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966A -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966A
KR20060087966A KR1020050008863A KR20050008863A KR20060087966A KR 20060087966 A KR20060087966 A KR 20060087966A KR 1020050008863 A KR1020050008863 A KR 1020050008863A KR 20050008863 A KR20050008863 A KR 20050008863A KR 20060087966 A KR20060087966 A KR 20060087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time
bit stream
channel
deco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3253B1 (ko
Inventor
임진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325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9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3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3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1/00Communication cables or conductors
    • H01B11/02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 H01B11/06Cables with twisted pairs or quads with means for reducing effects of electromagnetic or electrostatic disturbances, e.g. scre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채널이 변환되어 타임 스탬프(Time Stamp)의 기준이 되는 시스템 타임 클럭(STC:System Time Clock)이 변경되면, 이전 채널을 통해 이미 수신되어 있던 비디오 데이터는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디코딩하여 출력하고,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처리가 종료되면 다시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 하여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채널 전환시에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과 현재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이 같은 버퍼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채널 변환시에도 화면의 끊김없는 연속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지고 채널 전환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디지털 TV, 비디오 디코더, 채널 전환, STC, 타임 스탬프

Description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Video Decoding }
도 1은 본 발명의 비디오 디코딩 장치가 적용된 디지털 티브이의 예,
도 2는 비디오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상태에 관한 개요,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방법의 일 실시예,
도 4는 프레임 메모리의 상태에 관한 일 예,
도 5는 프레임 메모리의 상태에 관한 또 다른 예,
도 6은 디코딩 시간과 디스플레이 시간의 관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튜너 12: 시스템 디코더
13: 오디오 디코더 14: 스피커
15: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 16: 비디오 디코더
17: 프레임 메모리 18: 비디오 후처리부
19: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은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채널 전환시에 다크 스크린(Dark Screen) 처리를 하지 않고도 화면의 끊김없이 자연스럽게 그리고 짧은 시간에 채널 전환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 기술을 이용하면 음성, 영상, 문자 등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압축 전송할 수 있으므로 한 채널에 필요로 하는 데이터량을 줄일 수 있고 더욱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Digital TV System)은 시청자의 요구를 직접 반영할 수 있는 대화형 또는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시스템으로 발전해 나가고 있으며,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에 연결된 모뎀, 인터넷, 전용선 등의 리턴 채널(Return Channel)을 통해 시청자의 요구를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게 알리고 다시 적절한 서비스를 시청자에게 되돌려 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 티브이 화면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상품에 대한 쇼핑, 주문, 배달 확인 등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주제별로 분류된 영화 채널에서 시청자가 원하는 영화를 주문하고 결제하는 등의 다양한 양방향 서비스가 가능한 것이다.
디지털 방송을 위한 동영상 압축 방식은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 표준을 이용한다. 이 압축 방식의 기본적인 틀은 공간적인 중복성과 시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는 기법을 이용하는 것이다. 공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기 위해 픽셀 도메인의 데이터를 주파수 도메인으로 변환하고 이를 양자화하는데, 이렇게 하면 시각에 민감하지 않은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며 전송할 데이터 양이 줄어들게 된다.
시간적인 중복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움직임 추정, 보상 기법을 이용한다. 기준이 되는 영상 프레임으로부터 현재의 영상 프레임과 비슷한 픽셀 값을 가지는 부분을 찾아내어 이를 움직임 벡터로 부호화하고 나머지는 차분치를 주파수 변환하여 부호화하게 된다.
MPEG 동영상의 영상 프레임 종류는 I(Intra), P(Predictive), B(Bi-predictive) 등이다. I 프레임의 경우는 다른 레퍼런스(reference) 프레임을 필요로 하지 않고 자체적으로 복원이 가능한 영상 프레임이고, P 프레임은 디코딩 순서로 먼저 디코딩 된 하나의 레퍼런스 프레임을 필요로 하며, B 프레임은 디코딩 순서에 따라 먼저 디코딩 된 두개의 레퍼런스 프레임을 필요로 한다. I 프레임은 레퍼런스 프레임 없이 자체적으로 복원이 가능하므로 움직임 보상에 의한 오차 누적을 제거하여 비디오 디코더를 리프레시(refresh)하는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I 프레임은 어느 정도 일정한 간격을 가질 필요가 있다. 보통의 경우 비디오 시퀀스 또는 GOP(Group Of Pictures) 계층마다 하나의 I 프레임이 전송된다. 그 시간 간격은 0.5초 정도를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일정한 간격은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에서 채널이 전환되는 경우에 동영상의 시작 시점을 결정하는 제한 조건으로 작용하게 된다.
