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1122A - 콘텐츠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콘텐츠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1122A
KR20060091122A KR1020050011981A KR20050011981A KR20060091122A KR 20060091122 A KR20060091122 A KR 20060091122A KR 1020050011981 A KR1020050011981 A KR 1020050011981A KR 20050011981 A KR20050011981 A KR 20050011981A KR 20060091122 A KR20060091122 A KR 20060091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paid content
paid
payment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만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리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리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리챌
Priority to KR1020050011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91122A/ko
Publication of KR20060091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1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결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자유로이 유통되도록 허용하고,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완료 후에만 상기 유료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허용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결제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통되도록 허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발생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를 식별하는 유료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된 유료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유료 콘텐츠, 다운로드, 유통, 결제, 미결제.

Description

콘텐츠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A Conten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결제 정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콘텐츠 제공 서버
120, 130: 사용자 단말기
140: 휴대용 기록 매체
본 발명은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결제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다수의 사용자 단말기로 자유로이 유통되도록 허용하고,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상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를 수행하여 결제 완료 후에만 상기 유료 콘텐츠가 재생되도록 허용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등 유무선 통신망의 발달에 따라, 이미지, 음악, 문서, 또는 동영상 등의 디지털 콘텐츠를 온라인을 통해 제공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그런데,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디지털 콘텐츠는 무료로 제공되는 경우도 있지만, 유료로 제공되는 유료 콘텐츠도 존재한다.
그런데 유료 콘텐츠를 제공하는 콘텐츠 제공자들은 유료 콘텐츠에 대한 비용 결제가 수행되지 않을 것을 우려하여 해당 유료 콘텐츠에 대한 선결제가 수행된 후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해 주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일단 비용을 지불한 후에만 해당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유료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주저하게 되어 유료 콘텐츠의 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반대로 현재는 필요하지 않지만 앞으로 필요할 것 같은 유료 콘텐츠인데도, 해당 유료 콘텐츠가 더 이상 유통되지 않아서 제공 받을 수 없게 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사용자가 미리미리 유료 콘텐츠를 결제하여 다운로드 해 둬야만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다양한 유통 경로를 통하여 미결제 상태에서 자유로 이 유통시킴으로써 유료 콘텐츠의 유통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결제 상태로 유통된 유료 콘텐츠는 결제가 완료되어 인증된 상태에서만 재생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유료 콘텐츠를 무단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결제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통되도록 허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발생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를 식별하는 유료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된 유료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통되도록 허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제1 사용자 단 말기가, 유무선 통싱망을 통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료 콘텐츠를 휴대용 기록 매체에 저장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료 콘텐츠를 소정의 서버에 업로드 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서버의 네트워크 연결을 도시한 도면이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하나 이상의 유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를 구비하고, 상기 유료 콘텐츠를 결제 또는 미결제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기(120, 130 등)에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20)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로부터 결제 또는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사용자 단말기(130)로부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20)는 휴대용 기록 매체(140)를 이용하여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제공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의 유통을 제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다양한 루트를 통해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다른 서버에 업로드 한 경우, 타 사용자들은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사용자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 역시 자유로이 유통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료 콘텐츠의 유통을 더욱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S201)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의 유통만을 허용할 뿐,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의 실행까지 허용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유료 콘텐츠에 대한 DRM 처리가 필수적이다.
단계(S202)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소정의 유료 콘텐츠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가 원하는 유료 콘텐츠를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카테고리 검색 또는 키워드 검색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료 콘텐츠 중 음원을 다운로드 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곡명, 작곡가명, 장르 등에 대한 키워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계(S203)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 단말기(120)로 상기 요청된 유료 콘텐츠를 전송한다. 이때,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해 결제 여부와 무관하게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유료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120)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결제가 완료되어 인증된 사용자 또는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이 가능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라고 칭하고, 결제가 되지 않아서 다운로드 등의 유통은 허용되나 재생은 허용되지 않는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라고 칭한다.
예를 들면, 소정의 유료 콘텐츠가 특정 사용자에게 결제 상태인지 미결제 상태인지 여부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서 유지하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되는 사용자별, 유료 콘텐츠별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판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상기 사용자는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고,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가 '일정액을 지불하면 10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및 재생할 수 있는 결제 방식'에 따라 이미 결제를 한 경우라면, 10개 이내에서는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선택에 따라, 또는 콘텐츠 제공 서버(110)의 정책에 따라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 또는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도 있고,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시 다른 사용자 단말기 등 타 매체로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차이가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사용자가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경우 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단계(S204)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전송 받은(다운로드 한) 상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저장한다.
