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8275A -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 Google Patents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8275A
KR20060088275A KR1020050009110A KR20050009110A KR20060088275A KR 20060088275 A KR20060088275 A KR 20060088275A KR 1020050009110 A KR1020050009110 A KR 1020050009110A KR 20050009110 A KR20050009110 A KR 20050009110A KR 20060088275 A KR20060088275 A KR 20060088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etting
mode
movement pattern
mo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38072B1 (ko
Inventor
최은석
김동윤
방원철
조성정
오종구
기은광
조준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8072B1/ko
Priority to US11/329,047 priority patent/US7807913B2/en
Priority to EP06250397A priority patent/EP1686778A1/en
Publication of KR20060088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playing music fil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201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for movement interpretation, i.e. capturing and recognizing a gesture or a specific kind of movement, e.g. to control a musical instrument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20/00Input/output interfacing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20/155User input interfaces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2220/395Acceleration sensing or accelerometer use, e.g. 3D movement computation by integration of accelerometer data, angle sensing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i.e. gravity sen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이 개시된다.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는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모드 선택 인식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모드 선택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 및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소리신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여러 번의 버튼 조작을 할 필요 없이도 다양한 소리신호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up and generating an audio based on mo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움직임 패턴 및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소리신호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리 신호 설정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리 신호 설정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50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제70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100, 300: 모드 선택 인식부 110, 310: 움직임 감지부
120, 320: 움직임 패턴 인식부 130, 330: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
200, 400: 소리신호 검출부 220, 420: 소리신호 설정부
340: 소리 발생부
본 발명은 3차원 공간상에 정해진 동작을 취하면 이를 움직임 측정 센서로 측정하고, 측정된 신호를 인식하여, 인식된 결과를 해당하는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소리 발생장치는 음의 요소 중 정해진 소리신호만 낼 수 있거나, 소리 신호를 바꾸려면 버튼을 통해서 변경하여야 한다. 만약, 하나의 버튼으로 하나의 소리신호에 대해서만 선택할 수 있다면, 다양한 소리신호를 위해서는 여러 개의 버튼이 필요하다.
따라서, 종래의 경우에 여러 개의 버튼으로 인하여 소리 발생장치의 소형화가 어렵다.
또한, 다른 소리신호를 선택하기 위하여 하나의 버튼을 이용한다면, 동일한 버튼에 대해 순차적으로 여러 번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소리신호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를 구비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다양한 소리신호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을 포함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는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모드 선택 인식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모드 선택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 및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 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는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모드 선택 인식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모드 선택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 및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은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사용자가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및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은 (a)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b) 사용자가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c)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d)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고,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e) 사용 자가 소리 발생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f)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및 (g)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모드 선택 인식부(100), 움직임 감지부(110),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 및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130)로 구성된다.
모드 선택 인식부(100)는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한다. 소리 설정모드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소리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모드이다. 이에 비해, 소리 발생모드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반하여 소리를 발생하기 위한 사용자의 선택 모드이다. 모드 선택 인식부(100)는 사용자가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는지, 소리 발생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로 출력한다.
모드 선택 인식부(100)는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및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거나, 음성을 입력하거나, 카메라에 특정의 영상을 입력하거나, 생체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손가락의 지문 등의 생체 신호를 말한다)를 입력하면, 모드 선택 인식부(100)는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 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한다.