디지털 티브이의 채널 전환이 이루어 질 때 이전 채널과 전환할 채널의 특성에 따라 채널 전환 지연 시간이 필요하게 된다. 대부분 채널 전환은 시스템 클록의 전환을 필요로 한다. 시스템 클록은 내부의 비디오 버퍼를 제어하는데 이용되기도 하며 영상과 음성의 동기를 맞추는 데 이용되기도 한다.
음성의 경우에는 대체적으로 내부에 압축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버퍼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디코딩 시간과 출력시간을 시스템 클록에 동기 시키지 않고 디코딩하면 채널 전환 이후 바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가 있다.
그러나, 영상의 경우에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 디코딩 하고 복원한 동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시스템 클록을 기준으로 하는 타임 스탬프(DTS: Decoding Time Stamp, PTS: Presentation Time Stamp)를 이용한다. 또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 지면 시스템 클록에 의한 내부 STC 카운터(System Time Clock Counter)를 초기화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시스템 클록이 안정된 후,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에 저장되어 있던 이전 채널의 데이터를 비우고 새로운 비디오 시퀀스로부터 I 프레임을 찾아내어 디코딩 하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게 된다. 즉, 채널 전환에 의해 시스템 클록이 바뀌게 되면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를 리셋 하여 비우게 되며, 비디오 디코더의 모든 동작을 중지하고 디코딩 상태를 리셋하여 다음 비디오 시퀀스를 디코딩 할 준비를 하게 된다.
전환된 채널로부터 입력된 새로운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버퍼에 저장한 후 I 프레임을 찾아 디코딩하고 이어지는 동영상 프레임을 타임 스탬프(DTS, PTS)를 맞추어 가면서 순차적으로 디코딩하고 출력하게 되면 영상 측면에서의 채널 전환이 완료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은 앞서 언급했듯이 일정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는데 채널전환시간의 대부분이 비디오 지연 시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프렘임 메모리의 측면에서 보면 채널 전환이 이루어질 경우 메모리 저장 영역이 달라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즉, 두 채널의 동영상이 서로 다른 크기의 영상 프레임 크기를 가질 경우 이전 채널과 전환 채널의 새로운 메모리 저장 영역이 겹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디스플레이 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은 손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손상된 화면을 출력하지 않기 위해서 채널 전환에 따른 비디오 지연 시간만큼 다크 스크린(dark screen)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화면을 대신 표시하였다. 이에 따라 부드럽고 자연스러운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시청자의 입장에서는 화면이 끊어지는 것과 같이 느끼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채널 전환에 따른 비디오 지연시간 동안 다크 스크린으로 처리하거나 다른 화면을 대신 표시하지 않으면서도 비디오 지연시간을 줄이고 화면의 끊김 없는 채널전환을 지원할 수 있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장치는,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비트 스트림과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분리하고, 타임 스탬프(Time Stamp)의 기준이 되는 시스템 타임 클럭(STC:System Time Clock)을 복구하는 시스템 디코더; 상기 시스템 디코더에서 출력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일시 저장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 및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되, 상기 STC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일정 '유지시간' 동안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영상 프레임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비디오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STC가 변경되면 상기 유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상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그대로 보관하고, 전환된 새로운 채널의 영상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타 영역에 순서대로 저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유지시간이 경과 후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보관되어 있는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과 관련한 정보를 삭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방법은, 채널 전환을 통해 시스템 타임 클록(STC)이 변경되는 단계; 비디오 디코더의 타임 스탬프 검사 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 일정 '유지시간' 동안에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비디오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디코딩 하는 단계; 상기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비디오 디코더의 타임 스탬프 검사 기능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비디오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디코딩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지시간은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최대 지연시간 이상의 값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디지털 티브이 시스템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장치를 설명하기로 한다.
