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935A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935A
KR20060088935A KR1020050009430A KR20050009430A KR20060088935A KR 20060088935 A KR20060088935 A KR 20060088935A KR 1020050009430 A KR1020050009430 A KR 1020050009430A KR 20050009430 A KR20050009430 A KR 20050009430A KR 20060088935 A KR20060088935 A KR 20060088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ctive layer
circuit module
hybrid circuit
circuit board
driving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혁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8935A/ko
Publication of KR2006008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9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24F13/084Grilles, registers or guards with mounting arrangements, e.g. snap fasteners for mounting to the wall or 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70/00Maritime or waterways transpor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켜 PDP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샤시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실장되며 일측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 및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을 매립하는 열전도층을 포함한다.
PDP,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 샤시 베이스, 방열핀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PLASMA 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의 부분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층의 평면도.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이하 'PDP'라 한다)은 방전 셀 내에서 일어나는 기체 방전에 의한 진공 자외선으로 형광체를 여기 시켜 화상을 구현하는 표시 패널로서, 표시용량과 휘도, 콘트라스트, 시야각 등의 성능이 우수하고, 박형이면서 경량으로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상을 구현하는 PDP와, PDP를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와, PDP를 대향하여 샤시 베이스에 설치되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와, PDP와 샤시 베이스 및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를 감싸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스는 PDP의 전방에 위치하는 프런트 커버와, PDP의 후방에 위치하는 백 커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프런트 커버와 백 커버는 일반적으로 서로 분해 결합 가능한 결합 구조를 이룬다.
샤시 베이스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들은 파워 서플라이 보드, 이미지 처리 보드, 로직 보드, 어드레스 버퍼 보드, X보드, Y보드 등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보드에는 다수의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 및 소자들이 실장 된다.
그러나,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설치되는 스위칭 소자들은 고압의 전류 흐름으로 인해 발열이 심하고, 이러한 열을 외부로 충분히 방열시키지 못하면 스위칭 소자가 오작동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은 저전력 고효율 구동회로로 PDP 플라스마의 전기광학특성을 결정지어 주는 기능을 한다.
그런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은 PDP의 X전극과 Y전극을 제어함에 있어서 유지 펄스를 고주파로 발생시켜 고열을 발생하는 발열 칩셋을 포함한다.
특히, 고화질 구현과 함께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발열량도 증가하므로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효율적인 방열이 필수적이다.
또한,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로부터 발생되는 고열은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방열을 통해 PDP 구동에 적정한 온도 수준으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방열 성능을 향상시켜 PDP구동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샤시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실장되며 일측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 및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을 매립하는 열전도층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부분에 대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층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하 'PDP'라 한다)(10),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PBA ;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12), 샤시 베이스(14), 프런트 캐비닛(16), 백 커버(18), 열전도층(2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먼저, PDP(10)는 밀봉재에 의해 일체로 접합되는 프런트 패널(Rear Panel)과 리어 패널(Front Panel)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내부에 방전 셀 들을 구비하여 플라즈마 생성을 통한 가시광 방출로 임의의 칼라 영상을 구현한다.
PDP(10)는 기체 방전을 이용하여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러한 PDP(10)와 다른 구성 요소들의 결합 관계에 관한 것이므로 PDP(10)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DP(10)는 다양한 구성 및 방식의 PDP가 적용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샤시 베이스(14)는 PDP(10) 후면을 지지하며 다수의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를 탑재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는 설계도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에 부품들을 실장한 것이다.
샤시 베이스(14)는 백 커버(18)에 대향하는 후면에 파워 서플라이 보드, 이미지 처리 보드, 어드레스 버퍼 보드, X보드 및 Y보드와 같은 각종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들을 탑재하며, 인쇄회로보드(PCB) 상에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과 스위칭 소자들이 리드선을 통하여 전기적인 회로를 구성한다.
그리고, 샤시 베이스(14)는 PDP(10)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에서 발생하는 열을 발산시키기 위해 방열성이 양호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프런트 캐비닛(16)은 PDP(10) 전방에 위치한다.
프런트 캐비닛(16)은 PDP(10)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폐하여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도전막 필터(11)를 구비하며, 도전막 필터(11)가 PDP(10)의 프런트 패널과 접촉하도록 하고, 백 커버(18)에는 PDP(10)로부터 발생된 열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다수의 통기구멍이 형성된다.
이때,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PDP(10)에서 발생된 열을 장치의 외부로 방열하기 위하여 PDP(10)와 샤시 베이스(14) 사이에 열전도 시트를 구비하며, 또한 PDP(10)와 샤시 베이스(14)의 결합을 위한 양면 테이프를 구비한다.
열전도 시트는 PDP(10)의 방열 균형을 위하여 1장으로 구비되어 PDP(10)의 배면에 부착될 수도 있으나, PDP(10)와 샤시 베이스(14)의 결합력을 강화시켜 열전도 시트와 PDP(10)가 긴밀한 밀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예를 들어, 3장)로 구성할 수 있다.
열전도 시트가 복수로 분할 구성되어 PDP(10)에 부착되면, 분할된 열전도 시트의 사이사이에 양면 테이프를 구비할 수 있게 되고, 양면 테이프는 PDP(10)와 샤시 베이스(14)를 상호 부착시켜 양자의 결합력을 더욱 증가시키게 된다.