움직임 감지부(110)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소정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소정 장치는 휴대폰 또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움직임 감지부(110)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임각(tilt)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소정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소정 장치의 가속도와 각속도 등이 변화하는데, 이러한 가속도 및 각속도 변화 등을 감지하기 위해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임각(tilt) 센서 등을 구비한다. 각속도 센서는 소정 장치의 각속도, 즉 소정 장치가 좌/우로 움직이느냐 또는 위/아래로 움직이느냐 또는 시계/반시계 방향으로 움직이느냐를 감지하고 감지된 각속도에 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또한, 가속도 센서는 소정 장치의 가속도, 즉 소정 장치의 움직임 속도 변화를 감지하고 감지된 가속도에 대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한다. 기울임각(tilt) 센서는 소정 장치의 중력 방향에 대한 기울어진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는 모드 선택 인식부(100)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움직임 감지부(110)의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도 2는 움직임 패턴 및 움직임 패턴에 대응하는 소리신호의 종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는 움직임 감지부 (110)에서 감지된 소정 장치의 움직임이 어떠한 움직임이었는가에 대해 인식한다. 즉, 소정 장치가 좌우로 움직였는지, 상하로 움직였는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이 어떤 숫자를 표현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는지를 인식한다.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130)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소리 신호 설정 제어부(13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소리신호 검출부(200) 및 소리신호 설정부(220)로 구성된다.
소리신호 검출부(200)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소리신호 설정부(220)로 출력한다. 도 2를 가지고 예를 들면, 움직임 패턴 인식부(120)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이 숫자 "3"이라는 움직임 패턴이었다면, 소리신호 검출부(200)는 숫자 "3"의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첼로"라는 소리신호를 검출한다.
소리신호 설정부(220)는 소리신호 검출부(200)에서 검출된 소리 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한다. 도 2를 가지고 예를 들면, 소리신호 검출부(200)에서 "첼로"라는 소리신호가 검출되었다면, 소리신호 설정부(220)는 "첼로"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모드 선택 인식부(300), 움직임 감지부(310), 움직임 패턴 인식 부(320),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330) 및 소리 발생부(340)로 구성된다.
모드 선택 인식부(300)는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임직임 패턴 인식부(320)로 출력한다. 모드 선택 인식부(300)는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및 생체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손가락의 지문 등의 생체 신호를 말한다)의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모드 선택 인식부(3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모드 선택 인식부(100)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움직임 감지부(310)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로 출력한다. 여기서, 소정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소정 장치는 휴대폰 또는 개인 휴대용 정보 단말기(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용 기기를 포함한다. 움직임 감지부(310)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임각(tilt)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움직임 감지부(3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움직임 감지부(110)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는 모드 선택 인식부(300)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움직임 감지부(310)의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330) 및 소리 발생부(340)로 출력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는 움직임 감지부(310)에 서 감지된 소정 장치의 움직임이 어떠한 움직임이었는가에 대해 인식한다. 예를 들어, 모드 선택 인식부(300)로부터 소리 설정모드에 대한 인식 결과를 입력받고, 움직임 감지부(310)의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이 숫자 "3"이라는 움직임 패턴이었다고 가정하면,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는 움직임 감지부(310)의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이 "3"이라고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330)로 출력한다.
한편, 모드 선택 인식부(300)로부터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인식 결과를 입력받으면,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는 소리 발생을 위한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소리 발생부(340)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소리 발생을 위한 소정장치의 움직임 패턴이 좌우 운동 또는 상하 운동이라 한다면,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는 움직임 감지부(310)에서 감지된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이 좌우 운동 또는 상하 운동인가를 인식하고, 인식한 결과를 소리 발생부(340)로 출력한다.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330)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리 신호 설정 제어부(330)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블록도로서, 소리신호 검출부(400) 및 소리신호 설정부(420)로 구성된다.
소리신호 검출부(400)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하고, 검출된 결과를 소리신호 설정부(420)로 출력한다. 소리신호 검출부(40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소리신호 검출부(200)와 동일 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소리신호 설정부(420)는 소리신호 검출부(400)에서 검출된 소리 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한다. 소리신호 설정부(42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전술한 소리신호 설정부(220)와 동일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한다.
소리 발생부(340)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320)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킨다.
소리 발생부(340)는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에 대한 다양한 소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저장매체는 도 2에 도시된 다양한 소리신호에 대한 소리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소리 발생부(340)는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또는 소리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한다(제500 단계). 사용자의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및 생체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손가락의 지문 등의 생체 신호를 말한다)의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거 나, 음성을 입력하거나, 카메라에 특정의 영상을 입력하거나, 생체 신호를 입력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한다.