안테나를 통해 방송신호가 수신되고, 튜너(11)를 통해 특정 프로그램 또는 채널이 선택되어 전송 스트림(TS: Transport Stream)의 형태로 시스템 디코더(12)에 전달된다.
시스템 디코더(12)는 전송 스트림(TS)으로부터 프로그램 가이드 정보를 수집하고 시청자가 선택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오디오와 비디오 정보를 걸러내어 각각 오디오 디코더(13) 및 비디오 디코더(16)로 전달한다. 이 때, 오디오 디코더(13)와 비디오 디코더(16)에 전달되는 데이터의 포맷은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형태이며, 타임 스템프(DTS, PTS)와 같이 디코딩에 유용한 정보와 ES(Elementary Stream)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시스템 디코더(12)는 전송 스트림(TS)에 실려 있는 정보인 PCR(Program Clock Reference)로부터 시스템의 기준이 되는 STC(System Time Clock)를 복원하여 오디오 디코더(13)와 비디오 디코더(16)에 전달한다. STC는 오디오 디코더(13)와 비디오 디코더(16)가 타임 스탬프(DTS, PTS)를 맞추어 디코딩 하는데 기준으로 삼는 STC 카운터의 구동 클록으로 사용되기도 한다.
오디오 디코더(13)는 시스템 디코더(12)로부터 오디오 PES를 입력 받아 PTS에 맞추어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 하고 이를 스피커(14)를 통해 출력한다.
한편, 시스템 디코더(12)에서 출력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은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일단 저장되며, 비디오 디코더(16)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저장된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프레임 메모리(17)에 저장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코더(16)는 시스템 디코더(12)에서 STC가 변경되면, 일정 '유지시간' 동안에는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그리고,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
여기서, 유지시간이란 채널이 변경된 경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남아 있는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처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의미하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의 최대 지연시간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DTS와 STC 카운터 값을 비교하는 등 일정 조건을 판단하여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가 모두 처리되었는지를 확인하는 것과 같이 유지시간을 적용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임의의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채널 전환이 발생했을 경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의 상태를 나타낸다. 시간 t1에서 채널 전환이 발생하여 입력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이 전환 되었고 그때의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에 남은 데이터 잔량은 dn이다. 시간 t2에서 디코딩에 이용되어 제거된 데이터량 dn2가 dn과 같아지면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에서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는 완전히 제거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dt의 시간 동안에는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가 디코딩 되지만, 한편으로는 전환된 현재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도 입력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 때, 비디오 디코더(16)가 새로운 DTS와 PTS를 이용하여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해서는 안되므로, 비디오 디코더(16)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남아있는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처리할 때 까지(유지시간 동안)는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사하지 않고 STC 만을 이용하여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저장되어 있는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디코딩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처리한 경우에는 새로운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정상적으로 디코딩한다. 즉, 유지시간은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가 가장 많이 남아 있을 때 해당 비디오 데이터를 모두 디코딩하기 위하여 필요한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메모리(17)는 비디오 디코더(16)에서 디코딩된 영상 프레임 정보를 저장하는 구성요소로서, 프레임 메모리(17)는 다른 영상 프레임을 디코딩 하는데 레퍼런스로 이용되는 두개의 프레임과 디스플레이를 위한 하나의 프레임 메모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비디오 후처리부(18)는 비디오 디코더(16)에 의해 디코딩되어 프레임 메모리(17)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9)의 화면 구성에 맞도록 영상 변환하여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영상 변환의 예는 화면 크기 변환, 화면 비 변환, 디스플레이 스캔 방법 변환 등이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디코딩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튜너(11)를 통해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면(S31), 시스템 디코더(12)는 새로운 채널의 전송 스트림(TS)으로부터 프로그램 정보를 수집하고, 시스템 클록이 바뀌었는지를 판단한다(S32). 이 때, 시스템 디코더(12)는 튜너(11)를 통한 채널 전환이 이루어지고 새로운 채널의 전송 스트림(TS)이 입력되기 시작하면 시스템 클록이 바뀌었는지를 파악할 수 있다.