상기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120)에 저장된 상기 유료 콘텐츠를 결제 후 재생하거나, 다시 유통시킬 수 있다. 먼저,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를 수행한 후, 상기 유료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단계(S205)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장된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입력된 경우, 단계(S206)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접속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가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단계(S207)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가 미결제 상태임을 판별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결제 절차를 제공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결제가 완료된 경우, 단계(S208)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사용자 및 상기 유료 콘텐츠와 연관된 결제 정보를 생성하여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유료 콘텐츠를 식별하는 i) 유료 콘텐츠 식별자,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ii) 사용자 식별자, 상기 사용자가 결제한 iii) 결제 금액에 대한 정보, 결제가 완료된 시점인 iv) 결제 시점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S209)에서 사용자 단말기(120)는 단계(S205)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재생 명령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에 대한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된 유료 콘텐츠를 재생한다.
이하,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는 다양한 방법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사용자가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요청을 할 때마다, 또는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에 따라 결제를 수행한 후, 콘텐츠 제공 서버(110)와 연결하여 상기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에 대한 인증을 요청한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를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식별자가 "wisjjang"이고 상기 유료 콘텐츠의 유료 콘텐츠 식별자가 "친구여.mp3"인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한다.
상기 인증된 유료 콘텐츠는 1회 재생 가능한 상태로 되며, 사용자 단말기(120)는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시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시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연결하여 다시 인증이 수행되도록 해야 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재생할 때마다 콘텐츠 제공 서버(110)에 연결하여 인증 절차를 매번 수행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20)와 콘텐츠 제공 서버(1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가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일단 인증하면 상기 연결이 유지되는 동안은 상기 인증이 유지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결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사용자는 인증 절차를 다시 밟을 필요 없이 상기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20)와 콘텐츠 제공 서버(110)가 연결된 상태에서, 콘텐츠 제공 서버(110)가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여 인증서를 발급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상기 인증서가 저장되어 있는 동안은 상기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결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예를 들면 30일) 동안 유료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도록 허용할 수 있다. 즉,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상기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결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경과한 유료 콘텐츠에 대해서는 인증을 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유료 콘텐츠는 결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경과한 시점에서 다시 미결제 상태로 돌아간 것이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20)에 저장된 미결제 또는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유통시키는 것을 허용한다. 다만, 상기 사용자에 대해 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는, 다른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된 경우에는 상기 다른 사용자에 대해서는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타 사용자의 타 사용자 단 말기(130 등)로 유료 콘텐츠를 직접 전송하거나, 컴팩트 디스크와 같은 휴대용 기록 매체(140 등)에 유료 콘텐츠를 저장하거나, 소정의 서버(도시하지 않음)에 유료 콘텐츠를 업로드 하여 타 사용자 단말기(130 등)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유료 콘텐츠를 유통시킬 수 있다.
다양한 경로를 통해 일단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에 상기 유료 콘텐츠를 저장한 타 사용자는, 도 2의 단계(S205) 내지 단계(S209)와 유사한 과정에 따라 상기 유료 콘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 사용자 역시 다시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통시킬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에 따르면, 결제 상태의 인증된 유료 콘텐츠만이 사용자 단말기(120)에서 재생될 수 있으나, 콘텐츠 제공 서버(110)는 사용자들에게 미리 듣기(또는 미리 보기)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서 미결제 상태의, 따라서 인증되지 않은 유료 콘텐츠도 그 일부만이 재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20)에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후, 상기 유료 콘텐츠의 특정 부분을 미리 듣기 서비스에 따라 일부 재생하여 확인한 후,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를 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 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도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텐츠 제공 방법을 수행하는 데 채용될 수 있는 범용 컴퓨터 장치의 내부 블록도 이다.
