 이어단자들; 및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스피커 신호선들이 접속되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는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각각 상기 이어단자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다른 접속핀들을 갖는 이어잭.
  5.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이어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어잭 본체와,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접속핀들을 갖는 이어단자들과, 스피커 신호선들이 접속되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고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된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어잭; 및
    상기 스피커 커넥터에 접속된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각각 스위칭 수단을 통해 상기 이어 단자들에 접속되어 상기 접속핀들을 공유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경우, 상기 스위칭 수단이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상기 이어단자들을 개방시키는 이어잭.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과 상기 이어 단자들을 연결하는 전도성 스프링과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경우, 상기 이어폰 플러그에 의해 상기 전도성 스프링들을 밀어내는 핀들을 포함하는 이어잭.
  8.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는 이어잭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탑재되고, 이어폰 플러그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이어잭 본체와, 상기 이어폰 플러그가 접속될 수 있도록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접속핀들을 갖는 이어단자들과, 스피커 신호선들이 접속되는 스피커 연결단자들을 갖고 상기 이어잭 본체에 설치된 스피커 커넥터를 포함하는 이어잭; 및
    상기 스피커 커넥터에 접속된 스피커를 포함하되,
    상기 스피커 연결단자들은 각각 상기 이어단자들로부터 분리되고 상기 이어잭 본체 외부로 돌출된 다른 접속핀들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9. 삭제
KR1020050043203A 2005-05-23 2005-05-23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KR1006621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03A KR100662185B1 (ko) 2005-05-23 2005-05-23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NA2006100722130A CN1870834A (zh) 2005-05-23 2006-04-12 具有扬声器连接装置的耳机塞孔及其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3203A KR100662185B1 (ko) 2005-05-23 2005-05-23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48A KR20060120948A (ko) 2006-11-28
KR100662185B1 true KR100662185B1 (ko) 2006-12-27

Family

ID=3744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3203A KR100662185B1 (ko) 2005-05-23 2005-05-23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2185B1 (ko)
CN (1) CN18708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139512A (zh) * 2013-01-16 2013-06-05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音频双输出的装置和方法及显示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0948A (ko) 2006-11-28
CN1870834A (zh) 2006-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2654B2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switching system
EP2645737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earphone
US9131309B2 (en) Wired headset with integrated switch
US8237623B2 (en) Headset antenna and connector for the same
US818229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devices together
US7833066B2 (en) Earphone jack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employing the same
US20120270610A1 (en) Mobile terminal without microphone hole
WO2006064800A1 (ja) 音声出力制御装置
US5944546A (en) Coaxial connector for switching antennas
US8369559B2 (en) Speaker assembly
KR100662185B1 (ko) 스피커 커넥터를 구비하는 이어잭 및 그것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US9502831B2 (en) Electronic device
JP2008278398A (ja) 受信装置及びアンテナ
KR100897416B1 (ko) 이동통신 단말기
JP4883952B2 (ja) 接続端子
EP2213085B1 (en) Electronic device interface switching system
KR100802617B1 (ko) 커넥팅 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061719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어잭
CN112788457B (zh) 耳机
KR100828650B1 (ko) 튜너
KR200225207Y1 (ko) 무선 장치의 고주파 테스트 장치
KR100472182B1 (ko) 잡음이없는폰잭을갖는컴퓨터
KR200189848Y1 (ko) 컴퓨터용 멀티 커넥터
KR20060092707A (ko) 이어폰 어셈블리
JP2002042988A (ja) ピンプラグ、無線電話端末およびアダプ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