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116A -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 Google Patents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116A
KR20060090116A KR1020050011342A KR20050011342A KR20060090116A KR 20060090116 A KR20060090116 A KR 20060090116A KR 1020050011342 A KR1020050011342 A KR 1020050011342A KR 20050011342 A KR20050011342 A KR 20050011342A KR 20060090116 A KR20060090116 A KR 200600901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rgence
auto
image
display area
current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1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2584B1 (ko
Inventor
최흥굉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1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2584B1/ko
Priority to US11/316,731 priority patent/US20060176408A1/en
Priority to CN2006100048472A priority patent/CN1819636B/zh
Priority to EP06250311A priority patent/EP1689197A1/en
Publication of KR20060090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2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2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 H04N17/045Self-contained tes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46Fil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00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 H03H1/0007Constructional details of impedance networks whose electrical mode of operation is not specified or applicable to more than one type of network of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5Geometric adjustment, e.g. keystone or converg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H04N9/3194Testing thereof including sensor feedb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시청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 컨버젼스시에도 사용자가 티브이의 영상을 시청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오토컨버젼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티브이에서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 온 후 영상 시청 중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뮤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상기 시청 중이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상기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 컨버젼스시에도 티브이의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오토 컨버젼스

Description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Method for displaying video in auto-convergen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로젝션 티브이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 7은 본 발명에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프로젝터 20 : 오토 컨버젼스부
30 : 광센서 40 : 커넥터
50 : 캐비넷 60 : 미러
70 : 케이스 80 : 스크린
90 : 광센서 모듈 100 : 프로젝션 티브이
110 :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 120 : 디스플레이 영역
130 : 현재 화면 영역
본 발명은 오토 컨버젼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 컨버젼스시에도 사용자가 티브이의 영상을 시청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오토 컨버젼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티브이는 적색(R), 녹색(G), 청색(B)의 색상을 브라운관(이하, CRT)을 사용하여 CRT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을 복수의 반사경 및 렌즈 등으로 이루어진 광학부를 통해 확대시켜 대형 스크린에 디스플레이시킴으로써, 화면의 대형화가 가능하도록 한 장치이다.
이러한 프로젝션 티브이의 감성품질은 W/U(White Uniformity), B/U(Bright Uniformity), 컨버젼스(Convergence), 포커스(Focus), 왜곡(Distortion)등 여러 가지 항목들로 구성된다.
여기서, 컨버젼스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R(Red), G(Green), B(Blue) 빛이 편 향 요크의 자계에 의해 화면상의 한 점에 모아지게 되는 것을 말하나, 편향 요크의 이상 또는 자계의 영향에 의해 빔이 원하는 대로 편향되지 않으면 미스컨버젼스(Misconvergence)가 발생하여 화면상에 색의 치우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즉, R, G, B 세 빛이 한 점에 정확하게 모여야 흰색으로 보이게 되는데, 미스컨버젼스가 되면 흰 선 옆에 R, G, B 등의 비정상적인 색을 띤 선이 보이게 되어 화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흰색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R, G, B의 각 CRT에서 투사하는 빛을 한곳에 모이도록 해주어야 한다.
여기서, R, G, B의 빛을 한 곳에 모아주는 것을 오토 컨버젼스라 하며, 최근 디지털 티브이 방송이 시작되면서 대화면의 요구에 부응하는 디스플레이로 프로젝션 티브이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프로젝션 티브이의 단점으로 대형화를 위해, R, G, B의 각각의 CRT를 사용함으로써 컨버젼스를 맞춰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용자가 사용할 때 컨버젼스가 틀어질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그렇지 않은 경우 투사된 영상이 스크린상에서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아 화면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해 프로젝션 TV에는 각 투사관으로부터 투사되는 영상이 스크린상에 정확하게 일치하도록 조정하는 컨버젼스 보정 장치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TV는 공장에서 출고시에 컨버젼스의 보정이 이루어지는 데, 컨버젼스가 보정된 프로젝션 TV를 일반 가정에서 사용할 때에는 환경 변화나 주변 지자계 등에 의해 다시 컨버젼스의 오차가 발생된다.
