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610A -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610A
KR20060091610A KR1020050012855A KR20050012855A KR20060091610A KR 20060091610 A KR20060091610 A KR 20060091610A KR 1020050012855 A KR1020050012855 A KR 1020050012855A KR 20050012855 A KR20050012855 A KR 20050012855A KR 20060091610 A KR20060091610 A KR 20060091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able terminal
protrusion
face
user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2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호철
정성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2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610A/ko
Publication of KR2006009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16Water-bottles; Mess-tins; Cups
    • A45F3/18Water-bottles; Mess-tins; Cups of rigid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이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과, 상대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화부,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열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되게 구성함으로써, 통화시에 휴대용 단말기가 이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SPACED FROM USER'S FACE}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단말기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를 도시한 사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본체부 11: 입력 버튼
12: 송화부 20: 폴더부
21: 수화부 22: 디스플레이부
30: 메인 회동부 40: 돌출부
41: 만곡부 42: 가장자리부
43: 돌기 50: 상단 회동부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화시에 휴대용 단말기가 이용자의 안면에 접촉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단말기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이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과, 상대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화부,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그 형태에 따라 바형(bar type), 플립형, 폴더형, 및 슬라이드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각 형태의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입력키, 송화부, 디스플레이부, 수화부의 형태와 그 상호간의 배치 형태는 특정된 것이 아니나,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와 수화부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는 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에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아래의 설명을 통하여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을 것인 바,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고, 도 2는 도 1의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각종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개의 입력 버튼(11)과 이용자의 음성을 전달하기 위한 송화부(12) 등을 구비한 본체부(10)와, 상기 입력버튼(11)에 의해 입력된 문자나 수신한 메세지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부(22) 및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는 수화부(21) 등을 구비하는 폴더부(20)와, 상기 본체부(10)와 폴더부(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메인 회동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디스플레이부(22)과 수화부(21)가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어 있어서(앞서 설명한 바대로, 다른 형태의 단말기에서도 공통적인 사항임), 이 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사용하여 통화시에 상기 폴더부(20)의 디스플레이 부(22)와 본체부(10)의 전면이 이용자의 안면에 닿게 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은 도 2의 종래의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 상태도를 통하여 명확히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상태를 취하게 됨으로 인하여, 이용자의 안면의 화장, 또는 땀 등의 안면에 형성되거나 그로부터 배출된 이물질이 본체부(10)의 전면 및/또는 디스플레이부(22)에 묻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22)가 이물질로 오염되게 된다.
또한, 장시간 통화 시에는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이 이용자의 안면, 특히 볼에 그대로 전달된다.
이는 휴대용 단말기를 쥔 팔을 팔꿈치를 중심으로 의식적으로 몸에서 멀어지게 회전시킴에 따라 일부 해소되기도 하나, 이러한 자세는 매우 불편하여 무의식적으로 다시 단말기가 안면에 접촉하게 되는 상태로 돌아감을 경험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의식적으로 팔을 회전시키면, 폴더부(20)가 넓은 면이 이용자의 귀에 평행하게 중첩되지 않고 그 모서리가 이용자의 귀에 일정 각도를 이루면서 접촉되기에 더욱 집중된 힘으로 이용자의 귀를 압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통화시에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자의 안면에서 이격시키는 돌출부가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된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는, 이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과, 상대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화부,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수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열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화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돌출부 중간의 상기 돌출부 내로 만곡된 만곡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의 만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양 가장자리부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돌출부의 양 가장자리부에는 신축성 소재를 부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돌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게 하는 상단 회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회동부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열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로는 토션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폴더부(20)의 일측에는 폴더부(20)를 이루는 평면 상으로 돌출하여 형성되는 돌출부(40)가 형성된다.
비록 본 도면에서는 수화부(21)가 돌출부(40)의 상면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수화부(21)가 반드시 그 위치에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즉, 수화부(21)는 돌출부(40)와 디스플레이부(22) 사이의 구역에 형성되어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수화부(21)가 반드시 이용자의 귀의 닿지 않아도 충분히 상대방의 음성 등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3의 휴대용 단말기의 접힌 상태의 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40)는 본체부(10)의 끝단을 감싸는 구조로써 돌출함으로써, 상기 단말기를 접은 경우에 그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자가 사용하는 경우, 즉 통화하는 경우의 사용 상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대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달리 단말기의 폴더부(20)는 이용자의 안면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게 된다. 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2)가 이용자의 안면에 형성된 각종 이물질, 즉 화장 성분이나 땀 등으로부터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도, 폴더부(20)가 안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말기를 휴대한 팔과 이용자의 척 추 라인이 이루는 각도를 크게할 수는 있다. 즉, 의식적으로 단말기를 휴대한 팔의 팔꿈치를 이용자의 몸에서 멀어지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자세는 인체 구조상 불편하여 오랫 동안 취하기는 힘들다. 또한 그러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그러한 각도에 의해 단말기의 끝단의 좁은 면적을 가지는 부분만이 이용자의 귀나 안면에 집적 맞닿게 되어서 이용자의 귀나 안면에 힘이 집중된다. 그에따라 이용자는 그러한 힘의 집중으로부터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돌출부(40)라는 구성을 휴대용 단말기의 일 구성 요소로서 채용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구조적으로 해결한 것이라 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돌출부(40)에 의하여, 장시간 통화시 휴대용 단말기의 발열에 따라 온도가 상승함에 의해 이용자의 안면에 전도되는 열 때문에 이용자가 느끼는 불쾌감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열을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돌출부(40)는 폴더부(20) 보다 열전도 계수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디스플레이부와 입력키가 동일 평면 상에 형성되는 PDA의 경우는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므로, 이러한 돌출부(40)가 그러한 몸체보다 열전도 계수가 낮은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이용자에 안면에 전달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하고 있다. 확대된 부분은 가장자리부(42)에 형성된 돌기(43)를 보다 상세하게 표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돌출부(40)의 중앙부는 상기 돌출부(40)를 향하여 만곡되어 있고 수화부(21)는 그러한 만곡부(41)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화부(21)가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돌출부(40)의 만곡되지 않은 양 가장자리부(42)에는 다수개의 돌기(43)가 형성되거나 신축성 소재(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다.
이용자가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경우에, 이용자의 귀는 만곡부(41)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을 유지하게 되어서 귀가 압박되어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가장자리부(42)에 형성된 돌기(43)는 이용자의 귀 주변의 얼굴 부분을 지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비단 통화를 하는 경우가 아니라도, 평상시 돌출부(40)의 가장자리부(42)에 형성된 돌기(43)가 안면을 향하게 하여 안면의 일정 부분을 가볍게 두드림으로써 소정의 지압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돌출부(40)의 가장자리부(42)에는 신축성 소재(미도시)가 부착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이용자의 안면에 닿는 부분에 형성된 신축성 소재에 의하여 장시간 통화시에도 이용자가 단말기를 통하여 전달되는 안면의 압박으로부터 느끼는 통증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돌출부(40)는 상단 회동부(50)에 의하여 폴더부(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단 회동부(50)의 구체적인 회동 구조는 메인 회동부(30)와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도면에서 돌출부(40)는 편의상 도 3의 구조만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도 6 의 구조를 취 하여도 무방하다고 할 것이다.
나아가, 이러한 상단 회동부(50)에는 돌출부(40)를 폴더부(20)가 이루는 평면과 대략 수직이 되게 유지시키려는 스프링 부재(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장치는 토션 스프링일 수도 있다. 그에 따라 도 4와 같은 접혀진 상태, 도 5와 같은 통화 상태에서는 위의 스프링의 힘에 따라 돌출부(40)는 폴더부(20)가 이루는 평면과 일정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와 같이 접혀진 상태를 감안하면 그러한 각도는 수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휴대용 단말기 보호용의 투명한 플라스틱 케이스를 씌우는 경우 등의 필요시에는 이용자가 돌출부(40)를 위의 스프링 장치에 대항하는 힘으로써 폴더부(20)가 이루는 평면과 수평을 이루도록 회동시킬 수 있다. 그럼으로써 용이하게 상기 케이스를 씌우거나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소위 말하는 핸드폰(바형, 플립형, 폴더형, 슬라이드형)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화 통화 기능을 구비한 PDA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에 의하면, 통화시에 이용자의 안면이 단말기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킴으로써, 디스플레이부가 오염되거나 배터리에서 발생한 열이 이용자의 안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효과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Claims (9)

