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0872B1 -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0872B1
KR101160872B1 KR1020050018136A KR20050018136A KR101160872B1 KR 101160872 B1 KR101160872 B1 KR 101160872B1 KR 1020050018136 A KR1020050018136 A KR 1020050018136A KR 20050018136 A KR20050018136 A KR 20050018136A KR 101160872 B1 KR101160872 B1 KR 10116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ortable terminal
unit
function mode
output inte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8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869A (ko
Inventor
김윤상
소병석
조준기
박준아
김기응
심정현
이현정
조성정
양경혜
장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8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0872B1/ko
Priority to US11/291,927 priority patent/US8237552B2/en
Publication of KR2006009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6Input arrangements with force or tactile feedback as computer generated output to the us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384Key input means, e.g. buttons or keypa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352Input means
    • H04N1/00403Voice input means, e.g. voice comm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37Intelligent menus, e.g. anticipating user sel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패턴, 사용자의 음성,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사용하려고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지하고, 인지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the input/output interface and apparatus thereof}
도 1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접촉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인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7은 접촉 센서부 또는 움직임 센서부를 입력부로 사용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하는 패턴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영역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하는 영역, 사용자의 음성,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기초하여 사용자가 선택하려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지하고, 인지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셀룰러 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상기 셀룰러 폰,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질적인 기능인 통화 또는 정보의 저장 및 처리 기능 이외에 디지털 사진의 촬영, SMS 문자 의 송수신, 동영상 촬영, 전자 사전 등과 같은 다양한 기능이 하나의 휴대용 단말기에 통합되어 제작되고 있다.
도 1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도시하고 있다. 최근에 보급되고 있는 셀룰러 폰은 카메라 모듈(10) 및 상기 카메라 모듈(10)을 이용하여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20, 30, 50, 52, 60)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가 셀룰러 폰에 구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10)을 사용하여 소정의 피촬영체를 촬영하려고 할 때, 사용자는 상기 셀룰러 폰에 구비되어 있는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20)를 사용하여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한다. 사진 촬영 모드로 전환되면, 셀룰러 폰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40)에는 사진 촬영 모드에 속하는 다수의 기능들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50, 52)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 모드들 중 소정의 기능을 선택한다. 사용자가 사진 촬영을 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상기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50, 52)를 통해 선택하면, 상기 셀룰러 폰에 구비되어 있는 디스플레이부(40)에는 카메라 렌즈를 통해 촬영되는 피촬영체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상기 피촬영체를 촬영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또 다른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60)를 통해 입력하여 상기 피촬영체를 촬영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는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소정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다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선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또 다른 다수의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 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휴대용 단말기의 외관 표면에 금형으로 제작된 버튼 등으로 제작되는데, 상기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는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휴대용 단말기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게 된다. 따라서, 소형화 및 박형화를 추구하는 현대인의 취향을 만족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를 제작하는데 많은 곤란함이 있다. 또한, 소정의 기능 모드에 필요로 하지 않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도 항상 휴대용 단말기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며 구비되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지하고, 인지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소정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지하고, 인지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활성화를 제어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a 단계),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b 단계) 및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도록 활성화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단계(c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은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2를 참고로, 본 발명의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입력부(210), 인식부(220), 활성화부(230) 및 제1 저장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PDA, 셀룰러 폰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다. 상기 사용자 명령은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들 중 소정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 음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통상의 버튼식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외한 여러 방식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220)는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 상기 인식부(220)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데 기준이 되는 인식 모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작업을 처리하는 소정의 마이컴(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인식부(220)는 상기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저장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거나 또는 상기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소정의 저장매체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 4 내지 6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상응하는 인식부의 기능 블록도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활성화부(230)는 제1 제어부(232) 및 구동부(234)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한다. 여기서, 물리적 접촉 느낌이란 사용자가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구별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본체와 다른 입출력 인터페이스의 접촉 느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물리적 접촉 느낌은 압감, 통감, 근감각감(딱딱함, 물렁함), 촉감(거칠기, 매끄러움), 냉감, 온감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리적 접촉 느낌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서 돌출하는 버튼,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다른 접촉 느낌의 재질 등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220)를 통해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가 인식되면, 상기 제1 제어부(232)는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만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활성화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구동부(234)는 상기 제1 제어부(232)에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되는 dc 모터, 피에조 모터 등과 같은 전기 모터 계열과 진동모터, 진동필름 등 진동력을 이용한 진동모터 계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34)는 전기 신호의 기계적 변화를 통해 상기 물리적 접촉 느낌을 생성하며,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와 다른 물리적 접촉 느낌을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른 종류의 구동부(234)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구동부(234)를 통해 활성화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미도시)는 상기 구 동부(234)에 의해 돌출되는 버튼 등과 같은 하우징(미도시), 사용자가 상기 하우징에 압력을 가할 경우 상기 하우징에 매핑된 소정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스위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의 기능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을 참고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입력부(310), 인식부(320), 활성화부(330), 제1 저장부(340), 제2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력부(310), 인식부(320) 및 활성화부(330)는 도 2에서 도시되어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입력부(210), 인식부(220) 및 활성화부(23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제1 저장부(340)에는 상기 활성화부(330)를 통해 활성화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에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2 제어부(350)는 상기 인식부(320)를 통해 인식된 기능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저장부(340)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을 상기 디스플레이부(360)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한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인식부(330)를 통해 인식된 기능 모드에 기초하여, 자동으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활성화한다.