제5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한다(제502 단계). 소정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소정 장치의 가속도와 각속도 등이 변화하는데, 이러한 가속도 및 각속도 변화 등을 감지한다.
제502 단계 후에,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한다(제504 단계). 즉, 소정 장치가 좌우로 움직였는지, 상하로 움직였는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이 어떤 숫자를 표현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는지를 인식한다.
제504 단계 후에,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한다(제506 단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50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한다(제600 단계). 도 2를 가지고 예를 들면, 제504 단계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이 숫자 "3"이라는 움직임 패턴이었다면, 숫자 "3"의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첼로"라는 소리신호를 검출한다.
제600 단계 후에, 검출된 소리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한다(제602 단계). 도 2를 가지고 예를 들면, 제600 단계에서 "첼로"라는 소리신호가 검출되었다면, "첼로"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한다(제700 단계). 사용자의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생체 신호(예를 들어, 사용자의 눈동자 또는 손가락의 지문 등의 생체 신호를 말한다)의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사용자가 버튼을 조작하거나, 음성을 입력하거나, 카메라에 특정의 영상을 입력하거나, 생체 신호를 입력하면, 이러한 사용자의 동작을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한다.
제7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한다(제702 단계). 소정 장치의 움직임에 따라 소정 장치의 가속도와 각속도 등이 변화하는데, 이러한 가속도 및 각속도 변화 등을 감지한다.
제702 단계 후에,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한다(제704 단계). 즉, 소정 장치가 좌우로 움직였는지, 상하로 움직였는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이 어떤 숫자를 표현하기 위한 움직임이었는지를 인식한다.
제704 단계 후에,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한다(제706 단계).
도 9는 도 9에 도시된 제706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일 실시예의 플로차트이다.
먼저,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한다(제800 단계).
제800 단계 후에, 검출된 소리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한다(제802 단계).
제706 단계 후에,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다시 한번 인식한다(제700 단계).
이때, 제700 단계에서, 사용자가 소리 발생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한다(제708 단계).
제708 단계 후에,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한다(제710 단계). 예를 들어, 소리 발생을 위한 소정장치의 움직임 패턴이 좌우 운동 또는 상하 운동이라 한다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이 좌우 운동 또는 상하 운동인가를 인식한다.
제710 단계 후에,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킨다(제712 단계).
이러한 본원 발명인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은 다양한 음의 요소를 선택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버튼을 조작하거나 여러 번의 버튼 조작을 할 필요 없이도 다양한 음의 요소를 사용자의 동작에 따라 설정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 발생장치의 기기 구성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리를 발생하는 상황에서도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손쉽게 소리 신호를 변경할 수 있다.

Claims (18)

  1.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모드 선택 인식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모드 선택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 및
    상기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모드 선택 인식부는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및 생체 신호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상기 소리 설정모드 또는 상기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움직임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임각(tilt)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하는 소리신호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소리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신호로서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는
    상기 소정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
  6.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모드 선택 인식부;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를 감지신호로서 출력하는 움직임 감지부;
    상기 모드 선택 인식부의 인식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감지신호에 상응하는 상기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움직임 패턴 인식부;
    상기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 및
    상기 움직임 패턴 인식부에서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소리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모드 선택 인식부는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및 생체 신호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상기 소리 설정모드 또는 상기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움직임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지자기 센서 및 기울임각(tilt) 센서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신호 설정 제어부는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하는 소리신호 검출부; 및
    상기 검출된 소리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하는 소리신호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부는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에 대한 다양한 소리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발생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피커 또는 소리 출력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는
    상기 소정 장치가 휴대용 단말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장치.
