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9326A -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9326A
KR20060089326A KR1020050009942A KR20050009942A KR20060089326A KR 20060089326 A KR20060089326 A KR 20060089326A KR 1020050009942 A KR1020050009942 A KR 1020050009942A KR 20050009942 A KR20050009942 A KR 20050009942A KR 20060089326 A KR20060089326 A KR 20060089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ilure
gear
fixed
shaft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Gran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19606B1 (ko
Inventor
강칠국
Original Assignee
강칠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칠국 filed Critical 강칠국
Priority to KR1020050009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60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9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6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606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5/00Means to prevent accidental or unauthorised actu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 H01L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60Hand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74Apparatus for manufacturing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for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78Apparatus for connecting with wir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접합용 금실을 실패(SPOOL)에서 풀 때, 모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NOISE)와 모터의 회전축의 기어와 실패 지지축의 기어가 전도체의 평기어로 결합되어 회전중에 발생하는 틸팅(tilting)이 실패에 작용하여 실패 작동 제어를 방해하므로서 실패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기어를 비 전도체의 헬리컬기어로 구성하였으며 실패의 지지축에서 어스(earth)시키므로서 전위를 2중으로 안정시켜 실패의 작동 중 정지되는 경우를 방지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와이어스풀, 노이즈, 실패, 헬리컬기어, 어스

Description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Prevention means of tilting and noise of wirespool for semiconductor joining}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도
도 2는 본체의 분리도
도 3은 실패의 분리도
도 4는 종래 발명의 전체도
도 5는 종래 발명의 분리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본체 12 : 실패
13 : 모터 14 : 실
15 : 실패고정체(a,b) 16 : 탄성부재(a,b)
17 : 고정축 18 : 회전축
19 : 실패탈리방지부재 21 : 헬리컬기어(a,b)
22 : 접지부 23 : 평기어(a,b)
24 : 스프링 25 : 받침대
26 : 고정판 27 : 턱
28 : 절개공
본 발명은 반도체 접합용 금실을 실패(SPOOL)에서 풀때 발생하는 노이즈 및 틸팅의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실패를 회전시키는 모터가 회전할 때 모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NOISE)와 모터의 회전축의 기어와 실패 지지축의 기어가 전도체의 평기어로 결합되어 회전중에 각 기어 탑을 넘어 갈 때의 간격에 의해 발생하는 틸팅(tilting)이 실패에 작용하여 풀어지는 실에 틸팅이 발생하여 프로그램의 오류를 발생시키므로서 실패 작동 제어를 간섭하게 되며 그 간섭에 의해 실패 작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회전축에 비전도체의 기어를 사용하여 스풀의 전리를 방지하는 구성이고, 기어는 헬리컬기어를 사용하므로서 기어탑을 넘어가는 동안 발생하는 간격을 제거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발명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모터(13)의 회전축(18a')과 결합하는 평기어(23a)와 실패고정체(15b)를 지지하는 회전축(도시되지않음)에 형성된 평기어(23b)가 결합되어 상기 평기어(23a,23b)가 회전할 때 기어(23a,23b)의 탑 부분에서 다음 기어와 결합되는 간격에 의해 작은 틸팅이 발생하므로서 상기 틸팅이 실패(12)에 전달되어 실패(12)에서 풀리는 실(14)에도 틸팅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틸팅은 프로그램 상에 입력된 것이 아니므로 프로그램 상으로 이상이 되어 작업 시스템을 보호하기 위해 작동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모터(13b)의 회전축(도시되지않음)의 평기어(23a)와 실패(12)를 지지하는 실패고정체(15b)의 회전축(도시되지않음)의 평기어(23b)가 전도체로 구성되어 모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실패(12)까지 전이되므로 프로그램 상에 이상으로 체크되어 작동이 정지되는 경우가 있어 전체적으로 작업의 연속성과 효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모터의 회전축에 비 전도체로 구성하되 기어를 헬리컬기어로 형성하고 실패고정체의 회전축의 기어를 비 전도체로 구성하되 헬리컬기어로 형성하므로서 모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가 실패에 전이되지 않을 뿐 아니라 기어의 결합이 연속성을 유지케 하여 실패와 실에 틸팅을 방지하므로서 프로그램의 다운을 발생시키지 않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실패는 실패고정체에 지지될 때 실패고정체에 지지되는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므로 상기 실패고정체가 회전하게 되면 기계의 진동과 회전에 의해 실패가 실패고정체에서 탈리될 수 있으므로 고정축의 단부에 관절 모양으로 형성된 실패탈리방지부재에 의해 상기 실패가 실패고정체에서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장시간 작업을 하게 되면 모터에서 발생하는 전자 파장에 의해 실패에 노이즈가 전이될 수 있으므로 고정축과 결합되는 회전축의 단부에 접지부를 형성하므로서 실패에 작용하는 전위를 제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헬리컬기어(21a,21b)가 내장되고 고정축(17)과 접지부(22)를 지지하는 본체(11)와, 실패(12)가 결합되는 실패고정체(15a)와, 실패(12)를 지지하는 탄성부재(16a)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구성을 전체로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며, 도 3은 실패와 그 연결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고, 도 4와 5는 종래 발명의 구성과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본체(11)는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고 뚜껑으로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11)는 직립하는 구조로 헬리컬기어(21a,21b)가 수용되는 구조이고 상기 헬리컬기어(21a,21b)에는 회전축(18)이 일체화로 구성되며 모터(13)의 회전축(도시되지않음)이 홀딩되는 구조이고 회전축(18)에는 실패고정체(15a)의 고정축(17)이 홀딩되는 구조이다.