컴퓨터 장치(400)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420)과 롬(ROM: Read Only Memory)(430)을 포함하는 주기억장치와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41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410)는 중앙처리장치(CPU)로 불리기도 한다. 본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바와 같이, 롬(430)은 데이터(data)와 명령(instruction)을 단방향성으로 CPU에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램(420)은 통상적으로 데이터와 명령을 양방향성으로 전송하는 데 사용된다. 램(420) 및 롬(430)은 컴퓨터 판독 가능 매 체의 어떠한 적절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Mass Storage)(440)는 양방향성으로 프로세서(410)와 연결되어 추가적인 데이터 저장 능력을 제공하며, 상기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중 어떠한 것일 수 있다. 대용량 기억장치(440)는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주기억장치보다 속도가 느린 하드디스크와 같은 보조기억장치이다. CD 롬(460)과 같은 특정 대용량 기억장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410)는 비디오 모니터, 트랙볼, 마우스, 키보드, 마이크로폰, 터치스크린 형 디스플레이, 카드 판독기, 자기 또는 종이 테이프 판독기, 음성 또는 필기 인식기, 조이스틱, 또는 기타 공지된 컴퓨터 입출력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450)와 연결된다. 마지막으로, 프로세서(41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470)를 통하여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 연결을 통하여 상기된 방법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된 장치 및 도구는 컴퓨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다양한 유통 경로를 통하여 미결제 상태에서 자유로이 유통시킴으로써 유료 콘텐츠의 유통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결제 상태로 유통된 유료 콘텐츠는 결제가 완료되어 인증된 상태에서만 재생 가능하도록 제어함으로써 유료 콘텐츠가 무단 이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의 콘텐츠 제공 방법에 있어서,
    DRM 처리된 유료 콘텐츠를 저장하는 콘텐츠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결제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통되도록 허용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발생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 제공 서버와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연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계;
    상기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상기 유료 콘텐츠를 식별하는 유료 콘텐츠 식별자 및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자를 포함하는 결제 정보를 저장하는 결제 정보 데이터베이스부를 유지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된 유료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재생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이 있을 때마다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매번 인증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한 경우 상기 연결이 종료되기 전까지 상기 인증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한 경우, 인증서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인증서를 보유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인증이 유지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 정보는 상기 결제가 수행된 결제 시점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결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인증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결제 시점으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상기 유료 콘텐츠가 인증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되지 않은 유료 콘텐츠의 일부 재생을 허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가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기에 유통되도록 허용하는 상기 단계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제1 사용자 단말기가, 유무선 통싱망을 통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료 콘텐츠를 휴대용 기록 매체에 저장하도록 허용하는 단계; 또는
    상기 콘텐츠 제공 서버에서 미결제 상태의 상기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한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유료 콘텐츠를 소정의 서버에 업로드 하는 것을 허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제공 방법.
  6. 사용자 단말기에서의 콘텐츠 재생 방법에 있어서,
    콘텐츠 제공 서버 또는 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를 다운로드 하는 단계;
    사용자로부터 상기 미결제 상태의 유료 콘텐츠에 대한 재생 명령을 입력 받은 경우, 소정의 결제 서버와 연결하여 상기 유료 콘텐츠에 대한 결제 절차를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완료에 따라 상기 유료 콘텐츠가 인증된 경우, 상기 인증된 콘텐츠를 재생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텐츠 재생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050011981A 2005-02-14 2005-02-14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60091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81A KR20060091122A (ko) 2005-02-14 2005-02-14 콘텐츠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981A KR20060091122A (ko) 2005-02-14 2005-02-14 콘텐츠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1122A true KR20060091122A (ko) 2006-08-18

Family

ID=3759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981A KR20060091122A (ko) 2005-02-14 2005-02-14 콘텐츠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911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08B1 (ko) * 2006-11-2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6708B1 (ko) * 2006-11-23 2013-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에서의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1213B2 (en) Trial use of a collection of media files
US7788271B2 (en) Content distribution server, content distribution method, and program
US8256014B2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server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containing computer program
US7877473B2 (en) Mode detection of data transfer between a source device and a connected portable device
US7877328B2 (en)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contents processing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7765603B2 (en) Communication system, contents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JP4442294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5173816B2 (ja) 情報購読システム
JP4753217B2 (ja) ライセンス管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ト処理システム
US9325680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retrieval system
JP2005523487A (ja) リチャージ可能なメディア配布/再生システム
US20070009230A1 (en) Content processing device, content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WO2002045316A2 (en) Digital content distribution and subscription system
JP2003228636A (ja) 情報変換装置
KR100606281B1 (ko) 통신망을 통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제공 방법 및 상기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재생 방법
JP2007207066A (ja)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送受信方法
JP2011120209A (ja) 情報コンテンツの配信装置及び配信方法
JP2006172392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60091122A (ko) 콘텐츠 제공 방법
KR20090054110A (ko) 휴대단말의 콘텐츠 권리객체 획득 방법 및 장치
KR20120011737A (ko) 유료 리소스를 이용한 컨텐츠 제작 및 판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7193630A (ja) 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送受信方法
JPWO2008059559A1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記録装置、コンテンツ配信方法、コンテンツ再生方法、コンテンツ記録方法、コンテンツ配信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再生プログラム、コンテンツ記録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0753787B1 (ko) 번들로 제공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포터블디바이스 및 멀티미디어 컨텐츠 제공 서버의 동작 방법
KR20190088594A (ko) 멀티 drm을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미디어 서비스 운용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