그러므로, 가정에서는 컨버젼스 보정 장치를 사용하여 컨버젼스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티브이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프로젝션 티브이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10), 오토 컨버젼스부(20), 광센서(30), 커넥터(40), 캐비넷(50), 미러(60), 케이스(70), 스크린(80)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터(10)는 미러(60)를 통해 스크린(80)으로 영상을 투사한다.
오토 컨버젼스부(20)는 제어신호에 따라 오토 컨버젼스를 위한 R,G,B신호의 패턴을 발생시키며, 광센서(30)를 통해 검출된 패턴에 따라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한다.
광센서(30a,30b,30c,30d,30e,30f,30g,30h : 30)는 일반소비자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스크린(80) 뒷면에 장착되어 R,G,B 신호의 패턴신호를 검출한다.
커넥터(40a,40b,40c,40d,40e,40f,40g,40h : 40)는 광센서(30)에서 검출한 신호를 오토 컨버젼스부(20)로 전송하기 위한 신호선이다.
캐비넷(50)은 광센서(30)와 커넥터(40)를 부착시킨다.
미러(60)는 프로젝터(10)에서 투사된 영상을 스크린(80)으로 반사시킨다.
스크린(80)은 미러(60)에서 반상된 프로젝터(10)에서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0)의 소정 영역에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110)이 디스플레이되고, 이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110)을 광센서(30)들이 검출하여 그 검출된 패턴에 따라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은 티브이 전원 온 후 사용자로부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예를 들면 리모컨을 통해)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
판단결과(S10)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시 디스플레이한다(S20).
그러나 판단결과(S10) 제어신호가 제대로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뮤트(Mute) 시킨다(S30).
이어서 프로젝션 티브이의 외광을 확인하여 외광이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적합하지 않은 밝기인가를 판단한다(S40). 이는 오토 컨버젼스 수행시 광센서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판단결과(S40)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에 너무 밝은 경우에는 주위 조명을 어둡게 한 후 다시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50).
그러나 판단결과(S40) 외광이 특별히 밝기 않다면 R,G,B 각각에 대한 색일치를 실행하여(S60), 공장 출고시의 조정 상태와 비교하여 색일치를 위한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한다(S70).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프로젝션 티브이의 컨버젼스 보정에 있어서는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경우 광센서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하여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빛(오토 컨버젼스용 패턴)만을 발생하도록 하고,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을 무조건적으로 뮤트시킴으로써 오토 컨버젼스시 사용자는 영상을 시청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수행시에도 사용자가 현재 화면을 시청할 수 있는 오토 컨버젼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티브이에서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 온 후 영상 시청 중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뮤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상기 시청 중이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상기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0P(Picture O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 시청 중이던 영상을 뮤트 시킨 후 상기 티브이의 외광이 상기 오토 컨버젼스에 적합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상기 시청 중이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후에도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밝기가 적합한지를 다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밝기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 화면영역의 크기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현재 화면영역의 크기는 현장경험이나 실험에 따라 자동적으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단계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영상의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복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현재화면 영역은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광센서에서 검출하는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의 출력판별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크기로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현재화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2/3 이하의 크기이거나 1/2의 크기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오토 컨버젼스 수행 중에도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는 사용자가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면 디스플레이 영역(120)의 소정 영역에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110) 이 디스플레이되고, 이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110)을 광센서(30)들이 검출하여 그 검출된 패턴에 따라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게 된다.
이때 디스플레이 영역(120)의 소정영역에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0P(Picture On Picture) 형태로 현재 시청 중이었던 영상을 현재화면 영역(130)에서 계속해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다. 또한, 현재화면 영역(130)의 크기는 광센서에서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의 출력 판별 전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의 거리이면 충분하므로 전체 화면을 기준으로 PIP(또는 POP) 화면의 크기가 바람직하게는 2/3 이하 또는 1/2의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은 티브이 전원 온 후 사용자로부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예를 들면 리모컨을 통해)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0).
판단결과(S100)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시 디스플레이한다(S110).