상기 실패고정체(15a)는 그 외경에 다수개의 길이로 절개된 절개공(2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비 전도체로 구성된 2개의 헬리컬기어(21a,21b)가 상. 하로 결합되는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상기 하부 헬리컬기어(21a)는 회전축(도시되지않음)과 일체화로 형성되며 모터(13)는 상기 회전축(도시되지않음)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고 상부 헬리컬기어(21b)는 그 좌. 우로 회전축(18)이 노출되며 모터(13)와 같은 방향의 회전축(18) 단부에는 접지부(22)가 자유회전하도록 장착되어 있고 그 반대 회전축(18)에는 고정축(17)과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헬리컬기어(21b)의 회전축(18)에는 고정축(17)이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축(17)의 단부는 상기 회전축(18)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며 실패고정체(15a)를 지지하는 고정판(26)이 형성되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고정판(26)에는 다수개의 탄성부재(16a)가 부설된다.
상기 고정축(17)의 다른 단부는 실패탈리방지부재(19)가 부설된다.
고정축(17)의 단부는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용 스프링(24)이 형성되며 스프링(24) 위에는 받침대(25)가 거치된다. 상기 받침대(25)의 압박에 따라 스프링(24)이 탄성을 가지게 된다. 상기 실패탈리방지부재(19)는 상기 받침대(25) 와 밀착되도록 장착되고 실패탈리방지부재(19)의 작동에 따라 스프링(24)의 탄성에 의해 받침대(25)는 상하로 이동하면서 실패탈리방지부재(19)에 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고정축(17)의 고정판(26) 외측에는 실패고정체(15a)의 내측이 고정된다. 상기 실패고정체(15a)를 고정판(26)에 고정한 경우 본체(11)에 근접하는 실패고정체(15a)의 단부는 소정의 높이로 그 외경에 걸처 턱(27)이 형성되어 실패(12)가 홀드 될 때 턱(27)에서 실패(12)가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패고정체(15a)의 절개공(28)으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탄성부재(16a)가 노출된다.
실시예와 같이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본체(11)는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되는 구조이고 모터(13)는 본체(11)에 피스로 고정되는 구조이다.
본 발명은 모터(13)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기어에서 발생하는 틸팅을 방지하고 실패(12)의 탈리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체의 결합구조는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 하로 비 전도체의 헬리컬기어(21a,21b)가 결합되고 하부 헬리컬기어(21a)에는 모터(13)의 회전축(도시되지않음)과 결합 고정되는 구조이고 상부 헬리컬기어(21b)에는 회전축(18)이 좌. 우로 노출되어 좌측에는 접지부(22)가 회전축(18)과 자유회전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우측에는 실패고정체(15a)가 결합된 고정축(17)이 결합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
모터(13)의 회전축(도시되지않음)은 본체(11)에 수용된 하부 헬리컬기어(21a)의 회전축(도시되지않음)과 결합하여 고정하고 본체(11)의 상부에 수용된 상부 헬리컬기어(21b)의 회전축(18)의 모터(13) 방향에 형성된 접지부(22)를 어스(earth)시킨다. 상부 헬리컬기어(21b)의 회전축(18) 다른 방향에는 고정축(17)을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고정축(17)에 실패고정체(15a)가 끼워지고 고정축(17)의 고정판(26)과 피스로 결합 고정하여 고정축(17)의 탄성부재(16a)가 실패고정체(15a)의 절개공(28)으로 노출되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패고정체(15a)에 실패(12)를 끼운다.
실패(12)를 끼울 때는 실패탈리방지부재(19)를 작동하여 고정축(17)과 같은 방향이 되게 한 후에 끼우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실패고정체(15a)에 실패(12)를 끼우게 되면 탄성부재(16a)에 의해 실패(12)가 간극이 없이 끼워지게 된다.