  1. 이용자의 음성을 전송하기 위한 송화부와,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다수의 입력버튼과, 상대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수화부, 화상 정보를 표현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수화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열되는 평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돌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화부는 상기 돌출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돌출부 내로 함몰된 만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화부는 상기 만곡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만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가장자리부에는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만곡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가장자리부에는 신축성 소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단 회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회동부는 상기 돌출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평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부의 두께 방향으로 돌출되어 배열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토션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장착되는 부분 보다 열전도 계수가 낮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KR1020050012855A 2005-02-16 2005-02-16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KR20060091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855A KR20060091610A (ko) 2005-02-16 2005-02-16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2855A KR20060091610A (ko) 2005-02-16 2005-02-16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610A true KR20060091610A (ko) 2006-08-21

Family

ID=37593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2855A KR20060091610A (ko) 2005-02-16 2005-02-16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6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49442A (en) Hinge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0703323B1 (ko) 헤드셋
US8116830B2 (en) Data input key for a portable apparatus and key array thereof
KR20040021366A (ko) 확장 데이터 입력장치를 구비한 휴대용 정보 단말기
JPH0583342A (ja) 携帯電話機
KR20060091610A (ko) 안면 이격형 휴대용 단말기
KR100849319B1 (ko) 피디에이 겸용 휴대용 단말기
EP1424837A1 (en)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data input expandability
KR100575935B1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JP3111467B2 (ja) 折り畳み式電話機
JP2001358811A (ja) 携帯型情報端末装置
KR100350503B1 (ko) 목걸이 모듈 폰을 구비한 폴더형 단말기
KR200355628Y1 (ko) 지압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케이스
KR970004102Y1 (ko) 청각 장애자용 송수화기
KR200299190Y1 (ko) 키 인터페이스 커넥터 내장형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
KR200375662Y1 (ko) 디스플레이부의 오염을 감소시키기 위한 핸드폰 구조
KR100442659B1 (ko) 스테레오 사운드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JP2000041088A (ja) 受話器
JPS61144130A (ja) コ−ドレステレホン
KR100396522B1 (ko) 폴더형 통신 장치
KR200422879Y1 (ko) 버튼부가 화면창 상부에 위치한 휴대전화
KR100381140B1 (ko) 피디에이 겸용 무선 단말기의 양방향 키패드 어셈블리
KR200333770Y1 (ko) 수화구 위치 감지가 가능한 통신 단말기
JPH07212440A (ja) 携帯移動電話
KR20060057936A (ko) 휴대용 통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