단계 S32에서의 판단 결과 시스템 클록이 변경되지 않았으면(즉 같은 시스템 클록으로 프로그램이 부호화 되었을 경우), 비디오 디코더(16)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들어 오는 비디오 데이터에 대하여 이전 상태에서 디코딩을 연속적으로 계속 수행한다(S38).
그러나, 단계 S32에서의 판단 결과 시스템 클록이 변경된 경우에는 비디오 디코더(16)의 DTS, PTS 검사 기능을 오프시키고(S33), 새로운 시스템 클록으로 초기화 한 후 선택된 프로그램에 맞는 비디오와 오디오 PES를 걸러내는 기능을 재개한다(S34).
그리고, 비디오 디코더(16)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남아 있는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해 계속적으로 디코딩을 수행한다(S35,S36). 이 때, 단계 S33에서 DTS와 PTS 검사 기능을 오프시켰기 때문에 비디오 디코더(16)는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디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서로 다른 시스템 클록을 기준으로 하는 두개의 비트 스트림이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 혼재하고, STC의 변경으로 인하여 DTS와 PTS에 불연속이 발생하므로 연속적인 디코딩을 위해서는 DTS와 PTS의 검사를 하지 않아야 한다.
이 때, 오디오 디코더(13)도 PTS를 검사하지 않고 오디오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스피커(14)로 출력한다.
한편,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가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15)에서 완전히 제거되면(S36), 비디오 디코더의 DTS와 PTS 검사 기능을 다시 온시키고(S37), 비디오 디코더(16)는 DTS와 PTS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을 수행한다(S38).
이 때, 오디오 디코더(13)도 PTS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도록 제어하여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기가 맞도록 한다. 즉, 시스템 클록을 기준으로 오디오와 비디오가 같은 PTS를 기준으로 출력할 경우 상호간의 동기가 맞게 된다. 그러나, 채널 전환시에는 유지시간 동안 PTS를 검사하지 않으므로, 유지시간 동안에는 오디오와 비디오의 동기가 맞지 않을 수 있다. 하지만, 종래와 같이 음성을 뮤트(mute)로 처리하고 비디오를 다크 스크린으로 처리하는 것에 비해서는 채널전환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또한 시청자에게는 좀 더 많은 것을 보여줄 수 있다.
한편, 디지털 티브이 수신기의 메모리는 제한되어 있으므로 디코딩 하는 영상의 화면 크기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메모리 맵(Memory map)을 변경하면서 디코딩을 수행하게 된다. 이 때, 프레임 메모리(17)는 레퍼런스 프레임을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과 디스플레이를 위해 임시로 저장하는 메모리 영역으로 나뉠 수 있으며, 비디오 후처리부(18)에 의해 이용되는 메모리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채널 전환시에는 프레임 메모리(17)의 영상 프레임 정보도 혼재되므로 채널 전환시의 프레임 메모리(17)를 관리할 방법이 필요하다.
채널 전환시에 프레임 메모리(17)에 혼재하는 영상 프레임을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일 실시예는, 유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상 프레임 정보를 프레임 메모리(17)에 그대로 보관하고, 현재 채널로 수신되는 영상 프레임 정보는 프레임 메모리(17)의 타 영역에 순서대로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유지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프레임 메모리(17)에 보관되어 있는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과 관련한 정보를 삭제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프레임 메모리(17)를 관리하는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채널 전환에 따라 영상 프레임의 크기가 HD(High Definition)에서 SD(Standard Definition)로 변경되는 경우에 프레임 메모리(17) 변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채널 전환이 발생하기 이전의 HD 영상에 대한 프레임 메모리 맵을 보여준다. 프레임 메모리(17)는 레퍼런스 프레임(예: I, P)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영역 Fr1과 Fr2, 디스플레이를 위한 메모리 영역 Fr3, 비디오 후처리부(18)에 의해 이용되는 메모리 영역 Disp Fr이 존재하고 있다. 여기서, 메모리 영역 Disp Fr은 PIP(Picture In Picture), OSD(On Screen Display) 또는 그래픽을 위해 이용되며, 다양한 디스플레이 효과를 주기 위해 하나 이상의 HD 영상 프레임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도 4b는 채널 전환이 발생하고 디스플레이 전환이 일어나는 중간 과정을 보여주며,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 처리를 위한 Fr1과 Fr2가 보관되는 상태에서 새로운 채널의 영상 프레임 New Fr1~New Fr4가 저장되고 있다.