  13. (a)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 계;
    (b)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및
    (d)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a) 단계는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및 생체 신호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상기 소리 설정모드 또는 상기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d) 단계는
    (d1)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d2) 상기 검출된 소리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
  16. (a) 소리 설정모드 또는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을 인식하는 단계;
    (b)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리 설정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c) 상기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d)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도록 소리신호를 설정하고, 상기 (a) 단계로 진행하는 단계;
    (e) 상기 사용자가 상기 소리 발생모드를 선택하였다고 인식하면, 상기 소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단계;
    (f) 상기 소정 장치의 움직임 패턴을 인식하는 단계; 및
    (g)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a) 단계는
    버튼의 조작, 음성 입력, 카메라에 의한 영상 입력 및 생체 신호 입력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상기 사용자의 동작을 상기 소리 설정모드 또는 상기 소리 발생모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선택으로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발생방법.
  18. 제 16항에 있어서, (d) 단계는
    (d1) 상기 인식된 움직임 패턴에 상응하는 소리신호를 검출하는 단계; 및
    (d2) 상기 검출된 소리신호를 소리 발생을 위한 소리 신호로서 설정하는 단 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방법.
KR1020050009110A 2005-02-01 2005-02-01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KR1007380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110A KR100738072B1 (ko) 2005-02-01 2005-02-01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US11/329,047 US7807913B2 (en) 2005-02-01 2006-01-11 Motion-based sound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tion-based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EP06250397A EP1686778A1 (en) 2005-02-01 2006-01-25 Motion-based sound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tion-based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9110A KR100738072B1 (ko) 2005-02-01 2005-02-01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275A true KR20060088275A (ko) 2006-08-04
KR100738072B1 KR100738072B1 (ko) 2007-07-12

Family

ID=36146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9110A KR100738072B1 (ko) 2005-02-01 2005-02-01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07913B2 (ko)
EP (1) EP1686778A1 (ko)
KR (1) KR10073807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7129B1 (ko) * 2010-04-23 2012-06-22 (재) 전라남도문화산업진흥원 동작 기반의 음악 구절 표현 방법, 음악 검색 방법 및 음악 검색 장치
KR101284977B1 (ko) * 2006-08-21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노트북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303755B1 (ko) * 2011-05-19 2013-09-04 (주)클루소프트 모션 기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
US10114542B2 (en) 2014-07-2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10216729B2 (en) 2013-08-28 2019-02-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device and hands-free device for hands-free automatic interpretation service, and hands-free automatic interpretation service method
KR20190058076A (ko) * 2017-11-21 2019-05-2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전도를 이용한 음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0325A (ko) * 2020-02-06 2021-08-1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알람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87806A1 (en) * 2010-05-18 2011-11-24 Preetha Prasanna Vasudevan Motion-based tune composition on a mobile device
US20120116714A1 (en) * 2010-08-03 2012-05-10 Intellisysgroup Llc Digital Data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Skateboarding and Other Social Sporting Activities
JP5338794B2 (ja) * 2010-12-01 2013-11-1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演奏装置および電子楽器
JP2013213744A (ja) 2012-04-02 2013-10-17 Casio Comput Co Ltd 姿勢検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44099B2 (ja) * 2012-04-02 2016-12-1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姿勢検出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213946A (ja) * 2012-04-02 2013-10-17 Casio Comput Co Ltd 演奏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EP3122173B2 (en) 2014-03-26 2024-05-29 SCR Engineers Ltd Livestock location system
WO2016166687A1 (en) 2015-04-14 2016-10-20 Dsp4You Ltd. Positioning an output element within a three-dimensional environment