그러나 판단결과(S100) 제어신호가 제대로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뮤트(Mute) 시킨다(S120).
이어서 프로젝션 티브이의 외광을 확인하여 외광이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적합하지 않은 밝기인가를 판단한다(S130). 이는 오토 컨버젼스 수행시 광센서 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판단결과(S130)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에 너무 밝은 경우에는 주위 조명을 어둡게 한 후 다시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그러나 판단결과(S130) 외광이 특별히 밝기 않다면 시청 중인 영상을 PIP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20)의 중앙에 디스플레이 한다(S150).
이어서, R,G,B 각각에 대한 색일치를 실행하여(S160), 공장 출고시의 조정 상태와 비교하여 색일치를 위한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한다(S170).
이어서 PIP 화면을 초기화면으로 복원한다(S180).
도 7은 본 발명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오토 컨버젼스 방법은 티브이 전원 온 후 사용자로부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예를 들면 리모컨을 통해)가 입력되었는가를 판단한다(S100).
판단결과(S100) 제어신호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다시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다시 디스플레이한다(S110).
그러나 판단결과(S100) 제어신호가 제대로 입력된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뮤트(Mute) 시킨다(S120).
이어서 프로젝션 티브이의 외광을 확인하여 외광이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 기 적합하지 않은 밝기인가를 판단한다(S130). 이는 오토 컨버젼스 수행시 광센서의 에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판단결과(S130)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에 너무 밝은 경우에는 주위 조명을 어둡게 한 후 다시 조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는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영역에 디스플레이한다(S140).
그러나 판단결과(S130) 외광이 특별히 밝기 않다면 시청 중인 영상을 PIP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영역(120)의 중앙에 디스플레이 한다(S150).
이어서 PIP 화면에 의해서도 오토 컨버젼스를 위한 색일치에 적합한 밝기인가를 판단한다(S160).
판단결과(S160) 적합하지 않다면 PIP의 크기 및/또는 위치를 조정한다(S170). 이는 당업자라면 현장경험(Field test)이나 다양한 실험에 따라 자동적으로 조정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판단결과(S160) 적합한 밝기라면 R,G,B 각각에 대한 색일치를 실행하여(S180), 공장 출고시의 조정 상태와 비교하여 색일치를 위한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한다(S190).
이어서 PIP 화면을 초기화면으로 복원한다(S200).
본 발명에 프로젝션 티브이에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에 있어서는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면서도 디스플레이 영역의 소정 영역을 통해 현재 영상을 시청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Claims (9)

  1. 티브이에서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티브이 온 후 영상 시청 중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영상을 뮤트시키는 단계와;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티브이의 디스플레이 영역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상기 시청 중이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이 상기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는 상태에서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PIP(Picture In Picture) 또는 P0P(Picture On Picture) 형태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시청 중이던 영상을 뮤트 시킨 후 상기 티브이의 외광이 상기 오토 컨버젼스에 적합한지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상기 시청 중이던 영상을 디스플레이한 후에도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기 위한 밝기가 적합한지를 다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밝기가 적합하지 않은 경우 상기 현재 화면영역의 크기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화면영역의 크기는 현장경험이나 실험에 따라 자동적으로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단계후에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보다 작은 현재 화면영역에 디스플레이되던 영상의 크기를 원래의 크기로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화면 영역은 상기 오토 컨버젼스를 수행하는 광센서에서 검출하는 오토 컨버젼스용 패턴의 출력판별 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는 크기로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화면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의 2/3 이하의 크기이거나 1/2의 크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 컨버젼스 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20050011342A 2005-02-07 2005-02-07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06725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342A KR100672584B1 (ko) 2005-02-07 2005-02-07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US11/316,731 US20060176408A1 (en) 2005-02-07 2005-12-27 Method of displaying video during auto-convergence
CN2006100048472A CN1819636B (zh) 2005-02-07 2006-01-16 在自动会聚期间显示视频的方法