도 4는 접촉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를 참고로, 본 발명의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접촉 센서부(410), 인식부(420), 활성화부(미도시), 제1 저장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활성화부(미도시), 제1 저장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활성화부(330), 제1 저장부(340), 제2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하나 또는 다수의 접촉 센서부(410)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접촉 센서부(410)를 통해 센싱된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여부에 의해 입력된다. 상기 접촉 센서부(410)는 사용자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소정 영역을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센싱하고, 센싱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접촉 센서부(410)는 압력 센서 또는 감열 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식부(420)는 제1 판단부(422), 제2 저장부(424), 제1 비교부(426) 및 제1 기능 모드 인식부(42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접촉 센서부(410)의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 상기 제1 판단부(422)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센서부(410)를 통해 출력된 센싱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와 접촉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영역을 판단한다. 상기 제2 저장부(424)에는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1 비교부(426)는 상기 제1 판단부(422)를 통해 판단된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저장부(424)에 저장되어 있는 인식 모델을 비교한다. 상기 제1 기능 모드 인식부(428)는 상기 제1 비교부(426)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 상기 활성화부(미도시)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인식부(420)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도 5는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를 참고로, 본 발명의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변환부(510), 인식부(520), 활성화부(미도시), 제1 저장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활성화부(미도시), 제1 저장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활성화부(330), 제1 저장부(340), 제2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소정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음성을 통해 입력한다. 상기 변환부(510)는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변환부(510)를 통해 출력된 전기 신호는 각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특정 기본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이다.
상기 인식부(520)는 제2 비교부(522), 제3 저장부(524) 및 제2 기능 모드 인식 부(526)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변환부(510)를 통해 출력된 전기 신호에 상응 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 상기 제3 저장부(524)는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2 비교부(522)는 상기 변환부(510)를 통해 변환된 전기 신호와 상기 제3 저장부(524)에 저장되어 있는 인식 모델을 비교한다. 상기 제2 기능 모드 인식부(526)는 상기 제2 비교부(522)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가 휴대용 단말기에 통합된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어떠한 기능 모드인지를 인식한다. 상기 활성화부(미도시)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인식부(520)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도 6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의 인식부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을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는 움직임 센서부(610), 인식부(620), 활성화부(미도시), 제1 저장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활성화부(미도시), 제1 저장부(미도시), 제2 제어부(미도시) 및 디스플레이부(미도시)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활성화부(330), 제1 저장부(340), 제2 제어부(350) 및 디스플레이부(360)와 동일하게 작동하며, 설명의 간소화를 위해 이에 대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소정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상기 움직임 센서부(610)를 통해 센싱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의해 입력된다. 상기 움직임 센서부(610)는 상기 휴대 용 단말기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정도 또는 중력과 상기 기준 축이 이루는 방향 등과 같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 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각속도 센서, 각가속도 센서 등 또는 이들의 조합이 움직임 센서부(610)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 따라 다른 종류의 움직임 센서부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인식부(620)는 제2 판단부(622), 제4 저장부(624), 제3 비교부(626) 및 제3 기능 모드 인식부(62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센싱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 상기 제2 판단부(622)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610)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한다. 상기 판단부(622)는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각도 또는 중력과 이루는 각도 등을 판단한다. 상기 제4 저장부(624)는 상기 판단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다. 상기 제3 비교부(626)는 상기 판단부(622)를 통해 판단된 움직임과 상기 제4 저장부(624)에 저장되어 있는 인식 모델을 비교한다. 상기 제3 기능 모드 인식부(628)는 상기 제3 비교부(626)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
상기 활성화부(미도시)의 제1 제어부 및 제2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인식부(620)의 인식 결과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
도 7은 접촉 센서부 또는 움직임 센서부를 통해 사용자 입력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다수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사용자의 파지 패턴을 도시하고 있다. 사용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통합되어 있는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소정 기능 모드를 사용하기 위해 서로 다른 패턴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다. 상기 서로 다른 파지 패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회전 각도 및 중력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서로 다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을 참고로,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된다(단계 810).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통해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의 음성으로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휴대용 단말기의 다수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단계 820).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되며(단계 830),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활성화되도록 제어된다(단계 840).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의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구동된다. 한편,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 신호가 생성되며,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된다.