그러나, PDP(10)의 배면에 열전도 시트의 부착 면적이 저감되어 방열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게 되므로, 열전도 시트는 PDP(10)의 방열 불균형을 초래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한 개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열전도 시트는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열전도 시트의 소재는 아크릴계 열전도 시트, 그래파이트(graphite)계 열전도 시트, 금속계 열전도 시트, 또는 탄소 나노 튜브계 열전도 시트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백 커버(18)는 샤시 베이스(14) 후방에 위치하며 PDP(10)와 샤시 베이스(14)를 둘러싸도록 프런트 캐비닛(16)과 일체로 조립되어 외관을 구성한다.
열전도층(20)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이 내측에 매립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열전도층(20)은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둘레 방향에 구비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열전도층(20)은 열전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열전도층(20)은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방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전도성이 좋은 플라스틱을 이용해서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에 달려있는 소자들의 높이를 일정하게 맞추고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상, 하, 좌, 우 각각의 면들을 둘러싸도록 형성할 수 있다.
히트 싱크(24)는 열전도층(20)을 형성하는 각각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기능을 한다.
열전도층(20)은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구동 회로보드 반대측에 구비되는 히트 싱크의 일부를 매립한다.
열전도층(20)에 일부 매립되는 히트 싱크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에 직접 연결된다.
참고적으로, 열전도층(20)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을 매립한다.
이러한 경우 열전도층(20)은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과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 사이에 히트 싱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층(20)은 그 외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히트 싱크를 구비한다.
열전도층(20)을 형성하는 각각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히트 싱크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과 이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방열 구조 부분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열전도층(20)에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이 매립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에서 열전도층(20)의 평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는 샤시 베이스(14)에 구비된 보스(26)들에 나사(28)로 고정 장착되고,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에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을 비롯한 다양한 회로 소자들이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구동회로를 형성한다.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들은 PDP(10) 구동시 열을 발생시키므로 지속적으로 원활히 작동할 수 있도록 적절한 온도 상태로 방열되어야 한다.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들의 방열을 위하여 열전도층(20)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열전도층(20)은 샤시 베이스(14)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이 내측에 장착되고 해당되는 면에 히트 싱크(24)가 장착되도록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열전도층(20)은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과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를 상호 열전도 구조로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에서 발생되는 열을 그 일측으로 직접 전도 받아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를 통해 샤시 베이스(14)로 전달하여 방열시킴과 동시에 열전도층(20)의 각면에 장착되는 히트 싱크(24)를 통해 자체에서 대류 현상으로 방열시키는 구조를 형성하므로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방열 경로를 다각화하여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의 방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히트 싱크(24)는 열전도 성능이 우수하고 한정된 공간에서 방열 면적을 넓게 형성하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히트 싱크(24)에 의하여 방열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가 여러 곳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본 발명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의 가장 자리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히트 싱크(24)는 하나의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 별로 각각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인접하게 배치되는 경우라면 다수의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에 공동으로 구비되도록 설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의 회로를 설계함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을 의도적으로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의 외곽에 배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히트 싱크(24)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에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에 적용될 수 있으며,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의 가장 자리에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15)에만 선별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열전도층(20)의 외측면에 히트 싱크(24)를 장착한 상태에서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와 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열전도층(20)과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의 결합 방식을 개선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열전도층(20)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에 직접 부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열전도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와 히트 싱크(24)의 사이에 방열 패드를 개재함으로써 히트 싱크(24)와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의 면 접촉을 보다 긴밀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열전도층(20)이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을 가정하면, 방열 패드는 열전도층(20)의 하면과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12)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의 열전도 효 과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임에 유의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에서 발생되는 열을 열전도층을 통해 외부로 방열시킴으로써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방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측에 부착하여 지지하는 샤시 베이스;
    상기 샤시 베이스의 다른 일측에 장착되는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
    상기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에 실장되며 일측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되는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 및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을 매립하는 열전도층을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열전도성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구동 회로보드 반대측에 구비되는 히트 싱크의 일부를 매립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에 일부 매립되는 히트 싱크는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에 직접 연결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의 둘레 방향에 구비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와 설정된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을 매립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과 상기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 사이에 히트 싱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그 외측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히트 싱크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을 형성하는 각각의 외측면에 장착되는 히트 싱크는 상기 하이브리드 서킷 모듈과 이격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도층은 상기 히트 싱크와 상기 구동 회로보드 어셈블리의 사이에 방열 패드를 개재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050009430A 2005-02-02 2005-02-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89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430A KR20060088935A (ko) 2005-02-02 2005-02-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430A KR20060088935A (ko) 2005-02-02 2005-02-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935A true KR20060088935A (ko) 2006-08-07

Family

ID=37177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430A KR20060088935A (ko) 2005-02-02 2005-02-02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8893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887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3749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932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US7372700B2 (en) Plasma display device
KR10069649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893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57624B1 (ko) Pdp용 집적 파워 모듈
KR10068484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58932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50045141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4921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8932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0867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70884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6793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4921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7301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2605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모듈
KR10067052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100696498B1 (ko) 히트싱크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20080001114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004869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0160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KR20060061582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