도 4c는 채널 전환 후 디스플레이 전환이 완료된 상태의 메모리 맵을 나타내며,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 처리가 모두 종료하면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 정보가 모두 삭제되어 더 이상 보관되지 않게 된다.
즉, HD 영상 에서 SD 영상으로 채널 전환이 일어나는 경우 디코딩은 SD 영상에 대해 수행하면서 HD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게 된다.
도 5는 SD 영상에서 HD 영상으로 채널 전환이 발생하는 경우에 관한 프레임 메모리(17) 변화 상태로서, 도 4에 도시한 전환 과정과 마찬가지로 이전 채널의 SD 영상 프레임(Fr1~Fr4)은 디스플레이가 완료되기 전까지 보전된다.
도 6은 디코딩 변경 시점(t1)과 디스플레이 변경 시점(t2)을 보여 준다.
즉, 디코딩 변경 시점과 디스플레이 변경 시점이 서로 다르므로 각 정보를 분리하여 관리해야 한다. 일반적인 경우 도 4a의 Fr1, Fr2, Fr3은 다음 디스플레이를 위해 보전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도 4b와 같이 이전 영상 프레임들을 보전하면서 디스플레이 효과와 모드를 간단히 하여 디스플레이 프레임 영역(Disp Fr)에 디코딩 영상 프레임을 확보한 이후 디코딩된 영상 프레임(New Fr1~New Fr4)을 저장해야 한다. 그리고, t2 시점이 지난 이후, 즉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에 대한 디스플레이가 완료된 이후에는 Fr1, Fr2, Fr3 프레임을 다른 용도의 메모리 영역으로 이용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채널 전환시에 이전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과 현재 채널의 비디오 데이터 디코딩이 같은 버퍼 내에서 연속적으로 수행되어, 채널 변환시에도 화면의 끊김없는 연속적인 디스플레이가 가능해지고 채널 전환 시간이 단축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채널 전환시 다크 스크린(dark screen)이나 별도의 화면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더욱 자연스럽게 화면을 전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6)

  1. 수신되는 비트 스트림으로부터 오디오 비트 스트림과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분리하고, 타임 스탬프(Time Stamp)의 기준이 되는 시스템 타임 클럭(STC:System Time Clock)을 복구하는 시스템 디코더;
    상기 시스템 디코더에서 출력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을 일시 저장하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 및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비디오 데이터를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디코딩하되, 상기 STC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일정 '유지시간' 동안 상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디코딩하는 비디오 디코더;
    상기 비디오 디코더에서 디코딩된 영상 프레임 정보를 저장하는 프레임 메모리; 및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 프레임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로 출력하는 비디오 후처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시간은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최대 지연시간 이상의 값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STC가 변경되면 상기 유지시간이 경과할 때까지는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을 디코딩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영상 프레임 정보를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그대로 보관하고, 현재 채널의 영상 프레임 정보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의 타 영역에 순서대로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디코더는 상기 유지시간이 경과한 때에는 상기 프레임 메모리에 보관되어 있는 이전 채널의 영상 프레임과 관련한 정보를 삭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딩 장치.
  5. 채널 전환을 통해 시스템 타임 클록(STC)이 변경되는 단계;
    비디오 디코더의 타임 스탬프 검사 기능을 오프시키는 단계;
    일정 '유지시간' 동안에는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비디오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지 않고 디코딩 하는 단계;
    상기 유지시간이 경과하면 비디오 디코더의 타임 스탬프 검사 기능을 온시키는 단계;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비디오 데이터를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디코딩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비디오 디코딩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시간은 상기 비디오 비트 스트림 버퍼의 최대 지연시간 이상의 값을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디코딩 방법.