도 9는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영역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소정 영역을 접촉하였는지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910).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싱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사용자의 접촉 영역을 판단한다(단계 920).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과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비교한다(단계 930).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접촉 영역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단계 940). 상기 인식된 기능모드에 상응하여 활성화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단계 95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960).
도 10은 사용자 음성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의 다수 기능 모드들 중에서 소정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고(단계 1010), 상기 사용자 음성을 상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단계 1020).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와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비교한다(단계 1030).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사용자 음성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단계 1040). 상기 인식된 기능모드에 상응 하여 활성화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단계 105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1060).
도 11은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고로,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 축에 대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회전한 각도 또는 중력과 이루는 각도를 센싱하고, 상기 센싱 결과에 상응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한다(단계 1110). 상기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한다(1120). 상기 판단된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과 상기 판단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비교한다(단계 1130).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한다(단계 1140). 상기 인식된 기능모드에 상응하여 활성화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거나(단계 1150)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한다(1160).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 또는 사용자 음성 등을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만을 구동하여 줌으로써, 소형화 또는 박형화를 추구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만족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는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활성화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소정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노력과 시간을 덜어준다.

Claims (22)

  1.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인식부; 및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는 활성화부를 포함하며,
    상기 인식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 패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파지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화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1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접촉 느낌은
    압감, 통감, 근감각감, 촉감, 냉감, 온감, 상기 휴대용 단말기 본체에서 돌출하는 버튼 및 상기 휴대용 단말기와 다른 접촉 느낌의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제 1 저장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에 기초하여 활성화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모델 또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모델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의 접촉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부를 통해 출력된 센싱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와 접촉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영역을 판단하는 제1 판단부;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제2 저장부;
    상기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접촉 영역과 상기 제2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식 모델을 비교하는 제1 비교부; 및
    상기 제1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제1 기능 모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부는 입력된 음성을 상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제3 저장부;
    상기 변환부를 통해 변환된 전기 신호와 상기 제3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식 모델을 비교하는 제2 비교부; 및
    상기 제2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제2 기능 모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기 위한 움직임 센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부는
    상기 움직임 센서부로부터 출력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제2 판단부;
    상기 판단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저장하고 있는 제4 저장부;
    상기 제2 판단부를 통해 판단된 움직임과 상기 제4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인식 모델을 비교하는 제3 비교부; 및
    상기 제3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제3 기능 모드 인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장치.