실패고정체(15a)에 실패(12)를 끼운 후에는 실패탈리방지부재(19)를 작동하여 꺽게 되면 실패(12)의 단부와 접촉하게 되고 실패탈리방지부재(19)가 꺽인 상태에서 스프링(24)의 탄력이 받침대(25)를 압박하므로서 상기 실패탈리방지부재(19)를 압박하게 되므로 실패(12)는 실패고정체(15a)의 턱(27)과 밀착하게 되고 실패(12)의 회전시 실패탈리방지부재(19) 방향으로 스프링(24)의 탄력 보다 큰 힘이 작용하지 않는 한 실패(12)는 탈리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 완료되면 모터(13)를 작동하여 금실(14)이 풀리면서 반도체 결합 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실패는 금실이 풀릴때 모터에서 발생하는 노이즈와 실패를 회전시키는 기어가 회전할 때 기어 탑과 탑 사이의 간극에 의해 발생하는 틸팅을 방지하므로서 실패의 작업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의 이상을 방지하여 작업의 연속성을 기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본체에 수용된 상. 하 기어의 하부 기어에 모터의 회전축이 연결되고 상부 기어 회전축에 실패가 결합된 실패고정체의 고정축이 결합되어 금실을 풀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에 있어서, 본체 내부에 수용되어 상. 하로 결합되고 비전도체의 재질로 구성된 헬리컬기어와 본체의 상부 좌. 우로 노출된 상부 헬리컬기어의 회전축과 상부 헬리컬기어 좌측 회전축에 금실이 풀리는 실패를 결합하는 실패고정체가 고정되며 탄성부재가 고정되고 고정판이 고정되는 고정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축의 단부에 스프링이 내재되고 스프링 위에는 받침대가 거치되며 상기 받침대 위에는 실패탈리방지부재가 양 방향으로 굴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받침대의 탈리를 차단하며 상기 스프링의 탄성이 실패탈리방지부재에 제공되므로서 실패탈리방지부재가 실패의 탈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 헬리컬기어의 우측 회전축 단부에 본체에 형성되는 전위를 제로로 하기 위해 접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KR1020050009942A 2005-02-03 2005-02-03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6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942A KR100619606B1 (ko) 2005-02-03 2005-02-03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942A KR100619606B1 (ko) 2005-02-03 2005-02-03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326A true KR20060089326A (ko) 2006-08-09
KR100619606B1 KR100619606B1 (ko) 2006-09-01

Family

ID=37177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942A Expired - Fee Related KR100619606B1 (ko) 2005-02-03 2005-02-03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606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53705A (ko) * 1995-12-14 1997-07-31 김광호 패키지 조립용 리드 프레임 공급장치
KR19980064247A (ko) 1996-12-19 1998-10-07 윌리엄비.켐플러 와이어 본딩 캐필러리의 연속 자동 회전
KR100420483B1 (ko) * 2001-07-25 2004-03-02 주식회사 팬탑 칩 마운터용 피더의 릴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9606B1 (ko) 2006-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38913B2 (ja) 締結装置
KR20130078565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20110050361A (ko) 자기제어식 밀폐형 전기 스위치 어셈블리
JP2012504934A (ja) ステッピングモータ
KR100619606B1 (ko) 반도체 접합용 와이어스풀의 노이즈와 틸팅의 방지장치
KR101105212B1 (ko) 배선용차단기의 스위치레버 전환장치
JP4979076B2 (ja) ロボット
JP2017121467A (ja) 掃除機用床ブラシ及びそれを具備する掃除機
KR101860437B1 (ko) 소방파이프용 조립장치
KR101783693B1 (ko) 누전차단기용 조작노브의 자동 복귀장치
JP4561196B2 (ja) インバータ装置
KR101197603B1 (ko) 스티어링 롤 커넥터의 오토락 구조
KR200414246Y1 (ko) 오작동 방지용 매입형 푸쉬버튼스위치
KR101715788B1 (ko) 배전케이블 고정장치
TWM537069U (zh) 緊固裝置
US10600585B2 (en) Gear unit housing cover interconnect within a circuit breaker
KR100567016B1 (ko) 컨베이어용 풀코드 스위치
KR101543112B1 (ko) 로봇발 지지 장치
CN107322630B (zh) 机器人关节绕线结构及机器人
CN207406587U (zh) 一种嵌入式连接结构
KR200428044Y1 (ko) 리미트 스위치 이중 장착용 작동 브라켓
KR200404396Y1 (ko) 다관절 로봇의 케이블 처리구조
RU2209313C2 (ru) Приво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ереключателя потока воздуха вентилятора
KR200379357Y1 (ko) 멀티텝
KR102540304B1 (ko) 진공 차단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20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5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5020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5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608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08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08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29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