EP06250311A EP1689197A1 (en) 2005-02-07 2006-01-20 A method of displaying video during auto-converge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1342A KR100672584B1 (ko) 2005-02-07 2005-02-07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116A true KR20060090116A (ko) 2006-08-10
KR100672584B1 KR100672584B1 (ko) 2007-01-24

Family

ID=3617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1342A KR100672584B1 (ko) 2005-02-07 2005-02-07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76408A1 (ko)
EP (1) EP1689197A1 (ko)
KR (1) KR100672584B1 (ko)
CN (1) CN18196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0102B1 (ko) * 2008-04-08 2015-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장치
US10771757B2 (en) 2012-12-10 2020-09-0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tus for stereoscopic focus control of stereo camera
US9948918B2 (en) 2012-12-10 2018-04-17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tereoscopic focus control of stereo camera
CN106950782B (zh) * 2017-05-12 2019-01-22 高树坤 一种用于定屏幕投影自动校对的方法及装置
US10694160B2 (en) 2018-11-20 2020-06-23 Disney Enterprises, Inc. Channel based projector calibration
CN111083460B (zh) * 2019-12-31 2022-03-25 歌尔光学科技有限公司 基于超短焦投影模组的照度测试方法、装置、设备及介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0302B1 (en) * 1987-02-26 1992-09-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utomatic convergence alignment system for color television display apparatus
JPH06141332A (ja) * 1992-10-26 1994-05-20 Sony Corp テレビジョン装置
US5557338A (en) * 1995-04-05 1996-09-17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ing received channel guide information and a secondary video signal processor for displaying secondary channel information
KR19990001467A (ko) * 1997-06-16 1999-01-15 구자홍 배면 투사형 티브이(tv)에서의 컨버젼스 조정 방법
US6330040B1 (en) * 1998-01-29 2001-12-11 Sony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alibrating video displays
US6297859B1 (en) * 1999-06-30 2001-10-02 Thomson Licensing S.A. Opto sensor signal detector
EP1170958A1 (en) * 2000-06-29 2002-01-09 Sony Espana SA Proje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image projection
JP2004207934A (ja) 2002-12-25 2004-07-22 Toshiba Corp Crt型表示装置及び投射型表示装置
KR100516615B1 (ko) * 2003-04-22 2005-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티브이의 오토 컨버젼스 에러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9636A (zh) 2006-08-16
EP1689197A1 (en) 2006-08-09
US20060176408A1 (en) 2006-08-10
KR100672584B1 (ko) 2007-01-24
CN1819636B (zh)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2584B1 (ko) 오토 컨버전스시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JPH04367189A (ja) 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装置
US2003015622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raster in projection television receivers
JP2009036884A (ja) 投射型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0400011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 및 이의 컨버젼스 조정 방법
JPH0385589A (ja) 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装置
US5293224A (en) White balance control system
EP0440216B1 (en) White balance control system
US20050200702A1 (en) Optical detector
KR100416547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에서 컨버젼스를 자동으로 조정하는방법 및 장치
KR100404189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컨버젼스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698118B1 (ko) 영상기기 및 그의 오토 컨버전스 방법
JPS63268380A (ja) 投射型映像表示装置
KR20050116921A (ko) 프로젝터의 화면 밝기 자동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60071191A (ko) 프로젝션 티브에서 컨버전스 보정용 데이터 리셋처리방법
KR100518826B1 (ko) 프로젝션 tv의 광학적 왜곡보정에 따른 영상 보정장치및 보정방법
US20090256867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ccurate Images for Display by an Image Display Device
KR20050110476A (ko) 프로젝션 텔레비전의 컨버젼스 조정 장치
KR100655005B1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컨버전스 조정장치 및 방법
KR100525889B1 (ko) 프로젝션 티브이 및 그 화면보호 기능 해제방법
JP2020008806A (ja) 画像投射装置、及び、画像投射装置制御プログラム
KR20060012903A (ko) Crt 프로젝션 tv의 컨버젼스 자동 조정 방법
KR20060071188A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오에스디를 이용한 컨버전스 보정방법
KR20070024271A (ko) 프로젝션 티브이의 컨버전스 조정장치 및 방법
KR20030046070A (ko) 배면 투사형 영상 기기의 자동 초점 조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