  12.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 명령을 입출력하기 위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단계;
    (b) 상기 입력된 사용자 명령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 및
    (c)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물리적 접촉 느낌을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파지 패턴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파지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에 의해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도록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 스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인 접촉 느낌은
    진동,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돌출하는 버튼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된 기능 모드에 상응하여 디스플레이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 GUI)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면 중 사용자와 접촉한 영역을 센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상기 센싱된 신호를 조합하여 사용자와 접촉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접촉 영역을 판단하는 단계;
    (b2)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과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비교하는 단계; 및
    (b3)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된 접촉 영역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음성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 단계는 입력된 음성을 상응하는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와 상기 변환된 전기 신호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된 음성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0.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명령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설정된 소정의 기준 축을 기준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통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a)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센싱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움직임을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된 움직임과 상기 판단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기 위한 인식 모델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판단된 움직임에 상응하는 기능 모드를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22. 제 12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KR1020050018136A 2005-03-04 2005-03-04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10116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136A KR101160872B1 (ko) 2005-03-04 2005-03-04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1/291,927 US8237552B2 (en) 2005-03-04 2005-12-02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input/output interfa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8136A KR101160872B1 (ko) 2005-03-04 2005-03-04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869A KR20060096869A (ko) 2006-09-13
KR101160872B1 true KR101160872B1 (ko) 2012-07-02

Family

ID=36943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8136A KR101160872B1 (ko) 2005-03-04 2005-03-04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237552B2 (ko)
KR (1) KR1011608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6715B2 (en) 2015-11-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s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05603B2 (en) * 2005-10-14 2013-03-26 Google Inc. Service processor for controlling a user interface
US7876199B2 (en) 2007-04-04 2011-01-25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skin texture surface on a device using a shape memory alloy
US8866641B2 (en) 2007-11-20 2014-10-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keypad of a device
KR101497703B1 (ko) * 2008-08-22 2015-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정보 제공 방법
KR100981200B1 (ko) * 2009-06-02 2010-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움직임 센서를 장착한 이동 단말기 및 제어 방법
US20110074573A1 (en) * 2009-09-28 2011-03-31 Broadcom Corporation Portable device with multiple modality interfaces
KR101517459B1 (ko) 2011-06-23 2015-05-04 후아웨이 디바이스 컴퍼니 리미티드 핸드헬드형 단말 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자동으로 스위칭하는 방법, 및 핸드헬드형 단말 기기
KR101929297B1 (ko) * 2012-04-27 2019-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반응성 개선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9807308B2 (en) * 2015-01-19 2017-10-31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Personal camera companion for real-time streaming
KR102390853B1 (ko) 2015-03-26 2022-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TW554282B (en) * 2001-03-15 2003-09-21 Curtis Whitcomb Ergonomic computer mouse
US7068256B1 (en) * 2001-11-20 2006-06-27 Palm, Inc. Entering and exiting power modes and activating hand writing presentation display triggered by electronic muscle material
CN1666169B (zh) * 2002-05-16 2010-05-05 索尼株式会社 输入方法和输入装置
US20060170669A1 (en) * 2002-08-12 2006-08-03 Walker Jay S Digital picture frame and method for editing
KR20040032243A (ko) 2002-10-08 2004-04-17 에스케이텔레텍주식회사 음성인식을 이용한 제한된 메뉴사용방법 및 그를 이용한휴대전화기
KR100582349B1 (ko) 2002-12-12 2006-05-22 주식회사 팬택 단말기에 있어서 움직임에 의한 기능 설정 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6715B2 (en) 2015-11-12 2020-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operations according to proximity of external obje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7860A1 (en) 2006-09-07
US8237552B2 (en) 2012-08-07
KR20060096869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0872B1 (ko) 입출력 인터페이스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30333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display method
US8532871B2 (en) Multi-modal vehicle operating device
US20040196400A1 (en) Digital camera user interface using hand gestures
US7807913B2 (en) Motion-based sound setting apparatus and method and motion-based sound generating apparatus and method
KR101795574B1 (ko) 모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US8139030B2 (en) Magnetic sensor for use with hand-held devices
US7944432B2 (en) Data input device, data input method, data input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wherein such data input program is recorded
US20070176898A1 (en) Air-writing and motion sensing input for portable devices
JP2013235588A (ja) 空間上の相互作用に基づく端末の制御方法及びその端末
JP2007164814A (ja) インタフェース装置
KR101340794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구동 방법
US90318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multimodal tags in a communication device by discarding redundant information in the tags training signals
KR101053411B1 (ko) 문자 입력 방법 및 그 단말기
KR101171054B1 (ko) 휴대 단말기 파지 패턴의 적응적 학습 장치 및 방법
KR20060035148A (ko) 모바일 기기의 동작 인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의동작 인식 방법
KR101545702B1 (ko) 감지 데이터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휴대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JP2011039765A (ja) 機能起動装置および機能起動方法
KR102026941B1 (ko) 후면에 지문인식센서를 구비한 스마트폰의 제어방법
US202300407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KR200352488Y1 (ko) 원격제어기능을 구비한 카메라 내장용 개인통신기기
JP2014021893A (ja) 情報処理装置、操作信号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321555U (en) Cursor moving controller of hand-hel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