KR1020050008863A 2005-01-31 2005-01-31 비디오 디코딩 장치 KR100673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63A KR100673253B1 (ko) 2005-01-31 2005-01-31 비디오 디코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863A KR100673253B1 (ko) 2005-01-31 2005-01-31 비디오 디코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966A true KR20060087966A (ko) 2006-08-03
KR100673253B1 KR100673253B1 (ko) 2007-01-22

Family

ID=3717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863A KR100673253B1 (ko) 2005-01-31 2005-01-31 비디오 디코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32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27B1 (ko) * 2005-06-2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재생 장치 및 방법
WO2009094841A1 (fr) * 2008-01-03 2009-08-06 Utstarcom Telecom Co., Ltd. Procédé pour le saut de chaîne rapide et continu dans un décodeur iptv
KR100944936B1 (ko) * 2007-12-14 2010-03-02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서비스의 끊김없는 채널 변경을 제공하기 위한전송 서버 시스템
KR101141086B1 (ko) * 2006-11-14 2012-05-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KR101143907B1 (ko) * 2007-02-15 201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및 장치
US8612498B2 (en) 2005-09-27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witch frame
US8670437B2 (en) 2005-09-27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acquisition
US8761162B2 (en) 2006-11-15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s using channel switch frame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4663B1 (ko) * 1997-12-29 2001-09-17 구자홍 엠펙디코더및디코딩제어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0727B1 (ko) * 2005-06-24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 수신 장치에서 채널 전환을 위한 재생 장치 및 방법
US7711011B2 (en) 2005-06-24 2010-05-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Play-out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a channel in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iver
US8612498B2 (en) 2005-09-27 2013-12-17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witch frame
US8670437B2 (en) 2005-09-27 2014-03-1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service acquisition
KR101141086B1 (ko) * 2006-11-14 2012-05-03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채널 전환용 시스템 및 방법
US8345743B2 (en) 2006-11-14 2013-01-0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channel switching
US8761162B2 (en) 2006-11-15 2014-06-24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applications using channel switch frames
KR101143907B1 (ko) * 2007-02-15 201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재생 방법 및 장치
US8238446B2 (en) 2007-02-15 2012-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KR100944936B1 (ko) * 2007-12-14 2010-03-02 갤럭시아커뮤니케이션즈 주식회사 실시간 방송서비스의 끊김없는 채널 변경을 제공하기 위한전송 서버 시스템
WO2009094841A1 (fr) * 2008-01-03 2009-08-06 Utstarcom Telecom Co., Ltd. Procédé pour le saut de chaîne rapide et continu dans un décodeur iptv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73253B1 (ko) 2007-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298B2 (ja) 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ビデオ送信方法
KR100673253B1 (ko) 비디오 디코딩 장치
US6985188B1 (en) Video decoding and channel acquisition system
CA237022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pressing video sequences
US7675876B2 (en) Transport demultiplexor with bit maskable filter
US7639924B2 (en) Audio/video decoding process and device, and video driver circuit and decoder box incorporating the same
KR100710290B1 (ko) 비디오 디코딩 장치 및 방법
US7327790B1 (en) MPEG on screen display coder for DTV interfaces
US78909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channel change time
US20140003539A1 (en) Signalling Information for Consecutive Coded Video Sequences that Have the Same Aspect Ratio but Different Picture Resolutions
US6963611B1 (en) Process and device for switching digital television programs
US823844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producing digital broadcasting
KR20130109969A (ko) 단일 디코더로 채널 변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수신기 및 수신기에서의 방법
US8769562B2 (en) Digital broadcast method, data receiving device, and data transmitting device
US20150043885A1 (en) Video display apparatus and video display method
US74468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video signals
US6731657B1 (en) Multiformat transport stream demultiplexor
KR100640885B1 (ko) 듀얼 비디오 디코딩을 위한 비디오 버퍼 제어 장치
JP3548113B2 (ja) 受信装置及び画像再生方法
US8374251B2 (en) Video decoder system for movable application
JPH11177921A (ja) ディジタルデータ編集方法、ディジタルデータ編集装置
US10567703B2 (en) High frame rate video compatible with existing receivers and amenable to video decoder implementation
JP2000032475A (ja) 動画像再生装置
KR20230086585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채널 선택시 최초 화면 출력 지연 최소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40024455A (ko) 오디오/비디오 디지털 디코더를 제어하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