JP7140447B2 (ja) * 2016-12-25 2022-09-21 ミクティック アーゲー 感知ユニットの動きからの少なくとも1つの検出される力を聴覚信号に変換す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77311A (en) * 1987-01-14 1993-01-05 Yamaha Corporation Musical tone control apparatus
US5541358A (en) * 1993-03-26 1996-07-30 Yamaha Corporation Position-based controller for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5920024A (en) 1996-01-02 1999-07-06 Moore; Steven Jerome Apparatus and method for coupling sound to motion
US7297856B2 (en) * 1996-07-10 2007-11-20 Sitrick David H System and methodology for coordinating musical communication and display
GB2347593B (en) 1999-01-06 2001-05-23 Motorola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motion to input information to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010035087A1 (en) * 2000-04-18 2001-11-01 Morton Subotnick Interactive music playback system utilizing gestures
US6867361B2 (en) * 2000-09-05 2005-03-15 Yamah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tone in response to movement of portable terminal
DE60132963T2 (de) * 2000-09-05 2009-04-16 Yamaha Corporation, Hamamatsu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Tonerzeugung in Abhängigkeit der Bewegung eines tragbares Terminals
CN1287733C (zh) * 2001-03-06 2006-12-06 微石有限公司 身体动作检测装置
JP4779264B2 (ja) * 2001-09-05 2011-09-28 ヤマハ株式会社 移動通信端末、楽音生成システム、楽音生成装置および楽音情報提供方法
KR100833225B1 (ko) * 2001-12-05 2008-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 인식을 기반으로 하는 리모트 컨트롤 장치 및 방법
JP3867630B2 (ja) * 2002-07-19 2007-01-10 ヤマハ株式会社 楽曲再生システム、楽曲編集システム、楽曲編集装置、楽曲編集端末、楽曲再生端末及び楽曲編集装置の制御方法
KR20050019171A (ko) * 2003-08-18 2005-03-03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움직임을 감지하여 벨소리/진동량을 조절하는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68298B1 (ko) * 2004-03-26 200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움직임에 기반한 소리 발생 방법 및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977B1 (ko) * 2006-08-21 2013-08-23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속도 센서를 이용한 노트북 도난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157129B1 (ko) * 2010-04-23 2012-06-22 (재) 전라남도문화산업진흥원 동작 기반의 음악 구절 표현 방법, 음악 검색 방법 및 음악 검색 장치
KR101303755B1 (ko) * 2011-05-19 2013-09-04 (주)클루소프트 모션 기반 의사전달 장치 및 방법
US10216729B2 (en) 2013-08-28 2019-02-2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Terminal device and hands-free device for hands-free automatic interpretation service, and hands-free automatic interpretation service method
US10114542B2 (en) 2014-07-24 2018-10-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controlling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90058076A (ko) * 2017-11-21 2019-05-2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근전도를 이용한 음향, 조명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20210100325A (ko) * 2020-02-06 2021-08-17 전주비전대학교산학협력단 스마트 알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07913B2 (en) 2010-10-05
EP1686778A1 (en) 2006-08-02
US20060170562A1 (en) 2006-08-03
KR100738072B1 (ko) 200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8072B1 (ko) 움직임 기반 소리 설정장치와 소리 발생장치 및 움직임기반 소리 설정방법과 소리 발생방법
US10884509B2 (en) Performing an action associated with a motion based input
RU2690202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жеста
KR20150006191A (ko) 파노라마 이미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4657072B (zh) 一种触发执行操作指令的方法和装置
US20120253803A1 (en) Voice recognition device and voice recognition method
JP2005292829A (ja) 動き基盤の音声発生方法および装置
KR20100136649A (ko) 휴대단말기의 근접 센서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현 방법 및 장치
CN110931048B (zh) 语音端点检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10612918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and method for calculating a bending angle
CN103631375B (zh) 根据电子设备中的情形感知控制振动强度的方法和设备
KR101160872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2271184B1 (ko) 영상 투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2907725A (zh) 图像生成、图像处理模型的训练、图像处理方法和装置
KR101286412B1 (ko) 다중기능 가상 사용자 입력 장치 및 방법
CN110600034B (zh) 歌声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662740B1 (ko) 사용자 손가락들의 모션에 기반한 한글 입력 방법 및 장치
CN114299935A (zh) 唤醒词识别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3362836B (zh) 训练声码器方法、终端及存储介质
KR20140117771A (ko) 움직임 센서 기반의 휴대용 자동 통역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N113744736A (zh) 命令词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1171054B1 (ko) 휴대 단말기 파지 패턴의 적응적 학습 장치 및 방법
CN115394285A (zh) 语音克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333821A (zh) 电梯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存储介质及产品
KR101459050B1 (ko) 단말기의 잠금 설정 및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